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442Y1 - Electric power controller for a hybrid car - Google Patents

Electric power controller for a hybrid c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442Y1
KR200463442Y1 KR2020090017182U KR20090017182U KR200463442Y1 KR 200463442 Y1 KR200463442 Y1 KR 200463442Y1 KR 2020090017182 U KR2020090017182 U KR 2020090017182U KR 20090017182 U KR20090017182 U KR 20090017182U KR 200463442 Y1 KR200463442 Y1 KR 2004634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case
precharge
power
main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7182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06909U (en
Inventor
음영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171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442Y1/en
Publication of KR201100069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909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4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442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45/00Details of relays
    • H01H45/14Terminal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8Electrical distribution cen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8Frames or mounting racks for relays;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1Protection against environment
    • H04Q1/116Protection against environment lightning or EMI protection, e.g. shielding or grou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의 내부 공간 배치되며, 메인 릴레이, 프리 차지 저항 및 프리 차지 릴레이 등을 포함하는 전기 소자; 및 상기 각각의 전기 소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부스 바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로서, 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기 메인 릴레이 및 프리 차지 릴레이가 매립되도록 차폐재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relay assembly for a hybrid vehicle, the case; An electrical space disposed in the case and including a main relay, a precharge resistor, a precharge relay, and the like; And a bus ba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respective electrical elements, wherein the shielding material is charged so that the main relay and the precharge relay are embedded in the case. do.

하이브리드 자동차, 릴레이, 충전재. Hybrid cars, relays, fillings.

Description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ELECTRIC POWER CONTROLLER FOR A HYBRID CAR}Hybrid power relay assembly {ELECTRIC POWER CONTROLLER FOR A HYBRID CAR}

본 고안은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구동 장치로 사용되는 모터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relay assembly for a hybrid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wer relay assembly for controlling power supplied to a motor used as a driving device of a hybrid vehicle.

하이브리드 자동차란 구동원으로서 두 가지 이상의 동력원을 사용하는 형태의 자동차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는 종래의 내연 기관과 배터리로 구동되는 모터를 동시에 사용하는 형태를 의미한다. 상기 배터리는 내연 기관의 구동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 또는 브레이킹 시에 소실되는 에너지를 이용하여 재충전되며, 이를 자동차의 구동에 재사용하기 때문에 내연 기관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일반적인 자동차에 비해서 고연비의 특성을 갖고 있어, 고유가 및 점차적으로 강화되는 탄소 배출 규제와 같은 현재의 상황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The hybrid vehicle refers to a vehicle in which two or more power sources are used as a driving source, and typically means a type in which a conventional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a battery driven motor are used simultaneously. The battery is recharged using energy generated by driving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or energy lost during braking, and is reused for driving of a vehicle, and thus has a higher fuel economy than a typical vehicle us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lone. Attention is now drawn to current situations such as higher oil prices and increasingly tighter carbon emissions regulations.

도 1에 통상적인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전체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1)과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발전기(3), 상기 발전기(3)에 의해 충전되는 배터리(5)가 인버터(7)와 접속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발전기(3) 및 배터 리(5)로부터 입력되는 직류 전류가 인버터(7)의 스위칭 동작에 의해 교류 전류로 변환된 후 모터(9)로 공급된다.1 shows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typical hybrid vehicle. As shown, the generator 3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engine 1 and the battery 5 charged by the generator 3 are connected to the inverter 7, whereby the generator 3 and the batter are connected. The direct current input from the channel 5 is converted into an alternating current by the switching operation of the inverter 7 and then supplied to the motor 9.

상기 인버터(7)에는 콘덴서(11)가 병렬로 접속되어, 전압 변동을 상기 콘덴서(11)에 의해서 억제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서, 상기 인버터(7)에는 정류된 전류가 입력되어, 인버터(7)의 작동이 안정화될 수 있다.A capacitor 11 is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inverter 7 so that the voltage fluctuation is suppressed by the capacitor 11. Due to this, the rectified current is input to the inverter 7,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inverter 7 can be stabilized.

