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605Y1 - 내부식성이 향상된 파형강관 - Google Patents

내부식성이 향상된 파형강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605Y1
KR200462605Y1 KR2020100007404U KR20100007404U KR200462605Y1 KR 200462605 Y1 KR200462605 Y1 KR 200462605Y1 KR 2020100007404 U KR2020100007404 U KR 2020100007404U KR 20100007404 U KR20100007404 U KR 20100007404U KR 200462605 Y1 KR200462605 Y1 KR 2004626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corrugated steel
metal layer
lower metal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74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0548U (ko
Inventor
김영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이
Priority to KR20201000074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605Y1/ko
Publication of KR201200005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5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6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6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02Rigid pipes of metal
    • F16L9/06Corrugate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02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 F16L23/024Flanged joints the flanges being connected by members tensioned axially characterised by how the flanges are joined to, or form an extension of, the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8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sealing means being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형강관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표면에 나선형의 굴곡부가 형성된 파형강관에 있어서, 상기 파형강관은 유입되는 유체와 접촉하며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지는 하부금속층과, 상기 하부금속층 상면에 위치하여 상부금속층과 하부금속층을 접착시키는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 상면에 위치하여 외측면을 형성하며 아연도금강판으로 이루어지는 상부금속층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금속층은 내식성이 강한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져서 유입되는 유체에 의한 상기 파형강관의 부식을 효과적으로 막을 있고, 폴리에틸렌 수지층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 환경적으로 우수하고 경제적이며,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파형강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부식성이 향상된 파형강관{Corrugated steel pipe having improved corrosion resistance}
본 고안은 파형강관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표면에 나선형의 굴곡부가 형성된 파형강관에 있어서, 상기 파형강관은 유입되는 유체와 접촉하며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지는 하부금속층과, 상기 하부금속층 상면에 위치하여 상부금속층과 하부금속층을 접착시키는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 상면에 위치하여 외측면을 형성하며 아연도금강판으로 이루어지는 상부금속층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금속층은 내식성이 강한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져서 유입되는 유체에 의한 상기 파형강관의 부식을 효과적으로 막을 있고, 폴리에틸렌 수지층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 환경적으로 우수하고 경제적이며,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파형강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공업용, 농업용, 가정용 등의 오?폐수의 배수를 위하여 콘크리트 흄관이 널리 사용되었데, 상기 콘크리트 흄관은 무게가 많이 나가고 큰 부피를 차지하여 이동 및 설치가 곤란해 많은 작업시간이 필요하고 추가적인 장비를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콘크리트 흄관의 자체에 있어서도, 외부충격이나 계속적 사용으로 인해 콘크리트의 일부가 쉽게 떨어져 나와 유입되는 오?폐수에 함께 섞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콘크리트 흄관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아연도금강판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표면에 나선형의 굴곡부가 형성된 파형강관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파형강관을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고, 도 2는 종래의 파형강관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인데,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파형강관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롤 형태로 말려진 강판(1)을 언코일러(21)를 통해 푼 다음 제1롤 형성부(22)를 통과시켜 파형(11), 즉 굴곡부를 형성한 다음, 제2롤 형성부(23)를 통과시켜 강판 양 측단에 락심연결을 위한 연결고리(12)를 형성한다. 상기 파형 및 연결고리가 형성된 강판은 원통형의 금형(미도시)을 통과하면서 나선형태로 말아지고 양 측단에 형성된 연결고리가 락심결합하여 파형강관(3)이 형성된다. 상기 파형강관에 유입되는 오?폐수는 고농도의 염분과 산성 또는 염기성을 뛸 수 있어서, 상기 파형강관의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파형강관을 가열한 후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를 도포하여 융착시켜 상기 파형강관의 내외측에 폴리에틸렌 수지층을 형성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상기 파형강관(3)을 연결관계를 살펴보면, 끝단이 서로 접하도록 상기 파형강관들을 배치한 다음, 접합부위에 커플링밴드(4)를 결속시켜 상기 파형강관을 연결하였다.
