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886Y1 - 강철제의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강철제의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886Y1
KR200462886Y1 KR2020100000641U KR20100000641U KR200462886Y1 KR 200462886 Y1 KR200462886 Y1 KR 200462886Y1 KR 2020100000641 U KR2020100000641 U KR 2020100000641U KR 20100000641 U KR20100000641 U KR 20100000641U KR 200462886 Y1 KR200462886 Y1 KR 2004628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ixing
key cylinder
coupled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06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7447U (ko
Inventor
이동진
Original Assignee
이동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진 filed Critical 이동진
Priority to KR20201000006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886Y1/ko
Publication of KR2011000744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744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8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8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25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glass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6Use of special materials for parts of locks
    • E05B15/1614Use of special materials for parts of locks of hard materials, to prevent drilling

Landscapes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강철로 제작되어 열과 충격에 강해 방화 기준을 충족할 수 있고, 키실린더의 고정과 걸쇠 몸체의 작동 안내 및 바디와 브라켓 간의 결합을 개선하여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강철제의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장방형의 전,후판(21,22)과, 상기 전,후판(21,22)의 양측에 부착되는 양 측판(23)으로 구성된 바디(2); 상기 바디(2)의 전단에 부착된 브라켓(4); 상기 바디(2)의 전,후판(21,22)에 형성된 결합공(20)에 결합되는 키실린더(6); 상기 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키실린더와 연동하면서 출몰작동되는 걸쇠(5): 상기 키실린더(6)를 바디(2)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전,후판(21,22)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20)과 통하도록 형성된 고정공(26)에 결합되며, 볼트공(822)을 갖는 고정판(82); 상기 브라켓(4)에 형성된 통공(42)을 통해 체결되며 상기 고정판(82)의 볼트공(822)에 결합되어 그 선단이 키실린더(6)의 외면에 밀착되는 고정볼트(84)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강철제의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Lock device for glass door}
본 고안은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키실린더의 고정과 걸쇠 몸체의 작동 안내 및 바디와 브라켓 간의 결합을 개선하여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고, 강철로 제작되어 내열성과 내충격성이 강화되어 방화 기준을 충족할 수 있도록 한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강화유리는, 원판유리를 용도에 맞게 절단하여 강화공정을 위해 테두리를 다듬은 후 가열로의 고정을 거쳐 급냉시키면 일반유리와 투시성이 동일하면서도 충격에 4~5배 이상 강한 강화유리가 된다.
상기 강화유리는 표면에 생긴 압축능력과 내부에 생긴 인장능력으로 인하여 일반유리보다 쉽게 파손되지 않고, 파손시 입자가 날카롭지 않고 조작으로 부서지는 특징이 있어 사람들 왕래가 빈번한 병원이나 학교, 주거공간의 진열장, 유리가구 및 도어 등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강화유리 도어가 출입문에 설치될 경우, 회전축이 돌출된 도어의 타측에 도어의 잠금을 설정하거나 해제시키는 도어 잠금장치가 장착된다.
종래 강화유리도어에 적용되는 잠금장치는 대개 다이캐스팅 주조에 의해 제작된다.
도 1은 종래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를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종래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 도어 잠금장치(A')는 도어(미도시)에 결합되는 바디(2')와, 상기 바디(2')에 결합되며 도어의 외측으로 노출된 키홀을 갖는 키실린더(4')와, 상기 바디(2')의 내부에 설치되어 키실린더(4')와 연동하면서 출몰작동되는 걸쇠(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디(2')는 장방형의 박스형태로써 다이캐스팅 주조에 의해 제조되며, 일측에 키실린더(4')가 결합되도록 결합공(20')이 형성된다.
또 상기 결합공(20')의 내주연에는 나선이 형성되며, 키실린더(4')를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5')가 결합되도록 체결공(202')이 성형시에 미리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볼트(5')를 체결공(202')에 체결한 후 그 선단이 키실린더(4')의 외주면에 형성된 장홈(40')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키실린더(4')는 원통형상이며, 그 외주면에 세로방향으로 일정 길이의 장홈(40')이 형성된다. 상기 장홈(40')은 그 단면이 오목하게 패인 형상이다.
