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3050Y1 - 음식물 처리기의 냄새 유입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처리기의 냄새 유입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3050Y1
KR200463050Y1 KR2020100006961U KR20100006961U KR200463050Y1 KR 200463050 Y1 KR200463050 Y1 KR 200463050Y1 KR 2020100006961 U KR2020100006961 U KR 2020100006961U KR 20100006961 U KR20100006961 U KR 20100006961U KR 200463050 Y1 KR200463050 Y1 KR 2004630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pipe
exhaust
shut
food processor
block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69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0216U (ko
Inventor
최상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세
Priority to KR20201000069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3050Y1/ko
Publication of KR201200002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2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30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305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 처리기의 냄새 유입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은 음식물 처리기의 전의 동작시에는 음식물 처리기의 처리동작에 따른 냄새가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되, 음식물 처리기의 동작오프시에는 배기구를 통해 외부에서의 냄새 유입을 차단시키는 밸브를 구성한 것이며, 이에따라 배기구를 통한 외부 냄새의 유입에 따른 불쾌감을 해소하면서 제품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공동주택에서의 주민간 불협화음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음식물 처리기의 냄새 유입 차단장치{Smell inflow cutoff for food processor}
본 고안은 음식물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처리기의 동작시에는 음식물 처리기의 처리동작에 따른 냄새가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고, 음식물 처리기의 동작오프시에는 배기구를 통해 외부에서의 냄새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냄새 유입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처리기는 가정 또는 음식점 등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 수거할 수 있도록 수분을 제거하여 건조시키거나, 발효시켜서 쓰레기를 처리하는 장치이다.
상기 음식물 처리기는 일정크기의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는 수용실이 구비되고, 상기 수용실 내부에서 음식물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는 히터가 마련됨은 물론, 수분이 함유된 수용실의 냄새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구가 마련되며, 상기 냄새의 배기는 별도의 배기팬 구동으로부터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배기구의 내부에는 별도의 개폐밸브가 구성되며, 이러한 개폐밸브는 압력에 따라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열림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닫힘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음식물 처리기의 동작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가 이루어질 때 배기팬 또한 구동을 하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배기팬의 구동에 따라 가해지는 발생하는 배출압력에 따라 축을 중심으로 열림회전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음식물 처리기의 동작이 오프되는 경우, 상기 배기팬의 구동 또한 오프되면서 배기구내의 압력은 서서히 낮아지게 되며, 이때 상기 개폐밸브는 스프링력으로부터 원래의 위치로 리턴 즉, 축을 중심으로 닫힘회전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개폐밸브는 배기팬의 구동에 따른 배출압력에 의해 열림회전하고, 배출압력이 없을 경우에는 닫힘회전을 해야 하므로, 상기 개폐밸브의 테두리 부위와 상기 배기구의 내부면 사이에는 실링부재를 적용할 수 없으며, 실링부재를 적용한다 하더라도 상기 개폐밸브의 닫힘 또는 열림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약간의 간극을 두어야 하며, 만약 간극을 두지 않을 경우에는 개폐밸브의 회전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에따라, 종래 음식물 처리기는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에 따른 냄새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에 있어서는 별다른 문제가 없지만, 음식물 처리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외부에서의 냄새가 상기 배기구를 통해 유입되는 단점이 있다.
즉, 공동주택에서 각 가정집마다 음식물 처리기를 설치하게 되는데, 각 가정집마다 음식물 처리기를 정해진 시간에 동시에 동작시키기는 불가능하므로, 하나의 가정집이 음식물 처리기를 동작시키고, 다른 가정집에서는 음식물 처리기를 동작시키지 않을 경우에는 음식물 처리기를 동작시키는 가정집에서 배출하는 냄새가 음식물 처리기를 동작시키지 않는 가정집으로 음식물 처리기의 배기구를 통해 유입될 수 밖에 없으면서 불쾌감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고, 이는 공동주택단지에서의 민원을 야기하였으며, 심한 경우에는 감정적인 처리로 인한 주민간의 불협화음을 초래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음식물 처리기의 전의 동작시에는 음식물 처리기의 처리동작에 따른 냄새가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되, 음식물 처리기의 동작오프시에는 배기구를 통해 외부에서의 냄새 유입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밸브를 구성함으로써, 배기구를 통한 냄새 유입의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냄새 유입 차단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 음식물 처리기의 냄새 유입 차단장치는, 작동패널을 가지는 본체내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건조용 히터 및 배기팬을 구성하고, 상기 본체의 일단에는 음식물쓰레기의 건조에 따라 발생하는 냄새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관을 형성한 음식물 처리기를 구성하되, 상기 배기관에는 상기 배기관을 개방 또는 차단시키는 차단밸브 모듈부를 구성하고, 상기 배기관의 일측에는 상기 건조용 히터 및 배기팬을 온/오프 제어하는 작동패널에 회로적으로 연결 구성되고, 상기 차단밸브 모듈부에 의해 배기관이 개방시 온 스위칭동작하여 상기 건조용 히터와 배기팬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차단밸브 모듈부에 의해 배기관이 차단시에는 오프 스위칭동작하여 상기 건조용 히터와 배기팬으로의 전원공급을 차단시키는 동작제어 스위칭부를 결합 구성한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작동패널을 가지는 본체내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건조용 히터 및 배기팬을 구성하고, 상기 본체의 일단에는 음식물쓰레기의 건조에 따라 발생하는 냄새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관을 형성한 음식물 처리기를 구성하되, 상기 배기관에는 상기 배기관을 개방 또는 차단시키는 차단밸브 모듈부를 구성하고, 상기 차단밸브 모듈부는 상기 작동패널의 조작신호에 따라 건조용 히터와 배기팬의 온 동작시 상기 배기관을 개방시키도록 동작하고, 상기 작동패널에 의해 건조용 히터와 배기팬의 오프 동작시에는 상기 배기관을 차단시키는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차단밸브 모듈부는 상기 배기관에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배기관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제 1 슬롯부; 상기 배기관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제 1 안내홈부; 및, 상기 제 1 슬롯부로부터 상기 제 1 안내홈부를 따라 상,하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배기관을 개방 또는 차단시키는 제 1 