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629Y1 - 다슬기 양식 수조와 배수 시설 - Google Patents

다슬기 양식 수조와 배수 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629Y1
KR200462629Y1 KR2020090011258U KR20090011258U KR200462629Y1 KR 200462629 Y1 KR200462629 Y1 KR 200462629Y1 KR 2020090011258 U KR2020090011258 U KR 2020090011258U KR 20090011258 U KR20090011258 U KR 20090011258U KR 200462629 Y1 KR200462629 Y1 KR 2004626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water
auxiliary
pipe
cul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12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2242U (ko
Inventor
박근우
Original Assignee
박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근우 filed Critical 박근우
Priority to KR20200900112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629Y1/ko
Publication of KR201100022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2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6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62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5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 A01K61/51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hellfish of gastropods, e.g. abalones or turban sn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03Aquaria; Terraria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슬기 양식 수조와 배수 시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슬기 양식 수조는 다슬기의 생태 특성상 바닥과 벽면을 붙어서 이동하며 먹이활동을 하므로 수조에 들어가지 않고 쉽게 청소할 수 있는 수로형 수조와 다슬기가 배수 배관을 타고 배수관을 막거나 외부로 유실되지 않도록 다슬기 부착방지 급수관(7)과 다슬기 부착방지 배수관(8)으로 구성된 각각의 보조탱크로 이루어진다. 양식 수조는 외부에서 청소 및 작업이 용이하도록 양식 수조 넓이와 높이를 90cm~100cm로, 길이는 30m~50m의 수로 형태이며 3개의 양식 수조가 1번2번 수조 양식수 이송관(9), 2번3번 수조 양식수 이송관(10)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셋트를 이룬다. 각각의 양식 수조에는 급수 보조탱크와 배수 보조탱크가 구성되어 있으며 다슬기 부착방지 급수관(7)을 통해 양식 수조로 급수된 양식수는 수조에서 흘러 다슬기 부착방지 배수관(8)을 통해 배수 보조탱크로 이동하게 된다. 1번 수조 급수 보조탱크(21)에 공급된 양식수는 1번 수조를 돌아 1번 수조 배수 보조탱크(22)로 가게되고 1번 2번 수조 양식수 이송관(9)을 통해 2번 수조를 거쳐 2번3번 수조 양식수 이송관(10)을 타고 3번 수조까지 흘러 3번 수조 배수 보조 탱크(26)에 구성되어 있는 도 2의 수위 조절 배수관(11)통해 배수펌프 없이 배수되며 3개의 양식 수조가 동일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Figure 112011035536884-utm00005
섭식, 치폐, 성폐, 유실, 배수, 양식수, 폐사율

Description

다슬기 양식 수조와 배수 시설 { semisulcospira farming water tank and drain-age }
