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271Y1 - 다기능 usb 케이블 - Google Patents

다기능 usb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271Y1
KR200476271Y1 KR2020140006265U KR20140006265U KR200476271Y1 KR 200476271 Y1 KR200476271 Y1 KR 200476271Y1 KR 2020140006265 U KR2020140006265 U KR 2020140006265U KR 20140006265 U KR20140006265 U KR 20140006265U KR 200476271 Y1 KR200476271 Y1 KR 2004762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connector
terminal
charged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62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학
Original Assignee
이재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학 filed Critical 이재학
Priority to KR20201400062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2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2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2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반 충전과 데이터 교환뿐만 아니라 고속 충전도 가능하도록 구현한 다기능 USB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일측이 충전제공단말기에 구비된 USB 포트에 연결되어, 상기 충전제공단말기로부터 충전 전원을 공급받아 전달하며, 상기 충전제공단말기와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하기 위한 충전제공커넥터; 일측이 상기 충전제공커넥터의 다른 일측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이 피충전단말기에 구비된 USB 포트에 연결되어, 상기 충전제공커넥터를 통해 전달되는 충전 전원을 상기 피충전단말기에 공급하며, 상기 충전제공단말기와 상기 피충전단말기 사이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1피충전대상커넥터; 일 측이 상기 충전제공커넥터의 다른 일측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이 피충전단말기에 구비된 USB 포트에 연결되어, 상기 충전제공커넥터를 통해 전달되는 충전 전원을 급속으로 상기 피충전단말기에 공급하기 위한 제2피충전대상커넥터; 및 상기 충전제공커넥터를 상기 제1피충전대상커넥터 및 상기 제2피충전대상커넥터에 연결시켜 주기 위한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기능 USB 케이블{Multi-Function USB Cable}
본 고안은 다기능 USB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반 충전과 데이터 교환뿐만 아니라 고속 충전도 가능하도록 구현한 다기능 USB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데이터 전송을 위해 주로 사용되는 통신 포트의 종류로는, 일반적으로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기(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 Transmitter)와 범용 직렬 버스(USB;Universal Serial Bus)가 있다. 범용 비동기화 송수신기 UART는, 모든 컴퓨터뿐만 아니라 모든 내부 모뎀에서 직렬 포트를 관리하기 위해 구비되어 있는 비동기 직렬 통신을 처리하는 장치를 말한다. 범용 직렬 버스 USB는, IBM을 비롯한 7개사가 공동으로 제안한 주변기기 접속 인터페이스 규격으로, 여러 주변장치들을 개인용 컴퓨터에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의 공동화를 목적으로 제작된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USB는, 주변기기 등을 개인용 컴퓨터와 연결할 때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를 별도로 설정할 필요 없이 모든 주변 기기를 접속할 수 있도록 하여, 포트 수를 획기적으로 줄여 주며, 설치가 간편하며, 휴대형 컴퓨터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해 준다.