차단밸브;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차단밸브는 수동형의 차단밸브로서, 손잡이형의 제 1 몸체부; 상기 제 1 몸체부로부터 연장 구성되고, 상기 배기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 1 안내홈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배기관을 개방 또는 차단시키는 제 1 차단플레이트; 및, 상기 제 1 몸체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차단플레이트의 상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동작제어 스위칭부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칭돌기;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차단플레이트에는 배기관의 개방을 위한 상기 제 1 차단플레이트의 상방향 슬라이드 이동시, 상기 제 1 차단플레이트의 하방향 흘러내림을 방지하도록 텐션이 부여되는 후크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차단밸브는 전동형의 차단밸브로서, 손잡이형의 제 1 몸체부; 상기 제 1 몸체부로부터 연장 구성되고, 상기 배기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 1 안내홈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배기관을 개방 또는 차단시키는 제 1 차단플레이트; 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제 1 슬롯부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 몸체부로부터 연장 구성되는 일정길이의 제 1 랙기어부; 상기 제 1 랙기어부에 기어 맞물림되고, 상기 제 1 랙기어부 및 이에 연결되는 제 1 몸체부와 제 1 차단플레이트를 상하측으로 동시에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회전하는 제 1 피니언기어; 및, 상기 제 1 피니언기어에 구동축이 결합되고, 상기 작동패널의 조작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제 1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제 1 모터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랙기어부의 상하측에는 상기 제 1 피니언기어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제 1 이탈방지턱이 연장 구성된다.
또한, 상기 차단밸브 모듈부는 상기 배기관에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리형으로, 상기 배기관의 끝단부에 결합되는 배기연장관; 상기 배기연장관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제 2 슬롯부; 상기 배기연장관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제 2 안내홈부; 및, 상기 제 2 슬롯부로부터 상기 제 2 안내홈부를 따라 상,하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배기연장관을 개방 또는 차단시키는 제 2 차단밸브;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차단밸브는 수동형의 차단밸브로, 손잡이형의 제 2 몸체부; 상기 제 2 몸체부로부터 연장 구성되고, 상기 배기연장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 2 안내홈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배기연장관을 개방 또는 차단시키는 제 2 차단플레이트; 및, 상기 제 2 몸체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차단플레이트의 상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동작제어 스위칭부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칭돌기;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차단플레이트의 일면에는 배기연장관의 개방을 위한 상기 제 2 차단플레이트의 상방향 슬라이드 이동시,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하방향 흘러내림을 방지하도록 텐션이 부여되는 후크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2 차단밸브는 전동형의 차단밸브로, 손잡이형의 제 2 몸체부; 상기 제 2 몸체부로부터 연장 구성되고, 상기 배기연장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 2 안내홈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배기연장관을 개방 또는 차단시키는 제 2 차단플레이트; 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제 2 슬롯부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2 몸체부로부터 연장 구성되는 일정길이의 제 2 랙기어부; 상기 제 2 랙기어부에 기어 맞물림되고, 상기 제 2 랙기어부 및 이에 연결되는 제 2 몸체부와 제 2 차단플레이트를 상하측으로 동시에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회전하는 제 2 피니언기어; 및, 상기 제 2 피니언기어에 구동축이 결합되고, 상기 작동패널의 조작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제 2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제 2 모터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랙기어부의 상하측에는 상기 제 2 피니언기어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제 2 이탈방지턱이 연장 구성된다.
다른 한편으로, 작동패널을 가지는 본체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건조용 히터 및 배기팬을 구성하고, 상기 본체의 일단에는 음식물쓰레기의 건조에 따라 발생하는 냄새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기관을 형성한 음식물 처리기를 구성하고, 상기 배기관에는 상기 배기관을 개방 또는 차단시키는 수동 조작형의 차단밸브 모듈부를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차단밸브 모듈부는 상기 배기관에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배기관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제 3 슬롯부; 상기 배기관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제 3 안내홈부; 및, 상기 제 3 슬롯부로부터 상기 제 3 안내홈부를 따라 상,하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배기관을 개방 또는 차단시키는 수동 조작형의 제 3 차단밸브;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차단밸브 모듈부는 상기 배기관에서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분리형으로, 상기 배기관의 끝단부에 결합되는 배기연장관; 상기 배기연장관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제 4 슬롯부; 상기 배기연장관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제 4 안내홈부; 및, 상기 제 4 슬롯부로부터 상기 제 4 안내홈부를 따라 상,하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배기연장관을 개방 또는 차단시키는 제 4 차단밸브;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3 차단밸브는, 손잡이형의 제 3 몸체부; 상기 제 3 몸체부로부터 연장 구성되고, 상기 배기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 3 안내홈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배기관을 개방 또는 차단시키는 제 3 차단플레이트; 상기 제 3 차단플레이트의 외부면 상하측에 돌출 구성되는 걸림돌기; 및, 상기 제 3 몸체부로부터 상기 제 3 차단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복수로 대칭되게 연장 구성되어 상기 제 3 차단플레이트의 상하 슬라이드 이동을 지지하고 안내하는 제 1 안내플레이트;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4 차단밸브는, 손잡이형의 제 4 몸체부; 상기 제 4 몸체부로부터 연장 구성되고, 상기 배기연장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 4 안내홈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배기연장관을 개방 또는 차단시키는 제 4 차단플레이트; 상기 제 4 차단플레이트의 외부면 상하측에 돌출 구성되는 걸림돌기; 및, 상기 제 4 몸체부로부터 상기 제 4 차단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복수로 대칭되게 연장 구성되어 상기 제 4 차단플레이트의 상하 슬라이드 이동을 지지하고 안내하는 제 2 안내플레이트;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2 안내플레이트의 끝단에는 각각 상기 걸림돌기에 걸림되어 상기 제 3,4 차단플레이트가 제 3,4 슬롯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시키는 걸림턱부가 구성된다.
