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791Y1 - 세라믹히터부를 갖는 벌브타입히터 - Google Patents

세라믹히터부를 갖는 벌브타입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791Y1
KR200462791Y1 KR2020120003239U KR20120003239U KR200462791Y1 KR 200462791 Y1 KR200462791 Y1 KR 200462791Y1 KR 2020120003239 U KR2020120003239 U KR 2020120003239U KR 20120003239 U KR20120003239 U KR 20120003239U KR 200462791 Y1 KR200462791 Y1 KR 2004627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bulb
ceramic
support
ceramic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32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종
조숙철
김도형
Original Assignee
쎄라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쎄라텍(주) filed Critical 쎄라텍(주)
Priority to KR20201200032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7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7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7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033Heating devices using lamp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1Conductive ceramics, e.g. metal oxides, metal carbides, barium titanate, ferrites, zirconia, vitrous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벌브타입히터에 관한 것으로서, 소켓과 스템이 결합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외측에 결합된 벌브관과; 상기 벌브관 내에 결합된 세라믹히터부와; 상기 세라믹히터부가 상기 벌브관 내에 기립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히터지지부와; 상기 세라믹히터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세라믹히터부는, 세라믹판과; 상기 세라믹판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텅스텐발열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세라믹히터부를 갖는 벌브타입히터{BULB TYPE HEATER HAVING CERAMIC HEATER}
본 고안은 벌브타입히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발열체를 내장한 세라믹판을 갖는 벌브타입히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전구는 점등시 약 200℃의 열에너지를 방출하여 소정 공간에 대한 가온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열전구는 주로 가축의 축사, 욕실의 간이사우나, 가정용 화장실의 부분 난방기구, 또는 애완 동물 사육의 부분 난방기구 등으로 이용된다.
열전구는 등록실용 0341919호 "열전구 보호장치" 및 공개특허 2009-0042162호 "히터 램프" 등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열전구(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열전구는 베이스부(11)와, 소켓부(11a)와 투명한 유리관인 벌브(19)와, 벌브(19) 내부 전원 도입선(11b)을 포함한다. 또한, 발열체인 텅스텐(17)을 고정시켜 주는 고정대(13)와 지지대(15)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 열전구(10)는 발열체(17)로 니크롬선 또는 텅스텐선을 사용하여 전류가 흐를 때 발생되는 저항으로 발열 된다. 이에 의해 종래 열전구(10)는 소비전력이 높으며, 연속 사용시 수명이 짧아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열전구(10)는 빛의 조도가 높아 눈이 부시고 동물이 빛에 의한 눈부심으로 수면에 방해를 받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열전구(10)의 열 전달 방식은 발열체(17)로부터 발생된 열이 공기를 가열하여 주위의 온도를 가열하고 ,물체를 가열하는 방식이어서 열전달 거리가 짧으며, 그만큼 열 손실이 큰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발열체를 세라믹판 내부에 삽입하여 소비전력이 낮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벌브타입히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외관 형상을 전구형으로 형성하여 일반 조명기구에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벌브타입히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발열면적을 증가시켜 발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벌브타입히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벌브타입히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벌브타입히터는, 소켓과 스템이 결합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외측에 결합된 벌브관과; 상기 벌브관 내에 결합된 세라믹히터부와; 상기 세라믹히터부가 상기 벌브관 내에 기립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히터지지부와; 상기 세라믹히터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세라믹히터부는, 세라믹판과; 상기 세라믹판 내부에 결합되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발열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세라믹히터부는 상기 히터지지부를 중심으로 일정 각도 간격으로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히터지지부는, 상기 벌브관 내에 수직하게 형성된 지지대와; 상기 복수개의 세라믹히터부의 외주연을 감싸며 상기 지지대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고정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세라믹히터부는 90~150° 간격으로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세라믹히터부는 상기 히터지지부를 중심으로 복수개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히터지지부는, 상기 벌브관 내에 수직하게 형성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보조지지대와; 상기 복수개의 세라믹히터부의 외주연을 감싸며 상기 지지대 및 상기 보조지지대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고정밴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세라믹판 또는 상기 벌브관의 판면은 표면거칠기를 크게 하여 발열면적을 증가시킨다.
본 고안에 따른 벌브타입히터는 발열체가 내장된 세라믹히터부를 사용함으로써 열손실이 적고 열효율이 높다. 특히, 세라믹판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방열면적을 증가시켜 열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세라믹히터부는 빛 발산이 적어 가축의 수면에 방해를 주지 않아 축사 및 애완 동물 사육을 위한 보조 난방 기구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원예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식물의 발육 상태를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세라믹히터부를 사용하므로 풍부한 원적외선 방사로 살균 기능이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벌브타입히터는 종래의 열전구와 같이 외관 형상을 전구형으로 구비하여 일반 조명등기구에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벌브타입히터는 연속 발열 가능한 세라믹히터부를 사용하므로 폐기부산물이 발생되지 않아 친환경적이다.