또한 종래 기술은 상기 걸쇠(6')의 전후진을 안내하도록 바디의 내면에 가이드턱(3')이 일정 길이로 성형된다.
따라서 걸쇠(6')가 전후진 작동시 가이드턱(3')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고 직선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도어 잠금장치(A')는 화재에 의한 고열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다이캐스팅 주조물은 녹는점이 낮은 편에 속하므로 화재시 발생되는 고열인 약 500~700℃에서도 녹거나 변형이 발생되므로 제기능을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 도어 잠금장치는 내화시험 기준에 미달되므로 실제 생활에도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열과 충격에 강한 성질을 갖는 강철을 재질로 하여 도어 잠금장치를 제작함으로써 내구성과 내열성 기준에 충족할 수 있도록 한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재질의 강도가 강한 강철판재를 크기에 따라 재단한 후 용접하여 도어 잠금장치의 바디를 제작함에 따라 키실린더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 및 걸쇠의 안내를 유도하는 안내수단을 강철재질에 적합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즉, 종래에는 다이캐스팅 주조에 의해 키실린더를 고정시키는 볼트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을 몰드 성형에 의해 직접 형성하였고, 또한 걸쇠의 전후진 작동을 안내하는 안내수단도 몰드 성형에 의해 직접 형성하였으므로 간편하게 형성시킬 수 있었으나 본 고안은 다이캐스팅 주조에 의하지 않고 강철판재를 직접 재단하여 용접시키므로 키실린더의 고정수단 및 걸쇠의 안내수단을 각기 별도로 형성한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은, 장방형의 전,후판과; 상기 전,후판의 양측에 부착되는 양 측판으로 구성된 바디; 상기 바디의 전단에 부착된 브라켓; 상기 바디의 전,후판에 형성된 결합공에 결합되는 키실린더; 상기 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키실린더와 연동하면서 출몰작동되는 걸쇠; 상기 키실린더를 상기 바디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결합공과 통하도록 상기 전,후판에 형성된 고정공에 결합되고, 볼트공을 갖는 고정판; 상기 브라켓에 형성된 통공을 통해 체결되며 상기 볼트공에 결합되어 그 선단이 상기 키실린더에 밀착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의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에 따르면, 열과 외력에 강한 성질을 갖는 강철제를 재질로 제작됨으로써 내구성과 내열성 기준에 충족할 수 있고, 키실린더의 고정과 걸쇠 몸체의 작동 안내 및 바디와 브라켓 간의 결합을 개선하여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를 나타낸 분해도.
도 2는 도 1의 종래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의 "I-I"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본 고안에 따른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의 "II-II"선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본 고안에 따른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의 "II-II"선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강철제의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A)는,
장방형의 전,후판(21,22); 상기 전,후판(21,22)의 양측에 부착되는 양 측판(23)으로 구성된 바디(2); 상기 바디(2)의 전단에 부착된 브라켓(4); 상기 바디(2)의 전,후판(21,22)에 형성된 결합공(20)에 결합되는 키실린더(6); 상기 바디(2)에 설치되어 상기 키실린더와 연동하면서 출몰작동되는 걸쇠(5); 상기 키실린더(6)를 상기 바디(2)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수단은, 키실린더(6)가 결합공(20)에 결합된 상태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바디(2)의 전,후판(21,22)을 사각형으로 천공시켜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20)과 통하도록 형성된 고정공(26)에 결합되며, 볼트공(822)을 갖는 고정판(82)과, 상기 브라켓(4)에 형성된 통공(42)을 통해 체결되며 상기 고정판(82)의 볼트공(822)에 결합되어 그 선단이 키실린더(6)의 외면에 밀착되는 고정볼트(84)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판(82)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판상이며 상기 고정공(26)에 꼭 맞게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판(82)은 용접에 의해 장착된다.
고정볼트(84)는 육각렌치볼트가 적당하며, 브라켓(4)에 형성된 통공(42)으로 삽입되어 고정판(82)의 고정공(26)에 체결된 후 그 선단이 키실린더(6)의 외주면에 강하게 밀착됨으로써 고정력을 제공한다.