이와같이 본 고안은 음식물 처리기의 전의 동작시에는 음식물 처리기의 처리동작에 따른 냄새가 배기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되, 음식물 처리기의 동작오프시에는 배기구를 통해 외부에서의 냄새 유입을 차단시키는 밸브를 구성한 것으로, 이를 통해 배기구를 통한 외부 냄새의 유입에 따른 불쾌감을 해소하면서 제품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공동주택에서의 주민간 불협화음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로 음식물 처리기의 구조를 보인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로 배기관 일체형으로 음식물 처리기와 연동되도록 수동 조작되는 차단밸브 모듈부의 구조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로 배기관 일체형으로 음식물 처리기와 연동되도록 수동 조작되는 차단밸브 모듈부의 닫힘 동작상태에 대한 단면 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로 배기관 일체형으로 음식물 처리기와 연동되도록 수동 조작되는 차단밸브 모듈부의 열림 동작상태에 대한 단면 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로 제 1 차단밸브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로 배기관 분리형으로 음식물 처리기와 연동도도록 수동 조작되는 차단밸브 모듈부의 구조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로 배기관 분리형으로 음식물 처리기와 연동되도록 수동 조작되는 차단밸브 모듈부의 닫힘 동작상태에 대한 단면 개략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로 배기관 분리형으로 음식물 처리기와 연동되도록 수동 조작되는 차단밸브 모듈부의 열림 동작상태에 대한 단면 개략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로 배기관 일체형으로 전동 조작되는 차단밸브 모듈부의 구조도.
도 10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로 배기관 일체형으로 전동 조작되는 차단밸브 모듈부의 닫힘 동작상태에 대한 단면 개략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로 배기관 일체형으로 전동 조작되는 차단밸브 모듈부의 열림 동작상태에 대한 단면 개략도.
도 12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로 배기관 분리형으로 전동 조작되는 차단밸브 모듈부의 구조도.
도 13은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로 배기관 분리형으로 전동 조작되는 차단밸브 모듈부의 닫힘 동작상태에 대한 단면 개략도.
도 14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로 배기관 분리형으로 전동 조작되는 차단밸브 모듈부의 열림 동작상태에 대한 단면 개략도.
도 15는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로 배기관 일체형으로 수동 조작되는 차단밸브 모듈부의 구조도.
도 16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로 배기관 일체형으로 수동 조작되는 차단밸브 모듈부의 닫힘 동작상태에 대한 단면 개략도.
도 17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로 배기관 일체형으로 수동 조작되는 차단밸브 모듈부의 열림 동작상태에 대한 단면 개략도.
도 18은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로 배기관 분리형으로 수동 조작되는 차단밸브 모듈부의 구조도.
도 19는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로 배기관 분리형으로 수동 조작되는 차단밸브 모듈부의 닫힘 동작상태에 대한 단면 개략도.
도 20은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로 배기관 분리형으로 수동 조작되는 차단밸브 모듈부의 열림 동작상태에 대한 단면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로 음식물 처리기의 구조를 보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로 배기관 일체형으로 음식물 처리기와 연동되도록 수동 조작되는 차단밸브 모듈부의 구조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로 배기관 일체형으로 음식물 처리기와 연동되도록 수동 조작되는 차단밸브 모듈부의 닫힘 동작상태에 대한 단면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로 배기관 일체형으로 음식물 처리기와 연동되도록 수동 조작되는 차단밸브 모듈부의 열림 동작상태에 대한 단면 개략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로 제 1 차단밸브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처리기의 냄새 유입 차단장치는 음식물쓰레기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건조용 히터 및 배기팬과 작동패널을 가지는 본체(1)내에 구성하고, 상기 본체(1)의 일단에는 음식물쓰레기의 건조에 따라 발생하는 냄새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관(5)을 형성시킨 음식물 처리기에 적용되는 것으로, 차단밸브 모듈부(100)와 동작제어 스위칭부(2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차단밸브 모듈부(100)는 상기 배기관(5)에 일체로 구성되어, 상기 배기관(5)을 개방 또는 차단시키는 것으로, 제 1 슬롯부(10), 제 1 안내홈부(20), 제 1 차단밸브(30)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슬롯부(10)는 상기 배기관(5)의 외주면에 일정높이로서 구성되며, 상기 제 1 안내홈부(20)는 상기 배기관(5)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차단밸브(30)의 열림 또는 닫힘 동작을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차단밸브(30)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개폐되는 것이며, 상기 제 1 슬롯부(10)로부터 상기 제 1 안내홈부(20)를 따라 상,하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배기관(5)을 개방 또는 차단시키도록 구성되며, 제 1 몸체부(31), 제 1 차단플레이트(32), 스위칭돌기(33), 그리고 후크(3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몸체부(31)는 상기 제 1 슬롯부(10)의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차단플레이트(32)는 상기 제 1 몸체부(31)로부터 연장 구성된 것으로 상기 배기관(5)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 1 안내홈부(20)를 따라 상하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배기관(5)을 개방 또는 차단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위칭돌기(33)는 상기 제 1 몸체부(31)의 일단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제 1 차단플레이트(32)의 상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동작제어 스위칭부(200)를 온/오프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스위칭돌기(33)는 상기 제 1 차단플레이트(32)가 상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배기관(5)을 개방시킬 경우 상기 동작제어 스위칭부(200)를 온 스위칭동작시키고, 상기 제 1 차단플레이트(32)가 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배기관(5)을 차단시킬 경우에는 상기 동작제어 스위칭부(200)를 오프 스위칭동작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후크(34)는 상기 제 1 차단플레이트(32)에 텐션이 부여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배기관(5)의 개방을 위한 상기 제 1 차단플레이트(32)의 상방향 슬라이드 이동시, 상기 제 1 차단플레이트(32)의 하방향 흘러내림을 방지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본체(1)에는 스크류(300)가 체결되고, 상기 스크류(300)에 상기 제 1 차단밸브(30)의 일면이 