도 1은 종래 열전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벌브타입히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벌브타입히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5 내지 8은 본 고안의 벌브타입히터의 세라믹히터부의 배치예를 도시한 예시도들이다.
본 고안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벌브타입히터(100)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에 따른 단면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벌브타입히터(100)는 전체적으로 열전구 형상으로 형성되어 조명기구에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벌브타입히터(100)는 베이스(110)와, 베이스(110)의 상부에 결합되어 조명기구(미도시)에 결합되는 소켓(120)과, 소켓(120)의 상부에 결합되며 세라믹히터부(150)를 수용하는 벌브관(130)과, 세라믹히터부(150)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40)와, 벌브관(130) 내부에 수용되는 복수개의 세라믹히터부(150)와, 세라믹히터부(150)가 벌브관(130) 내부에 기립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히터지지부(160)를 포함한다.
베이스(110)는 내부로 전원공급부(140)가 유입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베이스(110)의 상부에는 소켓(120)이 결합되어 벌브관(130)과, 벌브관(130) 내부의 세라믹히터부(150)가 조명기구(미도시)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벌브관(130)은 내부에 수용된 세라믹히터부(150)와 히터지지부(160)를 보호한다. 벌브관(130)은 일정 체적을 갖는 관 형태로 형성된다. 벌브관(130)은 세라믹히터부(150)에서 발생된 열을 견딜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이를 위해 벌브관(130)은 내열성을 갖는 경질유리 또는 세라믹재질로 형성된다. 벌브관(130)은 전체적으로 전구와 같은 형태로 형성된다. 벌브관(130) 내부에는 경우에 따라 할로겐 가스가 일정 압력으로 봉입될 수 있다. 벌브관(130)은 내부에 수용된 전원도입선(141)과 세라믹히터부(150)를 외부의 습도와 충격으로부터 보호한다.
전원공급부(140)는 세라믹히터부(150)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4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도입선(141)과, 베이스(110) 상부에 결합되는 스템(143)과, 스템(143) 내부에 관통 형성되는 배기관(145)과, 전원도입선(141)을 통해 유입된 전원을 세라믹히터부(150)로 공급하는 리드와이어(147)를 포함한다.
전원도입선(141)은 유리와 친화력이 좋으며 융점이 높은 몰리브덴 재질 또는 니켈재질이 사용된다. 전원도입선(141)은 용접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스템(143)에 압착된다. 리드와이어(147)는 세라믹히터부(15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지지대(161)에 연결된다.
한편, 세라믹히터부(150)와 리드와이어(147)가 연결되어지는 전원단자 영역에는 전원단자의 산화를 막기 위해 배기관(145)이 형성된다. 배기관(145)을 통해 벌브관(130)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여 진공상태를 형성하여 세라믹히터부(150)의 수명을 더욱 연장시킬 수 있다. 배기관(145)은 스템(143) 내부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세라믹히터부(150)는 세라믹판(151)과, 세라믹판(151) 내부에 수용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체(153)를 포함한다. 세라믹판(151)은 내부에 발열체(153)를 수용하여 발열체(153)를 보호한다. 이에 의해 발열체(153)의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세라믹판(151)은 파장이 가장 긴 영역인 원적외선(파장 5㎛~100㎛)을 이용하여 물체를 직접 가열하여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세라믹판(151)은 열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원거리까지 열을 전달할 수 있으며, 부산물이 없고, 무연, 무취, 무소음으로 실내외 설치가 가능하다.
한편, 세라믹판(151)의 판면에는 발열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 표면거칠기를 크게 하여 요철(151a)을 형성한다. 요철(151a)은 샌드블라스팅(sand blasting) 공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요철(151a)에 의해 세라믹판(151)의 표면적이 증가되므로 방열면적도 증가되게 된다.
세라믹판(151)의 내부에는 발열체(153)가 내장된다. 발열체(153)는 리드와이어(147)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한다. 발열체(153)의 발열에 의해 세라믹판(151)이 가열되어 외부로 열을 전달한다. 발열체(153)는 텅스텐이 사용되거나, 공지된 다른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발열체(153)의 발열에 의해 세라믹판(151)은 최대 720℃까지 순간적으로 발열할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세라믹히터부(150)는 벌브관(130) 내부에 복수개가 배치된다. 복수개의 세라믹히터부(150)는 일정 각도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격각도는 세라믹히터부(150)의 개수에 따라 상이하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같이 두 개가 구비될 경우, 세라믹히터부(150)의 이격각도는 90도~150도 범위로 형성된다. 두 개의 세라믹히터부(150)를 90도~150도로 배치할 경우, 벌브관(130) 외부로 균일하게 열이 발산될 수 있다. 또한, 벌브타입히터(100)를 조명기구(미도시)에 연결하였을 경우 발열면의 방향에 관계없이 고르게 열을 발산할 수 있다.
