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271Y1 - 휴대용 전자 기기의 배터리 충전과 기기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젠더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 기기의 배터리 충전과 기기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젠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271Y1
KR200463271Y1 KR2020100010884U KR20100010884U KR200463271Y1 KR 200463271 Y1 KR200463271 Y1 KR 200463271Y1 KR 2020100010884 U KR2020100010884 U KR 2020100010884U KR 20100010884 U KR20100010884 U KR 20100010884U KR 200463271 Y1 KR200463271 Y1 KR 2004632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output
connector
amplifi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8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4114U (ko
Inventor
왕영신
Original Assignee
이더테크놀로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더테크놀로지(주) filed Critical 이더테크놀로지(주)
Priority to KR20201000108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271Y1/ko
Publication of KR201200041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1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2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2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4Overcurrent pro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양한 종류의 휴대용 전자 기기 마다 별도의 충전기를 사용하지 않고 같은 충전기를 사용하여도 해당 휴대용 전자 기기에 맞는 커넥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더불어 전자 기기간의 데이터 송수신도 가능하도록 한 젠더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면에 따른 젠더는, 접지 단자를 포함해 복수의 입력 단자를 구비하는 입력부; 상기 접지 단자와 연결된 단자를 포함해 복수의 출력 단자를 구비하는 출력부; 입력되는 직류 전원을 승압하여 상기 출력부의 출력 전원 단자로 출력하는 증폭기; 상기 제1입력 전원 단자와 상기 제1커넥터를 통해 단락되어 있는 상기 입력부의 다른 단자와 상기 접지 단자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증폭기로 상기 승압에 요구되는 전류를 보충하는 배터리; 및 상기 입력부가 외부의 제2커넥터와 연결되면, 상기 입력부의 제2입력 전원 단자를 통해 들어오는 직류 전원을 감압하여 상기 증폭기로 출력하는 제1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가 외부의 제1커넥터와 연결되면, 상기 증폭기는 상기 입력부의 제1입력 전원 단자를 통해 들어오는 직류 전원을 승압하여 상기 출력부에 연결된 기기를 충전하며, 상기 입력부가 외부의 제2커넥터와 연결되면, 상기 증폭기는 제1다이오드를 통해 들어오는 전원을 승압하여 상기 출력부에 연결된 기기를 충전하고, 상기 입력부의 2개의 입력 데이터 단자와 상기 출력부의 2개의 출력 데이터 단자를 연결해 서로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전자 기기의 배터리 충전과 기기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젠더{Gender for Charging Battery of Portable Equipment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Portable Equipments}
본 고안은 휴대용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젠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양한 종류의 휴대용 전자 기기 마다 별도의 충전기를 사용하지 않고 같은 충전기를 사용하여도 해당 휴대용 전자 기기에 맞는 커넥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더불어 전자 기기간의 데이터 송수신도 가능하도록 한 젠더에 관한 것이다.
핸드폰, 디지털 카메라, 블루투스 송수신기, MP3(MPEG Audio Layer-3)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 대부분의 휴대용 전자 기기는 배터리를 장착하여 직류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교류(AC)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충전기를 통해 해당 직류 전원을 공급받아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각종 휴대용 전자 기기는 그 종류 또는 제조 회사에 따라 각기 상이한 전원을 필요로 하며, 충전을 위해 충전기와 연결되는 소켓의 규격도 다양하다. 예를 들어, 일반 휴대폰은 충전기의 TTA(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24핀 또는 20핀 커넥터를 통해 출력되는 4.2V직류 전압으로 충전되고 있으며, 최근의 스마트폰의 경우는 충전기의 5핀으로 이루어진 마이크로 USB(Universsial Serial Bus) 커넥터를 통해 출력되는 5V직류 전압으로 충전되고 있다. 이와 같이, 각 휴대용 전자 기기 사용자들은 전자 기기별로 충전기가 상이하여 서로 호환이 되지않음으로 인해 각 휴대용 전자 기기별로 충전기를 별도로 구매하게 되는 부담이 있다.