USB 케이블은, 일반 충전기(AC 충전기) 또는 컴퓨터 장치에 설치된 USB 포트 등에 연결되어, USB 단자를 구비하고 있는 스마트폰, MP3 플레이어, 태블릿PC 또는 카메라 등의 휴대용 전자 기기를 충전하거나 해당 전자 기기와 컴퓨터 장치 사이의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케이블을 말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04384호(2012.11.19. 등록)는 USB 인터페이스의 단점으로 인하여 오직 500mAh의 전류만으로 충전 가능했던 USB 케이블보다 더 높은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한 충전 속도를 얻을 수 있는 고속 충전회로, 고속 충전 회로를 구비한 USB 케이블 장치 및 고속 충전 회로를 구비한 전자 기기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는데, 충전 대상 장치와 체결되는 제1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1 연결 부재; 제1 연결 부재와 연결되는 고속충전부; 및 고속충전부와 직접 또는 케이블을 통하여 연결되고, 외부의 US호스트 장치와 연결되는 USB 커넥터를 구비한 제2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고속충전부는, 제1 연결 부재 및 제2 연결 부재와 연결되고, 쇼트키 다이오드를 구비하는 메인 전류 공급부; 및 메인 전류 공급부와 병렬로 연결되고, 브리지 회로부와 연결되어 부하전류의 흡입 상승을 지원하여 추가 전류를 공급하는 DC-DC 컨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재된 기술에 따르면, 500mAh로 충전되던 USB 케이블에, 충전기를 통해 직류전원을 공급받아 충전하는 것과 동일한 양의 전류인, 1,000mAh의 전류가 USB 케이블로 흐를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원과 직접 연결된 충전기를 통해 수행되는 충전과 동일한 속도로, USB 케이블을 통하여 고속 충전하게 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78466호(2013.06.19. 등록)는 데이터 전송 모드 및 쾌속 충전 모드 사이에서 모드 전환이 가능한 모드 전환용 스위치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 모드에서는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면서 500mAh 이하의 충전이 가능하고, 쾌속 충전 모드에서는 500mAh 이상에서 쾌속 충전이 가능하여 대용량의 배터리가 내장된 단말기의 충전에 있어서 충전 시간이 단축되는 쾌속 충전이 가능한 데이터 케이블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기재된 기술에 따르면, 데이터 전송 및 충전 용도의 케이블; 케이블의 양단 중 한쪽 단에서 전원과 연결되기 위해서 마련되는 제1연결부; 케이블의 다른 쪽 단에서 휴대 단말기와 연결되기 위해서 마련되는 제2연결부; 및 데이터 전송 및 쾌속 충전 모드 간의 모드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모드 전환 회로를 포함하되, 모드 전환 회로는, 제1연결부의 입력 전압을 인가하는 단자 스위칭 로직; 분배 저항; 데이터 전송 및 쾌속 충전 모드 간의 모드 전환용 스위치; 및 전환용 스위치에 반응하는 아날로그 스위칭 로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USB 케이블은, 고속 충전을 위해 부피가 큰 고속 충전 전용 어댑터를 평상시에 함께 들고 다녀야 하는 단점이 있었고, 충전용 전용 어댑터 이외에서 전원을 공급받을 경우 500mAh만을 스마트폰 등의 전자 기기에 공급할 수 있어 충전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04384호 한국등록특허 제10-1278466호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 충전과 데이터 교환이 가능한 커넥터 이외에 고속 충전 전용 커넥터를 추가로 구현한 다기능 USB 케이블을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한 특징에 따르면, 일측이 충전제공단말기에 구비된 USB 포트에 연결되어, 상기 충전제공단말기로부터 충전 전원을 공급받아 전달하며, 상기 충전제공단말기와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하기 위한 충전제공커넥터; 일측이 상기 충전제공커넥터의 다른 일측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이 피충전단말기에 구비된 USB 포트에 연결되어, 상기 충전제공커넥터를 통해 전달되는 충전 전원을 상기 피충전단말기에 공급하며, 상기 충전제공단말기와 상기 피충전단말기 사이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1피충전대상커넥터; 일 측이 상기 충전제공커넥터의 다른 일측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이 피충전단말기에 구비된 USB 포트에 연결되어, 상기 충전제공커넥터를 통해 전달되는 충전 전원을 급속으로 상기 피충전단말기에 공급하기 위한 제2피충전대상커넥터; 및 상기 충전제공커넥터를 상기 제1피충전대상커넥터 및 상기 제2피충전대상커넥터에 연결시켜 주기 위한 케이블을 포함하는 다기능 USB 케이블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충전제공커넥터는, 상기 충전제공단말기로부터 충전 전원을 공급받아 전달하기 위한 전원 단자; 및 상기 충전제공단말기와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전원 단자로부터 충전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제1피충전대상커넥터에 전달하기 위한 제1전원 연결선; 상기 데이터 단자와 상기 제1피충전대상커넥터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1데이터 연결선; 및 상기 전원 단자로부터 