KR200463686Y1 - 정수용 옹기 물통 - Google Patents

정수용 옹기 물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686Y1
KR200463686Y1 KR2020090014790U KR20090014790U KR200463686Y1 KR 200463686 Y1 KR200463686 Y1 KR 200463686Y1 KR 2020090014790 U KR2020090014790 U KR 2020090014790U KR 20090014790 U KR20090014790 U KR 20090014790U KR 200463686 Y1 KR200463686 Y1 KR 2004636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ot
planting box
planted
bu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47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5027U (ko
Inventor
최흥주
Original Assignee
최흥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흥주 filed Critical 최흥주
Priority to KR20200900147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686Y1/ko
Publication of KR2011000502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02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6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6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24Adaptations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or decay of contents; Applications to the container or packaging material of food preservatives, fungicides, pesticides or animal repel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수용 옹기 물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용수가 채워지는 물통을 옹기의 항아리로 형성하고, 사용상의 편리하도록 함은 물론 물통에 채워진 물을 정수 및 구기자의 성분이 함유되게 하여 사용자의 건강증진에 도움을 주며, 화초로서 기능까지도 제공하도록 하는 정수용 옹기 물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옹기로 이루어진 항아리형 몸통과 상기 몸통의 내측을 밀폐하도록 상측에 설치되는 덮개로 구성된 물통에 있어서, 상기 몸통(10)의 외주연에는 구기자나무(30)가 식재되는 식재박스(20)가 설치되고, 상기 식재박스(20)에 식재되는 구기자나무(30)의 뿌리가 상기 몸통(10)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몸통(10)의 외주연에는 다수개의 통공(11)이 형성되며, 상기 몸통(10)의 내부 하측면에는 상기 몸통(10)의 하측에 가라앉은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배출구(5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옹기, 구기자나무, 정수, 화초, 식재박스