또한, 휴대용 전자 기기는 데이터 케이블을 통해 PC(Personal Computer)와 연결되어, 서로 필요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하지만, PC 쪽의 USB 소켓과 휴대용 전자 기기 쪽의 TTA 24핀 또는 20핀 커넥터을 갖는 기존의 데이터 케이블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USB 소켓을 갖는 최근의 스마트폰과 PC를 연결할 수 없으며, 이와 같은 데이터 케이블을 이용하여 최근의 스마트폰을 충전하는 것도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양한 종류의 휴대용 전자 기기 마다 별도의 충전기를 사용하지 않고 같은 충전기를 사용하여도 해당 휴대용 전자 기기에 맞는 커넥터(예를 들어, 충전기의 TTA 24핀 또는 20핀 커넥터를 마이크로 USB 소켓에 맞게 변환한 커넥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젠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데이터 케이블에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PC나 다른 일반 휴대폰과 최근의 스마트폰을 연결시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며 스마트폰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도 있는 젠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먼저, 본 고안의 특징을 요약하면,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면에 따른 젠더는, 접지 단자를 포함해 복수의 입력 단자를 구비하는 입력부; 상기 접지 단자와 연결된 단자를 포함해 복수의 출력 단자를 구비하는 출력부; 입력되는 직류 전원을 승압하여 상기 출력부의 출력 전원 단자로 출력하는 증폭기; 상기 제1입력 전원 단자와 상기 제1커넥터를 통해 단락되어 있는 상기 입력부의 다른 단자와 상기 접지 단자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증폭기로 상기 승압에 요구되는 전류를 보충하는 배터리; 및 상기 입력부가 외부의 제2커넥터와 연결되면, 상기 입력부의 제2입력 전원 단자를 통해 들어오는 직류 전원을 감압하여 상기 증폭기로 출력하는 제1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가 외부의 제1커넥터와 연결되면, 상기 증폭기는 상기 입력부의 제1입력 전원 단자를 통해 들어오는 직류 전원을 승압하여 상기 출력부에 연결된 기기를 충전하며, 상기 입력부가 외부의 제2커넥터와 연결되면, 상기 증폭기는 제1다이오드를 통해 들어오는 전원을 승압하여 상기 출력부에 연결된 기기를 충전하고, 상기 입력부의 2개의 입력 데이터 단자와 상기 출력부의 2개의 출력 데이터 단자를 연결해 서로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제1커넥터 또는 상기 제2커넥터는 TTA 24핀 또는 20 핀을 포함한다.
상기 출력부는 5핀을 갖는 마이크로 USB 소켓과 연결된다.
상기 제1커넥터와 연결을 통해 상기 제1입력 전원 단자의 4.2볼트로부터 상기 출력부에 연결된 기기를 5볼트로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1커넥터와 연결될 때, 상기 입력부의 2개의 입력 데이터 단자를 상기 출력부의 2개의 출력 데이터 단자와 연결해 통해 서로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2커넥터와 연결을 통해 상기 제2입력 전원 단자의 5볼트로부터 상기 출력부에 연결된 기기를 5볼트로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증폭기의 입력과 출력 사이에 연결된 제2다이오드를 이용해 상기 출력부에 연결된 기기에서 요구되는 과전류를 상기 증폭기의 입력으로부터 상기 증폭기의 출력으로 바이패스하여 보충함으로써 상기 증폭기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의 어느 한 단자와 상기 접지 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저항을 더 포함하고, 외부의 전자기기의 상기 제1커넥터와 연결될 때, 상기 저항이 상기 전자기기의 회로와 연결되며, 상기 저항의 값에 따라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제1입력 전원 단자를 통해 공급하는 전류를 제한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젠더에 따르면, 다양한 종류의 휴대용 전자 기기 마다 별도의 충전기를 사용하지 않고 같은 충전기를 사용하여도 해당 휴대용 전자 기기에 맞는 커넥터(예를 들어, 충전기의 TTA 24핀 또는 20핀 커넥터를 마이크로 USB 소켓에 맞게 변환한 커넥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케이블에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PC나 