한편, 상기 인버터(7)와 배터리(5)의 사이에는 두 개의 릴레이(15, 17)가 구비되며, 차량의 키 조작에 따라서 배터리(5)와 인버터(7) 사이의 접속 및 단락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배터리(5)와 인버터(7) 사이에 접속되어 있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13)에 메인 회로(19) 및 프리 차지 저항(21)이 직렬로 접속되는 프리 차지 회로(23)가 형성됨과 동시에, 각각의 회로에 메인 릴레이(15) 및 프리 차지 릴레이(17)가 구비된다.Meanwhile, two relays 15 and 17 are provided between the inverter 7 and the battery 5, and a connection and a short circuit between the battery 5 and the inverter 7 are made according to a key operation of the vehicle. Specifically, a precharge circuit 23 is formed in the power relay assembly 13 connected between the battery 5 and the inverter 7 in which the main circuit 19 and the precharge resistor 21 are connected in series. At the same time, a main relay 15 and a precharge relay 17 are provided in each circuit.

차량의 운전시에는 메인 릴레이(15)가 접속(ON)상태가 되고, 프리 차지 릴레이(17)가 차단(OFF)되므로, 메인 회로(19)를 통하여 배터리(5)의 전력이 인버터(7)로 인가된다. 차량의 키가 OFF 조작되는 경우에는, 그러한 조작에 의해서 상기 메인 릴레이(15)가 차단된다. 이로 인해, 비주행시에는 배터리(5)와 인버터(7)의 접속이 차단되어 배터리(5) 전압이 인버터(7)를 통해 모터(9)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 때, 메인 릴레이(15)가 차단된 경우에는 상기 인버터(7)에 접속된 콘덴서(11)는 방전된다.When the vehicle is driven, the main relay 15 is turned on and the precharge relay 17 is turned off. Thus, the power of the battery 5 is transferred to the inverter 7 through the main circuit 19. Is applied. When the key of the vehicle is OFF, the main relay 15 is cut off by such an operation. For this reason, the connection of the battery 5 and the inverter 7 is cut off during the non-driving, and the voltage of the battery 5 is prevente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motor 9 through the inverter 7. At this time, when the main relay 15 is cut off, the capacitor 11 connected to the inverter 7 is discharged.

그 후, 차량을 다시 운전하는 경우에는 먼저 상기 프리 차지 회로(23)에 접속된 프리 차지 릴레이(17)가 접속된다. 이로 인해서, 배터리(5)의 전압이 상기 프리 차지 저항(21)에 의해 강하된 상태로 상기 인버터(7)에 인가되어, 그와 접속된 콘덴서(11)의 충전이 개시된다. 상기 콘덴서(11)의 충전이 충분히 이루어지면, 상기 메인 릴레이(15)가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프리 차지 릴레이(17)는 차단되어, 배터리(5)의 전압이 상기 인버터(7)에 인가된다.After that, when driving the vehicle again, the precharge relay 17 connected to the precharge circuit 23 is first connected. For this reason, the voltage of the battery 5 is applied to the inverter 7 in a state of being dropped by the precharge resistor 21, and charging of the condenser 11 connected thereto is started. When the capacitor 11 is sufficiently charged, the main relay 15 is connected and the precharge relay 17 is cut off, and the voltage of the battery 5 is applied to the inverter 7.

이러한 프리 차지 회로(23)에 의해서 대전력이 급격하게 인가되어 상기 메인 릴레이(6)의 전극이 손상되거나 용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large power is rapidly applied by the precharge circuit 23 to prevent the electrode of the main relay 6 from being damaged or welded.

여기서, 상기 메인 릴레이 및 프리 차지 릴레이는 작동과정에서 소음이 발생하게 되고, 통상적으로 상기 장치는 자동차의 트렁크 부분에 장착되므로 발생된 소음이 차량의 실내 공간으로 유입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릴레이의 작동으로 인해서 생길 수 있는 진동 또한 차량의 탑승객에게 불쾌한 소음 및 진동을 야기할 우려가 높다.Here, the main relay and the precharge relay is a noise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the device is typically mounted on the trunk of the vehicl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generated noise flows into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In addition, the vibration that may be caused by the operation of the relay is also likely to cause unpleasant noise and vibration to the passengers of the vehicle.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릴레이의 작동과정에서 생기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technical problem is to provide a power relay assembly for a hybrid vehicle that can reduce the noise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relay.

