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760Y1 - 지진신호를 측정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지진신호를 측정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760Y1
KR200462760Y1 KR2020120005980U KR20120005980U KR200462760Y1 KR 200462760 Y1 KR200462760 Y1 KR 200462760Y1 KR 2020120005980 U KR2020120005980 U KR 2020120005980U KR 20120005980 U KR20120005980 U KR 20120005980U KR 200462760 Y1 KR200462760 Y1 KR 2004627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gger
signal
data
earthquake
conv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59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동환
Original Assignee
윤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동환 filed Critical 윤동환
Priority to KR20201200059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7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7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7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22Transmitting seismic signals to recording or processing apparatu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28Processing seismic data, e.g. for interpretation or for event dete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o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지진신호를 측정하는 장치는 감지된 아날로그 지진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지진신호를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측정 데이터가 트리거 조건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트리거 처리부와; 상기 트리거 처리부에서 트리거 조건에 해당한다고 판단된 측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트리거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트리거 데이터 저장부에서 저장된 지진신호 측정 데이터를 트리거 데이터로 저장하는 트리거 데이터 저장 메모리와; 상기 트리거 처리부에서 트리거 조건이 확인된 측정 데이터를 무손실 압축하는 압축처리부와; 상기 압축처리부에서 무손실된 측정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부와; 상기 전송부에서 전송되는 측정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링버퍼와; 상기 트리거 처리부와 상기 압축처리부와 상기 전송부에 대한 제어를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있는 구성이다.
본 고안에 의한 장치는 실시간으로 측정된 지진 신호 측정 데이터를 무손실 압축하여 링버퍼 저장 구조에 일시 저장함과 동시에 지진 센터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므로, 통신 사정으로 인해 전송을 할 수 없을 때나, 전송 오류시에는 일시 저장된 데이터를 재전송할 수가 있으며, 지진 신호 측정 데이터를 무손실 압축함으로서, 저장 공간의 절약 및 전송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진신호를 측정하는 장치{A Seismo Signal Measurement Apparatus}
본 고안은 지진신호를 측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진 신호 측정 데이터를 일시 저장함과 동시에 지진 센터에 실시간으로 전송하고, 전송 선로 등의 사정으로 전송이 일시 중단 되었다가 전송 선로가 회복되었을 때에는, 일시 저장되었던 측정 데이터를 다시 전송하도록 하는 지진신호를 측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진이란 지구 내부 어딘가에서 급격한 지각 변동이 생겨 그 충격으로 생긴 파동, 즉 지진파가 지표면까지 전해져 지반을 흔드는 것을 말하며, 학술적으로는 "탄성 에너지원으로부터 지진파가 전파됨으로써 발생하는 지구의 진동"이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지진은 넓은 지역에서 거의 동시에 감지된다. 이때 각 지역의 흔들림의 정도, 즉 진도를 조사해보면 어느 좁은 범위 내에서는 가장 세고, 그 곳으로 부터 멀어지면 흔들림이 약하게 되어, 먼 곳에서는 흔들림을 느끼지 못하게 된다. 이것은 마치 음파가 사방으로 울려 퍼지는 것과 같은 성질을 갖고 있다.
지진의 크기 즉, 진도는 지진의 규모와 진앙 거리, 그리고 진원과의 깊이에 따라 좌우된다. 진도는 여러 등급으로 나뉘며, 세계적으로 통일되어 있지 않고, 나라마다 실정에 맞는 척도를 채택하고 있다. 우리나라 기상청은 일본 기상청에서 분류한 등급(JMA Scale)을 사용한다. JMA 스케일은 8등급인 반면 미국에서 시작되어 여러 나라에서 사용하고 있는 MM 스케일과 국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MSK 스케일은 12등급을 갖는다.