걸림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 1 차단밸브(30)의 분리는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스크류(300)를 상기 본체(1)로부터 이탈시킬 때 상기 제 1 차단밸브(30)의 분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동작제어 스위칭부(200)는 상기 배기관(5)의 외부 일측에 마련된 것으로, 상기 건조용 히터 및 배기팬을 온/오프 제어하는 작동패널에 회로적으로 연결 구성되며, 상기 차단밸브 모듈부(100)에 의해 배기관(5)의 개방이 이루어질 경우 온 스위칭동작하여 상기 건조용 히터와 배기팬으로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차단밸브 모듈부(100)에 의해 배기관(5)이 차단시에는 오프 스위칭동작하여 상기 건조용 히터와 배기팬으로 전원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즉,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는 배기관(5)에 차단밸브 모듈부(100)를 일체로 구성시키는 한편, 그 일측에 작동패널과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동작제어 스위칭부(200)를 구성하여 둠으로써, 상기 차단밸브 모듈부(100)에 포함되는 제 1 차단밸브(30)의 제 1 차단플레이트(32)가 사용자에 의해 상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배기관(5)을 개방시킬 때, 상기 동작제어 스위칭부(200)의 온 스위칭동작이 이루어지면서 음식물 처리기의 본체(1)내에 구성되는 건조용 히터와 배기팬에 전원공급이 이루어져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이에따라, 상기 본체(1)내의 수용부에 수용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발생하는 냄새는 상기 배기팬의 동작으로부터 상기 개방된 배기관(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차단밸브(30)에 포함되는 제 1 차단플레이트(32)에 형성되는 후크(34)의 텐션작용으로부터 상기 배기관(5)의 개방을 위해 상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상기 제 1 차단플레이트(32)는 하방향으로 흘러내리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였다.
반면, 상기 차단밸브 모듈부(100)에 포함되는 제 1 차단밸브(30)의 제 1 차단플레이트(32)가 사용자에 의해 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배기관(5)을 차단시킬 때, 상기 동작제어 스위칭부(200)의 오프 스위칭동작이 이루어져 음식물 처리기의 본체(1)내에 구성되는 건조용 히터와 배기팬으로는 전원공급이 차단되면서 음식물쓰레기에 대한 건조는 물론 냄새 배출의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차단플레이트(32)에 의해 배출로가 차단된 배기관(5)을 통해 외부로부터의 냄새 유입 또한 차단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차단밸브 모듈부(100)와 상기 동작제어 스위칭부(200)의 연동을 통해 음식물 처리기의 각 구성요소들인 건조용 히터와 배기팬의 동작을 온시키는 것은, 상기 차단밸브 모듈부(100)에 의해 배기관(5)이 차단된 상태에서 음식물 처리기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 2 실시예]
첨부된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로, 이는 음식물 처리기의 배기관(5)에 차단밸브 모듈부(100a)를 분리형으로서 결합 구성한 것이며, 이는 기존 설치된 음식물 처리기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이하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 표시하며, 중복되는 설명에 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즉,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단밸브 모듈부(100a)는 상기 배기관(5)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는 배기연장관(40)을 구성하는 한편, 상기 배기연장관(40)의 외주면에 제 2 슬롯부(50)를 구성하고, 상기 배기연장관(40)의 내주면에는 제 2 안내홈부(60)를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슬롯부(50)로부터 상기 제 2 안내홈부(60)를 따라 상,하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배기연장관(40)을 개방 또는 차단시키는 제 2 차단밸브(7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 2 차단밸브(70)는 손잡이형의 제 2 몸체부(71), 상기 제 2 몸체부(71)로부터 연장 구성되고 상기 배기연장관(4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 2 안내홈부(6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배기연장관(40)을 개방 또는 차단시키는 제 2 차단플레이트(72), 그리고 상기 제 2 몸체부(71)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 2 차단플레이트(72)의 상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동작제어 스위칭부(200)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칭돌기(73)와, 상기 제 1 차단플레이트(32)에 텐션이 부여되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배기관(5)의 개방을 위한 상기 제 1 차단플레이트(32)의 상방향 슬라이드 이동시 상기 제 1 차단플레이트(32)의 하방향 흘러내림을 방지시키는 후크(74)를 포함한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는 배기관(5)에 차단밸브 모듈부(100a)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한편, 그 일측에 작동패널과 회로적으로 연결되는 동작제어 스위칭부(200)를 구성하여 둠으로써, 상기 차단밸브 모듈부(100a)에 포함되는 제 2 차단밸브(70)의 제 2 차단플레이트(72)가 사용자에 의해 상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배기연장관(40)을 개방시킬 때, 상기 동작제어 스위칭부(200)의 온 스위칭동작이 이루어지면서 음식물 처리기의 본체(1)내에 구성되는 건조용 히터와 배기팬에 전원공급이 이루어져 구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그러면, 본체(1)내의 수용부에 수용되는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발생하는 냄새는 상기 배기팬의 동작으로부터 배기관(5)으로 유입되는 냄새는 상기 배기관(5)에 결합되는 배기연장관(40)의 개방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반면, 상기 차단밸브 모듈부(100a)에 포함되는 제 2 차단밸브(70)의 제 2 차단플레이트(72)가 사용자에 의해 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배기연장관(40)을 차단시킬 때, 상기 동작제어 스위칭부(200)의 오프 스위칭동작이 이루어져 음식물 처리기의 본체(1)내에 구성되는 건조용 히터와 배기팬로는 전원공급이 차단되면서 음식물쓰레기에 대한 건조는 물론 냄새 배출의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차단플레이트(72)에 의해 배기연장관(40)이 차단시, 상기 배기연장관(40)에 결합된 배기관(5)의 배출로가 차단되고, 이에따라 외부로부터의 냄새는 상기 배기관(5)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차단밸브 모듈부(100a)와 상기 동작제어 스위칭부(200)의 연동을 통해 음식물 처리기의 각 구성요소들인 건조용 히터와 배기팬의 동작을 온시키는 것은, 상기 차단밸브 모듈부(100a)에 의해 배기관(5)이 차단된 상태에서 음식물 처리기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 3 실시예]
첨부된 도 9 내지 도 11은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음식물 처리기의 배기관(5)에 차단밸브 모듈부(100b)를 일체형으로 구성함에 있어, 상기 차단밸브 모듈부(100b)가 전동방식으로 그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며, 이하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서 표시하였다.