본 고안은 또한, 릴레이의 작동과정에서 생기는 진동을 저감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nother technical problem to provide a power relay assembly for a hybrid vehicle that can reduce the vibration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relay.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의 내부 공간 배치되며, 메인 릴레이, 프리 차지 저항 및 프리 차지 릴레이 등을 포함하는 전기 소자; 및 상기 각각의 전기 소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부스 바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로서, 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기 메인 릴레이 및 프리 차지 릴레이가 매립되도록 차폐재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case; An electrical space disposed in the case and including a main relay, a precharge resistor, a precharge relay, and the like; And a bus ba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respective electrical elements, wherein the shielding material is charged so that the main relay and the precharge relay are embedded in the case. do.

즉, 본 고안의 상기 측면에서는 작동 중 소음이 발생되는 전기 소자, 즉 메인 릴레이 및 프리 차지 릴레이의 외주부를 차폐재에 의해 매립되도록 함으로써, 전기 소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발생된 소음을 감쇄시켜서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That is, in th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making the outer peripheral parts of the electric element, that is, the noise generated during operation, the main relay and the precharge relay buried by the shielding material, while supporting the electric element in a stable manner and attenuated the noise generated outside It will block delivery to.

여기서, 상기 차폐재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shielding material may be made of a urethane material.

또한, 상기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에 설치되는 상기 전기 소자들이 작동하기 위해서는 이들 전기 소자에 전원을 공급하여야 하고, 상기 전원은 외부로부터 공급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케이스 내에 상기 전기 소자와 연결되는 전원선을 배치하고, 상기 전원선의 단부와 연결되는 커넥터를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하여, 커넥터의 접속만으로 용이하게 전원이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order for the electric elements installed in the power relay assembly to operate, power must be supplied to these electric elements, and the power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is end, a power line connected to the electrical element is disposed in the case, and a connector connected to an end of the power line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case, so that power can be easily supplied only by connecting the connector.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원선이 위치하는 부분에도 상기 차폐재를 충전시킬 수도 있다.Preferably, the shielding material may be filled in a portion where the power line is located.

한편, 상기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는 자동차의 차체 일측에 설치되는데,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 완충 부재를 설치하여, 릴레이 작동 과정에서 생기는 진동이 차체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ower relay assembly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vehicle body, by installing a shock absorbing member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s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vibration generated during the relay operation process to be transferred to the vehicle body.

여기서, 상기 완충 부재는 금속제 부싱 및 상기 금속제 부싱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고무 부싱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buffer member may include a metal bushing and a rubber bushing install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metal bushing.

본 고안은 또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의 내부 공간 배치되며, 메인 릴레이, 프리 차지 저항 및 프리 차지 릴레이 등을 포함하는 전기 소자; 및 상기 각각의 전기 소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부스 바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로서, 상기 케이스 내부 공간은 격벽에 의해 다수개의 단위 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메인 릴레이 및 프리 차지 릴레이가 상기 단위 공간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단위 공간 중 상기 메인 릴레이 및 프리 차지 릴레이가 배치된 단위 공간의 내부는 차폐재에 의해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ase; An electrical space disposed in the case and including a main relay, a precharge resistor, a precharge relay, and the like; And a bus ba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respective electrical elements, wherein the case interior space is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unit spaces by partition walls, and the main relay and the precharge relay are the unit spaces. The power relay assembly is disposed in each, and the interior of the unit space in which the main relay and the precharge relay of the unit space is disposed is charged by a shielding material.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하면, 차폐재에 의해 전기 소자를 매립함으로써, 전기 소자를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발생된 소음을 감쇄시켜서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정숙한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by embedding the electric element by the shielding material, while supporting the electric element stably, while reducing the noise generated by the transmission to the outside to enable a quiet operation.

또한, 케이스 저면에 완충 부재를 설치하여 릴레이 작동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진동이 차체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installing a cushioning member on the bottom of the cas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vibration that may occur during the operation of the relay to the vehicle body.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 embodiment of the power rela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100)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10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태를 갖는 케이스(110)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110)의 상부에는 커버(120)가 위치한다. 상기 커버(120)의 표면에는 도시되지 않은 배터리의 플러스 단자와 마이너스 단자와 각각 연결되기 위한 제1 부스바(130) 및 제2 부스바(140)가 고정 설치된다.2, an embodiment 100 of a power relay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The embodiment 100 includes a case 110 having a form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s a whole, and a cover 120 is positioned on the case 110. The first bus bar 130 and the second bus bar 140 are fixedly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cover 120 to be connected to the plus terminal and the minus terminal of the battery (not shown).

