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595Y1 -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킨 조립식 수납장 - Google Patents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킨 조립식 수납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595Y1
KR200463595Y1 KR2020110010178U KR20110010178U KR200463595Y1 KR 200463595 Y1 KR200463595 Y1 KR 200463595Y1 KR 2020110010178 U KR2020110010178 U KR 2020110010178U KR 20110010178 U KR20110010178 U KR 20110010178U KR 200463595 Y1 KR200463595 Y1 KR 2004635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vertical
connector
pai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01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동희
Original Assignee
(주)두진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두진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두진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20201100101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5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5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5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4Leg joints; Corner joints

Abstract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킨 조립식 수납장을 제공한다. 제공된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킨 조립식 수납장은 2조 1쌍의 제1 수직연결관이 전,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2조 1쌍의 제1 수직연결관 상,하부에 제1 수평연결관이 배치된 외곽프레임; 상기 제1 수직연결관과 제1 수평연결관을 연결할 수 있도록 이들이 맞닿는 모서리부위에 설치되며. 일측에 상기 제1 수평연결관에 억지끼움연결되는 수평돌부가 돌출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제1 수직연결관에 억지끼움연결되는 수직돌부가 마련된 복수개의 제1 연결구; 상기 제1 수직연결관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전,후방에 위치한 제1 수직연결관들 사이에 2조 1쌍으로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며, 내측에 제1 가이드홈이 마련된 제1 가이드레일; 상기 제1 수평연결관들 중 상부에 위치한 제1 수평연결관들의 상부에 안착되어 볼트체결된 제1 상판프레임 및 상기 2조 1쌍으로 서로 대칭되게 설치된 제1 가이드레일과 제1 가이드레일 사이에 상기 제1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연결된 수납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조립편의성 향상 및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킨 조립식 수납장{The furniture which a space practical use is possible}
본 고안은 조립식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식 수납장의 구조개선을 통해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수납용품의 양에 따라 수납공간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편의성 및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킨 조립식 수납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납장은 다양한 물건을 수용할 수 있도록 일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사용자가 쉽게 운반할 수 있는 크기와 무게로 만들어진다. 또한, 이러한 수납장은 사용 형태에 따라 다단으로 적층되어 다단 장식장을 구성하기도 한다.
이렇게 다단 장식장을 구성하는 수납장은, 전면이 개방된 상태로 상하면을 각각 형성하는 상부패널과 하부패널,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패널, 좌우 측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측면패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수납장은 완성품 또는 현장에서 조립할 수 있는 조립식 제품으로 제조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이에, 조립식 수납장은 구성 부품이 분리된 상태로 운반 및 보관될 수 있기 때문에,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고 사용이 편리하다.
이러한 조립식 수납장은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301876호에 개시된바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조립식 수납장은, 한 쌍의 지지틀, 한 쌍의 측면패널, 밑면패널 및 커버패널을 포함한다. 지지틀은 중앙부가 개방된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측면패널, 밑면패널, 커버패널은 모두 사각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구성 부품의 조립 시, 밑면패널이 먼저 한 쌍의 지지틀 내부에 압입되고, 한 쌍의 측면패널이 밑면패널 위에 놓이도록 한 쌍의 지지틀 내부에 각각 압입된다. 마지막으로 커버패널이 한 쌍의 측면패널 위에 놓이도록 한 쌍의 지지틀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조립이 완료된다. 이러한 조립식 수납장은 밑면패널, 한 쌍의 측면패널 및 커버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조립식 수납장은 수납공간이 제한되어 사용과정에서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즉, 종래 조립식 수납장의 수납공간은 제조단계에서 한정되기 때문에 수납물품들의 전체 부피가 수납공간보다 커질 경우 수납장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거나, 별도의 새로운 수납장을 구매하여 사용해야 했기 때문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조립식 수납장에서 발생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조립식 수납장의 구조개선을 통해 사용자가 수납용품의 양에 따라 수납공간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편의성 및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킨 조립식 수납장을 제공한다.