상기 종래의 파형강관은 어느 정도의 구조적 안전성, 경제성, 내식성 및 시공성을 가지고 있으나, 상기 파형강관에 외부충격이 가해지거나 계속적으로 사용하는 과정에서 도포 융착된 폴리에틸렌 수지층의 일부가 떨어져 나와 유입되는 오?폐수에 함께 섞여 배출되어 환경을 오염시키고, 폴리에틸렌 수지층이 떨어져 나가는 경우에는 유입되는 오?폐수에 상기 파형강관이 부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파형강관들을 연결하는 과정에서도 결속되는 커플링밴드의 접촉에 의해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층이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파형강관은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폴리에틸렌 수지층을 추가로 형성하여야 하므로, 상기 파형강관의 제조에 많은 시간이 들고 폴리에틸렌 수지층을 형성하기 위한 장비를 필요로 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파형강관은 단일 강판으로 제조됨으로 외부충격에 쉽게 진동이 발생하여, 쉽게 변형되거나 상기 파형강관의 내외측에 형성된 합성수지층에 균열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비환경적인 폴리에틸렌 수지층을 따로 형성하지 않아도 뛰어난 내식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외부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쉽게 변형되지 않으며, 별도의 폴리에틸렌 수지층을 형성하지 않도록 하여 경제적으로 제조될 수 있는 파형강관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유입되는 유체의 의한 부식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는 내부식성이 향상된 파형강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유체와 접하는 하부금속층이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져 부식을 막기 위한 폴리에틸렌 수지층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 환경적으로 우수한 내부식성이 향상된 파형강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폴리에틸렌 수지층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외형을 형성하는 상부금속층은 저렴한 아연도금강판으로 이루어져 경제적으로 효율적인 내부식성이 향상된 파형강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진 하부금속층과 아연도금강판으로 이루어진 상부금속층이 접합되는 구조를 가져 외부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어 쉽게 변형되지 않고 진동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내부식성이 향상된 파형강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하부금속층과 상부금속층 사이에 탄성력이 뛰어난 접착층이 형성되어 외부 충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내부식성이 향상된 파형강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연결과정이 시공과정에서 일어나는 파손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는 내부식성이 향상된 파형강관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내부식성이 향상된 파형강관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내부식성이 향상된 파형강관은 표면에 나선형의 굴곡부가 형성된 파형강관에 있어서, 상기 파형강관은 유입되는 유체와 접촉하며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지는 하부금속층과, 상기 하부금속층 상면에 위치하여 상부금속층과 하부금속층을 접착시키는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 상면에 위치하여 외측면을 형성하며 아연도금강판으로 이루어지는 상부금속층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금속층은 내식성이 강한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져서, 유입되는 유체에 의한 상기 파형강관의 부식을 막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내부식성이 향상된 파형강관에 있어서, 상기 하부금속층은 0.1 내지 0.3㎜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내부식성이 향상된 파형강관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0.03 내지 0.07㎜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내부식성이 향상된 파형강관에 있어서, 상기 상부금속층은 1 내지 4㎜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내부식성이 향상된 파형강관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50 내지 60 중량%, 부틸아크릴레이트 수지 10 내지 20 중량%, 우레탄 수지 10 내지 20 중량%, 커플링제 1 내지 10 중량% 및 소포제 1 내지 10 중량%로 이루어지며, 40 내지 100m㎩?s의 점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내부식성이 향상된 파형강관은 양 끝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파형강관을 연결할 때에 접하는 플렌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서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은 유입되는 유체의 의한 부식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유체와 접하는 하부금속층이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져 부식을 막기 위한 폴리에틸렌 수지층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 환경적으로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폴리에틸렌 수지층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고, 외형을 형성하는 상부금속층은 저렴한 아연도금강판으로 이루어져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진 하부금속층과 아연도금강판으로 이루어진 상부금속층이 접합되는 구조를 가져 외부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어 쉽게 변형되지 않고 진동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하부금속층과 상부금속층 사이에 탄성력이 뛰어난 접착층이 형성되어 외부 충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연결과정이 시공과정에서 일어나는 파손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파형강관을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2는 종래의 파형강관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관의 제조에 사용되는 강판의 부분절단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관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관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관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내부식성이 향상된 파형강관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관의 제조에 사용되는 강판의 부분절단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관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관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형강관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식성이 향상된 파형강관(6)은 오?폐수 등의 유체를 배수처리하기 위한 관으로, 일정형상을 가진 바람직하게는 상하가 개방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표면에 나선형의 연결부(61)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61) 사이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나선형의 굴곡부(62)가 형성된다. 상기 파형강관(6)은 유입되는 유체와 접촉하는 하부금속층(63)과, 상기 하부금속층(63) 상면에 위치하여 하부금속층(63)과 상부금속층(65)을 접착시키는 접착층(64)과, 상기 접착층(64) 상면에 위치하여 외측면을 형성하는 상부금속층(65)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금속층(63)은 내식성이 강한 금속으로 이루어져서 유입되는 유체에 의하여 상기 파형강관이 부식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61)는 상기 파형강관의 표면에 나선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파형강관 이루는 강판의 측단을 결합시키는 구성으로, 제1연결고리(611)와 제2연결고리(612)를 포함한다. 상기 파형강관은 장방형의 강판이 나선형의 형태로 말아지면서 제조되므로 상기 강판의 양 측단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강판의 양 측단에는 각각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연결고리와 제2연결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강판이 나선형으로 말아지면서 상기 제1연결고리(611)와 제2연결고리(612)가 서로 맞물리어 연결부(61)를 형성해 상기 파형강관이 제조되게 된다.