이러한 지진신호를 측정하는 곳은 통상 지진 센터와 거리가 멀리 떨어져 있어, 선로의 불안정이나 지진 센터의 사정으로 실시간으로 측정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에 대비해 효율적으로 지진 신호 측정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일시 저장 및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전송 시간의 단축과 저장 공간을 절약하기 위하여 데이터의 압축 또한 함께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선행기술자료로써, 특허등록 제10-1004656호(공고일자 2011. 01. 03)에 의하면, 측정 레인지를 변경하지 않고 넓은 동적 레인지를 가지고 지진신호를 측정하는 이중 A/D변환기를 가진 실시간 지진신호 측정장치 및 측정방법에 관한 특허자료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장치는 실시간으로 측정된 지진 신호 측정 데이터를 무손실 압축하여 일시 저장 장소에 저장함과 동시에 전송하는 링버퍼 저장 구조를 가진 '지진신호를 측정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지진신호를 측정하는 장치는 감지된 아날로그 지진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지진신호를 측정하는 측정부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된 측정 데이터가 트리거 조건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트리거 처리부와; 상기 트리거 처리부에서 트리거 조건에 해당한다고 판단된 측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트리거 데이터 저장부와; 상기 트리거 데이터 저장부에서 저장된 지진신호 측정 데이터를 트리거 데이터로 저장하는 트리거 데이터 저장 메모리와; 상기 트리거 처리부에서 트리거 조건이 확인된 측정 데이터를 무손실 압축하는 압축처리부와; 상기 압축처리부에서 무손실된 측정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부와; 상기 전송부에서 전송되는 측정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링버퍼와; 상기 트리거 처리부와 상기 압축처리부와 상기 전송부에 대한 제어를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있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측정부는, 지진신호를 감지하는 지진 센서와; 상기 지진 센서에서 감지된 미세한 지진신호를 측정할 수 있도록 증폭하는 증폭기와; 상기 증폭기에서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 1 A/D 변환기와; 상기 지진 센서에서 감지된 지진신호 중 제 1 A/D 변환기 및 제 2 A/D 변환기의 최대 허용 입력폭을 벗어나는 신호에 대하여는 제 2 A/D 변환기의 허용 입력폭에 맞는 레벨로 감쇠하는 감쇠기와; 상기 감쇠기에서 감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 2 A/D 변환기와; 상기 제 1 A/D 변환기에서 변환된 신호를 상기 증폭기에서 증폭한 비율만큼 감쇠시켜 신호의 크기를 복원하는 제 1 데이터 스케일러와; 상기 제 2 A/D 변환기에서 변환된 신호를 상기 감쇠기에서 감쇠한 비율만큼 증폭시켜 신호의 크기를 복원하는 제 2 데이터 스케일러와; 제 1 A/D 변환기의 출력 및 제 2 A/D 변환기의 출력이 입력되며, 제 2 A/D 변환기의 출력이 기 설정된 레벨 이하로 내려가거나 제 1 A/D 변환기의 출력이 기 설정된 레벨 이상이 되면 양의 선택 신호를 발생하고, 반대의 경우에는 음의 선택 신호를 발생하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에서 양의 선택 신호가 발생하면, 제 1 데이터 스케일러의 출력 데이터를 취하고, 상기 비교기에서 음의 선택 신호가 발생하면 제 2 데이터 스케일러의 출력 데이터를 취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셀렉터와; 상기 데이터 셀렉터의 출력 데이터에서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디지털 필터로 구성된다.
상기 트리거 처리부는 측정된 지진신호가 일정 레벨 이상이 되면 측정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지정하는 트리거 레벨 설정 테이블과; 측정된 지진신호가 일정 레벨로 일정 시간 이상 지속 되면 측정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지정하는 트리거 시간 설정 테이블과; 외부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면 측정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지정하는 트리거 메시지 설정 테이블과; 외부로부터 이벤트가 발생하면 측정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지정하는 트리거 이벤트 설정 테이블로 구성되어 있는 지진신호를 측정하는 장치를 제시한다.