본 고안은 다슬기 양식장의 양식 수조를 청소하기 쉬우면서도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배수관의 배수구로 다슬기가 유실되거나 배수구가 막히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자 수로형태의 수조 3개가 각각의 급수 보조탱크와 배수 보조탱크를 구성하고 다슬기 부착방지 급수관(7)과 다슬기 부착방지 배수관(8)을 이용해 급수 및 배수를 하므로써 다슬기의 유실 없이 항상 양식장를 청결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다슬기는 생태 특성상 바닥과 벽면을 붙어서 이동하며 먹이 활동을 하는데 먹이 섭식 속도가 매우 느려 먹지 못하고 부패 되는 사료와 배설물로 인해 양식 수조 바닥의 오염상태는 매우 심하다. 따라서 자주 양식 수조를 청소해야 하지만 청소시 내부로 들어가 청소할 수 없기 때문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일반 어류 양식장의 배수 시설은 다슬기로 인해 배수 모터가 고장 나거나 다슬기가 유실될 수 있고 모터를 설치하지 않은 배수관이라 하더라도 배수관에 붙어 배수구를 막거나 유실 될 수 있어 다슬기 양식을 어렵게 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다슬기 양식은 청소에 적합한 시설과 배수방법을 찾지못해 먹이 공급을 하지않고 양식수만 흘려주는 형태의 어린 다슬기 치폐만 생산하여 방류하였는데 양식 수조 바닥에 붙어 있는 다슬기로 인해 내부로 진입하여 작업할 수 없다는 문제점과 다슬기 유입으로 배수모터를 사용하기 힘들다는 문제점, 다슬기가 배수관를 타고 유실되거나 배수구를 막는다는 문제점, 다슬기의 폐사율을 줄이기 위해서는 24시간 물을 흘려 양식 수조를 청결하게 유지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 그 목적은 다슬기 양식장의 양식 수조를 청결하게 유지하여 폐사율을 낮추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일자 수로형 수조 형태로 양식 수조 내부로 들어가지 않고 외부에서 작업 및 청소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좁고 긴 일자 수로형 수조를 3개로 분리시켜 공간 활용도를 높이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각각의 수조에 형성된 배수 보조탱크와 다슬기 부착방지 배수관(8)을 이용해 다슬기가 배수관에 붙어 배수구를 막거나 유실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3개의 수조를 각각의 보조 탱크와 1번2번 수조 양식수 이송관(9), 2번3번 수조 양식수 이송관(10)으로 연결하여 하나의 급수 펌프로 양식수조 3개를 돌려 자연배수까지 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 사용을 최소화 하고 급수 및 배수를 자유롭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다슬기 양식장에서 양식 수조의 청소 및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고 3개의 수조로 나누어 효율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배수 펌프를 사용하지 않으며, 다슬기가 유실 되거나 배수구가 막히지 않는 다슬기부착방지 급수관(7)과 다슬기 부착방지 배수관(8)을 이용해 자유롭게 급수 및 배수가 가능하여 다슬기 양식 수조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성폐(어미 다슬기)로의 양식이 가능하고 폐사율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다슬기 양식 수조를 수로형으로 하고 급수되는 1번 수조에서부터 배수되는 3번 수조까지를 평면으로 나타낸 도면, 도 1a는 도 1의 좌측 부분을 입체도로 나타낸 도면, 도 1b는 도 1의 우측 부분을 입체도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다슬기 양식 수조에서 다슬기 유실 방지관(3)의 공기가 제거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다슬기 양식 수조와 배수시설 전체를 입체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수로형 양식수조에 각각의 급수 보조탱크와 배수 보조탱크가 구성되어 다슬기 부착방지 급수관(7)을 통해 급수하고 다슬기 부착방지 배수관(8)을 통해 배수하는 구조의 구체적인 구성을 개진한다.
즉, 3개의 수로형 양식수조가 각각 시작되는 부분에 양식수조와 같은 넓이의, 높이는 양식수조 보다 20cm~50cm 높게 정사각 기둥형태의 1번 수조 급수 보조탱크(21),2번 수조 급수 보조탱크(23),3번 수조 급수 보조탱크(25)를 구성하고, 각각의 양식수조가 끝나는 부분에 상기와 같은 크기의 1번 수조 배수 보조탱크(22), 2번 수조 배수 보조탱크(24), 3번 수조 배수 보조탱크(26)를 구성하였으며, 각각의 양식수조와 각각의 보조탱크에 지름 50mm~100mm의 원형 파이프를 바닥과 5cm~15cm 띄우고 양식수조와 보조탱크 중간격벽에서 5cm 이상 띄워 양식수조 최고 수면보다 5cm이상 높게 수직으로 세워 중간격벽을 뚫고 두개의 파이프를 연결 하므로써 다슬기가 붙지 못하게 다슬기 부착방지 급수관(7)과 다슬기 부착방지 배수관(8)을 구성한다.