상기 굴곡부(62)는 상기 연결부(61)의 사이에 나선형태로 상측으로 굴곡된 볼록면(621)과 하측으로 굴곡된 오목면(622)이 일정간격을 두고 반복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파형강관에는 상기 굴곡부가 형성되므로 외측면이 평평한 파형강관에 비해 외부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하부금속층(63)은 상기 파형강관의 내측에 위치하여 유입되는 유체와 접촉하는 구성으로, 고농도의 염분, 산성 또는 염기성을 가진 유체에도 효과적으로 견딜 수 있도록 내식성이 뛰어난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금속층(63)은 0.1 내지 0.3㎜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금속층(63)의 두께가 0.1㎜ 이내인 경우 두께가 너무 얇아 파손되기가 쉽고, 0.3㎜를 초과하는 경우 효과의 향상은 없으면서 비용이 늘어나는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본 고안의 파형강관은 부식을 막기 위해 폴리에틸렌 수지층을 형성하는 종래의 파형강관과 달리 스테인리스 등으로 이루어진 하부금속층이 형성되므로, 향상된 내부식성을 제공하면서도 폴리에틸렌 수지층을 필요로 하지 않아 환경적으로 우수하고 절감된 제조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접착층(64)은 상기 하부금속층(63)의 상면에 위치하여 상기 하부금속층(63)과 상부금속층(65)을 접착시키는 구성으로, 0.03 내지 0.07㎜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층(64)의 두께가 0.03㎜ 이내인 경우 접착의 효과가 떨어지며, 0.07㎜를 초과하는 경우 효과의 향상은 없으면서 비용이 늘어나는 문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접착층(64)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50 내지 60 중량%, 부틸아크릴레이트 수지 10 내지 20 중량%, 우레탄 수지 10 내지 20 중량%, 커플링제 1 내지 10 중량% 및 소포제 1 내지 10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는 무색 투명한 불변색의 수지로서 내후성, 내약품성이 우수하고, 화재발생시 유독가스를 배출하지 않으며, 특히 접착성이 뛰어난 특징이 있다. 상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는 접착성이 뛰어난 특징이 있으나 그 자체만으로 내균열성 및 탄성이 부족하여 외부충격에 균열이 발생할 수 있어, 본 고안의 접착층(64)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에 부틸아크릴레이트 수지, 우레탄 수지 등을 혼합하여 탄성을 개선시켰다. 상기 접착층(64)은 40 내지 100m㎩?s의 점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접착층(64)의 점도가 40m㎩?s 미만인 경우 점도가 너무 낮아 접착이 잘 이루어지지 않으며, 100m㎩?s를 초과하는 경우 점도가 너무 높아 쉽게 균열이 생길 수 있 기 때문이다.