본 고안에 의한 '지진신호를 측정하는 장치'는 실시간으로 측정된 지진 신호 측정 데이터를 무손실 압축하여 링버퍼 저장 구조에 일시 저장함과 동시에 지진 센터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므로, 통신 사정으로 인해 전송을 할 수 없을 때나, 전송 오류시에는 일시 저장된 데이터를 재전송할 수가 있으며, 지진 신호 측정 데이터를 무손실 압축함으로서, 저장 공간의 절약 및 전송 시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측정부에 대한 세부 구성도이며,
도 3은 링버퍼의 구조에 관한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장치에 의한 지진신호의 측정 처리 흐름도이며,
도 5는 트리거 처리에 관한 트리거 처리 흐름도이며,
도 6은 트리거 설정에 관한 트리거 설정 처리 흐름도이며,
도 7은 트리거 테이블 구성에 관한 트리거 테이블 구성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지진신호를 측정하는 장치'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의 실시 예는 단지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지진신호를 측정하는 장치는 감지된 아날로그 지진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지진신호를 측정하는 측정부(101)와; 상기 측정부(101)에서 측정된 측정 데이터가 트리거 조건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트리거 처리부(105)와; 상기 트리거 처리부(105)에서 트리거 조건에 해당한다고 판단된 측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트리거 데이터 저장부(107)와; 상기 트리거 데이터 저장부(107)에서 저장된 지진신호 측정 데이터를 트리거 데이터로 저장하는 트리거 데이터 저장 메모리(109)와; 상기 트리거 처리부(105)에서 트리거 조건이 확인된 측정 데이터를 무손실 압축하는 압축처리부(111)와; 상기 압축처리부(111)에서 무손실된 측정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부(113)와; 상기 전송부(111)에서 전송되는 측정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링버퍼(115)와; 상기 트리거 처리부(105)와 상기 압축처리부(111)와 상기 전송부(113)에 대한 제어를 하는 제어부(103)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측정부(101)는, 지진신호를 감지하는 지진 센서(201)와; 상기 지진 센서(201)에서 감지된 미세한 지진신호를 측정할 수 있도록 증폭하는 증폭기(203)와;
상기 증폭기(203)에서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 1 A/D 변환기(207)와; 상기 지진 센서(201)에서 감지된 지진신호 중 제 1 A/D 변환기(207) 및 제 2 A/D 변환기(209)의 최대 허용 입력폭을 벗어나는 신호에 대하여는 제 2 A/D 변환기(209)의 허용 입력폭에 맞는 레벨로 감쇠하는 감쇠기(205)와; 상기 감쇠기(205)에서 감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 2 A/D 변환기(209)와; 상기 제 1 A/D 변환기(207)에서 변환된 신호를 상기 증폭기(203)에서 증폭한 비율만큼 감쇠시켜 신호의 크기를 복원하는 제 1 데이터 스케일러(213)와; 상기 제 2 A/D 변환기(209)에서 변환된 신호를 상기 감쇠기(205)에서 감쇠한 비율만큼 증폭시켜 신호의 크기를 복원하는 제 2 데이터 스케일러(215)와; 제 1 A/D 변환기(207)의 출력 및 제 2 A/D 변환기(209)의 출력이 입력되며, 제 2 A/D 변환기(209)의 출력이 기 설정된 레벨 이하로 내려가거나 제 1 A/D 변환기(207)의 출력이 기 설정된 레벨 이상이 되면 양의 선택 신호를 발생하고, 반대의 경우에는 음의 선택 신호를 발생하는 비교기(211)와; 상기 비교기(211)에서 양의 선택 신호가 발생하면, 제 1 데이터 스케일러(213)의 출력 데이터를 취하고, 상기 비교기(211)에서 음의 선택 신호가 발생하면 제 2 데이터 스케일러(215)의 출력 데이터를 취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셀렉터(217)와; 상기 데이터 셀렉터(217)의 출력 데이터에서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디지털 필터(219)로 구성된다.
상기 트리거 처리부(105)는 측정된 지진신호가 일정 레벨 이상이 되면 측정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지정하는 트리거 레벨 설정 테이블(703)과; 측정된 지진신호가 일정 레벨로 일정 시간 이상 지속 되면 측정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지정하는 트리거 시간 설정 테이블(705)과; 외부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면 측정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지정하는 트리거 메시지 설정 테이블(707)과; 외부로부터 이벤트가 발생하면 측정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지정하는 트리거 이벤트 설정 테이블(709)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측정부(101)는 지진 신호 센서에 감지된 아날로그 지진 신호를 측정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측정부(101)에서 측정된 지진 신호 측정 데이터는 트리거 처리부(105)에 의해 감시되며, 트리거 처리부(105)는 트리거 조건을 트리거 테이블에 설정해두고, 트리거 조건에 일치하는지를 판단하여, 조건이 일치하면 트리거를 발생시키고, 트리거가 발생한 지진 신호 측정 데이터는 트리거 데이터 저장부(107)를 통하여 저장한다. 트리거 조건은 필터링 알고리즘에 의해서도 설정 가능하다. 또한, 상기 트리거 처리부(105)와 상기 압축처리부(111)와 상기 전송부(113)에 대한 제어를 하는 제어부(103)를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데이터 저장부(107)에서 저장된 지진신호 측정 데이터를 트리거 데이터로 저장하는 트리거 데이터 저장 메모리(109)를 구성하고 있다.