즉,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는 음식물쓰레기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건조용 히터 및 배기팬과 작동패널을 가지는 본체(1)내에 구성하고, 상기 본체(1)의 일단에는 음식물쓰레기의 건조에 따라 발생하는 냄새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관(5)을 형성시킨 음식물 처리기에 있어, 상기 배기관(5)에 전동방식의 차단밸브 모듈부(100b)를 일체화시킨 것이다.
이때, 상기 전동방식의 차단밸브 모듈부(100b)는 상기 작동패널의 조작신호에 따라 건조용 히터와 배기팬의 온 동작시 상기 배기관(5)을 개방시키도록 동작을 하며, 상기 작동패널에 의해 건조용 히터와 배기팬의 오프 동작시에는 상기 배기관(5)을 차단시키는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차단밸브 모듈부(100b)는 상기 작동패널에 의해 그 온/오프가 결정되는 것이다.
이에따라, 상기 차단밸브 모듈부(100b)는 상기 배기관(5)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제 1 슬롯부(10), 상기 배기관(5)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제 1 안내홈부(20), 그리고 상기 제 1 슬롯부(10)로부터 상기 제 1 안내홈부(20)를 따라 상,하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배기관(5)을 개방 또는 차단시키는 제 1 차단밸브(30)를 포함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 1 차단밸브(30)는 손잡이형의 제 1 몸체부(31), 상기 제 1 몸체부(31)로부터 연장 구성되고 상기 배기관(5)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 1 안내홈부(2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배기관(5)을 개방 또는 차단시키는 제 1 차단플레이트(32)를 포함함은 물론, 상기 제 1 슬롯부(1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 몸체부(31)로부터 연장 구성되는 일정길이의 제 1 랙기어부(35), 상기 제 1 랙기어부(35)에 기어 맞물림되고 상기 제 1 랙기어부(35) 및 이에 연결되는 제 1 몸체부(31)와 제 1 차단플레이트(32)를 상하측으로 동시에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회전하는 제 1 피니언기어(36), 상기 제 1 피니언기어(36)에 구동축이 결합되고 상기 작동패널의 조작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제 1 피니언기어(36)를 회전시키는 모터부(37)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랙기어부(35)의 상하측에는 상기 제 1 피니언기어(36)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제 1 이탈방지턱(38)이 연장 구성된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는 배기관(5)에 전동방식의 차단밸브 모듈부(100b)를 일체로 구성시, 사용자가 조작패널을 통해 건조용 히터와 배기팬을 동작시킴은 물론, 제 1 차단밸브(30)에 포함되는 제 1 모터부(37)를 정회전 구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 1 모터부(37)의 정회전 구동력은 구동축을 통해 제 1 피니언기어(36)에 전달되어 상기 제 1 피니언기어(36)는 상기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피니언기어(36)는 제 1 랙기어부(35)에 기어 맞물림되어 있고, 상기 제 1 랙기어부(35)는 제 1 몸체부(31)에 일단이 일체로 연결 구성되어 있는 바,
상기 제 1 랙기어부(35)는 상기 제 1 피니언기어(36)의 회전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을 하고, 따라서 상기 제 1 랙기어부(35)와 일체로 구성되는 제 1 몸체부(31)는 물론, 상기 제 1 몸체부(31)로부터 연장되는 제 2 차단플레이트(32) 또한 상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상기 배기관(5)의 개방이 이루어지고, 이에따라 음식물 처리기의 본체(1)내에 구성되는 건조용 히터의 건조동작에 따라 음식물쓰레기의 냄새는 배기팬의 동작으로부터 상기 개방된 배기관(5)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반면, 사용자가 조작패널을 통해 건조용 히터와 배기팬을 오프시킴은 물론, 제 1 차단밸브(30)에 포함되는 제 1 모터부(37)를 역회전 구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 1 모터부(37)의 역회전 구동력은 구동축을 통해 제 1 피니언기어(36)에 전달되어 상기 제 1 피니언기어(36)는 상기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피니언기어(36)는 제 1 랙기어부(35)에 기어 맞물림되어 있고, 상기 제 1 랙기어부(35)는 제 1 몸체부(31)에 일단이 일체로 연결 구성되어 있는 바,
상기 제 1 랙기어부(35)는 상기 제 1 피니언기어(36)의 회전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을 하고, 따라서 상기 제 1 랙기어부(35)와 일체로 구성되는 제 1 몸체부(31)는 물론, 상기 제 1 몸체부(31)로부터 연장되는 제 2 차단플레이트(32) 또한 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 2 차단플레이트(32)에 의해 배기관(5)은 차단된다.