또한, 상기 케이스(110)의 전면측에도 제3 및 제4 부스바(150, 160)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3 부스바(150)는 모터 제어를 위한 인버터(미도시)의 마이너스 단자와 연결되고, 제4 부스바(160)는 인버터의 플러스 단자와 각각 연결된다.In addition, third and fourth busbars 150 and 160 are also installed on the front side of the case 110, and the third busbar 150 is connected to a negative terminal of an inverter (not shown) for motor control. The fourth bus bar 160 is connected to the plus terminal of the inverter, respectively.

상기 제3 및 제4 부스바(150, 160)의 하부에는 커넥터(170)가 설치되는데, 상기 커넥터(170)는 외부의 전원공급장치와 연결되어 후술할 메인 릴레이 등과 같이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에 설치될 전기 소자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를 위 해, 상기 커넥터(170)의 도시되지 않은 배면에는 다수의 도선들이 연결되고, 상기 도선들은 후술할 전기소자와 연결되어 상기 전기소자들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A connector 170 is installed below the third and fourth busbars 150 and 160, and the connector 17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upply device so that the case 110 of the case 110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upply device. It supplies power to the electrical components to be installed inside. To this end, a plurality of conductive wires are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onnector 170, which is not shown, and the conductive wires are connected to an electric element to be described later to supply power to the electric elements.

아울러, 상기 케이스(110)의 저면의 네 코너 부근에는 각각 완충 부재(18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완충 부재(180)는 내측에 위치하는 금속재 부싱(182)을 통해서 상기 실시예가 설치될 차체와 결합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상기 금속재 부싱(182)의 내부에 형성된 나사산에 볼트(186)를 고정하여 차체에 설치된다. 상기 금속재 부싱(182)의 외부에는 고무 부싱(184)이 위치하며, 상기 고무 부싱(184)은 상기 케이스(110)의 저면에 끼워진다. 따라서, 작동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진동은 고무 부상(184) - 금속제 부싱(182) - 볼트(186) - 차체의 순으로 전달되면서 진동이 흡수되게 된다.In addition, buffer members 180 are provided near four corners of the bottom of the case 110, respectively. The shock absorbing member 180 is coupled to the vehicle body in which the embodiment is to be installed through the metal bushing 182 located inside, and specifically, by fixing the bolt 186 to a thread formed in the metal bushing 182. It is installed on the body. A rubber bushing 184 is positioned outside the metal bushing 182, and the rubber bushing 184 is fitt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case 110. Thus, vibrations that may occur during the operation are transmitted in the order of the rubber flotation 184-metal bushing 182-bolt 186-the vehicle body to absorb the vibration.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10)의 내부는 격벽(112)에 의해 다수의 단위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으며, 구획된 각각의 단위 공간의 내부에 기기의 작동에 필요한 각종 전기 소자들이 장착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3, an internal structure of the case 110 is illustrated. As shown, the interior of the case 110 is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unit spaces by the partition wall 112, and various electrical element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device are mounted in each of the partitioned unit spaces.

구체적으로, 공간 A에는 전류 센서(102) 및 프리 차지 릴레이(104)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전류 센서(102)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를 체크하기 위한 것이고, 전류 센서(102)와 인접하여 프리 차지 릴레이(104)가 위치한다.Specifically, in the space A, the current sensor 102 and the precharge relay 104 are arranged. The current sensor 102 is for checking the current supplied from the battery, and the precharge relay 104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current sensor 102.

상기 전류 센서(102)의 일측 단자는 상기 제1 부스바(130)가 연결되고, 타측 단자에는 제5 부스바(190)가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5 부스바(190)는 상기 프리 차지 릴레이(104)의 플러스 단자와도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5 부스바(190)의 타측 단자는 공간 B에 배치되는 제1 메인 릴레이(106)의 플러스 단자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메인 릴레이(106)는 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충전재에 의해서 매립되어 있다. 따라서, 제1 메인 릴레이(106)의 작동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소음 및 진동은 상기 충전재에 의해서 감쇄될 뿐만 아니라, 수분과 같은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One terminal of the current sensor 102 is connected to the first busbar 130, and the other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fifth busbar 190. Meanwhile, the fifth busbar 190 is also connected to the plus terminal of the precharge relay 104. In addition, the other terminal of the fifth busbar 190 is connected to the plus terminal of the first main relay 106 disposed in the space B. Here, the first main relay 106 is embedded with a filler made of urethane. Therefore, the noise and vibration that may occur dur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main relay 106 are not only attenuated by the filler, but also protected from foreign matter such as moisture.