1번 수조 배수 보조탱크(22)와 2번 수조 급수 보조탱크(23)가 마주보는 벽면 최하단부에는 지름 50mm~100mm의 원형 파이프를 1번2번 수조 양식수 이송관(9)으로 구성 하였고, 상기와 같이 2번 수조 배수 보조탱크(24)와 3번 수조 급수 보조탱크 (25)에도 2번3번 수조 양식수 이송관(10)을 구성하였으며, 1번 수조 배수 보조탱크 (22)에는 도 2의 위험수위 배수관(12)과 보조 배수관(6)을 구성하여 양식수가 양식수조를 넘지 않도록 하였으며 필요시 양식수를 외부로 배수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3번 수조 배수 보조탱크(26)에는 수위조절 배수관(11)과 보조 배수관(6)을 구성하여 일정 수위를 유지하며 필요시 양식수를 외부로 배수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도 4의 1번 수조 급수 보조탱크(21)에 지하수 또는 하천수를 급수하면 수위가 올라가며 다슬기 부착방지 급수관(7)을 통해 도 5의 A와 같이 양식수조로 물이 이동하게 된다. 도 4의 1번 수조수위가 높아져 양식수조 바닥에서 5cm~15cm 위에 구성되어 있는 다슬기 부착방지 급수관(7)까지 올라오게 되면 순간적으로 1번 수조 급수 보조탱크(21)의 수위가 내려가고 다슬기 부착방지 급수관(7) 내부의 공기가 양식수조 쪽으로 한번에 빠지며 도 5의 B와 같이 양식수조와 수위가 같아지게 된다. 이때 부터는 도 4와 같이 1번 수조 급수 보조탱크(21)에 계속해서 급수해도 1번 수조와는 같은 수위를 유지며 다슬기 부착방지 급수관(7)을 통해 1번 수조로 양식수가 흘러들어가게 되는데 1번 수조의 수위가 높아지면 압력 때문에 1번 수조 배수 보조탱크(22)에 있는 다슬기 부착방지 배수관(8)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기 어려워지므로 곧바로 도 2의 1번2번 수조 양식수 이송관(9)에 있는 차단밸브(5)를 차단하고 도 4의 보조 급수관(27)으로 1번 수조 배수 보조탱크(22)에 급수한다. 이미 1번 수조의 다슬기 부착방지 배수관 (8) 하단부가 양식수에 잠겨 있는 상태이므로 1번 수조 배수 보조탱크(22)의 수위가 다슬기 부착방지 배수관(8)의 최상부까지 올라오면 순간적으로 다슬기 부착방지 배수관(8) 내부 공기가 양식수조 쪽으로 빠지며 양식수조와 수위가 같아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보조 급수관(27)을 2번 수조 급수 보조탱크(23)에 연결하여 2번 수조의 다슬기 부착방지 급수관(7) 내부 공기를 제거하고 곧바로 도 3의 2번3번 수조 양식수 이송관(10)에 있는 차단밸브(5)를 차단시켜 보조 급수관 (27)을 이용해 2번 수조 배수 보조탱크(24)에 급수, 2번 수조의 다슬기 부착방지 배수관(8) 내부 공기를 제거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보조 급수관(27)을 3번 수조 급수 보조탱크(25)에 연결하여 3번 수조의 다슬기 부착방지 급수관(7) 내부 공기를 제거하고 곧바로 보조급수관(27)을 3번 수조 배수 보조탱크(26)에 연결한 후 3번 수조의 다슬기 부착방지 배수관(8) 내부 공기를 제거한다.
각각의 양식수조에 구성된 다슬기 부착방지 급수관(7)과 다슬기 부착방지 배수관(8)의 공기가 모두 제거되면 1번2번 수조 양식수 이송관(9)과 2번3번 수조 양 식수 이송관(10)에 있는 차단밸브(5)를 개방하고 1번 수조 급수 보조탱크(21)에 정상적인 급수를 시작하여 각각의 수조가 아래와 같은 경로를 거쳐 급수와 배수가 이루어지게 한다.