상기한 과제해결을 위한 본 고안은
2조 1쌍의 제1 수직연결관이 전,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2조 1쌍의 제1 수직연결관 상,하부에 제1 수평연결관이 배치된 외곽프레임;
상기 제1 수직연결관과 제1 수평연결관을 연결할 수 있도록 이들이 맞닿는 모서리부위에 설치되며. 일측에 상기 제1 수평연결관에 억지끼움연결되는 수평돌부가 돌출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제1 수직연결관에 억지끼움연결되는 수직돌부가 마련된 복수개의 제1 연결구;
상기 제1 수직연결관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전,후방에 위치한 제1 수직연결관들 사이에 2조 1쌍으로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며, 내측에 제1 가이드홈이 마련된 제1 가이드레일;
상기 제1 수평연결관들 중 상부에 위치한 제1 수평연결관들의 상부에 안착되어 볼트체결된 제1 상판프레임 및
상기 2조 1쌍으로 서로 대칭되게 설치된 제1 가이드레일과 제1 가이드레일 사이에 상기 제1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연결된 수납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외곽프레임의 일측 모서리부에는 수평돌부와, 수직돌부 및 연장돌부가 "T"형상을 이루는 제2 연결구가 설치되며, 상기 수평돌부와 수직돌부에는 제1 수평연결관과 제1 수직연결관이 억지끼움연결되며, 상기 연장돌부에는 제2 수평연결관들이 억지끼움연결되고, 상기 제2 수평연결관들의 단부에는 제1 연결구의 수평돌부가 억지끼움연결되며, 상기 제1 연결구의 수직돌부에 한 쌍의 제2 수직연결관이 억지끼움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제2 수직연결관과 인접한 한 쌍의 제1 수직연결관에 제2 가이드홈을 갖는 2조 1쌍의 제2 가이드레일이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며, 상기 2조 1쌍으로 서로 대칭되게 설치된 제2 가드레일과 제2 가이드레일 사이에 수납함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 수평연결관들 중 상부에 위치한 제2 수평연결관에 제2 상판프레임이 안착되어 볼트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연결구들 중 하부에 위치한 제1 연결구들에는 받침편이 볼트체결되며, 상기 받침편의 외면에는 탄성력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의 고무덮개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조립식 수납장의 구조개선을 통해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수납용품의 양에 따라 수납공간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편의성 및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킨 조립식 수납장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킨 조립식 수납장을 나타낸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킨 조립식 수납장을 나타낸 전체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킨 조립식 수납장을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킨 조립식 수납장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킨 조립식 수납장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킨 조립식 수납장을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킨 조립식 수납장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킨 조립식 수납장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킨 조립식 수납장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킨 조립식 수납장을 나타낸 요부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킨 조립식 수납장을 나타낸 전체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킨 조립식 수납장(100)은 외곽프레임(110)과, 상기 외곽프레임(110)의 모서리부에 설치되는 제1 연결구(120)와, 상기 외곽프레임(110)의 내면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설치된 제1 가이드레일(130)과, 상기 외곽프레임(110)의 상부에 설치된 제1 상판프레임(140) 및 상기 제1 가이드레일(130)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수납함(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외곽프레임(110)은 본 고안의 조립식 수납장(100)의 외곽 테두리부를 이루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외곽프레임(110)은 2조 1쌍의 제1 수직연결관(111)이 전,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2조 1쌍의 제1 수직연결관(111) 상,하부에 제1 수평연결관(113)이 배치된다.
한편, 상기 제1 연결구(120)는 상기 외곽프레임(110)을 이루는 제1 수직연결관(111)과 제1 수평연결관(113)을 결속시키기 위한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제1 연결구(120)는 상기 제1 수직연결관(111)과 제1 수평연결관(113)을 연결할 수 있도록 이들이 맞닿는 모서리부위에 설치되며, 일측에 상기 제1 수평연결관(113)에 억지끼움연결되는 수평돌부(121)가 돌출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제1 수직연결관(111)에 억지끼움연결되는 수직돌부(123)가 마련된다.
한편, 상기 제1 가이드레일(130)은 상기 수납함(150)을 슬라이딩 이동시키기 위한 매개체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제1 가이드레일(130)은 상기 제1 수직연결관(111)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전,후방에 위치한 제1 수직연결관(111)들 사이에 2조 1쌍으로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며, 내측에 제1 가이드홈(131)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홈(131)의 후방에는 마감판(133)이 마련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가이드레일(13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수납함(150)은 상기 마감판(133)에 의해 후방으로 이탈되지 않고 걸림을 이루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상판프레임(140)은 상기 외곽프레임(110)의 상부를 마감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수단이다.
이때, 상기 제1 상판프레임(140)은 상기 제1 수평연결관(113)들 중 상부에 위치한 제1 수평연결관(113)들의 상부에 안착되어 볼트체결된다.
한편, 상기 수납함(150)은 그 내부공간에 다양한 물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방으로 개구된 박스의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수납함(150)은 상기 2조 1쌍으로 서로 대칭되게 설치된 제1 가이드레일(130)과 제1 가이드레일(130) 사이에 상기 제1 가이드홈(13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며, 그 상부 외면에 상기 제1 가이드홈(131) 내에 안착되는 단턱부(151)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1 연결구(120)들 중 하부에 위치한 제1 연결구(120)들에는 받침편(160)이 볼트체결되며, 상기 받침편(160)의 외면에는 탄성력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의 고무덮개(161)가 연결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수납함은 상기 덮개를 통해 이동과정에서 바닥 긁힘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킨 조립식 수납함의 결합관계 및 동작관계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킨 조립식 수납장을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2조 1쌍의 제1 수직연결관(111)을 직립된 상태로 전,후방에 배치하고, 상기 2조 1쌍의 제1 수직연결관(111)의 상,하부에 제1 수평연결관(113)을 배치한다.