압축처리부(111)는 지진 신호 측정 데이터를 무손실 압축된다. 압축 방법은 일정 주기로 원본 데이터를 제공하고, 원본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여 변동된 값을 연속적으로 추가하여, 데이터 표현에 필요한 데이터의 양을 줄이는 방식이다. 원본 데이터와의 차이값인 변동치의 크기에 대한 표현은 최소치(4bit)에서 최대치(24bit) 사이로 표현된다. 압축처리부(111)에 의하여 압축된 데이터는 전송부(113)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 전송부(113)에서는 전송과 동시에 전송할 데이터를 링버퍼(115)에 저장한다.
도 2는 도 1의 측정부(101)를 상세하게 나타낸 세부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지진 신호는 지진 센서(201)에 의해 감지된다. 지센 센서(201)는 일반적으로 3축 가속도 센서로 이루어져 있다. 지진 신호는 수 볼트에서 수백 나노 볼트까지 변동폭이 매우 넓어, 하나의 A/D 변환기가 레인지를 변경하지 않고 측정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난다.
따라서 증폭기(203)는 미세한 신호를 측정할 수 있도록 증폭된 신호를 제 1 A/D 변환기(207)에 공급한다. 한편 수 볼트가 넘는 큰 신호는 A/D 변환기(207, 209)의 최대 허용 입력 폭을 벗어나므로, 감쇠가 필요하다. 따라서, 감쇠기(205)는 신호를 제 2 A/D 변환기(209)에 적합한 레벨로 감쇠하는 역할을 한다. 제 1 A/D 변환기(207)와 제 2 A/D 변환기(209)는 병렬로 연결되어 있어 동시에 A/D 변환을 하여 측정이 이루어진다.
제 1 데이터 스케일러(213)는 제 1 A/D 변환기(207)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증폭기에서 증폭한 것과 동일한 비율로 나누어 주어 원래 증폭전의 신호를 복원하는 역할을 하며, 제 2 데이터 스케일러(215)는 제 2 A/D 변환기(209)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감쇠기(105)에서 감쇠한 비율만큼 곱하여 주어 원래 감쇠전의 신호를 복원한다.
비교기(211)에서는 제 2 A/D 변환기(209)의 출력 또는 제 1 A/D 변환기(207)의 출력이 입력되며, 제 2 A/D 변환기(209)의 출력이 기 설정된 레벨 이하로 내려가거나, 제 1 A/D 변환기(207)의 출력이 기 설정된 레벨 이상이 되면, 비교기(211)에서는 양의 선택 신호가 발생하고, 반대의 경우에는 음의 선택 신호가 발생한다. 데이터 셀렉터(217)는 비교기(211)에서 양의 비교 신호가 발생하면, 제 1 데이터 스케일러(213)의 출력 데이터를 취하고, 비교기(211)에서 음의 비교 신호가 발생하면 제 2 데이터 스케일러(217)의 출력 데이터를 취하여 출력한다.
디지털 필터(219)는 데이터 셀렉터(217)의 출력 데이터에서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링버퍼 저장부(301)에 저장된 데이터는 상대방으로 부터 응답 신호를 받으면 삭제하고, 그렇지 않으면 링버퍼에 계속 저장한다. 링버퍼 저장부(301)가 차면(full), 가장 오래된 순으로 버퍼를 삭제하고 삭제된 자리에는 새로운 데이터가 기록된다.