다른 일반 휴대폰과 최근의 스마트폰을 연결시켜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며 스마트폰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젠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젠더의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젠더가 충전기와 연결될 때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젠더에 연결되는 충전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젠더에 연결되는 PC용 데이터 케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젠더에 연결되는 휴대용 전자기기 간을 연결하는 데이터 케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젠더(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젠더(100)는 한쪽 입력부(110) 소켓이 TTA 24핀 또는 20핀 커넥터와 연결되고, 다른 쪽 출력부(120) 커넥터는 5핀을 갖는 마이크로 USB 소켓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입력부(110)는 도 4와 같은 충전기의 TTA 24핀 또는 20핀 커넥터와 연결될 수도 있고, 도 5와 같이 PC에 연결된 데이터 케이블의 TTA 24핀 또는 20핀 커넥터와 연결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도 6과 같이 한쪽이 TTA 24핀 또는 20핀 소켓을 사용하는 일반폰과 연결된 데이터 케이블의 다른 쪽 TTA 24핀 또는 20핀 커넥터와 연결될 수도 있다. 여기서 입력부(110)는 TTA 24핀 또는 20핀 커넥터와 연결되는 예를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충전기, 데이터 케이블 또는 휴대용 전자기기 등과 연결되는 핀수의 형태에 따라 다른 핀수를 갖는 케넥터와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출력부(120)는 5핀을 갖는 마이크로 USB 소켓이 구비된 스마트폰에 연결되는 예를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구비된 핀수의 형태에 따라 다른 핀수를 갖는 소켓과도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젠더(100)는, 예를 들어, 입력부(110)를 도 4와 같은 충전기의 TTA 24핀 또는 20핀 커넥터, 또는 한쪽이 TTA 24핀 또는 20핀 소켓을 사용하는 일반폰과 연결된 데이터 케이블의 다른 쪽 TTA 24핀 또는 20핀 커넥터를 연결하고, 출력부(120)를 스마트폰의 마이크로 USB 소켓에 연결하여, 충전기 또는 일반폰으로부터 공급되는 4.2볼트를 이용해 승압하여 스마트폰의 배터리를 5볼트로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젠더(100)는, 예를 들어, 입력부(110)를 도 5와 같이 한쪽이 PC의 USB소켓에 연결된 데이터 케이블의 다른쪽 TTA 24핀 또는 20핀 커넥터를 연결하고, 출력부(120)를 스마트폰의 마이크로 USB 소켓에 연결하여, PC와 스마트폰 간에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동시에 PC의 USB소켓으로부터 공급되는 5볼트를 회로 처리해 스마트폰으로 공급하여 배터리를 5볼트로 충전할 수도 있게 하였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젠더(100)의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젠더(100)는, 입력부(110), 출력부(120), 및 변환 회로를 포함한다.
변환 회로는 증폭기(AMP), 배터리(BAT), 제1다이오드(D1), 제2다이오드(D2), 및 저항(R1)을 포함한다. 증폭기(AMP)는 승압회로, 저항, 커패시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도면에는 간단히 도시하였다.
입력부(110)는 접지단자(GND)를 포함해 복수의 입력 단자(GND, A1, A2, A3, B1, B2, B3 등)를 구비하며, 출력부(120)는 접지단자(GND)와 연결된 단자를 포함해 복수의 출력 단자(공단자를 포함해 B1, B2, GND와 연결된 단자, AMP 출력 단자 등)를 구비한다.
입력부(110)의 복수의 입력 단자 중 GND, A1, A2, A3 은, 제1커넥터, 예를 들어, 충전기의 TTA 24핀 또는 20핀 커넥터(도 4참조), 또는 한쪽이 TTA 24핀 또는 20핀 소켓을 사용하는 일반폰과 연결된 데이터 케이블의 다른 쪽 TTA 24핀 또는 20핀 커넥터(도 6 참조)와 연결될 때 사용될 수 있다.
입력부(110)의 복수의 입력 단자 중 GND, B1, B2, B3은, 제2커넥터, 예를 들어, 한쪽이 PC의 USB소켓에 연결된 데이터 케이블의 다른쪽 TTA 24핀 또는 20핀 커넥터(도 5 참조)와 연결될 때 사용될 수 있다.
