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347Y1 - 느낌으로 알 수 있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컵 - Google Patents

느낌으로 알 수 있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347Y1
KR200463347Y1 KR2020110001540U KR20110001540U KR200463347Y1 KR 200463347 Y1 KR200463347 Y1 KR 200463347Y1 KR 2020110001540 U KR2020110001540 U KR 2020110001540U KR 20110001540 U KR20110001540 U KR 20110001540U KR 200463347 Y1 KR200463347 Y1 KR 2004633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water level
hole
water
visually impai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15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6136U (ko
Inventor
김민기
Original Assignee
김민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기 filed Critical 김민기
Priority to KR20201100015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347Y1/ko
Publication of KR201200061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1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3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34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27Drinking glasses or vessels with means for amusing or giving information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8Devices or methods enabling eye-patients to replace direct visual perception by another kind of percep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4For person with a handicap
    • A47G2200/042For person with a handicap of s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각장애인용 컵에 관한 것으로,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구멍을 갖는 몸체; 및 몸체의 구멍을 덮도록 설치되고, 수압에 의해 몸체 외부 쪽으로 팽창되는 수위 감지 부재를 구비하는 시각장애인용 컵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느낌으로 알 수 있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컵{Cup for blind person capable of perceiving by touch feeling}
본 고안은 시각장애인용 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시각장애인들이 물의 높이를 물리적인 요소들로만 알 수 있는 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이나 음료를 따라서 마시기 위한 컵은 크기에 따라 채워지는 내용물의 양이 따라 다르므로,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양만큼 따라서 마시도록 하며, 이를 시각적으로 판단하여야 한다는 것은 다 아는 사실이다.
그러나, 시각 장애인들은 눈으로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원하는 양을 한번에 따를 수 없고, 이에 따라 조금씩 여러 번 마셔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조금만 조심하지 않으면 흘러 넘치게 되어 뜨거운 물의 경우 화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생활하는 도중에 사고 등의 이유로 시각 장애인이 된 사람에게는 더욱 답답한 것으로, 눈으로 보는 대신에 음향을 들을 수 있는 방법이 제안되어 보지 않고도 보는 것과 같이 느끼면서 생활할 수 있다면, 답답한 느낌에서 어느 정도 편리함을 느끼게 될 것이다.
즉, 용기에 물이나 음료를 따라서 마시고자 할 때, 용기의 소리로 판단하거나, 따르는 중에 용기에 손을 대면서 어느 정도 채워졌나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것이다. 일부 시각장애인들은 컵 안에 손을 넣어서 물의 높이를 측정하는데 이것은 위생적으로도 좋지 않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멜로디 컵이 출원되었는 바, 실용신안 등록 제46005호에는 스위치의 작동에 따라 멜로디가 흘러나오게 함으로써, 청각적인 감흥을 돋구어 줄 수 있도록 하였다.
실용신안 등록 제389097호에서는 멜로디 기판과 광센서 및 온도센서를 장착하여 내용물을 마시기 위해 컵을 들어올리면 멜로디가 출력되도록 하였다.
실용신안 등록 제232683호에서는 용기에 채워지는 내용물의 양을 음량으로 시각 장애인에게 알려주어 장애인들이 바닥에 흘리지 않으면서 음료수를 마실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들은 용기에 음료가 채워지면 멜로디가 출력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용기를 세척하는 과정에서 물을 채워넣더라도 멜로디가 출력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즉, 시각 장애인들이 음료를 취식할 때에만 멜로디 음이 출력되고, 기타 다른 상황에서 음료가 채워질 때에는 멜로디가 출력되지 말아야 함에도, 연속적인 멜로디 음 출력으로 인하여 사용상 불편함이 많았다.
또한, 시각장애인들은 소리가 나는 컵을 사용할 때에도 센서가 달린 위치를 파악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더욱이, 센서 등의 기계적 및/또는 전기적 요소를 컵에 설치해야 하므로, 제작하기가 쉽지 않고 제작비용도 상승한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시각장애인들이 물을 흘리는 일이 없도록, 컵의 수위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는 시각장애인용 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기계 및/또는 전자 장비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고 시각장애인들이 사용하기 간편하며 보급 또한 쉬운 시각장애인용 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재활용품으로도 쉽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조립형으로 제작할 수 있는 시각장애인용 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구멍을 갖는 몸체; 및 몸체의 구멍을 덮도록 설치되고, 수압에 의해 몸체 외부 쪽으로 팽창되는 수위 감지 부재를 구비하는 시각장애인용 컵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컵은 컵 몸체에 높이별로 구멍을 뚫은 뒤, 그곳을 느슨한 비닐과 같은 수위 감지 부재로 채워줌으로써, 이 컵에 물이 차오르면 수압 때문에 수위 감지 부재가 팽창하게 되고, 수위 감지 부재의 팽창 정도를 통하여 느낌으로 물이 높이를 알 수 있게 설계하였다. 즉, 본 고안의 컵을 사용하면, 수압의 의해 느슨하게 구멍을 채우고 있던 수위 감지 부재가 수압에 의해 팽창되고, 이것을 느낌으로 감지하여 물의 높이와 양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컵은 몸체의 외면에 설치되고, 몸체의 구멍과 대응되는 구멍을 갖는 안내 부재를 더욱 구비할 수 있다. 즉, 몸체의 높이별로 구멍을 뚫은 곳에 긴 막대 형상의 안내 부재를 설치하고, 그곳에 몸체의 구멍과 일치하게 구멍을 뚫어줌으로써, 시각장애인이 구멍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본 고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컵은 수위 감지 부재에 의해 컵의 수위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어서, 시각장애인들이 물을 흘리는 일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컵은 안내 부재를 구비하여 수위 감지 부재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컵은 기계 및/또는 전자 장비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고 시각장애인들이 사용하기 간편하고 보급 또한 쉽다.