본 고안의 파형강관은 상기 하부금속층과 상부금속층 사이에 탄성력이 뛰어난 접착층이 형성되므로, 상기 파형강관의 시공시나 사용시에 발생할 수 있는 외부충격을 흡수하여 상기 파형강관이 변형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은 상기 하부금속층과 상부금속층 사이에 위치하므로, 상기 파형강관의 계속적 사용에 의해 상기 접착층이 균열이 발생하더라도 유입되는 유체와 혼합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상기 상부금속층(65)은 상기 접착층(64)의 상면에 위치하여 상기 파형강관의 외형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아연도금강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금속층(65)은 1 내지 4㎜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1㎜ 이내의 두께를 가지는 경우 상기 파형강관이 변형되기가 쉽고, 4㎜를 초과하는 두께를 가지는 경우 비용이 상승하고 제품무게가 늘어나 시공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본 고안의 파형강관은 이종의 금속이 접합하는 구조를 가져, 외부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상기 파형강관이 변형되는 것을 효율적으로 막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상부금속층은 비싼 스테인리스 등으로 이루어진 하부금속층과 달리 저렴한 아연도금강판 등으로 이루어져, 전체가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진 파형강관에 비해서 경제성이 뛰어난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부식성이 향상된 파형강관(7)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내부식성이 향상된 파형강관(7)은 양 끝단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파형강관을 연결할 때에 접하는 플렌지(76)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플렌지(76)는 상기 파형강관의 양 끝단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파형강관을 연결할 때에 접하는 부분으로, 일정형상을 가지 바람직하게는 환형의 형태를 가지며, 상기 파형강관을 연결할 시에 후술할 연결부재가 삽입되는 연결부재삽입홈(761)을 포함한다.
상기 파형강관의 양 끝단에는 상기 플렌지가 형성되어, 상기 파형강관들을 연결할 시에 상기 플렌지들을 맞댄 후 연결부재를 결합시켜 간단히 상기 파형강관들을 연결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및 3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식성이 향상된 파형강관의 제조방법을 살펴본다.
도 3과 같이 하부금속층(51)과 상부금속층(53)이 접착층(52)에 의해 접착된 강판을 도 1과 같이 제1롤 형성부를 통과시켜 굴곡부를 형성한 다음, 제2롤 형성기를 통과시켜 강판 양 단에 제1, 2연결고리를 형성한 다음, 상기 굴곡부와 제1, 2연결고리가 형성된 강판을 금형(미도시)에 삽입하여 상기 강판을 나선형으로 말고 제1연결고리(611)와 제2연결고리(612)를 결합해 연결부(61)를 형성해 상기 파형강관(6)을 제조한다.
상기 파형강관의 제조방법은 종래의 파형강관의 제조방법과 달리 내식성 향상을 위한 폴리에틸렌 수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내부식성이 향상된 파형강관은 향상된 내부식성을 가지면서도 폴리에틸렌 수지층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단계를 거치지 않아 적은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7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내부식성이 향상된 파형강관의 연결관계를 살펴본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파형강관(6)의 연결관계를 살펴보면, 도 2의 종래의 파형강관의 연결방법과 같이 끝단이 서로 접하도록 상기 파형강관들을 배치한 다음, 접합부위에 커플링밴드를 결속시켜 상기 파형강관을 연결한다. 또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파형강관(7)의 연결관계를 살펴보면, 상기 플렌지(76)가 서로 접하도록 상기 파형강관들을 배치한 다음 상기 플렌지(76) 사이에 밀봉부재(81)를 위치시켜 상기 파형강관들을 수밀시키고 연결부재(82)를 사용하여 상기 파형강관들을 연결시킨다. 상기 연결부재(82)는 예컨대, 볼트과 너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내부식성이 향상된 파형강관은 종래 파형강관의 폴리에틸렌 수지층과 같은 구성을 포함하지 않고서도 향상된 내부식성을 가지고 있어, 상기 파형강관을 서로 연결할 때나 시공시 폴리에틸렌 수지층이 파손될 염려가 없어, 향상된 내구성을 가지며 시공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고안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5: 강판 3, 6, 7: 파형강관 4: 커플링밴드
11: 파형 12: 연결고리 21: 언코일러
22: 제1롤 형성부 23: 제2롤 형성부 51, 63: 하부금속층
52, 64: 접착층 53, 65: 상부금속층 61: 연결부
62: 굴곡부 76: 플렌지 81: 밀봉부재
82: 연결부재 611: 제1연결고리 612: 제2연결고리
621: 볼록면 622: 오목면 761: 연결부재삽입홈

Claims (6)

  1. 굴곡이 있는 강판의 측단을 연결하여 형성하는 파형강관에 있어서,
    상기 파형강관은 상기 강판의 양 측단에 각각 내측으로 절곡형성되는 제1연결고리와 제2연결고리가 서로 맞물려 형성되어 상기 강판의 측단을 결합시키며 나선형태를 가지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의해 상기 강판의 측단이 서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연결부 사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반복형성되는 볼록면과 오목면을 포함하며 나선형태를 가지는 굴곡부를 포함하며,
    상기 강판은 유체와 접촉하며 스테인리스로 이루어지는 하부금속층과, 상기 하부금속층 상면에 위치하여 상부금속층과 하부금속층을 접착시키는 접착층과, 상기 접착층 상면에 위치하여 외측면을 형성하며 아연도금강판으로 이루어지는 상부금속층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금속층은 0.1 내지 0.3㎜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접착층은 0.03 내지 0.07㎜의 두께를 가지고, 상기 상부금속층은 1 내지 4㎜의 두께를 가지며,
    상기 접착층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수지 50 내지 60 중량%, 부틸아크릴레이트 수지 10 내지 20 중량%, 우레탄 수지 10 내지 20 중량%, 커플링제 1 내지 10 중량% 및 소포제 1 내지 10 중량%로 이루어지며, 40 내지 100m㎩?s의 점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식성이 향상된 파형강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강관은
    양 끝단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파형강관을 연결할 때에 접하는 플렌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성이 향상된 파형강관.