바디(2)의 전,후판(21,22)의 내면에는 걸쇠(5)의 전,후진 작동을 안내하는 안내돌기(7)가 용접된다. 종래에는 다이캐스팅 주조시 걸쇠(5)를 안내하는 가이드턱을 성형시켰으나 본 고안은 강철을 재질로 하기 때문에 상기 안내돌기(7)를 용접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시켰다.
또한 전,후판(21,22)은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후판(21,22)의 양측, 즉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판(21,22)의 상,하측에는 측판(23)이 결합된다.
이때 상,하에 결합되는 양 측판(23)은 선단에는 끼움돌기(232)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4)에는 상기 끼움돌기(232)가 결합되는 끼움공(45)이 형성되어 상호 끼움결합된 후 스폿용접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전,후판(21,22)과 양 측판(23)은 스폿용접에 의해 일체로 된다. 물론 반드시 스폿용접으로만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서 용접법은 변형 실시될 수 있다.
한편 고정판(82)을 결합시키기 위해 바디에 형성되는 고정공(26)은 수직홈(264)과 수평홈(262)을 갖는 것으로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자 형상이며, 수평홈(262)이 결합공(20)에 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직홈(264)에는 상기 고정판(82)이 결합된다.
브라켓(4)은 직사각형의 판재로 형성되며, 걸쇠(5)가 통과하는 걸쇠공(47)이 형성되고, 양 측판의 끼움돌기(232)가 결합되는 끼움공(45)이 형성되며, 고정볼트(84)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통공(42)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42)은 상기 고정공(26)과 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키실린더(6)는 원통형상이며, 그 외주면에 세로방향으로 일정 길이의 장홈(62)이 형성된다. 상기 장홈(62)은 그 단면이 오목하게 패인 형상이며 고정볼트(84)의 선단이 꼭맞게 결합된다.
이하 본 고안의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A)의 결합 및 작동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전,후판(21,22)을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키고, 그 양측에 측판(23)을 용접시켜 결합한 후 측판(23)의 끼움돌기(232)를 끼움공(45)에 끼운 다음 용접시켜 브라켓(4)을 결합시킨다.
이후 도 4에서 보이듯이 바디(2)의 후방 개구부로부터 걸쇠(5)를 삽입하여 결합시키고, 끼움돌기(232)의 돌출된 부분을 그라인딩으로 갈아내어 브라켓(4)과 동일한 면을 이루도록 한다. 이후 바디(2)의 결합공(20)에 키실린더(6)를 결합시킨 후 고정판(82)을 고정공(26)에 끼워 결합시킨 후 고정볼트(84)를 통공(42)에 통해 체결하여 그 선단이 키실린더(6)에 밀착되도록 하여 고정시킨다.
이렇게 결합이 완료된 본 고안의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A)를 강화유리도어(미도시)에 부착시키고, 이후 키실린더(6)의 키홀에 열쇠를 꽂아 잠그거나 열면 걸쇠(5)가 전,후진 작동하면서 잠금 및 열림 작동을 하게 되며, 걸쇠(5)의 작동은 안내돌기(7)에 의해 이탈됨없이 정확한 동작을 하도록 안내된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2 : 바디 4 : 브라켓
5 : 걸쇠 6 : 키실린더
20 : 결합공 26 : 고정공
82 : 고정판 84 : 고정볼트

Claims (5)

  1. 장방형의 전,후판(21,22)과, 상기 전,후판의 양측에 부착되는 양 측판(23)으로 구성된 바디(2);
    상기 바디의 전단에 부착된 브라켓(4);
    상기 바디의 전,후판(21,22)에 형성된 결합공(20)에 결합되는 키실린더(6);
    상기 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키실린더와 연동하면서 출몰작동되는 걸쇠(5):
    상기 키실린더(6)를 상기 바디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결합공(20)과 통하도록 상기 전,후판(21,22)에 형성된 고정공(26)에 결합되고, 볼트공(822)을 갖는 고정판(82);
    상기 브라켓(4)에 형성된 통공(42)을 통해 체결되며 상기 볼트공(822)에 결합되어 그 선단이 상기 키실린더(6)에 밀착되는 고정볼트(8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철제의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2)의 전,후판(21,22)의 내면에는 상기 걸쇠(5)의 전,후진 작동을 안내하는 안내돌기(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양 측판(23)의 선단에는 끼움돌기(232)가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4)에는 상기 끼움돌기(232)가 결합되는 끼움공(45)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돌기(232)와 끼움공(45)의 결합에 의해 상기 양 측판(23)이 브라켓(4)에 일체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철제의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공(26)은 