이후, 상기 제1 수직연결관(111)과 제1 수평연결관(113)이 맞닿는 부위에 제1 연결구(120)를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제1 연결구(120)의 수평돌부(121)는 제1 수평연결관(113)에 억지끼움연결하고, 상기 제1 연결구(120)의 수직돌부(123)는 제1 수직연결관(111)에 억지끼움연결한다.
이후, 상기 전,후방에 제1 수직연결관(111)들 사이에 제1 가이드홈(131)을 갖는 제1 가이드레일(130)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제1 가이드홈(131)은 내측방향으로 개방된다.
이후, 상기 제1 수평연결관(113)들 중 상부에 위치한 제1 수평연결관(113)의 상부에 제1 상판프레임(140)을 안착시킨다. 이때, 상기 제1 수평연결관(113)과 제1 상판프레임(140)은 볼트체결한다.
이후, 상기 수납함(150)을 상기 제1 가이드레일(130)과 제1 가이드레일(130) 사이로 삽입연결한다.
이때, 상기 제1 가이드레일(130)과 제1 가이드레일(130) 사이로 삽입된 수납함(150)은 그 상부에 형성된 단턱부(151)가 상기 제1 가이드홈(131)에 삽입연결되어 상기 제1 가이드홈(13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에,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킨 조립식 수납함은 조립과정에서 제1 연결구를 이용하여 외곽프레임을 이루는 제1 수직연결관과 제1 수평연결관들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킨 조립식 수납장 중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번호를 나타내며,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킨 조립식 수납장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킨 조립식 수납장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킨 조립식 수납장을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외곽프레임()의 일측 모서리부에는 수평돌부(121)와, 수직돌부(123) 및 연장돌부(225)가 "T"형상을 이루는 제2 연결구(220)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2 연결구()의 수평돌부(123)는 제1 수평연결관(113)에 억지끼움연결되며, 수직돌부(121)는 제1 수직연결관(111)에 억지끼움연결되며, 상기 연장돌부(225)에는 제2 수평연결관(211)들이 억지끼움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2 수평연결관(211)들의 단부에는 제1 연결구(120)의 수평돌부(121)가 억지끼움연결되며, 상기 제1 연결구(120)의 수직돌부(123)에는 한 쌍의 제2 수직연결관(213)이 억지끼움연결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2 수직연결관(213)과 인접한 한 쌍의 제1 수직연결관(111)에 제2 가이드홈(231)을 갖는 2조 1쌍의 제2 가이드레일(230)이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며, 상기 2조 1쌍으로 서로 대칭되게 설치된 제2 가드레일(230)과 제2 가이드레일(230) 사이에 수납함(150)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끝으로, 상기 제2 수평연결관(211)들 중 상부에 위치한 제2 수평연결관(211)에 제2 상판프레임(240)이 안착되어 볼트체결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킨 조립식 수납장은 조립과정에서 간단한 부속품 변경을 통해 수납함의 수납공간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수납용품의 양에 따라 수납공간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사용편의성 및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다.
한편,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킨 조립식 수납장 중 제1,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번호를 나타내며,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킨 조립식 수납장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수직연결관(111), 상기 제1 수평연결관(113), 상기 제2 수평연결관(211), 상기 제2 수직연결관(213), 상기 수평돌부(121), 상기 수직돌부(123) 및 상기 연장돌부(225)는 단면이 원형 관형상으로 이루어진다.