한편, 세라믹히터부(150)의 개수는 사용목적과 발열정도를 고려하여 가감될 수 있다. 세라믹히터부(150)를 세 개로 배치할 경우, 균일한 발열을 위해 각각을 60도~120도 간격으로 배치할 수도 있다.
히터지지부(160)는 복수개의 세라믹히터부(150)가 벌브관(130) 내에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히터지지부(160)는 수직하게 형성된 지지대(161)와, 복수개의 세라믹히터부(150)를 감싸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밴드(165)를 포함한다. 지지대(161)는 벌브관(130)의 상하방향으로 수직하게 일정길이 형성된다. 지지대(161)의 하부영역에는 지지대고정편(163)이 가로방향으로 절곡형성되어 스템(143)에 용접되어 고정된다. 지지대(161)의 상부영역에는 삽입고리(166)가 벌브관(130) 상부의 지지홈(131)에 삽입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즉, 지지대(161)는 상부와 하부가 벌브관(130) 내부에 고정된다.
고정밴드(165)는 세라믹판(151)의 외주연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지지대(161)와 연결되어 세라믹판(151)이 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고정밴드(165)는 세라믹판(151)의 발열에 영향을 끼치지 않기 위해 세라믹판(151)의 상부영역에 위치한다.
고정밴드(165)는 복수개의 세라믹판(151)이 90도~150도 각도 간격으로 위치하도록 지지대(161)에 연결된다. 복수개의 세라믹판(151)의 위치는 고정밴드(165)와 지지대(161)의 위치를 변경하여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벌브타입히터(100)의 작동과정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벌브타입히터(100)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W)의 조명기구로 설치할 수 있다. 천정(W)과 조명기구 연결소켓(미도시) 사이에는 반사커버(C)가 설치되어 벌브타입히터(100)에서 발생되는 열이 천정(W)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소켓(120)을 천정 내부의 조명기구 연결소켓(미도시)에 장착하여 위치를 고정한다. 소켓(120)의 연결에 의해 전원공급부(140)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고, 리드와이어(147)를 통해 발열체(153)로 전원이 공급된다.
발열체(153)가 발열되면, 발열체(153)를 감싸는 세라믹판(151)이 빠르게 가열되어 발열된다. 이 때, 세라믹판(151)의 판면에는 샌드블라스팅에 의해 요철(151a)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발열면적이 증가되어 발열효율이 증가된다.
복수개의 세라믹히터부(150)는 고정밴드(165)와 지지대(161)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흔들림 없이 위치가 고정된다.
이 때, 세라믹판(151)은 원적외선을 이용하여 물체를 직접 가열하게 되므로 연손실이 최소화된다. 이에 따라 열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발열체(153)가 세라믹판(151) 내부에 내장되므로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벌브타입히터는 발열체가 내장된 세라믹히터부를 사용함으로써 열손실이 적고 열효율이 높다. 특히, 세라믹판 표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방열면적을 증가시켜 열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세라믹히터부는 빛 발산이 적어 가축의 수면에 방해를 주지 않아 축사 및 애완 동물 사육을 위한 보조 난방 기구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원예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 식물의 발육 상태를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세라믹히터부를 사용하므로 풍부한 원적외선 방사로 살균 기능이 가능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벌브타입히터는 종래의 열전구와 같이 외관 형상을 전구형으로 구비하여 일반 조명등기구에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벌브타입히터는 연속 발열 가능한 세라믹히터부를 사용하므로 폐기부산물이 발생되지 않아 친환경적이다.
한편, 도 5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벌브타입히터의 세라믹히터부의 다양한 변형예들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벌브타입히터(100)는 세라믹히터부(150)가 두 개의 세라믹판(151)이 일정각도로 방사상으로 배치되었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벌브타입히터(100a)는 한 개의 세라믹히터부(150a)가 가운데 영역에 배치된다. 이 때, 벌브관(130)의 표면에도 요철(131)이 형성되어 방열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요철(131)은 샌드블라스팅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벌브타입히터(100b)는 두 개의 세라믹히터부50a, 150b)가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 때, 두 개의 세라믹히터부(150a,150b)를 지지하기 위해 지지대(161)에 보조지지대(167)이 수직하게 연결된다. 한 개의 세라믹히터부(150a)는 지지대(161)에 제1고정밴드(165)에 의해 연결되고, 나머지 세라믹히터부(150b)는 보조지지대(167)에 연결된 제2고정밴드(167)에 의해 연결된다.