또한, 본 고안의 컵은 재활용품으로도 쉽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조립형으로도 제작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컵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컵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컵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단면도로서, 본 고안의 컵(1)은 몸체(10), 수위 감지 부재(20) 및 안내 부재(30) 등으로 구성된다.
몸체(10)는 유리, 플라스틱, 종이, 세라믹, 목재, 금속 등과 같은 통상적인 컵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오래 사용한 컵이나 폐기 컵을 재활용할 수도 있다.
몸체(10)에는 그 높이 방향으로 다수의 구멍(11)이 형성된다. 구멍(11)은 통상적인 절삭 기구나 천공 기구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구멍(11)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구멍(11)을 만지게 되는 손가락 끝의 접촉부위가 타원형을 이루기 때문이다. 또한, 컵을 잡을 때 일반적으로 옆으로 잡으므로, 수직 방향의 장축과 수평 방향의 단축을 갖는 타원을 이루게 된다. 그러나, 구멍(11)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다각형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구멍(11)의 크기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손가락 끝 부분과 유사한 면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는 4개의 구멍(11)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루면서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컵(1)을 손으로 잡을 때를 고려한 수와 간격이다. 즉, 손으로 컵을 잡을 때, 일반적으로 한 방향으로는 엄지를 대고, 반대 방향으로는 나머지 네 손가락으로 쥐기 때문에, 네 손가락의 간격에 맞추어 구멍(11)을 형성한 것이다. 그러나, 구멍(11)의 수와 간격 또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수위 감지 부재(20)는 실질적으로 수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며, 몸체(10)의 각 구멍(11)을 덮도록 설치된다.
수위 감지 부재(20)의 재질은 수압에 의해 팽창 가능한 재질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나, 물이 새지 않도록 액체 불투과성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연질 폴리염화비닐(PVC)과 같은 합성수지 필름 또는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수위 감지 부재(20)의 크기는 적어도 구멍(11)보다는 커야 하며, 각 구멍(11) 마다 한 개씩 설치할 수 있고, 또한 모든 구멍(11)을 한꺼번에 덮을 수 있는 하나의 큰 수위 감지 부재(20)를 설치할 수도 있다.
수위 감지 부재(20)의 설치는 통상적으로 접착제나 점착제를 이용한 부착 방식으로 수행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수위 감지 부재(20)를 접착제나 점착제를 이용하여 몸체(10)에 부착하는 경우, 수위 감지 부재(20)에 직접 접착제나 점착제를 도포하여 부착할 수 있고, 또한 접착 테이프 등과 별도의 접착 부재를 사용하여 수위 감지 부재를 부착시킬 수 있다.
수위 감지 부재(20)는 수압에 의해 팽창 가능하도록 약간 느슨한 형태로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는 수위 감지 부재(20)의 설치 위치가 몸체(10)의 외면이나, 몸체(10)의 내면에 설치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W)이 컵(1)에 일정 높이(H)만큼 채워질 경우에, 물(W)이 채워진 수위 감지 부재(20a, 20b)에는 수압이 작용하여 수위 감지 부재(20a, 20b)가 수압에 의해 몸체(10) 외부 쪽으로 팽창하게 되며, 사용자인 시각장애인은 수위 감지 부재(20a, 20b)의 팽창을 감지하여 수위(H)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수위에 따라 수압의 크기가 다른데, 하부에 설치된 수위 감지 부재(20a)가 그 위에 설치된 수위 감지 부재(20b)보다 더 높은 수압을 받기 때문에 더 많이 팽창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W)이 채워지지 않은 수위(H) 이상의 높이에 위치하는 수위 감지 부재(20c)에는 수압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원래의 느슨한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컵(1)은 바람직하게는 안내 부재(30)를 구비한다.
안내 부재(30)는 시각장애인들이 구멍(11) 및 수위 감지 부재(20)를 쉽게 찾을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안내 부재(30)의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플라스틱, 유리, 종이, 세라믹, 목재, 금속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안내 부재(30)는 몸체(10)의 외면에 설치되는데, 몸체(10)의 구멍(11)과 대응되는 구멍(31)을 갖는다. 안내 부재(30)에 형성된 구멍(31)의 위치, 크기 및 수는 몸체(10)에 형성된 구멍(11)의 위치, 크기 및 수가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10)의 구멍(11)을 모두 포함하는 커다란 하나의 구멍(31)만을 형성할 수도 있다.
안내 부재(30)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막대 형상 이외에 다른 형상도 가능함을 물론이며, 그 크기 또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몸체(10)의 구멍(11)에 맞추어 다수 개로 분리 형성할 수도 있다.
안내 부재(30)는 몸체(10)의 외면으로부터 일정한 두께로 돌출되므로, 시각장애인이 안내 부재(30)를 쉽게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구멍(11, 31) 및 수위 감지 부재(20)의 위치를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컵은 센서와 같은 기계 및/또는 전자 장비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제작이 용이하고 시각장애인들이 사용하기 간편하고 보급 또한 쉽다. 또한, 본 고안의 컵은 폐자재를 이용하여 재활용품으로도 쉽게 만들 수 있고, 조립형으로도 제작할 수 있다.
1: 컵
10: 몸체
11: 몸체 구멍
20: 수위 감지 부재
30: 안내 부재
31: 안내 부재 구멍