상대측에서 재전송을 요구하면, 링버퍼 저장부(301)에 있는 데이터를 재전송하며, 상기 링버퍼(115)의 구조는 링버퍼 저장부(301)의 양쪽 끝이 연결되어 있고, 링버퍼 헤드 포인터(305)는 링버퍼 저장부(301)의 시작점을 가리키며, 링버퍼 저장부(301)에 새로운 데이터를 넣으면 하나씩 앞으로 증가한다.
링버퍼 테일 포인터(303)는 링버퍼 저장부(301)의 마지막을 가리키며, 링버퍼 헤드 포인터(305)는 링버퍼 테일 포인터(303)를 앞서 갈 수는 없다. 링버퍼 헤드 포인터(305)와 링버퍼 테일 포인터(303)가 이웃하게 되면, 링버퍼 헤드 포인터(305)의 이동에 따라 링버퍼 테일 포인터(303)도 같이 앞으로 이동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지진 신호 측정 장치는 먼저 자기 진단 및 calibration을 한다(S401), 자기 진단 및 calibration이 끝나면, 측정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측정 수집하며(S403), 수집된 측정 데이터는 실시간 디지털 필터링을 거처(S405), 측정 데이터가 기설정된 트리거 조건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한다(S409). 트리거 조건에 해당하면(409), 트리거 데이터 저장부(107)을 통하여 저장한다. 측정 데이터는 GPS 시간에 동기된 카렌더 데이터 정보 즉 시각 정보를 결합한 후(S411), 시각 정보가 결합된 지진 정보 측정 데이터를 압축처리부(111)를 통하여 압축한다(S413). 압축된 지진 정보 측정 데이터는 전송부(113)를 통하여 전송되며, 전송 오류시 재전송을 위하여 링버퍼(115)에도 함께 저장한 후(S415), 전송한다(S417). 만약 재전송을 요구하면(S421),링버퍼(115)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와(S419) 재전송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트리거 처리는 트리거 발생하는 조건을 트리거 테이블에 설정하는 트리거 설정 단계(S501)와 트리거 테이블에 설정한 조건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트리거 발생 판단 단계(S503)와 트리거가 발했다고 판단했을 시, 발생한 트리거 데이터를 저장하는 트리거 데이터 저장 단계(S505)를 가지며, 필요시 요청에 의하여 트리거 데이터를 전송하는 트리거 데이터 전송 단계(S507)로 이루어진다.
도 6은 트리거 조건 설정을 나타낸 것으로, 트리거 조건 설정 단계는 지진 신호 레벨이 특정 레벨 이상이면 트리거로 인식하는 레벨에 의한 트리거 레벨 설정 단계(S601)와, 신호가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면 트리거로 인식하는 트리거 시간 설정 단계(S603)와, 특정 메시지를 수신하면 트리거로 인식하도록 하는 설정하는 트리거 메시지 설정 단계(S605)와,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트리거로 인식하게 하는 트리거 이벤트 설정 단계(S607)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이벤트는 외부에서 릴레이 등을 동작시켜 전기적 신호를 주는 경우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도 7은 트리거 처리부(111) 내부에 있는 트리거 조건 등록 데이블(701)을 나타낸 것으로, 트리거 조건 등록 데이블(701)은 측정된 지진 신호가 일정 레벨이상이 되면 측정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지정하는 트리거 레벨 설정 테이블(703)과; 측정된 지진 신호가 일정 레벨로 일정 시간 이상 지속 되면 측정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지정하는 트리거 시간 설정 테이블(705)과; 외부로 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면 측정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지정하는 트리거 메시지 설정 테이블(707)과; 외부로 부터 이벤트가 발생하면 측정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지정하는 트리거 이벤트 설정 테이블(709)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테이블에 설정된 조건중에서 어느 하나라도 조건이 만족하면 측정된 지진 신호 측정 데이터를 트리거 데이터 저장부(107)에서 트리거 데이터 저장 메모리(109)에 트리거 데이터로 저장한다.