입력부(110)가 위와 같은 제1커넥터와 연결되면, 증폭기(AMP)는 입력부(110)의 제1입력 전원 단자(A2)를 통해 들어오는 직류 전원(예를 들어, 4.2볼트)를 승압하여 승압된 전압, 예를 들어, 5볼트를 출력부(120)의 출력 전원 단자로 출력함으로써 출력부(120)에 연결된 스마트폰 등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이때, 도 3과 같이, 제1입력 전원 단자(A2)는 제1커넥터를 통해 입력부(110)의 다른 단자(A3)와 단락되어 있으며, A3 단자와 접지단자(GND) 사이에 배터리(BAT)가 장착된다. 배터리(BAT)는 재충전 가능한 2차전지 형태이며 A3 단자를 통해 재충전될 수 있으며, 특히, 배터리(BAT)는 증폭기(AMP)가 승압 시에 증폭기(AMP)의 내부회로에 요구되는 전류를 보충한다. 예를 들어, 제1커넥터의 연결 초기 또는 출력부(120)에 연결된 스마트폰 등의 기기가 작동할 때 많은 전류가 증폭기(AMP)에 요구될 수 있다. 이때, 충전기 등에서 과전류 보호기가 작동하면서 황색 점멸등이 켜질 수 있는데, 이때 배터리(BAT)는 증폭기(AMP)로 보충 전류를 공급하여 증폭기(AMP)가 안정적으로 승압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증폭기(AMP)의 승압 동작 중에도 증폭기(AMP)의 입력과 출력 사이에 연결된 다이오드(D1)를 이용해, 출력부(120)에 연결된 스마트폰 등의 기기에서 요구되는 과전류를 증폭기(AMP)의 입력으로부터 증폭기(AMP)의 출력으로 바이패스(bypass)하여 보충함으로써 증폭기(AMP)의 승압 동작에 따른 과전류에 의해 발생될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커넥터의 연결 초기 또는 출력부(120)에 연결된 스마트폰 등의 기기가 작동할 때 많은 전류가 증폭기(AMP)에 요구될 수 있고, 이때 스마트폰 등의 기기에서 요구되는 과전류로 인해 증폭기(AMP)가 해당 전류를 모두 공급하지 않고 다이오드(D1)를 통해 증폭기(AMP)의 입력으로부터 출력으로 직접 필요한 부족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증폭기(AMP)의 과부하를 방지하여 증폭기(AMP)의 발열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때, 충전기 등의 위와 같은 제1커넥터가 입력부(110)와 연결될 때, 저항(R1)은 해당 충전기 등 기기의 회로와 연결되며, 저항(R1)은 제1입력 전원 단자(A2)를 통해 공급되는 전류를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10)의 어느 한 단자(A1)와 접지 단자(GND) 사이에 연결된 저항(R1)은 그 값에 따라 충전기 등 기기로부터 제1입력 전원 단자(A2)를 통해 공급하는 전류를 제한한다. 예를 들어, 저항(R1)의 값이 4.7 킬로 오옴인 경우 750mA로 제한될 수 있으며, 저항(R1)의 값이 27 킬로 오옴인 경우 450mA로 제한될 수 있고, 저항(R1)의 값이 1.5 킬로 오옴인 경우 900mA로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10)가 제2커넥터, 예를 들어, 한쪽이 PC의 USB소켓에 연결된 데이터 케이블의 다른쪽 TTA 24핀 또는 20핀 커넥터(도 5 참조)와 연결될 때, 입력부(110)의 복수의 입력 단자 중 GND, B1, B2, B3이 사용된다.
입력부(110)가 위와 같은 제2커넥터와 연결되면, 다이오드(D2)는 입력부(110)의 제2입력 전원 단자(B3)를 통해 들어오는 직류 전원, 예를 들어, 5볼트를 감압하여 감압된 전압, 예를 들어, 4.2볼트를 증폭기(AMP)로 출력한다. 다이오드(D2)는 0.8볼트 정도의 순방향 전압을 필요로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입력 전원 단자(B3)를 통해 들어오는 직류 전원, 예를 들어, 5볼트는 4.2볼트로 다운된 후 증폭기(AMP)로 입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증폭기(AMP)는 다이오드(D2)를 통해 들어오는 감압된 전원(예를 들어, 4.2볼트)를 승압하여 승압된 전압, 예를 들어, 5볼트를 출력부(120)의 출력 전원 단자로 출력함으로써 출력부(120)에 연결된 스마트폰 등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이때에도, 증폭기(AMP)의 승압 동작 중에 증폭기(AMP)의 입력과 출력 사이에 연결된 다이오드(D1)를 이용해, 출력부(120)에 연결된 스마트폰 등의 기기에서 요구되는 과전류를 증폭기(AMP)의 입력으로부터 증폭기(AMP)의 출력으로 바이패스(bypass)하여 보충함으로써 증폭기(AMP)의 승압 동작에 따른 과전류에 의해 발생될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커넥터의 연결 초기 또는 출력부(120)에 연결된 스마트폰 등의 기기가 작동할 때 많은 전류가 증폭기(AMP)에 요구될 수 있고, 이때 스마트폰 등의 기기에서 요구되는 과전류로 인해 증폭기(AMP)가 해당 전류를 모두 공급하지 않고 다이오드(D1)를 통해 증폭기(AMP)의 입력으로부터 출력으로 직접 필요한 부족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증폭기(AMP)의 과부하를 방지하여 증폭기(AMP)의 발열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입력부(110)가 위와 같은 제2커넥터와 연결될 때에는, 입력부(110)의 2개의 입력 데이터 단자(B1, B2)와 출력부(120)의 2개의 출력 데이터 단자를 연결하여 데이터 신호(USBD-, USBD+)가 서로 송수신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도 5참조)를 통해, PC로부터 스마트폰으로 