KR2020100007404U 2010-07-14 2010-07-14 내부식성이 향상된 파형강관 KR2004626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404U KR200462605Y1 (ko) 2010-07-14 2010-07-14 내부식성이 향상된 파형강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7404U KR200462605Y1 (ko) 2010-07-14 2010-07-14 내부식성이 향상된 파형강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548U KR20120000548U (ko) 2012-01-20
KR200462605Y1 true KR200462605Y1 (ko) 2012-09-18

Family

ID=458432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7404U KR200462605Y1 (ko) 2010-07-14 2010-07-14 내부식성이 향상된 파형강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60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749B1 (ko) 2013-05-10 2013-07-04 (주)다은 밀봉재를 주입하는 수밀성 파형강관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파형강관.
KR102457435B1 (ko) 2022-07-27 2022-10-21 대한강관 주식회사 내식성 및 내진 구조를 갖는 내부 평활관을 구비한 이중파형강관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564B1 (ko) * 2012-12-04 2015-06-03 주식회사 로도에이치 파이프 연결장치 및 파이프 연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0749B1 (ko) 2013-05-10 2013-07-04 (주)다은 밀봉재를 주입하는 수밀성 파형강관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파형강관.
KR102457435B1 (ko) 2022-07-27 2022-10-21 대한강관 주식회사 내식성 및 내진 구조를 갖는 내부 평활관을 구비한 이중파형강관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548U (ko) 201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2605Y1 (ko) 내부식성이 향상된 파형강관
KR100935531B1 (ko) 금속 리브형 강관 및 그 제조방법
KR100716126B1 (ko) 이중구조를 갖는 파형강관
CN107842652B (zh) 双平壁塑钢缠绕管
CN217108574U (zh) 一种耐压性好的钢带增强管
CN205401986U (zh) 聚乙烯钢肋增强双平壁排水管
CN203258214U (zh) 一种钢塑复合管
KR102492528B1 (ko) 기밀성이 강화된 연도 조립체
CN215635597U (zh) 一种新型管道用防腐密封垫
KR101034517B1 (ko) 결속부재가 구비된 합성수지 코로게이트관
CN202327400U (zh) 一种内平壁缠绕管
CN210890452U (zh) 波纹管
KR101854566B1 (ko) 파형 강관 연결구조
CN211649336U (zh) 一种涂塑钢管保护件
KR101871651B1 (ko) 파형 강관 연결구조
KR101957950B1 (ko) 부유식 슬로싱 억제장치가 구비된 유체저장탱크
CN210770742U (zh) 新型双壁波纹管
CN211443579U (zh) 一种地埋玻璃钢净化罐内置加强隔板
CN212611942U (zh) 桥梁泄水系统
KR101934631B1 (ko) 환형 단부 캡 및 탄성 비금속 클래딩 요소 환형 단부 캡을 갖는 절연 관
CN204611110U (zh) 金属波纹内衬聚乙烯钢管
CN210739945U (zh) 一种异形抗压方矩管
CN207261840U (zh) 双平立面中空壁缠绕管
CN109357086A (zh) 一种耐磨耐候性能好的双层塑胶管
CN114962797B (zh) 用于高温酸性水淬池池壁的防渗抗振输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