수직홈(264)과 수평홈(262)을 갖는 "┫"자 형상이며, 상기 수평홈(262)이 결합공(20)에 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직홈(264)에는 상기 고정판(82)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4)에는, 상기 걸쇠(5)가 통과하는 걸쇠공(47)과 상기 고정볼트(84)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통공(42)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의 통공(42)은 상기 전, 후판의 고정공(26)과 통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철제의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
KR2020100000641U 2010-01-20 2010-01-20 강철제의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 KR2004628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641U KR200462886Y1 (ko) 2010-01-20 2010-01-20 강철제의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0641U KR200462886Y1 (ko) 2010-01-20 2010-01-20 강철제의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447U KR20110007447U (ko) 2011-07-27
KR200462886Y1 true KR200462886Y1 (ko) 2012-10-11

Family

ID=45596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0641U KR200462886Y1 (ko) 2010-01-20 2010-01-20 강철제의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88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6540A (ko) * 2015-01-10 2016-07-20 강민성 방충망 잠금구용 안전장치
KR101819550B1 (ko) 2017-03-06 2018-01-17 주식회사 비욘스틸앤글라스 유지보수가 편리한 도어 잠금장치
KR20180025760A (ko) 2016-09-01 2018-03-09 이예명 손잡이가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231Y1 (ko) 2002-01-28 2002-05-17 장용운 도어잠금장치
KR200356814Y1 (ko) 2004-04-10 2004-07-21 주식회사 세이퍼 강화유리도어용 디지털록킹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231Y1 (ko) 2002-01-28 2002-05-17 장용운 도어잠금장치
KR200356814Y1 (ko) 2004-04-10 2004-07-21 주식회사 세이퍼 강화유리도어용 디지털록킹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86540A (ko) * 2015-01-10 2016-07-20 강민성 방충망 잠금구용 안전장치
KR101657659B1 (ko) 2015-01-10 2016-09-19 강민성 방충망 잠금구용 안전장치
KR20180025760A (ko) 2016-09-01 2018-03-09 이예명 손잡이가 구비된 도어 잠금장치
KR101819550B1 (ko) 2017-03-06 2018-01-17 주식회사 비욘스틸앤글라스 유지보수가 편리한 도어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7447U (ko) 201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2886Y1 (ko) 강철제의 강화유리도어용 잠금장치
CN101956498B (zh) 用于滑动门的锁
CN205297213U (zh) 便于火灾逃生的安全门
NZ630112A (en) Slam latch
EP1333145B1 (en) Square for the structural connection of metallic tubular section bars contained for reinforcement purposes inside plastic tubular section bars and method for its mounting
KR20150010260A (ko) 방범용 스틱을 구비한 방화문
FI121717B (fi) Parioven passiiviovilehden lukitusjärjestelmä
US20150204107A1 (en) Door strike plate
KR200441898Y1 (ko) 도어록 장치
KR100786558B1 (ko) 결로방지용 문틀
KR101188787B1 (ko) 도어 잠금장치
KR200489649Y1 (ko) 축사용 도어 잠금장치
KR200421676Y1 (ko) 강화유리 도어용 브라켓의 체결구조
CN208698892U (zh) 一种发动机罩锁扣加强板结构及安装有该结构的汽车
JP6074312B2 (ja) 楔金具の装着具及び楔金具の装着方法
RU121878U1 (ru) Дюбель для крепления теплоизолирующих плит
KR200428598Y1 (ko) 강화유리 도어록의 지지플레이트
KR101403898B1 (ko) 인터락용 스트라이커 및 그 제조 방법
CN205314370U (zh) 一种钢筋对接接头器
JP6449034B2 (ja) 樹脂サッシ
CN201883891U (zh) 一种数码锁防爆力应急锁闭门板装置
JPH0332214Y2 (ko)
CN214365827U (zh) 一种电梯井防护门
CN207553907U (zh) 防火门窗及其连接杆
KR200279063Y1 (ko) 강화유리문 양도어 개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