충전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제2피충전대상커넥터에 전달하기 위한 제2전원 연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전원 단자로부터 충전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제1피충전대상커넥터에 전달하기 위한 제3전원 연결선; 상기 데이터 단자와 상기 제1피충전대상커넥터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2데이터 연결선; 및 상기 제3전원 연결선의 기 설정된 위치에서 분리되며, 상기 제3전원 연결선을 통해 전달받은 충전 전원을 제2피충전대상커넥터에 전달하기 위한 제4전원 연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피충전대상커넥터는, 상기 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충전 전원을 상기 피충전단말기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 단자; 및 상기 충전제공단말기와 상기 피충전단말기 사이의 데이터를 상기 케이블을 통해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피충전대상커넥터는, 상기 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충전 전원을 상기 피충전단말기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 단자; 및 상호 단락되어 있는 데이터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피충전대상커넥터의 전원 단자와 상기 제2피충전대상커넥터의 전원 단자를 서로 연결 또는 분리하기 위한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케이블은, 코일의 형태로 형성되어, 탄성에 의해 상기 충전제공커넥터와 상기 제1피충전대상커넥터 및 상기 제2피충전대상커넥터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충전제공커넥터, 상기 제1피충전대상커넥터 및 상기 제2피충전대상커넥터의 입구 부분을 각각 덮어서 이물질이나 수분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세 개의 커넥터덮개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피충전대상커넥터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피충전대상커넥터에 상기 피충전단말기를 연결시켜 상기 충전제공커넥터로부터 공급되는 충전 전원으로 상기 피충전단말기를 충전할 시에 상기 충전제공커넥터로부터 공급되는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발광하기 위한 제1발광부재; 및 상기 제2피충전대상커넥터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피충전대상커넥터에 상기 피충전단말기를 연결시켜 상기 충전제공커넥터로부터 공급되는 충전 전원으로 상기 피충전단말기를 충전할 시에 상기 충전제공커넥터로부터 공급되는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발광하기 위한 제2발광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일반 충전과 데이터 교환뿐만 아니라 고속 충전도 가능하도록 구현한 다기능 USB 케이블을 제공함으로써, 고속 충전을 위해서 부피가 큰 고속 충전 전용 어댑터를 평상시에 함께 들고 다닐 필요가 없어지고, 충전용 전용 어댑터 이외에서 전원을 공급받을 경우에도 500mAh 이상을 스마트폰 등의 전자 기기에 공급할 수 있어 충전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USB 케이블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충전제공커넥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케이블의 제1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케이블의 제2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제1피충전대상커넥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있는 제2피충전대상커넥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USB 케이블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있는 케이블의 제3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USB 케이블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USB 케이블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앨범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USB 케이블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기능 USB 케이블(10)은, 충전제공커넥터(100), 제1피충전대상커넥터(200), 제2피충전대상커넥터(300) 및 케이블(400)을 포함한다.
충전제공커넥터(100)는, 일측이 충전제공단말기에 구비된 USB 포트에 연결되어, 충전제공단말기로부터 충전 전원을 공급받아 피충전단말기에 전달하며, 충전제공단말기와 피충전단말기 사이에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한다.
일 실시 예에서, 충전제공커넥터(100)는, USB 호스트 장치(즉, 컴퓨터 등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USB 포트)와 연결되어, USB 호스트 장치에서 할당한 전원을 공급받으며, 공급받은 전원을 케이블(400)을 통해 제1피충전대상커넥터(200) 및 제2피충전대상커넥터(300)에 전달할 수 있으며, 케이블(400)을 통해 USB 호스트 장치와 제1피충전대상커넥터(200) 사이에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다.