하천수 또는 지하수를 1번 수조 급수 보조탱크(21)에 급수 → 1번 수조 → 1번 수조 배수 보조탱크(22) → 2번 수조 급수 보조탱크(23) → 2번 수조 → 2번 수조 배수 보조탱크(24) → 3번 수조 급수 보조탱크(25) → 3번 수조 → 3번 수조 배수 보조탱크(26) → 수위조절 배수관(11)을 통해 외부로 배수.
삭제
도 1은 다슬기 양식 수조를 수로형으로 하고 급수되는 1번 수조에서부터 배수되는 3번 수조까지를 평면으로 나타낸 도면.
도 1a는 도 1의 좌측 부분을 입체도로 나타낸 도면.
도 1b는 도 1의 우측 부분을 입체도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좌측을 확대하여 나타낸 입체도면.
도 3은 다슬기 양식 수조와 배수 시설 전체를 입체도로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 : 차단밸브 6 : 보조 배수관
7 : 다슬기 부착방지 급수관 8 : 다슬기 부착방지 배수관
9 : 1번 2번 수조 양식수 이송관 10 : 2번 3번 수조 양식수 이송관
11 : 수위조절 배수관 12 : 위험수위 배수관
21 : 1번 수조 급수 보조탱크 22 : 1번 수조 배수 보조탱크
23 : 2번 수조 급수 보조탱크 24 : 2번 수조 배수 보조탱크
25 : 3번 수조 급수 보조탱크 26 : 3번 수조 배수 보조탱크
27 : 보조 급수관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Claims (5)

  1. 다슬기 양식 수조와 배수 시설에 있어서
    수로형으로 이루어진 3개의 수조에 각각 수조가 시작되는 부분과 끝 부분에 보조탱크(2)를 형성하고, 보조탱크(2)와 수조 사이의 격벽 중앙 윗부분에는 수위보다 높은 위치가 되도록 다슬기 유실 방지관(3)을 형성하며, 수조의 시작 부분에 있는 보조탱크(2)에서는 다슬기 유실 방지관(3)을 통해 수조로 급수하고, 수조의 끝 부분에서는 다슬기 유실 방지관(3)을 통해 보조탱크(2)로 수조의 물을 보내게 되며, 1번 수조의 끝 부분에 있는 보조탱크(2) 하단부와 2번 수조 시작 부분 보조탱크(2) 하단부, 그리고 2번 수조의 끝 부분에 있는 보조탱크(2) 하단부와 3번 수조 시작 부분 보조탱크(2) 하단부에는 각각 양식수 이송관(4)을 형성하여, 하천수 또는 지하수를 1번 수조 시작 부분 보조탱크(2)에 급수하면, 공기가 제거된 다슬기 유실 방지관(3)을 통해 1번 수조로 양식수가 이동하고, 다시 1번 수조 끝에서 다슬기 유실 방지관(3)을 통해 보조탱크(2)로 이동한 양식수는 보조 탱크(2) 하단부에 있는 양식수 이송관(4)을 통해 2번 수조로 이동하며, 같은 방법으로 3번 수조까지 이동한 양식수가 마지막 보조탱크(2)의 수위 조절 배수관(11)으로 배수되어 3개의 양식 수조가 같은 수위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슬기 양식 수조와 배수 시설.
  2. 제 1항에 있어서 양식수 이송관(4)에는 이송 차단밸브(5)를 설치하고 각각의 수조 마지막 부분 보조탱크(2)에는 보조 배수밸브(6)를 설치하여 각 양식 수조를 개별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슬기 양식 수조와 배수 시설.
  3. 제 1항에 있어서 각 양식 수조에 두 개의 보조탱크(2)를 만들어 보조탱크(2)를 통해 급수 및 배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슬기 양식 수조와 배수 시설.
  4. 제 1항에 있어서 다슬기 유실 방지관(3)은 다슬기가 붙지 않도록 양식 수조 벽면과 보조 탱크 격벽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띄우고, 수면 위로도 일정간격을 띄워 형성함으로써 수조 바닥 또는 벽면에 있는 다슬기가 다슬기 유실 방지관(3)에 붙어 오르지 못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슬기 양식 수조와 배수 시설 .