Description

정수용 옹기 물통{POTTERY BUCKET FOR CLEAN WATER}
본 고안은 정수용 옹기 물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용수가 채워지는 물통을 옹기의 항아리로 형성하고, 사용상의 편리하도록 함은 물론 물통에 채워진 물을 정수 및 구기자의 성분이 함유되게 하여 사용자의 건강증진에 도움을 주며, 화초로써의 기능까지도 제공하도록 하는정수용 옹기 물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섭취하는 물은 체내를 순환하면서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하고 일정량은 소변이나 땀 등의 형태로 배설되므로 사람은 매일 일정량 이상의 물을 마셔야만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다.
사람이 마시는 물은 알칼리성을 띠는 것이 건강에 유익하며, 알칼리성 음용수는 인체의 체질을 알칼리화하여 개선시키고, 체내에서 건강세포를 손상시키는 과다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성인병을 예방하며, 음주, 흡연, 대기오염으로 쌓여가는 노폐물을 빠르게 배출시키는 등 인체에 이로운 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한편, 인체는 원활한 생리 작용을 위해 여러 종류의 미네랄 성분을 필수적으로 필요로 하며, 대표적인 것으로 칼슘, 칼륨, 나트륨, 마그네슘이 있는데, 칼슘은 뼈의 성분이고 소화를 도우며 혈액응고 작용을 하고, 칼륨은 세포액의 삼투압을 조절하고 근육 및 신경 작용을 조절하며 혈압을 조절한다.
또한, 나트륨은 체액의 수소이온농도(pH) 조절 및 근육 신경의 흥분 조절을 하며, 한편 마그네슘은 근육의 수축에 관하여 신경의 흥분을 억제하고 효소의 작용을 촉진시키고, 이 밖에도 철, 아연, 염소, 불소 등 많은 미네랄 성분이 신진대사에 관하여 필수적인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그런데, 과거와 달리 현 시대에는 일상적인 식생활로부터 충분하고 균형 있게 미네랄 성분들을 섭취하는 것이 어렵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과거에는 토양에 충분한 미네랄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그 토양에서 생산한 과일, 채소류에는 역시 미네랄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었지만, 지구상의 물순환 시스템에 의해 꾸준하게 토양 표피층의 미네랄이 씻겨 내려가고 또한 과다한 비료, 농약의 사용에 의해 근래에 생산된 과일, 채소류에는 과거보다 현저하게 미네랄 성분의 함유율이 감소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인체에 유익한 미네랄 성분을 보충하여 섭취하여야 하며, 일환으로 칼슘, 마그네슘 등의 미네랄 성분이 함유된 물을 자주 접하여 마시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그런데 시판되고 있는 종래의 정수기의 경우 소정의 전기분해 방식으로 알칼리수를 제조하고 있으나 구입비용이 고가이며, 정수시 물 속에 함유되어 있는 미네랄 성분이 필터링 되어 버리기 때문에 미네랄 함유수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기 어렵다.
또한, 일반적인 정수기의 경우 내부에 필터링을 하는 필터가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필터를 주기적으로 교환해 주어야 하므로 유지비용이 소요됨은 물론 전문가가 아니면 이러한 필터를 교환하는데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정수기의 내부청소를 주기적으로 깨끗이 청소하여야 하지만 그렇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식재박스에 식재된 구기자나무뿌리가 물통의 내측으로 뻗어지게 하여 물통의 내측 물에 구기자의 성분이 함유되도록 하고, 화초로서의 기능까지도 제공할 수 있는 정수용 옹기 물통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옹기로 이루어진 항아리형 몸통과 상기 몸통의 내측을 밀폐하도록 상측에 설치되는 덮개로 구성된 물통에 있어서, 상기 몸통(10)의 외주연에는 구기자나무(30)가 식재되는 식재박스(20)가 설치되고, 상기 식재박스(20)에 식재되는 구기자나무(30)의 뿌리가 상기 몸통(10)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몸통(10)의 외주연에는 다수개의 통공(11)이 형성되며, 상기 몸통(10)의 내부 하측면에는 상기 몸통(10)의 하측에 가라앉은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배출구(5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식재박스에 식재된 구기자나무뿌리가 물통의 내측으로 뻗어지게 하여 물통의 내측 물에 구기자의 성분이 함유되도록 하고, 화초로서의 기능까지도 제공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정수용 옹기 물통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정수용 옹기 물통의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은 본 고안에 따른 정수용 옹기 물통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정수용 옹기 물통은 항아리형 몸통(10)과, 덮개, 구기자나무가 식재되는 식재박스(20)로 구성된다.
상기 몸통(10)은 옹기로 이루어진 항아리형으로 상측 외주연에 구기자나무(30)가 식재되는 식재박스(20)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식재박스(20)는 상기 몸통(10)의 상측 외주연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 내측에 구기자나무(30)를 심기 위한 토양이 수용된다.
여기서, 구기자나무에 대해 간략히 살펴보면,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가지과의 낙엽 관목으로 잔가지는 노란빛을 띤 회색이고 털이 없으며, 잎은 어긋나는데, 여러 개가 뭉쳐나고 넓은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 바소꼴이다. 끝은 뾰족하고 밑부분이 넓거나 좁으며 양면에 털이 없다.
6~9월에 자줏빛 꽃이 1~4개 잎겨드랑이에서 나와서 피고, 화관은 종 모양으로 5갈래로 갈라지며 끝이 뽀족하다. 작은 꽃자루는 길이 3~8mm이며 꽃받침은 3~5 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5개이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장과로 달걀 모양 또는 타원형으로 8~9월에 붉게 익는다.
어린 잎은 나물로 쓰고 잎과 열매는 차로 달여 먹거나 술을 담그기도 하고, 한방에서는 가을에 열매와 뿌리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 쓰는데, 열매를 말린 것을 구기자라 하고 뿌리껍질을 말린 것을 지골피라 한다. 지골피는 강장,해열제로 폐결핵,당뇨병에 쓰이고, 구기자는 술을 담가 강장제로 쓰며, 잎도 나물로 먹거나 달여 먹으면 같은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몸통(10)의 상측에는 물유입관(40)과 연결되어 상기 몸통(10)의 내측으로 물을 유입시키는 유입구(13)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몸통(1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유입구(13)의 일측에는 물의 유입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구(15)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구(15)는 물이 상기 몸통(1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일정높이 채워지게 되면 상기 제어구(15)가 상승되어 상기 유입구(13)를 차단하여 물이 상기 몸통(1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의 화장실 좌변기에 사용되는 구조와 동일함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몸통(10)의 외주연에는 상기 식재박스(20)에 식재되는 구기자나무(30)의 뿌리가 상기 몸통(10)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통공(1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통공(11)의 위치는 상기 식재박스(20)에 토양이 수용된 경우 상기 토양보다 위쪽에 위치하도록 형성하여 상기 토양이 상기 통공(11)을 통해 상기 몸체(10)의 내측으로 인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통(10)의 내부 하측면에는 상기 몸통(10)의 하측에 가라앉은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배출구(5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몸통(10)의 하측에는 상기 몸통(10)의 내측에 채워진 물을 배출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유출구(6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유입구(13)에 연결된 물유입관(40)을 통해 물이 옹기로 이루어진 항아리형상의 몸통(10) 내측으로 유입되면 유입되는 물이 제어구(15)의 설치 위치까지 차오르게 되면 상기 제어구(15)가 상승되어 상기 유입구(13)을 차단하여 상기 몸통(10)의 내측으로 물이 더 이상 유입되지 않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식재박스(20)에 식재된 구기자나무(30)뿌리가 상기 몸통(10)의 외주연에 형성된 통공(11)을 통해 상기 몸통(10)의 내측으로 뻗어 있게 되는데, 상기 몸통(10)의 내측으로 뻗어 있는 구기자나무(30)뿌리가 물에 담가 지게 되므로 상기 몸통(10)의 내측에 채워진 물에 구기자의 성분이 함유되게 된다.
더욱이, 상기 몸통(10)의 내측으로 뻗어진 구기자나무(30)의 뿌리에 의해 상기 몸통(10)의 내측에 채워진 물이 썩는 것이 방지되며, 상기 몸통(10)이 옹기로 빚어진 항아리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몸통(10)으로부터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음용수에 함유된 세균을 없애게 되고, 화초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정수용 옹기 물통의 나타낸 사시도,
도 2은 본 고안에 따른 정수용 옹기 물통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몸통 11: 통공
13: 유입구 15: 제어구
20: 식재박스 30: 구기자나무
40: 물유입관 50: 배출구
60: 유출구