제1피충전대상커넥터(200)는, 일측이 케이블(400)을 통해 충전제공커넥터(100)의 다른 일측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이 피충전단말기에 구비된 USB 포트에 연결되어, 충전제공커넥터(100)로부터 케이블(400)을 통해 전달되는 충전 전원을 피충전단말기에 공급하며, 케이블(400)을 통해 충전제공단말기와 피충전단말기 사이의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피충전대상커넥터(200)는, 사용자가 충전 또는 데이터 송수신하고자 하는 피충전단말기에 구비된 USB 포트의 종류에 대응하여(예를 들어, 사용자의 피충전단말기가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Micro-USB 커넥터 또는 사용자의 피충전단말기가 애플사의 아이폰의 경우에는 8핀 또는 30핀 커넥터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피충전대상커넥터(300)는, 일측이 케이블(400)을 통해 충전제공커넥터(100)의 다른 일측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이 피충전단말기에 구비된 USB 포트에 연결되어, 충전제공커넥터(100)로부터 케이블(400)을 통해 전달되는 충전 전원을 피충전단말기에 공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피충전대상커넥터(300)는, 제1피충전대상커넥터(200)에 대등하여 동일한 형태(즉, 제1피충전대상커넥터(200)가 Micro-USB 커넥터인 경우에는 Micro-USB 커넥터 또는 제1피충전대상커넥터(200)가 8핀 커넥터인 경우에는 8핀 커넥터)의 커넥터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400)은, 충전제공커넥터(100)를 제1피충전대상커넥터(200) 및 제2피충전대상커넥터(300)에 연결해, 충전제공커넥터(100)로부터 전달되는 충전 전원을 제1피충전대상커넥터(200) 및 제2피충전대상커넥터(300)에 공급하며, 충전제공단말기와 제1피충전대상커넥터(200) 사이의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일 실시 예에서, 케이블(400)은, 다양한 길이(예를 들어, 5cm ~ 300cm)로 형성될 수 있어 휴대성 및 사용 편의성에 도움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케이블(400)은, 내부에 전원 공급과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케이블(즉, USB Vbus 케이블, USB D+ 케이블 및 USB D- 케이블 등)이 설치되며, 전기가 통하지 않는 절연체이면서 탄성에 의해 형태가 변화할 수 있는 재질(예를 들어, 합성 고무 등)로 이루어진 케이블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다기능 USB 케이블(10)은, 일반 충전과 데이터 교환이 가능한 제1피충전대상커넥터(200) 이외에 고속 충전 전용 제2피충전대상커넥터(300)를 별도로 구현하여, 고속 충전을 위해서 부피가 큰 고속 충전 전용 어댑터를 평상시에 함께 들고 다닐 필요가 없어지고, 충전용 전용 어댑터 이외에서 전원을 공급받을 경우에도 1,000mAh를 스마트폰 등의 전자 기기에 공급할 수 있어 충전시간이 단축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충전제공커넥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며, 충전제공커넥터(100)는, 전원 단자(110) 및 데이터 단자(120)를 포함한다.
전원 단자(110)는, 충전제공단말기로부터 충전 전원을 공급받아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전원 단자(110)는, 충전제공단말기의 USB 포트의 전류를 공급받는 Vbus 단자로 이루어지며, 케이블(400)을 통해 충전제공단말기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제1피충전대상커넥터(200) 또는 제2피충전대상커넥터(300)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원 단자(110)는 ,연결되는 충전제공단말기의 USB 포트의 USB 버전(즉, USB 1.0/1.1, USB 2.0 또는 USB 3.0)에 무관하게 적용될 수 있어, 사용자가 자신의 충전제공단말기의 USB 포트의 USB 버전에 따라 다수 개의 충전 케이블을 구비하여야 하는 불편을 줄여 줄 수 있다.
데이터 단자(120)는, D+(즉, DATA+) 단자와 D-(즉, DATA-) 단자로 이루어진 데이터 전송 단자에 해당하며, 케이블(400)을 통해 충전제공단말기와 피충전단말기 사이의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케이블의 제1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케이블(400)은, 제1전원 연결선(410), 제1데이터 연결선(420) 및 제2전원 연결선(430)을 포함한다.
제1전원 연결선(410)은, 충전제공커넥터(100)를 제1피충전대상커넥터(200)에 연결해, 충전제공커넥터(100)의 전원 단자(110)로부터 전달되는 충전 전원을 제1피충전대상커넥터(200)에 공급한다.
제1데이터 연결선(420)은, 충전제공커넥터(100)의 데이터 단자(120)와 제1피충전대상커넥터(200)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제2전원 연결선(430)은, 충전제공커넥터(100)를 제2피충전대상커넥터(300)에 연결해, 충전제공커넥터(100)의 전원 단자(110)로부터 전달되는 충전 전원을 제2피충전대상커넥터(300)에 공급한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케이블의 제2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케이블(400)은, 제3전원 연결선(440), 제2데이터 연결선(450) 및 제4전원 연결선(460)을 포함한다.