그러면, 상기 제 1 차단플레이트(32)에 의해 배출로가 차단된 배기관(5)을 통해 외부로부터의 냄새가 실내로 유입되는 것은 차단될 수 있는 것이다.
[제 4 실시예]
첨부된 도 12 내지 도 14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로, 이는 음식물 처리기의 배기관(5)에 전동방식의 차단밸브 모듈부(100c)를 분리형으로서 결합 구성한 것이며, 이는 기존 설치된 음식물 처리기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고, 이하 본 고안의 제 2,3 실시예에서와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서 표시하였다.
즉,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차단밸브 모듈부(100c)는, 상기 배기관(5)의 끝단부에 결합되는 배기연장관(40), 상기 배기연장관(40)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제 2 슬롯부(50), 상기 배기연장관(40)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제 2 안내홈부(60), 그리고 상기 제 2 슬롯부(50)로부터 상기 제 2 안내홈부(60)를 따라 상,하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배기연장관(40)을 개방 또는 차단시키는 제 2 차단밸브(7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 2 차단밸브(70)는 손잡이형의 제 2 몸체부(71), 상기 제 2 몸체부(71)로부터 연장 구성되고 상기 배기연장관(4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 2 안내홈부(6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배기연장관(40)을 개방 또는 차단시키는 제 2 차단플레이트(72)에 더하여, 상기 제 2 슬롯부(50)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2 몸체부(71)로부터 연장 구성되는 일정길이의 제 2 랙기어부(75), 상기 제 2 랙기어부(75)에 기어 맞물림되고 상기 제 2 랙기어부(75) 및 이에 연결되는 제 2 몸체부(71)와 제 2 차단플레이트(72)를 상하측으로 동시에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회전하는 제 2 피니언기어(76), 상기 제 2 피니언기어(76)에 구동축이 결합되고 상기 작동패널(1a)의 조작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제 2 피니언기어(76)를 회전시키는 제 2 모터부(77)를 포함함은 물론, 상기 제 2 랙기어부(75)의 상하측에는 상기 제 2 피니언기어(76)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제 2 이탈방지턱(78)을 연장 구성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는 배기관(5)에 전동방식의 차단밸브 모듈부(100c)에 포함되는 배기연장관(40)을 결합시킨 상태에서, 사용자가 조작패널을 통해 건조용 히터와 배기팬을 동작시킴은 물론, 제 2 차단밸브(70)에 포함되는 제 2 모터부(77)를 정회전 구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 2 모터부(77)의 정회전 구동력은 구동축을 통해 제 2 피니언기어(76)에 전달되어 상기 제 2 피니언기어(76)는 상기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 피니언기어(76)는 제 2 랙기어부(75)에 기어 맞물림되어 있고, 상기 제 2 랙기어부(75)는 제 2 몸체부(71)에 일단이 일체로 연결 구성되어 있는 바,
상기 제 2 랙기어부(75)는 상기 제 2 피니언기어(76)의 회전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을 하고, 따라서 상기 제 2 랙기어부(75)와 일체로 구성되는 제 2 몸체부(71)는 물론, 상기 제 2 몸체부(71)로부터 연장되는 제 2 차단플레이트(72) 또한 상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상기 배기연장관(40)의 개방이 이루어지고, 이에따라 음식물 처리기의 본체(1)내에 구성되는 건조용 히터의 건조동작에 따라 음식물쓰레기의 냄새는 배기팬의 동작으로부터 배기관(5)과 상기 개방된 배기연장관(4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반면, 사용자가 조작패널을 통해 건조용 히터와 배기팬을 오프시킴은 물론, 제 2 차단밸브(70)에 포함되는 제 2 모터부(77)를 역회전 구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제 2 모터부(77)의 역회전 구동력은 구동축을 통해 제 2 피니언기어(76)에 전달되어 상기 제 2 피니언기어(76)는 상기 구동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 피니언기어(76)는 제 2 랙기어부(75)에 기어 맞물림되어 있고, 상기 제 2 랙기어부(75)는 제 2 몸체부(71)에 일단이 일체로 연결 구성되어 있는 바,
상기 제 2 랙기어부(75)는 상기 제 2 피니언기어(76)의 회전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을 하고, 따라서 상기 제 2 랙기어부(75)와 일체로 구성되는 제 2 몸체부(71)는 물론, 상기 제 2 몸체부(71)로부터 연장되는 제 2 차단플레이트(72) 또한 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 2 차단플레이트(72)에 의해 배기연장관(40)은 차단된다.
그러면, 상기 제 2 차단플레이트(72)에 의해 배기연장관(40)이 차단될 때, 상기 배기연장관(40)이 결합되는 배기관(5)으로는 외부의 냄새가 유입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는 것이다.
[제 5 실시예]
첨부된 도 15 내지 도 17은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로, 이는 음식물쓰레기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건조용 히터 및 배기팬과 작동패널을 가지는 본체(1)내에 구성하고, 상기 본체(1)의 일단에는 음식물쓰레기의 건조에 따라 발생하는 냄새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관(5)을 형성시킨 음식물 처리기에 적용되는 것으로, 상기 배기관(5)에 수동 조작형의 차단밸브 모듈부(100d)를 일체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동 조작형의 차단밸브 모듈부(100d)는 상기 건조용 히터 및 배기팬의 구동과는 전혀 관계없는 것이다.