Claims (1)

  1. 옹기로 이루어진 항아리형 몸통(10)과 상기 몸통(10)의 내측을 밀폐하도록 상측에 설치되는 덮개로 구성된 물통에 있어서,
    상기 몸통(10)의 외주연에는 구기자나무(30)가 식재되는 식재박스(20)가 설치되고, 상기 식재박스(20)에 식재되는 구기자나무(30)의 뿌리가 상기 몸통(10)의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상기 몸통(10)의 외주연에는 다수개의 통공(11)이 형성되며, 상기 몸통(10)의 내부 하측면에는 상기 몸통(10)의 하측에 가라앉은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배출구(5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용 옹기 물통.
KR2020090014790U 2009-11-13 2009-11-13 정수용 옹기 물통 KR2004636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790U KR200463686Y1 (ko) 2009-11-13 2009-11-13 정수용 옹기 물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790U KR200463686Y1 (ko) 2009-11-13 2009-11-13 정수용 옹기 물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027U KR20110005027U (ko) 2011-05-19
KR200463686Y1 true KR200463686Y1 (ko) 2012-11-20

Family

ID=47565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4790U KR200463686Y1 (ko) 2009-11-13 2009-11-13 정수용 옹기 물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68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9767B1 (ko) * 2013-05-16 2013-11-15 조국희 비점오염원 여과를 위한 수목 빗물관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0250B1 (ko) 2001-12-07 2004-10-02 김경태 옹기 젓갈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0250B1 (ko) 2001-12-07 2004-10-02 김경태 옹기 젓갈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027U (ko) 2011-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84397B (zh) 一种水培营养液及制备方法和应用
CN105684868A (zh) 一种水培植物墙栽植方法及装置
CN106721829A (zh) 果蔬酵素饮料制备方法
CN110786227B (zh) 仿野生附树种植铁皮石斛的方法
CN109452100A (zh) 铁皮石斛的种植方法
KR200463686Y1 (ko) 정수용 옹기 물통
CN110012807A (zh) 有机富硒食用或茶用睡莲栽培方法
CN100382714C (zh) 一种北方代茶树的覆盆子植物原料及其保健养生茶的生产方法
KR20100076161A (ko) 꾸지뽕나무와 오죽대통과 죽염을 이용한 간장 제조방법
KR101150393B1 (ko) 꾸지뽕 수액 추출방법
CN101427768A (zh) 具有美容抗衰功能的保健茶
CN107646471A (zh) 一种防止烂种的桑树种植方法
CN104025934B (zh) 一种防止水芹水锈的方法与芹池补水配套装置
KR200440270Y1 (ko) 공기정화용 필터가 구비된 항아리형 물통
CN106615393A (zh) 一种牡丹灵芝奶茶的制备方法
CN206686850U (zh) 家庭简易豆芽机
CN204907539U (zh) 一种高效养鱼、苗菜生产自给型系统
CN203860124U (zh) 一种防止水芹水锈的芹池补水配套装置
CN109673878A (zh) 一种构树饮品及其制备方法
CN216452461U (zh) 滤挂式植栽结构
CN105533692A (zh) 一种长寿虫茶口服液的制备方法
CN208244216U (zh) 一种茶油渣回收处理的下料装置
KR200179665Y1 (ko) 숯을 이용한 콩나물 재배장치
KR200371567Y1 (ko) 고농도의 함수 채취 시스템
CN101690735A (zh) 一种复合微生物保健剂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