제3전원 연결선(440)은, 충전제공커넥터(100)를 제1피충전대상커넥터(200)에 연결해, 충전제공커넥터(100)의 전원 단자(110)로부터 전달되는 충전 전원을 제1피충전대상커넥터(200)에 공급한다.
제2데이터 연결선(450), 충전제공커넥터(100)의 데이터 단자(120)와 제1피충전대상커넥터(200)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제4전원 연결선(460)은, 제3전원 연결선(440)의 기 설정된 위치(예를 들어, 충전제공커넥터(100)로부터 5cm 떨어진 위치 등)에서 분리되며, 제3전원 연결선(440)을 통해 전달받은 전원을 제2피충전대상커넥터(300)에 전달한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제1피충전대상커넥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피충전대상커넥터(200)는, 전원 단자(210)(즉, USB Vbus 단자) 및 데이터 단자(220)(즉, USB D+ 단자 및 USB D- 단자)를 포함한다.
전원 단자(210)는, 케이블(400)의 제1전원 연결선(410)을 통해 전달되는 충전 전원을 피충전단말기에 공급한다.
데이터 단자(220)는, 충전제공커넥터(100)의 데이터 단자(120)를 거쳐 전달되는 데이터를 제1데이터 연결선(420)을 통해 충전제공단말기와 피충전단말기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도 6은 도 1에 있는 제2피충전대상커넥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피충전대상커넥터(300)는, 전원 단자(310) 및 데이터 단자(320)를 포함한다.
전원 단자(310)는, 케이블(400)의 제2전원 연결선(430)을 통해 전달되는 충전 전원을 피충전단말기에 공급한다.
데이터 단자(320)는, 제2피충전대상커넥터(300)의 D+ 단자 및 D- 단자가 상호 단락 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데이터 단자(320)는, D+ 단자와 D- 단자를 단락 시킴으로써, 피충전단말기로 하여금 충전용 어댑터를 통해서 충전 전원을 공급받는 것으로 인식하도록 하여, 제2피충전대상커넥터(300)의 전원 단자(310)을 통해 더욱 많은 전류(즉, 500mAh 이상의 전류)를 받아들이도록 할 수 있고, 500mAh의 전류만을 공급받을 때의 충전시간보다 충전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USB 케이블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다기능 USB 케이블(20)은, 충전제공커넥터(100), 제1피충전대상커넥터(200), 제2피충전대상커넥터(300), 케이블(400) 및 체결부재(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피충전대상커넥터(200), 제2피충전대상커넥터(300) 및 케이블(400)은 도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체결부재(500)는, 제1피충전대상커넥터(200)의 전원 단자(210)와 제2피충전대상커넥터(300)의 전원 단자(310)를 서로 연결 또는 분리한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부재(500)는, 제2피충전대상커넥터(300)를 제1피충전대상커넥터(200)에서 분리되어 개별 보관하도록 함으로써, 고속 충전을 자주 하지 않는 사용자들에게 본 고안을 일반 충전과 데이터 교환 전용으로 사용하도록 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부재(500)는, 콘센트(510) 및 플러그(520)를 포함할 수 있다.
콘센트(510)는, 제1피충전대상커넥터(200)의 일측에 연결 형성되어, 플러그(520)에 체결되거나 분리된다.
플러그(520)는, 제2피충전대상커넥터(300)의 일측에 돌출된 형태로 연결 형성되어, 콘센트(510)에 체결되거나 분리된다.
일 실시 예에서, 체결부재(500)는, 제1피충전대상커넥터(200)의 일측에 플러그(520)가 형성되고, 제2피충전대상커넥터(300)의 일측에 콘센트(510)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8은 도 1에 있는 케이블의 제3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케이블(400)은, 코일의 형태로 형성되어, 탄성에 의해 충전제공커넥터(100)와 제1피충전대상커넥터(200) 및 제2피충전대상커넥터(300) 간의 거리를 조절한다.