즉, 상기 차단밸브 모듈부(100d)는 상기 배기관(5)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제 3 슬롯부(110), 상기 배기관(5)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제 3 안내홈부(120), 상기 제 3 슬롯부(110)로부터 상기 제 3 안내홈부(120)를 따라 상,하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배기관(5)을 개방 또는 차단시키는 수동 조작형의 제 3 차단밸브(1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3 차단밸브(130)는 손잡이형의 제 3 몸체부(131), 상기 제 3 몸체부(131)로부터 연장 구성되고 상기 배기관(5)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 3 안내홈부(12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배기관(5)을 개방 또는 차단시키는 제 3 차단플레이트(132), 상기 제 3 차단플레이트(132)의 외부면 상하측에 돌출 구성되는 걸림돌기(133), 상기 제 3 몸체부(131)로부터 상기 제 3 차단플레이트(132)의 길이방향으로 복수로 대칭되게 연장 구성되어 상기 제 3 차단플레이트(132)의 상하 슬라이드 이동을 지지하고 안내하는 제 1 안내플레이트(134)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안내플레이트(134)의 끝단에는 상기 걸림돌기(133)에 걸림되어 상기 제 3 차단플레이트(132)가 제 3 슬롯부(1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시키는 걸림턱부(135)를 구성하도록 하였다.
즉,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는 음식물 처리기의 동작 여부에 관계없이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제 3 차단밸브(130)에 포함되는 제 3 차단플레이트(132)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기 배기관(5)을 개방 또는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 6 실시예]
첨부된 도 18 내지 도 20은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로, 이는 배기관(5)에 탈부착이 가능한 차단밸브 모듈부(100e)를 결합 구성한 것이며, 이하 본 고안의 제 5 실시예에서와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 표시하였다.
즉,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에 적용되는 차단밸브 모듈부(100e)는 상기 배기관(5)의 끝단부에 결합되는 배기연장관(140), 상기 배기연장관(140)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제 4 슬롯부(150), 상기 배기연장관(140)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제 4 안내홈부(160), 상기 제 4 슬롯부(150)로부터 상기 제 4 안내홈부(160)를 따라 상,하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배기연장관(140)을 개방 또는 차단시키는 제 4 차단밸브(17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기 제 4 차단밸브(170)는 손잡이형의 제 4 몸체부(171), 상기 제 4 몸체부(171)로부터 연장 구성되고 상기 배기연장관(14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 4 안내홈부(16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배기연장관(140)을 개방 또는 차단시키는 제 4 차단플레이트(172), 상기 제 4 차단플레이트(172)의 외부면 상하측에 돌출 구성되는 걸림돌기(173), 상기 제 4 몸체부(171)로부터 상기 제 4 차단플레이트(172)의 길이방향으로 복수로 대칭되게 연장 구성되어 상기 제 4 차단플레이트(172)의 상하 슬라이드 이동을 지지하고 안내하는 제 2 안내플레이트(174)를 더 포함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2 안내플레이트(174)의 끝단에는 상기 걸림돌기(173)에 걸림되어 상기 제 4 차단플레이트(172)가 제 4 슬롯부(15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시키는 걸림턱부(175)를 구성하도록 하였다.
즉, 본 고안의 제 6 실시예는 기존 설치된 음식물 처리기에 차단밸브 모듈부(100e)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 또한 음식물 처리기의 동작여부와는 관계없이 사용자가 임의적으로 상기 차단밸브 모듈부(100e)를 통해 배기관(5)을 개방 또는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5 ; 배기관
40; 배기연장관
32,72 ; 제 1,2 차단플레이트
35,75; 제 1,2 랙기어부
36,76; 제 1,2 피니언기어
37,77; 제 1,2 모터부
100, 100a, 100b, 100c, 100d, 100e : 차단밸브 모듈부
200 ; 동작제어 스위칭부
300; 스크류

Claims (9)

  1. 작동패널을 가지는 본체내에는 음식물쓰레기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건조용 히터 및 배기팬을 구성하고, 상기 본체의 일단에는 음식물쓰레기의 건조에 따라 발생하는 냄새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관을 형성한 음식물 처리기를 구성하되, 상기 배기관에는 상기 배기관을 개방 또는 차단시키는 차단밸브 모듈부를 구성하고, 상기 배기관의 일측에는 상기 건조용 히터 및 배기팬을 온/오프 제어하는 작동패널에 회로적으로 연결 구성되면서 상기 차단밸브 모듈부에 의해 배기관이 개방시 온 스위칭동작하여 상기 건조용 히터와 배기팬으로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차단밸브 모듈부에 의해 배기관이 차단시에는 오프 스위칭동작하여 상기 건조용 히터와 배기팬으로의 전원공급을 차단시키는 동작제어 스위칭부를 결합 구성하고,
    상기 차단밸브 모듈부는 상기 배기관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제 1 슬롯부와, 상기 배기관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제 1 안내홈부 및, 상기 제 1 슬롯부로부터 상기 제 1 안내홈부를 따라 상,하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배기관을 개방 또는 차단시키는 제 1 차단밸브;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냄새 유입 차단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단밸브는,
    손잡이형의 제 1 몸체부;
    상기 제 1 몸체부로부터 연장 구성되고, 상기 배기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 1 안내홈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배기관을 개방 또는 차단시키는 제 1 차단플레이트;
    상기 제 1 몸체부의 일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차단플레이트의 상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동작제어 스위칭부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칭돌기; 및,
    상기 제 1 차단플레이트에 텐션이 부여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배기관의 개방을 위한 상기 제 1 차단플레이트의 상방향 슬라이드 이동시, 상기 제 1 차단플레이트의 하방향 흘러내림을 방지시키는 후크;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냄새 유입 차단장치.