Claims (2)

  1.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구멍을 갖는 몸체; 및
    몸체의 구멍을 덮도록 설치되고, 수압에 의해 몸체 외부 쪽으로 팽창되는 수위 감지 부재를 구비하는 시각장애인용 컵.
  2. 제1항에 있어서,
    몸체의 외면에 설치되고, 몸체의 구멍과 대응되는 구멍을 갖는 안내 부재를 더욱 구비하는 시각장애인용 컵.
KR2020110001540U 2011-02-24 2011-02-24 느낌으로 알 수 있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컵 KR2004633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540U KR200463347Y1 (ko) 2011-02-24 2011-02-24 느낌으로 알 수 있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540U KR200463347Y1 (ko) 2011-02-24 2011-02-24 느낌으로 알 수 있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136U KR20120006136U (ko) 2012-09-03
KR200463347Y1 true KR200463347Y1 (ko) 2012-11-05

Family

ID=47565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1540U KR200463347Y1 (ko) 2011-02-24 2011-02-24 느낌으로 알 수 있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34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26457A (zh) * 2013-03-04 2013-06-05 苏州经贸职业技术学院 一种盲人杯
CN104545276A (zh) * 2015-01-12 2015-04-29 廖明 盲人杯
KR20230070906A (ko) 2021-11-15 2023-05-23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계량컵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83259A (zh) * 2015-08-01 2015-10-21 陈月红 一种触摸知道水位的杯子
CN106724597A (zh) * 2017-02-20 2017-05-31 宁德职业技术学院 一种魔芋材料的视障者用水杯
KR102521526B1 (ko) * 2022-04-13 2023-04-14 박가온 시각장애인을 위한 주전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1437U (ko) 1986-12-03 1988-06-13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91437U (ko) 1986-12-03 1988-06-13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26457A (zh) * 2013-03-04 2013-06-05 苏州经贸职业技术学院 一种盲人杯
CN104545276A (zh) * 2015-01-12 2015-04-29 廖明 盲人杯
KR20230070906A (ko) 2021-11-15 2023-05-23 춘해보건대학교 산학협력단 계량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136U (ko) 2012-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3347Y1 (ko) 느낌으로 알 수 있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컵
KR101325739B1 (ko) 시각장애인용 멜로디컵
CN107209051A (zh) 用于可调节哑铃系统的重量感测基部
CN206314931U (zh) 一种倾斜后可自动盖上杯盖的水杯
ITPD20070249A1 (it) Sistema filtrante a percolazione con cartuccia rimovibile.
KR200476477Y1 (ko) 시각장애인용 컵을 위한 수위 알람장치
CN105902099A (zh) 一种利用霍尔传感器件来检测头部位置的枕头及方法
US20160045049A1 (en) Beverage coaster for visually impaired person
KR101195196B1 (ko) 시각장애인을 위한 컵 보조 장치
TWM580360U (zh) Cup with attractive structure
CN201238937Y (zh) 感知水杯
CN206453629U (zh) 可显示个性图案的感温杯
CN208640285U (zh) 一种水杯
CN201238944Y (zh) 一种盲人专用杯
TWI810982B (zh) 水杯水量之感知裝置
TWM469000U (zh) 具警示效果倒水杯
CN202567548U (zh) 杯子
KR20200082963A (ko) 음식의 위치를 설정해주는 테이블 매트
CN203122180U (zh) 盲人开水瓶
KR20060113113A (ko) 넘치지 않는 물컵
KR20240087459A (ko) 온도와 수위를 확인할 수 있는 시각장애인용 점자 텀블러
CN206434142U (zh) 一种盲人声控防溢出水杯
CN203153299U (zh) 酒器
CN103783929A (zh) 一种盲人水杯
US20170290467A1 (en) Infant Bathing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