일 실시 예에서, 케이블(400)은, 평상시에 탄성에 의해 전화기 코드 형태로 수축되어 충전제공커넥터(100)와 제1피충전대상커넥터(200) 및 제2피충전대상커넥터(300) 간의 거리가 짧아지며, 단말기를 충전하기 위해 단말기가 놓여 있는 곳으로 잡아당기면 전화기 코드 형태로 감겨 있던 부분이 좌우 방향으로 펼쳐져 충전제공커넥터(100)와 제1피충전대상커넥터(200) 및 제2피충전대상커넥터(300) 간의 거리가 늘어나며, 충전 후 단말기를 분리하면 외부의 힘을 필요로 함이 없이 자체의 탄성에 의해 다시 전화기 코드 형태로 수축되어 충전제공커넥터(100)와 제1피충전대상커넥터(200) 및 제2피충전대상커넥터(300) 간의 거리가 짧아질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3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USB 케이블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며, 다기능 USB 케이블(30)은, 충전제공커넥터(100), 제1피충전대상커넥터(200), 제2피충전대상커넥터(300), 케이블(400) 및 세 개의 커넥터덮개부재(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피충전대상커넥터(200), 제2피충전대상커넥터(300) 및 케이블(400)은 도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커넥터덮개부재(600)는, 충전제공커넥터(100), 제1피충전대상커넥터(200) 또는 제2피충전대상커넥터(300)를 삽입하기 위한 홈을 구비하고 형성되어, 평상시 충전제공커넥터(100), 제1피충전대상커넥터(200) 및 제2피충전대상커넥터(300)의 입구 부분을 각각 덮어서 이물질이나 수분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커넥터덮개부재(600)는, 가벼우면서도 전기가 통하지 않는 부도체(예를 들어, 플라스틱 등)로 형성될 수 있으며, 분실을 대비하여 여분을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본 고안의 제4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USB 케이블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며, 다기능 USB 케이블(40)은, 충전제공커넥터(100), 제1피충전대상커넥터(200), 제2피충전대상커넥터(300), 케이블(400), 제1발광부재(700) 및 제2발광부재(8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피충전대상커넥터(200), 제2피충전대상커넥터(300) 및 케이블(400)은 도1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1발광부재(700)는, 제1피충전대상커넥터(200)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제1피충전대상커넥터(200)에 피충전단말기를 연결해, 충전제공커넥터(100)로부터 공급되는 충전 전원으로 피충전단말기를 충전할 시에 충전제공커넥터(100)로부터 공급되는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발광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발광부재(700)는, 전원의 소비가 적고, 다양한 색(예를 들어, 빨간색, 파란색 또는 노란색 등)으로 발광할 수 있으며, 충전제공커넥터(100)로부터 공급되는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발광할 수 있는 재료(예를 들어, LED 등)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발광부재(700)는, 전원의 공급에 의해서 발광하는 재료 이외에, 제1피충전대상커넥터(200) 상부면에 부착되어, 제1피충전대상커넥터(200)와 제2피충전대상커넥터(300)를 시각적으로 구별될 수 있도록 해주는 재료(예를 들어, 색상이 있는 플라스틱 등)에 의해서도 형성될 수 있어, 원가 절감을 할 수 있다.