  4. 작동패널을 가지는 본체내에는 음식물쓰레기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건조용 히터 및 배기팬을 구성하고, 상기 본체의 일단에는 음식물쓰레기의 건조에 따라 발생하는 냄새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관을 형성한 음식물 처리기를 구성하되, 상기 배기관에는 상기 배기관을 개방 또는 차단시키는 차단밸브 모듈부를 구성하고, 상기 차단밸브 모듈부는 상기 작동패널의 조작신호에 따라 건조용 히터와 배기팬의 온 동작시 상기 배기관을 개방시키도록 동작하고, 상기 작동패널에 의해 건조용 히터와 배기팬의 오프 동작시에는 상기 배기관을 차단시키는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차단밸브 모듈부는 상기 배기관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제 1 슬롯부와, 상기 배기관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제 1 안내홈부 및, 상기 제 1 슬롯부로부터 상기 제 1 안내홈부를 따라 상,하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배기관을 개방 또는 차단시키는 제 1 차단밸브;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냄새 유입 차단장치.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단밸브는,
    손잡이형의 제 1 몸체부;
    상기 제 1 몸체부로부터 연장 구성되고, 상기 배기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 1 안내홈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배기관을 개방 또는 차단시키는 제 1 차단플레이트; 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제 1 슬롯부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 몸체부로부터 연장 구성되는 일정길이의 제 1 랙기어부;
    상기 제 1 랙기어부에 기어 맞물림되고, 상기 제 1 랙기어부 및 이에 연결되는 제 1 몸체부와 제 1 차단플레이트를 상하측으로 동시에 슬라이드 이동시키도록 회전하는 제 1 피니언기어; 및,
    상기 제 1 피니언기어에 구동축이 결합되고, 상기 작동패널의 조작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상기 제 1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는 모터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냄새 유입 차단장치.
  7. 작동패널을 가지는 본체내에는 음식물쓰레기가 수용되는 수용부와 건조용 히터 및 배기팬을 구성하고, 상기 본체의 일단에는 음식물쓰레기의 건조에 따라 발생하는 냄새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관을 형성한 음식물 처리기를 구성하고, 상기 배기관에는 상기 배기관을 개방 또는 차단시키는 수동 조작형의 차단밸브 모듈부를 구성하며,
    상기 차단밸브 모듈부는 상기 배기관의 끝단부에 결합되는 배기연장관과, 상기 배기연장관의 외주면에 마련되는 제 4 슬롯부와, 상기 배기연장관의 내주면에 마련되는 제 4 안내홈부 및, 상기 제 4 슬롯부로부터 상기 제 4 안내홈부를 따라 상,하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배기연장관을 개방 또는 차단시키는 제 4 차단밸브;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냄새 유입 차단장치.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차단밸브는,
    손잡이형의 제 4 몸체부;
    상기 제 4 몸체부로부터 연장 구성되고, 상기 배기연장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 4 안내홈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배기연장관을 개방 또는 차단시키는 제 4 차단플레이트;
    상기 제 4 차단플레이트의 외부면 상하측에 돌출 구성되는 걸림돌기; 및,
    상기 제 4 몸체부로부터 상기 제 4 차단플레이트의 길이방향으로 복수로 대칭되게 연장 구성되어 상기 제 4 차단플레이트의 상하 슬라이드 이동을 지지하고 안내하는 제 2 안내플레이트;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처리기의 냄새 유입 차단장치.
KR2020100006961U 2010-06-30 2010-06-30 음식물 처리기의 냄새 유입 차단장치 KR2004630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961U KR200463050Y1 (ko) 2010-06-30 2010-06-30 음식물 처리기의 냄새 유입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6961U KR200463050Y1 (ko) 2010-06-30 2010-06-30 음식물 처리기의 냄새 유입 차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216U KR20120000216U (ko) 2012-01-05
KR200463050Y1 true KR200463050Y1 (ko) 2012-10-15

Family

ID=47560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6961U KR200463050Y1 (ko) 2010-06-30 2010-06-30 음식물 처리기의 냄새 유입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3050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173B1 (ko) * 2005-04-22 2007-03-13 이기원 폐음식물 건조기의 건조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4173B1 (ko) * 2005-04-22 2007-03-13 이기원 폐음식물 건조기의 건조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216U (ko) 201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08470B2 (en) Flush toilet, deodorizing device, and deodorizing method
CN109112784B (zh) 具有透气功能的洗衣机及其控制方法
KR20080095529A (ko) 벽걸이형 전자렌지 및 후드
US9107561B2 (en) Table top dishwasher
CN101193582A (zh) 用于洗碗机的通风系统
JP2015178728A (ja) 排水操作装置、及び、この排水操作装置を備えたトイレ装置
KR200463050Y1 (ko) 음식물 처리기의 냄새 유입 차단장치
CN109674411A (zh) 一种洗碗机及控制方法
KR10074885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이의 처리방법
CN204765487U (zh) 拖把自动洗涤机及其专用拖把
KR101413758B1 (ko) 정수기의 음용수 배출장치
KR100370478B1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탈수 건조장치
JP2017029421A (ja) 携帯型洗浄器
JP5286688B2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JP2009274049A (ja) ビルトイン式生ごみ処理機
KR20150025324A (ko) 변기통 살균 세정기능을 갖춘 좌변기
KR100698114B1 (ko) 진공청소기용 노즐어셈블리
KR101776786B1 (ko) 양변기의 초절수 전자 개폐기
PT1088942E (pt) Dispositivo de accionamento
JP2018016955A (ja) 便器
KR20110029564A (ko) 수세식 좌변기
KR940006753B1 (ko) 곡물 자동 세척 및 취사장치
WO2009078067A1 (ja) 電動調理器
JP2020045651A (ja) 洗面台
KR101361103B1 (ko) 온수세정기의 건조 및 탈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