  5. 제 4항에 있어서 다슬기 유실 방지관(3)을 통해 보조탱크(2)에 형성되어 있는 보조 배수밸브(6) 또는 수위 조절 배수관(11)으로 배수시 모터를 사용하지 않고 수압을 이용한 자연 배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슬기 양식 수조와 배수 시설.
KR2020090011258U 2009-08-28 2009-08-28 다슬기 양식 수조와 배수 시설 KR2004626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258U KR200462629Y1 (ko) 2009-08-28 2009-08-28 다슬기 양식 수조와 배수 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258U KR200462629Y1 (ko) 2009-08-28 2009-08-28 다슬기 양식 수조와 배수 시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242U KR20110002242U (ko) 2011-03-08
KR200462629Y1 true KR200462629Y1 (ko) 2012-09-24

Family

ID=44207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1258U KR200462629Y1 (ko) 2009-08-28 2009-08-28 다슬기 양식 수조와 배수 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62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A45308A (fr) * 2016-03-16 2019-01-23 Norman Boyle Appareil et procédés d'élevage d'ormeaux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9879A (ja) 1998-09-01 2000-03-07 Kaiyo Seibutsu Saibai Center:Kk 海産動物養殖用水槽システム
JP2002233268A (ja) 2001-02-09 2002-08-20 Hitachi Zosen Corp 魚類の陸上養殖施設
JP2002320427A (ja) 2001-04-27 2002-11-05 Denshi Bussei Sogo Kenkyusho:Kk 魚介類養殖装置
KR100981601B1 (ko) 2009-11-27 2010-09-13 김성락 다슬기와 어류의 복합양식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9879A (ja) 1998-09-01 2000-03-07 Kaiyo Seibutsu Saibai Center:Kk 海産動物養殖用水槽システム
JP2002233268A (ja) 2001-02-09 2002-08-20 Hitachi Zosen Corp 魚類の陸上養殖施設
JP2002320427A (ja) 2001-04-27 2002-11-05 Denshi Bussei Sogo Kenkyusho:Kk 魚介類養殖装置
KR100981601B1 (ko) 2009-11-27 2010-09-13 김성락 다슬기와 어류의 복합양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242U (ko) 2011-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63463B (zh) 水处理或海洋动物养殖的浮动装置
JP6882448B2 (ja) 魚の養殖のための設備及び方法
CN103960193B (zh) 模拟自然生态环境的松江鲈鱼繁养水处理系统及运作管理方法
CN105994120A (zh) 一种池塘底排污循环系统
KR101027103B1 (ko) 바다의 모래층을 여과층으로 활용하는 해수취수 시스템
CN104355409A (zh) 一种升降式双定位模块化沉水植物水质净化装置
CN107156008A (zh) 一种水产养殖池塘
CN104430126A (zh) 一种自动排污的水产养殖系统
CN210076358U (zh) 陆基半埋式旋流循环水养殖系统
CN205794532U (zh) 一种池塘底排污循环系统
KR200462629Y1 (ko) 다슬기 양식 수조와 배수 시설
CN204443673U (zh) 南美洲鳗鲡一体化养殖系统
CN110122398B (zh) 一种易位循环水生态养殖系统
CN104322430A (zh) 一种海参养殖池
CN109851054A (zh) 一种上行式深水垂直流人工湿地
CN109122545A (zh) 一种池塘底排污水质改良系统
CN210855462U (zh) 一种河道生态治理系统
CN203634879U (zh) 一种自压式污泥排出装置
CN203284291U (zh) 微创开挖土地渗滤农村生活污水处理系统
CN104843867A (zh) 一种膜生物废水处理装置
CN204643968U (zh) 一种膜生物废水处理装置
CN204377728U (zh) 一种仿自然水循环牛蛙养殖系统
WO1995023259A1 (en) Delivery of sea water using tidal movements
RU69513U1 (ru) Сооружения системы очистки животноводческих стоков
CN101268769A (zh) 鳝鱼养殖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