5볼트를 공급하여 충전과 동시에 PC 또는 스마트폰에서 전원 공급이 되고 있음을 인식케함으로써 PC와 스마트폰 간에 데이터 송수신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젠더(100)를 통해, 입력부(110)를 도 4와 같은 충전기의 TTA 24핀 또는 20핀 커넥터(제1커넥터)를 연결하고, 출력부(120)를 스마트폰의 마이크로 USB 소켓에 연결하여, 충전기로부터 공급되는 4.2볼트를 이용해 승압하여 스마트폰의 배터리를 5볼트로 충전할 수 있으며, 또한, 입력부(110)를 도 5와 같이 한쪽이 PC의 USB소켓에 연결된 데이터 케이블의 다른쪽 TTA 24핀 또는 20핀 커넥터(제2커넥터)를 연결하고, 출력부(120)를 스마트폰의 마이크로 USB 소켓에 연결하여, PC와 스마트폰 간에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동시에 PC의 USB소켓으로부터 공급되는 5볼트를 회로 처리해 스마트폰으로 공급하여 배터리를 5볼트로 충전할 수도 있게 하였다.
도 6과 같이, 경우에 따라서는 한쪽이 TTA 24핀 또는 20핀 소켓을 사용하는 일반폰과 연결된 데이터 케이블의 다른 쪽 TTA 24핀 또는 20핀 커넥터(제1커넥터)를 입력부(110)에 연결하고, 출력부(120)를 스마트폰의 마이크로 USB 소켓에 연결하여, 일반폰으로부터 공급되는 4.2볼트를 이용해 승압하여 스마트폰의 배터리를 5볼트로 충전할 수도 있으며, 이때, 필요한 경우 입력부(110)의 2개의 입력 데이터 단자(B1, B2)를 출력부(120)의 해당 2개의 출력 데이터 단자와 연결시켜 일반폰과 스마트폰 사이에 데이터 신호가 송수신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청구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입력부
120: 출력부
BAT: 배터리
AMP: 증폭기
GND: 접지
D1, D2: 다이오드

Claims (8)

  1. 접지 단자를 포함해 복수의 입력 단자를 구비하는 입력부; 상기 접지 단자와 연결된 단자를 포함해 복수의 출력 단자를 구비하는 출력부;
    입력되는 직류 전원을 승압하여 상기 출력부의 출력 전원 단자로 출력하는 증폭기;
    상기 입력부의 제1입력 전원 단자와 외부의 제1커넥터를 통해 단락되는 상기 입력부의 다른 단자와 상기 접지 단자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1커넥터와 연결되면, 상기 증폭기로 상기 승압에 요구되는 전류를 보충하는 배터리; 및
    상기 입력부가 외부의 제2커넥터와 연결되면, 상기 입력부의 제2입력 전원 단자를 통해 들어오는 직류 전원을 감압하여 상기 증폭기로 출력하는 제1다이오드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1커넥터와 연결되면, 상기 증폭기는 상기 제1입력 전원 단자를 통해 들어오는 직류 전원을 승압하여 상기 출력부에 연결된 기기를 충전하며,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2커넥터와 연결되면, 상기 증폭기는 상기 제1다이오드를 통해 들어오는 전원을 승압하여 상기 출력부에 연결된 기기를 충전하고,
    상기 입력부의 2개의 입력 데이터 단자와 상기 출력부의 2개의 출력 데이터 단자를 연결해 서로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젠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 또는 상기 제2커넥터는 TTA 24핀 또는 20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젠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5핀을 갖는 마이크로 USB 소켓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젠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와 연결을 통해 상기 제1입력 전원 단자의 4.2볼트로부터 상기 출력부에 연결된 기기를 5볼트로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젠더.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가 상기 제1커넥터와 연결될 때, 상기 입력부의 2개의 입력 데이터 단자를 상기 출력부의 2개의 출력 데이터 단자와 연결해 통해 서로 데이터 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젠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와 연결을 통해 상기 제2입력 전원 단자의 5볼트로부터 상기 출력부에 연결된 기기를 5볼트로 충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젠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기의 입력과 출력 사이에 연결된 제2다이오드를 이용해 상기 출력부에 연결된 기기에서 요구되는 과전류를 상기 증폭기의 입력으로부터 상기 증폭기의 출력으로 바이패스하여 보충함으로써 상기 증폭기의 과열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젠더.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의 어느 한 단자와 상기 접지 단자 사이에 연결되는 저항을 더 포함하고,
    외부의 전자기기의 상기 제1커넥터와 연결될 때, 상기 저항이 상기 전자기기의 회로와 연결되며, 상기 저항의 값에 따라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제1입력 전원 단자를 통해 공급하는 전류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젠더.