한편, 도 7은 세 개의 세라믹히터부(150a, 150b, 150c)가 구비된 경우이다. 이 경우, 두 개의 세라믹히터부(150a,150b)는 지지대(161)에 양쪽으로 연결되고, 나머지 한 개의 세라믹히터부(150c)는 보조지지대(167)에 연결된다.
한편, 도 8은 네 개의 세라믹히터부(150a,150b,150c,150d)가 구비된 경우이다. 이 경우, 두 개의 세라믹히터부(150a,150b)는 지지대(161)에 양쪽으로 연결되고, 나머지 두 개의 세라믹히터부(150c, 150d)는 보조지지대(167)에 연결된다.
상술한 네 가지 경우 외에도 세 개 또는 네 개의 세라믹히터부가 지지대(161)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이중구조를 갖는 차양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램프 110 : 베이스
120 : 소켓 130 : 벌브관
131 : 지지홈 140 : 전원공급부
141 : 전원도입선 143 : 스템
145 : 배기관 147 : 리드와이어
150 : 세라믹히터부 151 : 세라믹판
151a : 요철 153 : 발열체
160 : 히터지지부 161 : 지지대
163 : 지지대고정편 165 : 고정밴드
166 : 삽입고리 167 : 보조지지대

Claims (5)

  1. 소켓과 스템이 결합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외측에 결합된 벌브관과;
    상기 벌브관 내에 결합된 세라믹히터부와;
    상기 세라믹히터부가 상기 벌브관 내에 기립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히터지지부와;
    상기 세라믹히터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세라믹히터부는,
    원적외선이 방사되며 요철이 형성된 세라믹판과, 상기 세라믹판 내부에 내장되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며 텅스턴 재질인 발열체를 포함하고, 상기 히터지지부를 중심으로 90~150°간격으로 복수개가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브타입히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지지부는,
    상기 벌브관 내에 수직하게 형성된 지지대와;
    상기 복수개의 세라믹히터부의 외주연을 감싸며 상기 지지대와 연결되는 복수개의 고정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브타입히터.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벌브관의 판면은 표면거칠기를 크게 하여 발열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브타입히터.
KR2020120003239U 2012-04-20 2012-04-20 세라믹히터부를 갖는 벌브타입히터 KR2004627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239U KR200462791Y1 (ko) 2012-04-20 2012-04-20 세라믹히터부를 갖는 벌브타입히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3239U KR200462791Y1 (ko) 2012-04-20 2012-04-20 세라믹히터부를 갖는 벌브타입히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2791Y1 true KR200462791Y1 (ko) 2012-10-02

Family

ID=47560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3239U KR200462791Y1 (ko) 2012-04-20 2012-04-20 세라믹히터부를 갖는 벌브타입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79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46315B2 (ja) Led照明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用いた照明ランプ
JP5873067B2 (ja) Led照明管及び植物栽培用照明装置
KR100903305B1 (ko) 엘이디 조명 장치
US20110038148A1 (en) Led light fixture
KR101343987B1 (ko) Led 조명장치
CN102410462B (zh) 一体化led照明光源
KR20100081558A (ko) 백열전구 대체형 엘이디 램프
KR101205555B1 (ko) 온열치료기용 온열투광기
KR200462791Y1 (ko) 세라믹히터부를 갖는 벌브타입히터
CN201496794U (zh) 暖棚灯
JP2020522856A (ja) 放熱機能が強化されたled照明ランプ
KR20130006242U (ko) 세라믹히터부를 갖는 벌브타입히터
CN204358829U (zh) 光波取暖器的一种新型散热结构
ES2793402T3 (es) Nueva bombilla de luz LED
CN201724052U (zh) Led立体球泡灯
CN204986886U (zh) 一种莲花型led灯用支撑件
KR20140005455A (ko) 엘이디 전구의 방열구조
KR101115188B1 (ko) 축사 천장용 발열등
KR20110121843A (ko) 탄소섬유 발열선을 이용한 원적외선 히터
CN206093754U (zh) 一种方便热量导出的led灯具
CN221076424U (zh) 一种照明灯
KR200212033Y1 (ko)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조명장치
KR200465903Y1 (ko) 엘이디 조명등
CN208058469U (zh) 一种高硼硅玻璃外壳360°发光led装置
RU2014134971A (ru) Газоразрядная ламп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