상기 제1 메인 릴레이(106)의 마이너스 단자는 상기 제4 부스바(160)의 일측 단부와 연결된다. 상기 프리 차지 릴레이(104)의 마이너스 단자는 프리 차지 저항(106, 도 4 참조)의 일측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프리 차지 저항((106)의 타측 단자는 상기 제1 메인 릴레이(106)의 마이너스 단자 및 상기 제4 부스바(160)의 일측 단자와 병렬로 연결된다.The negative terminal of the first main relay 106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ourth bus bar 160.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precharge relay 104 is connected to one terminal of the precharge resistor 106 (refer to FIG. 4), and the other terminal of the precharge resistor 106 is negative of the first main relay 106. A terminal and one terminal of the fourth bus bar 160 are connected in parallel.

상기 공간 C에는 제2 메인 릴레이(109)가 설치된다. 상기 제2 메인 릴레이(109) 역시 충전재에 의해서 매립되며, 상기 제2 메인 릴레이(109)의 마이너스 단자는 상기 제3 부스바(150)와 연결되고, 제2 메인 릴레이(109)의 플러스 단자는 상기 제2 부스바(140)와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메인 릴레이가 구비되며, 이를 통해서 하나의 메인 릴레이에 용착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도 다른 메인 릴레이를 통해 전원 공급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안정성을 높이고 과전류로 인한 모터의 손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the space C, a second main relay 109 is installed. The second main relay 109 is also buried by a filler, the negative terminal of the second main relay 109 is connected to the third busbar 150, the positive terminal of the second main relay 109 is It is connected to the second busbar 140. As described above, in the above embodiment, two main relays are provided, so that even if a problem such as welding occurs in one main relay, power supply can be cut off through the other main relay, thereby increasing stability and increasing the stability of the motor due to overcurrent. The damage can be prevented more effectively.

도 4를 살펴보면, 상기 케이스(110)의 저면(114)에는 상술한 프리 차지 저항(108) 및 커넥터(170)가 장착되며, 상기 프리 차지 저항 및 커넥터를 보호하기 위한 백커버(122)가 상기 저면(114)의 상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술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도선(미도시)들은 상기 저면(114)을 관통하여 상기 커넥터(170)의 배면과 연결된다.Referring to FIG. 4, the above-described precharge resistor 108 and the connector 170 are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114 of the case 110, and the back cover 122 for protecting the precharge resistor and the connector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114 of the case 110. It is installed on the top of the bottom 114. Here, the conductive wires (not shown) for supplying the above-mentioned power penetrate the bottom surface 114 and are connect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onnector 170.

상기 실시예에서는 메인 릴레이들에 대해서만 충전재를 통해 매립하도록 하였으나, 프리 차지 릴레이나 전류 센서 등도 매립하는 예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격벽 없이 내부 공간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매립하는 예도 고려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only the main relays are buried through the filler, but an example of filling the precharge relay or the current sensor may also be considered.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consider an example in which the entire internal space or partially buried without partitions.

도 1은 종래의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hybrid vehicle.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power relay assembly for a hybrid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예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example shown in FIG.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예의 저면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ttom of the example shown in FIG.