제2발광부재(800)는, 제2피충전대상커넥터(300)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제2피충전대상커넥터(300)에 피충전단말기를 연결해, 충전제공커넥터(100)로부터 공급되는 충전 전원으로 피충전단말기를 충전할 시에 충전제공커넥터(100)로부터 공급되는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발광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발광부재(800)는, 전원의 공급에 의해서 발광하는 재료 이외에, 제2피충전대상커넥터(300) 상부면에 부착되어, 제2피충전대상커넥터(300)를 제1피충전대상커넥터(200)를 시각적으로 구별될 수 있도록 해주는 재료(예를 들어, 색상이 있는 플라스틱 등)에 의해서도 형성될 수 있어, 원가 절감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충전제공커넥터
110: 전원 단자
120: 데이터 단자
200: 제1피충전대상커넥터
210: 전원 단자
220: 데이터 단자
300: 제2피충전대상커넥터
310: 전원 단자
320: 데이터 단자
400: 케이블
410: 제1전원 연결선
420: 제1데이터 연결선
430: 제2전원 연결선
440; 제3전원 연결선
450: 제2데이터 연결선
460: 제4전원 연결선
500: 체결부재
510: 콘센트
520: 플러그
600: 커넥터덮개부재
700: 제1발광부재
800: 제2발광부재

Claims (10)

  1. 일측이 충전제공단말기에 구비된 USB 포트에 연결되어, 상기 충전제공단말기로부터 충전 전원을 공급받아 전달하기 위한 전원 단자(110); 및 상기 충전제공단말기와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단자(120)를 포함하는 충전제공커넥터(100);
    일측이 상기 충전제공커넥터(100)의 다른 일측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이 피충전단말기에 구비된 USB 포트에 연결되어, 상기 충전제공커넥터(100)를 통해 전달되는 충전 전원을 상기 피충전단말기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 단자(210) 및 상기 충전제공단말기와 상기 피충전단말기 사이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데이터 단자(220)를 포함하는 제1피충전대상커넥터(200);
    일 측이 상기 충전제공커넥터(100)의 다른 일측에 연결되고 다른 일측이 피충전단말기에 구비된 USB 포트에 연결되어, 상기 충전제공커넥터(100)를 통해 전달되는 충전 전원을 급속으로 상기 피충전단말기에 공급하기 위한 전원 단자(310) 및 상호 단락되어 있는 데이터 단자(320)를 포함하는 제2피충전대상커넥터(300);
    상기 전원 단자(110)로부터 충전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제1피충전대상커넥터(200)에 전달하기 위한 제1전원 연결선(410), 상기 데이터 단자(120)와 상기 제1피충전대상커넥터(200)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1데이터 연결선(420) 및 상기 전원 단자(110)로부터 충전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제2피충전대상커넥터(300)에 전달하기 위한 제2전원 연결선(430)을 포함하는 케이블(400); 및
    상기 제1피충전대상커넥터(200)의 전원 단자(210)와 상기 제2피충전대상커넥터(300)의 전원 단자(310)를 서로 연결 또는 분리하기 위한 체결부재(500)를 포함하되,
    상기 체결부재(500)는,
    제1피충전대상커넥터(200)의 일측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제2피충전대상커넥터(300)의 일측에 체결되거나 분리되는 콘센트(510) 및 상기 제2피충전대상커넥터(300)의 일측에 돌출된 형태로 연결 형성되어 상기 콘센트(510)에 체결되거나 분리되는 플러그(520)를 포함하는 다기능 USB 케이블.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400)은,
    상기 전원 단자(110)로부터 충전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제1피충전대상커넥터(200)에 전달하기 위한 제3전원 연결선(440);
    상기 데이터 단자(120)와 상기 제1피충전대상커넥터(200) 사이에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제2데이터 연결선(450); 및
    상기 제3전원 연결선(440)의 기 설정된 위치에서 분리되며, 상기 제3전원 연결선(440)을 통해 전달받은 충전 전원을 제2피충전대상커넥터(300)에 전달하기 위한 제4전원 연결선(4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USB 케이블.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400)은,
    코일의 형태로 형성되어, 탄성에 의해 상기 충전제공커넥터(100)와 상기 제1피충전대상커넥터(200) 및 상기 제2피충전대상커넥터(300) 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USB 케이블.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공커넥터(100), 상기 제1피충전대상커넥터(200) 및 상기 제2피충전대상커넥터(300)의 입구 부분을 각각 덮어서 이물질이나 수분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세 개의 커넥터덮개부재(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USB 케이블.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피충전대상커넥터(200)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피충전대상커넥터(200)에 상기 피충전단말기를 연결시켜 상기 충전제공커넥터(100)로부터 공급되는 충전 전원으로 상기 피충전단말기를 충전할 시에 상기 충전제공커넥터(100)로부터 공급되는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발광하기 위한 제1발광부재(700); 및
    상기 제2피충전대상커넥터(300)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피충전대상커넥터(300)에 상기 피충전단말기를 연결시켜 상기 충전제공커넥터(100)로부터 공급되는 충전 전원으로 상기 피충전단말기를 충전할 시에 상기 충전제공커넥터(100)로부터 공급되는 충전 전원을 이용하여 발광하기 위한 제2발광부재(8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USB 케이블.