101 : 측정부 103 : 제어부
105 : 트리거 처리부 107 : 트리거 데이터 저장부
109 : 트리거 데이터 저장 메모리 111 : 압축처리부
113 : 전송부 115 : 링버퍼
201 : 지진 센서 203 : 증폭기
205 : 감쇠기 207 : 제 1 A/D 변환기
209 : 제 2 A/D 변환기 211 : 비교기
213 : 제 1 데이터 스케일러 215 : 제 2 데이터 스케일러
217 : 데이터 셀렉터 219 : 티지털 필터
301 : 링버퍼 저장부 303 : 링버퍼 테일 포인터
305 : 링버퍼 헤드 포인터

Claims (1)

  1. 지진신호를 측정하는 장치에 있어서,
    감지된 아날로그 지진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지진신호를 측정하는 측정부(101)와;
    상기 측정부(101)에서 측정된 측정 데이터가 트리거 조건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하는 트리거 처리부(105)와;
    상기 트리거 처리부(105)에서 트리거 조건에 해당한다고 판단된 측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트리거 데이터 저장부(107)와;
    상기 트리거 데이터 저장부(107)에서 저장된 지진신호 측정 데이터를 트리거 데이터로 저장하는 트리거 데이터 저장 메모리(109)와;
    상기 트리거 처리부(105)에서 트리거 조건이 확인된 측정 데이터를 무손실 압축하는 압축처리부(111)와;
    상기 압축처리부(111)에서 무손실된 측정 데이터를 전송하는 전송부(113)와;
    상기 전송부(111)에서 전송되는 측정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링버퍼(115)와;
    상기 트리거 처리부(105)와 상기 압축처리부(111)와 상기 전송부(113)에 대한 제어를 하는 제어부(103)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101)는, 지진신호를 감지하는 지진 센서(201)와;
    상기 지진 센서(201)에서 감지된 미세한 지진신호를 측정할 수 있도록 증폭하는 증폭기(203)와;
    상기 증폭기(203)에서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 1 A/D 변환기(207)와;
    상기 지진 센서(201)에서 감지된 지진신호 중 제 1 A/D 변환기(207) 및 제 2 A/D 변환기(209)의 최대 허용 입력폭을 벗어나는 신호에 대하여는 제 2 A/D 변환기(209)의 허용 입력폭에 맞는 레벨로 감쇠하는 감쇠기(205)와;
    상기 감쇠기(205)에서 감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제 2 A/D 변환기(209)와;
    상기 제 1 A/D 변환기(207)에서 변환된 신호를 상기 증폭기(203)에서 증폭한 비율만큼 감쇠시켜 신호의 크기를 복원하는 제 1 데이터 스케일러(213)와;
    상기 제 2 A/D 변환기(209)에서 변환된 신호를 상기 감쇠기(205)에서 감쇠한 비율만큼 증폭시켜 신호의 크기를 복원하는 제 2 데이터 스케일러(215)와;
    제 1 A/D 변환기(207)의 출력 및 제 2 A/D 변환기(209)의 출력이 입력되며, 제 2 A/D 변환기(209)의 출력이 기 설정된 레벨 이하로 내려가거나 제 1 A/D 변환기(207)의 출력이 기 설정된 레벨 이상이 되면 양의 선택 신호를 발생하고, 반대의 경우에는 음의 선택 신호를 발생하는 비교기(211)와;
    상기 비교기(211)에서 양의 선택 신호가 발생하면, 제 1 데이터 스케일러(213)의 출력 데이터를 취하고, 상기 비교기(211)에서 음의 선택 신호가 발생하면 제 2 데이터 스케일러(215)의 출력 데이터를 취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셀렉터(217)와;
    상기 데이터 셀렉터(217)의 출력 데이터에서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디지털 필터(219)로 구성되며,
    상기 트리거 처리부(105)는 측정된 지진신호가 일정 레벨 이상이 되면 측정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지정하는 트리거 레벨 설정 테이블(703)과;
    측정된 지진신호가 일정 레벨로 일정 시간 이상 지속 되면 측정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지정하는 트리거 시간 설정 테이블(705)과;
    외부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면 측정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지정하는 트리거 메시지 설정 테이블(707)과;
    외부로부터 이벤트가 발생하면 측정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지정하는 트리거 이벤트 설정 테이블(709)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진신호를 측정하는 장치.