KR2020100010884U 2010-10-25 2010-10-25 휴대용 전자 기기의 배터리 충전과 기기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젠더 KR2004632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884U KR200463271Y1 (ko) 2010-10-25 2010-10-25 휴대용 전자 기기의 배터리 충전과 기기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젠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884U KR200463271Y1 (ko) 2010-10-25 2010-10-25 휴대용 전자 기기의 배터리 충전과 기기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젠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114U KR20120004114U (ko) 2012-06-12
KR200463271Y1 true KR200463271Y1 (ko) 2012-10-25

Family

ID=46613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884U KR200463271Y1 (ko) 2010-10-25 2010-10-25 휴대용 전자 기기의 배터리 충전과 기기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젠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27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2137Y1 (ko) * 2012-11-09 2014-04-10 최규택 이동 단말기 충전을 위한 범용 젠더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692B1 (ko) 2009-10-01 2010-05-12 (주) 엘지텔레콤 다중 젠더 및 다중 젠더를 통해 usb 장치와 연결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1005004B1 (ko) 2010-09-15 2010-12-30 아이크래프트 (주) 휴대기기 충전용 승압 젠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692B1 (ko) 2009-10-01 2010-05-12 (주) 엘지텔레콤 다중 젠더 및 다중 젠더를 통해 usb 장치와 연결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1005004B1 (ko) 2010-09-15 2010-12-30 아이크래프트 (주) 휴대기기 충전용 승압 젠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114U (ko) 2012-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3254B2 (en) Power management circuit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USB functionality and method for doing the same
TWI583090B (zh) 具有複合式電源之集線器
CN108718020B (zh) 集线器
US6362610B1 (en) Universal USB power supply unit
CN1881738B (zh) 充电模式控制电路及方法
US10574073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upply
US10250059B2 (en) Charging circuit for battery-powered device
KR101204384B1 (ko) 고속충전회로, 고속충전회로를 구비한 usb 케이블 장치 및 고속충전회로를 구비한 전자 기기
US20090309542A1 (en) Multi-input charger
US9722654B2 (en) Smart ultra box and protective case with the same
KR101790046B1 (ko) 보조배터리를 이용한 마스터장치의 충전장치 및 방법
CN105518967A (zh) 改变电流限制的装置和方法
US20100084917A1 (en) Power adaptor
CN116707047A (zh) 充放电电路、电子设备及电子系统
KR101720078B1 (ko) 스마트 케이블제어모듈·다채널 충전용 보조배터리팩으로 이루어진 스마트 충전케이블장치
KR200463271Y1 (ko) 휴대용 전자 기기의 배터리 충전과 기기들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젠더
CN204597589U (zh) 充电器及其交流-直流转换模组和直流-直流转换模组
CN105591432A (zh) 一种用于手持设备的快速充电系统
US10063160B2 (en) Power adapter, cable, and charger
KR200476271Y1 (ko) 다기능 usb 케이블
CN103167060A (zh) 手机及转接线
KR20120009890A (ko) 휴대단말기용 젠더
KR101869758B1 (ko) 입출력 통합 배터리팩
KR200458625Y1 (ko) 데이터 케이블
KR100817606B1 (ko) 휴대용 전자 기기를 위한 전용 호환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