100 : 수납장 110 : 외곽프레임 111 : 제1 수직연결관
113 : 제1 수평연결관 120 : 제1 연결구 121 : 수평돌부
123 : 수직돌부 130 : 제1 가이드레일 131 : 제1 가이드홈
133 : 마감판 140 : 제1 상판프레임 150 : 수납함
151 : 단턱부 160 : 받침편 161 : 고무덮개
220 : 제2 연결구 225 : 연장돌부 221 : 제2 수평연결관
213 : 제2 수직연결관 230 : 제2 가이드레일 231 : 제2 가이드홈
240 : 제2 상판프레임

Claims (3)

  1. 2조 1쌍의 제1 수직연결관(111)이 전,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2조 1쌍의 제1 수직연결관(111) 상,하부에 제1 수평연결관(113)이 배치되어 외곽프레임(110)을 이루며, 상기 제1 수직연결관(111)들의 인접한 일측에 한 쌍의 제2 수직연결관(213)이 배치되고, 상기 제1 수직연결관(111)과 제2 수직연결관(213) 사이 공간의 상,하부에 제2 수평연결관(211)이 배치되며, 상기 제1 수직연결관(111)과 제1 수평연결관(113)이 맞닿는 모서리부와, 상기 제2 수평연결관(211)과 제2 수직연결관(213)이 맞닿는 모서리부에 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제1 연결구(120)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연결구(120)에는 상기 제1 수평연결관(113)과 제2 수평연결관(211)이 억지끼움연결되는 수평돌부(121)와 상기 제1 수직연결관(111)과 제2 수직연결관(213)이 억지끼움연결되는 수직돌부(123)가 돌출형성되며, 한쌍의 제1 수직연결관(111)과 인접한 한쌍의 제1 수직연결관(111)에 제1 가이드홈(131)을 갖는 2조 1쌍의 제1 가이드레일(130)이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고, 상기 한쌍의 제2 수직연결관(213)과 인접한 한쌍의 제1 수직연결관(111)에 제2 가이드홈(231)을 갖는 2조 1쌍의 제2 가이드레일(230)이 서로 대칭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수평연결관(113)들 중 상부에 위치한 제1 수평연결관(113)들의 상부에 제1 상판프레임(140)이 안착되어 볼트체결되고, 상기 제2 수평연결관(211)들 중 상부에 위치한 제2 수평연결관(211)들의 상부에 제2 상판프레임(240)이 안착되어 볼트체결되며, 상기 2조 1쌍으로 서로 대칭되게 설치된 제1 가이드레일(130)과 제1 가이드레일(130) 사이와 2조 1쌍으로 서로 대칭되게 설치된 제2 가이드레일(230)과 제2 가이드레일(230) 사이에 수납함(150)이 제1 가이드홈(131)과 제2 가이드홈(231)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킨 조립식 수납장에 있어서,
    상기 제1 수평연결관(113)과 제1 수직연결관(111) 및 제2 수평연결관(211)이 서로 맞닿는 부위에 수평돌부(121)과 수직돌부(123) 및 연장돌부(225)가 "T"형상을 이루는 제2 연결구(220)을 설치하되, 상기 수평돌부(121)에는 제1 수평연결관(113)이 억지끼움연결되고, 상기 수직돌부(123)에는 제1 수직연결관(111)이 억지끼움연결되며, 상기 연장돌부(225)에는 제2 수평연결관(211)이 억지끼움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킨 조립식 수납장.
  2. 삭제
  3. 삭제
KR2020110010178U 2011-11-16 2011-11-16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킨 조립식 수납장 KR2004635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178U KR200463595Y1 (ko) 2011-11-16 2011-11-16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킨 조립식 수납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178U KR200463595Y1 (ko) 2011-11-16 2011-11-16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킨 조립식 수납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3595Y1 true KR200463595Y1 (ko) 2012-11-14

Family

ID=47565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178U KR200463595Y1 (ko) 2011-11-16 2011-11-16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킨 조립식 수납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595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988Y1 (ko) * 2003-04-16 2003-08-19 조영주 장롱의 상부 수납공간 구조
KR100987604B1 (ko) * 2008-10-14 2010-10-18 박수성 조립식 선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3988Y1 (ko) * 2003-04-16 2003-08-19 조영주 장롱의 상부 수납공간 구조
KR100987604B1 (ko) * 2008-10-14 2010-10-18 박수성 조립식 선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24021U (ja) 多機能通気性収納棚
KR101339341B1 (ko) 모듈형 조립식 판재
US10619914B2 (en) Telescoping fixture applied to a refrigerator door or the like
KR101142161B1 (ko) 서랍형 침대 프레임
CN202354869U (zh) 用于家具抽屉滑轨
US20090145897A1 (en) Collapsible storage container
KR101464442B1 (ko) 다용도 선반
JP5071116B2 (ja) 引出し構造および収納家具
CN102396900A (zh) 用于家具抽屉滑轨
KR200463595Y1 (ko)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킨 조립식 수납장
KR20130115405A (ko) 슬라이딩 이중책장
CN203723673U (zh) 一种可折叠柜
KR20160044182A (ko) 주방용 다용도 서랍
KR200464943Y1 (ko) 실험실습대
CN211833508U (zh) 梳妆台
KR200252494Y1 (ko) 다용도 조립식 서랍장
CN201662657U (zh) 眼镜腿的连接装置
KR200474593Y1 (ko) 경량 시스템 서랍장
CN209032269U (zh) 碗篮和洗碗机
KR20170064749A (ko) 조립식 서랍장
KR101772980B1 (ko) 복합형 침대용 틀프레임
KR20110009555U (ko) 조립 서랍형 침대
KR200321251Y1 (ko) 서랍식 수납함
CN210471420U (zh) 储物型茶几
CN215076796U (zh) 一种多功能组合家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