KR2020120005980U 2012-07-09 2012-07-09 지진신호를 측정하는 장치 KR2004627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980U KR200462760Y1 (ko) 2012-07-09 2012-07-09 지진신호를 측정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980U KR200462760Y1 (ko) 2012-07-09 2012-07-09 지진신호를 측정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2760Y1 true KR200462760Y1 (ko) 2012-10-05

Family

ID=47559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5980U KR200462760Y1 (ko) 2012-07-09 2012-07-09 지진신호를 측정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76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72859A3 (en) * 2013-02-28 2015-05-20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Configuration data based diagnostic capture
KR101553229B1 (ko) * 2015-01-30 2015-09-15 주식회사 아이디테크 실시간 로그 데이터를 이용한 출입통제시스템
KR20180043710A (ko) 2016-10-20 2018-04-30 송홍준 전력선의 누설전류를 이용한 씽크 홀 감지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3562A (ja) 1999-07-15 2001-02-09 Akashi Corp データロガー及び振動計測システム
KR100365139B1 (ko) 2000-04-04 2003-02-06 한국가스공사연구개발원 지진파 수신 장치
KR101004656B1 (ko) 2009-03-17 2011-01-03 (주)오토시스 이중 a/d 변환기를 갖는 실시간 지진 신호 측정 장치 및 그 측정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3562A (ja) 1999-07-15 2001-02-09 Akashi Corp データロガー及び振動計測システム
KR100365139B1 (ko) 2000-04-04 2003-02-06 한국가스공사연구개발원 지진파 수신 장치
KR101004656B1 (ko) 2009-03-17 2011-01-03 (주)오토시스 이중 a/d 변환기를 갖는 실시간 지진 신호 측정 장치 및 그 측정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72859A3 (en) * 2013-02-28 2015-05-20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Configuration data based diagnostic capture
US9213626B2 (en) 2013-02-28 2015-12-15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Configuration data based diagnostic data capture
KR101553229B1 (ko) * 2015-01-30 2015-09-15 주식회사 아이디테크 실시간 로그 데이터를 이용한 출입통제시스템
KR20180043710A (ko) 2016-10-20 2018-04-30 송홍준 전력선의 누설전류를 이용한 씽크 홀 감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63656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collecting acoustic data
KR200462760Y1 (ko) 지진신호를 측정하는 장치
US11024421B2 (en) Method for automatic determination of an individual function of a DPOAE level
KR102026643B1 (ko) Ict기반 실시간 광산 내 변위 모니터링 시스템
EP1662237A2 (en) A level measurement apparatus
KR102003382B1 (ko) 실시간 지진 판별 및 조기 경보 기능을 구비한 지진동 기록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지진동 판별 방법
NO335439B1 (no) Datastyring ved seismisk akkvirering med bruk av variabelt kompresjonsforhold som funksjon av bakgrunnsstøy
US20160011325A1 (en) Earthquake prediction device
JP7079930B2 (ja) マルチチャンネルストリーマケーブル
CN207114018U (zh) 用于测试声发射传感器的装置
KR101004656B1 (ko) 이중 a/d 변환기를 갖는 실시간 지진 신호 측정 장치 및 그 측정 방법
JP4502843B2 (ja) 直下型地震発生検出システム
JP6113691B2 (ja) センサ装置、処理装置、センサシステム及び物理量の出力方法
CN204556849U (zh) 测耦检波器
US6525990B2 (en) Target simulation system and method
US20050178191A1 (en) Measuring device for volume of engine combustion chamber
CN102042003A (zh) 一种数字声波和变密度综合测井仪
CN201554458U (zh) 一种数字声波和变密度综合测井仪
CN109655269B (zh) 一种马达震动检测方法及装置
CN107132570A (zh) 数字水听器系统
JP2021076493A (ja) 測定システム
JP2006038694A (ja) データサンプリングシステム
KR20160096007A (ko) 소리 수집 단말, 소리 제공 단말, 소리 데이터 처리 서버 및 이들을 이용한 소리 데이터 처리 시스템
JP2947727B2 (ja) 地下湧水の検知方法及び地下湧水監視装置
RU161978U1 (ru) Гидроакустическая станция, совмещенная с акустическим модемо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