KR2020140006265U 2014-08-22 2014-08-22 다기능 usb 케이블 KR2004762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265U KR200476271Y1 (ko) 2014-08-22 2014-08-22 다기능 usb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6265U KR200476271Y1 (ko) 2014-08-22 2014-08-22 다기능 usb 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271Y1 true KR200476271Y1 (ko) 2015-02-12

Family

ID=52593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6265U KR200476271Y1 (ko) 2014-08-22 2014-08-22 다기능 usb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27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448B1 (ko) * 2006-08-31 2007-05-23 주식회사 효성 폴리케톤의 제조방법
KR100721450B1 (ko) * 2006-08-31 2007-05-23 주식회사 효성 폴리케톤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841Y1 (ko) 2000-03-02 2000-09-01 류문기 카메라 플래쉬 접속용 직류전기케이블
KR200266081Y1 (ko) 2001-11-16 2002-02-27 최돈형 케이블 코드
KR20130001451U (ko) * 2011-08-24 2013-03-06 남창현 아이폰/아이팟/아이패드용 usb-aux 케이블
KR20130128705A (ko) * 2012-05-17 2013-11-27 대신정보기술 주식회사 급속 충전이 가능한 유에스비 케이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841Y1 (ko) 2000-03-02 2000-09-01 류문기 카메라 플래쉬 접속용 직류전기케이블
KR200266081Y1 (ko) 2001-11-16 2002-02-27 최돈형 케이블 코드
KR20130001451U (ko) * 2011-08-24 2013-03-06 남창현 아이폰/아이팟/아이패드용 usb-aux 케이블
KR20130128705A (ko) * 2012-05-17 2013-11-27 대신정보기술 주식회사 급속 충전이 가능한 유에스비 케이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448B1 (ko) * 2006-08-31 2007-05-23 주식회사 효성 폴리케톤의 제조방법
KR100721450B1 (ko) * 2006-08-31 2007-05-23 주식회사 효성 폴리케톤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18020B (zh) 集线器
US9559534B2 (en) Data cable for fast charging
US20160294209A1 (en) Portable power charger with wireless and direct charging connectivity
US9997939B2 (en) Hub
US20150015180A1 (en) Portable Power Charger with Wireless and Direct Charging Connectivity
US20160202743A1 (en) Hub Having Complex Power Converters
CN105281398B (zh) 便携设备、电缆组件以及usb系统
US20120289080A1 (en) Cable module capable of simultaneously supporting quick charge and data transmission of electronic device
US9722654B2 (en) Smart ultra box and protective case with the same
US20180032730A1 (en) Portable power charger with wireless and direct charging connectivity
CN207116873U (zh) 快充转接头及快充线缆结构
CN104917016A (zh) 充电式集线器
US10574070B1 (en) Multi-functional hub integrated with AC power supply
CN106655346A (zh) 一种基于usb‑type‑c带hub功能的充电装置
US20140299372A1 (en) Link for Battery Power Transfer Betwee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20140304529A1 (en) System and Method for Battery Power Transfer Between Mobile Devices
KR200476271Y1 (ko) 다기능 usb 케이블
CN204103533U (zh) 多端口式移动电源
KR20160083407A (ko) 충전 및 데이터 케이블
WO2018126646A1 (zh) 一种集线器和电源适配器
EP2383860B1 (en) Rapid charging apparatus
CN201075214Y (zh) 一种usb通用数据线
KR101480135B1 (ko) 휴대 단말기용 배터리 팩
CN206650453U (zh) 多接口快速充电线缆
CN204992627U (zh) 一种带有otg微型充电电缆的移动电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