Claims (6)

케이스;case; 상기 케이스 내의 내부 공간 배치되며, 메인 릴레이, 프리 차지 저항 및 프리 차지 릴레이를 포함하는 전기 소자; 및An electrical element disposed within the case and including a main relay, a precharge resistor and a precharge relay; And 상기 각각의 전기 소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부스 바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로서,A power relay assembly for a hybrid vehicle comprising a bus ba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respective electrical elements, 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기 메인 릴레이 및 프리 차지 릴레이가 매립되도록 차폐재가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And a shielding material is charged in the case so that the main relay and the precharge relay are embedded. 케이스;case; 상기 케이스 내의 내부 공간 배치되며, 메인 릴레이, 프리 차지 저항 및 프리 차지 릴레이를 포함하는 전기 소자; 및An electrical element disposed within the case and including a main relay, a precharge resistor and a precharge relay; And 상기 각각의 전기 소자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부스 바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로서,A power relay assembly for a hybrid vehicle comprising a bus ba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respective electrical elements, 상기 케이스 내부 공간은 격벽에 의해 다수개의 단위 공간으로 구획되고, 상기 메인 릴레이 및 프리 차지 릴레이가 상기 단위 공간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단위 공간 중 상기 메인 릴레이 및 프리 차지 릴레이가 배치된 단위 공간의 내부는 차폐재에 의해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The case inner space is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unit spaces by partition walls, and the main relay and the precharge relay are disposed in the unit space, respectively, and the inside of the unit space in which the main relay and the precharge relay are arranged in the unit space. The power relay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rge by the shielding material.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차폐재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The shielding member is a power relay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made of urethane material.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전기 소자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선과 연결되는 커넥터가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And a connector connected to a power line for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ical elements, on one side of the cas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케이스의 저면에는 완충 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A power relay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the buffer member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case.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완충 부재는 금속제 부싱 및 상기 금속제 부싱의 외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고무 부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The shock absorbing member includes a metal bushing and a rubber bushing install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metal bushing.
KR2020090017182U 2009-12-31 2009-12-31 Electric power controller for a hybrid car KR20046344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7182U KR200463442Y1 (en) 2009-12-31 2009-12-31 Electric power controller for a hybrid c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7182U KR200463442Y1 (en) 2009-12-31 2009-12-31 Electric power controller for a hybrid c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909U KR20110006909U (en) 2011-07-07
KR200463442Y1 true KR200463442Y1 (en) 2012-11-05

Family

ID=45568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7182U KR200463442Y1 (en) 2009-12-31 2009-12-31 Electric power controller for a hybrid c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442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5295A (en) 2015-08-28 2017-03-08 심재훈 The car which is using a electric energ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0635B1 (en) * 2013-10-15 2020-02-2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All-in-one electronic relay, Power source control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operating pre-charge function using the appar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5735A (en) 2004-04-02 2005-10-20 Sumitomo Wiring Syst Ltd Electric connection box
JP2007028773A (en) 2005-07-14 2007-02-01 Sumitomo Wiring Syst Ltd Vehicle mounted electric connection box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5735A (en) 2004-04-02 2005-10-20 Sumitomo Wiring Syst Ltd Electric connection box
JP2007028773A (en) 2005-07-14 2007-02-01 Sumitomo Wiring Syst Ltd Vehicle mounted electric connection box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5295A (en) 2015-08-28 2017-03-08 심재훈 The car which is using a electric energ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909U (en)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67660B (en) Mounting structure of high-voltage control device unit
US9409495B2 (en) Vehicle apparatus attaching structure
US7402918B2 (en) Arrangement structure of electric junction box
US8205700B2 (en) Power storage device
US20130134939A1 (en) Vehicle charger mounting structure
KR101586481B1 (en) Power relay box
JP5740284B2 (en) High voltage control equipment unit mounting structure
US11329343B2 (en) Battery device for vehicle
JP2011006050A (en) Electric component mounting structure for electric vehicle
JP6020028B2 (en) Vehicle electrical equipment mounting structure
US20070108939A1 (en) Battery pack
CN108973710B (en) Electric vehicle
EP1951554A2 (en) Harness routing structure
US20130307328A1 (en) Harness arrangement structure of vehicle
KR102466683B1 (en) Mounting structure for power storage device
KR200463442Y1 (en) Electric power controller for a hybrid car
KR101241798B1 (en) Electric power controller for a hybrid car
JP5786818B2 (en) Power storage device mounting structure
JP6520190B2 (en) Wiring structure of vehicle harness
CN112572169B (en) Vehicle with a vehicle body having a vehicle body support
CN114929502A (en) Power distribution device
CN111211282B (en) Battery, method for connecting conductive wire of battery and method for removing conductive wire
JP6588838B2 (en) Vehicle electromagnetic shield structure
JP6500819B2 (en) Power storage device
JP2021072176A (en) Battery pack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