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6126B1 - 이중구조를 갖는 파형강관 - Google Patents

이중구조를 갖는 파형강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6126B1
KR100716126B1 KR1020070001046A KR20070001046A KR100716126B1 KR 100716126 B1 KR100716126 B1 KR 100716126B1 KR 1020070001046 A KR1020070001046 A KR 1020070001046A KR 20070001046 A KR20070001046 A KR 20070001046A KR 100716126 B1 KR100716126 B1 KR 1007161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steel
steel pipe
close contact
circumferential surface
pip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1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섭
Original Assignee
동원철강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원철강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원철강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1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61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61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6126B1/ko
Priority to EP07746824A priority patent/EP2102539B1/en
Priority to CN2007800492860A priority patent/CN101573552B/zh
Priority to PCT/KR2007/002677 priority patent/WO2008082040A1/en
Priority to US12/497,530 priority patent/US20100269942A1/en
Priority to US13/308,613 priority patent/US20120067518A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on or detail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16L13/00 - F16L23/00
    • F16L25/0036Joints for corrugate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8Double-walled pipes;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98Combined manufacture including applying or shaping of fluent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구조를 갖는 파형강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형강관내에 평활수지관을 보다 손쉽게 구비시킴으로써 시공이 간단하고, 각각의 파형강관을 결합하는 경우 결합력과 밀폐성을 향상시킨 상태로 손쉽게 결합시킬 수 있는 이중구조를 갖는 파형강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주면 및 외주면에 나선형의 굴곡부가 형성된 일정 길이의 파형강관과, 상기 파형강관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부재를 매개로 결합되는 평활수지관을 포함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파형강관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파형강관(10)의 양측 단부에 결합되어 일정 높이로 돌출되되, 상기 파형강관(10)의 단면형상이 경사진 날개부(16)의 내주면에 경사면(32)이 밀착되고, 상기 경사면(32)의 일측에 예각을 갖는 수평면(33)이 상기 평활수지관(20)의 양측 단부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고정판(30)과; 상기 고정판(30)의 경사면(32) 타측의 둔각을 갖는 돌출부(34)에 일측이 밀착되고, 타측이 상기 날개부(16)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고정편(40)과; 상기 고정편(40)의 내부에 상기 파형강관(10)과 평활수지관(20)을 일체로 접합시키도록 채워지는 접합수지(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파형강관, 평활수지관, 고정판, 고정편, 플랜지, 접합수지

Description

이중구조를 갖는 파형강관{CORRUGATED STEEL PIPE HAVED DUAL TYPE}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파형강관과 평활수지관의 결합상태를 보인 부분확대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파형강관의 연결상태를 보인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파형강관 12: 굴곡부
13: 삽입면 14: 돌출면
16: 날개부 20: 평활수지관
30: 고정판 32: 경사면
33: 수평면 34: 돌출부
36, 50: 접합수지 38: 패킹재
40: 고정편 45: 플랜지
46: 결합공
본 발명은 이중구조를 갖는 파형강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형 강관내에 평활수지관을 보다 손쉽게 구비시킴으로써 시공이 간단하고, 각각의 파형강관을 결합하는 경우 결합력과 밀폐성을 향상시킨 상태로 손쉽게 결합시킬 수 있는 이중구조를 갖는 파형강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매설관은 역학적으로 큰 하중이나 토압을 감당할 수 있도록 콘크리트 또는 주철관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상기 콘크리트관 또는 주철관은 토압이나 하중에 대응하는 구조적강도가 우수한 장점을 가지는 것이 사실이나 콘크리트 흄관은 부피와 크고 중량이 무겁기 때문에 운반, 시공, 해체에 따른 제반 취급이 불편하고, 또한 콘크리트 양생 조건에 따라 제품의 재질이 달라져 겨울철과 같이 양생 조건이 좋지 않을 경우 불량품이 양산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이전의 매설관들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주름관인 파형강관이 개발되어서 제공되고 있으며, 이러한 파형강관은 오수 및 폐수의 배수, 생활 용수 또는 산업용수의 급수, 건축 분야에서 중공 거푸집이나 건축 슈트로서 널리 채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배수관 건설시 증가되는 인력난과 비용 및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의 증대로 인하여 기존의 콘크리트재 배수관의 대체 자재로서 높은 외압강도와 구조적 안정성, 내구성, 경제성 및 시공성을 제공하는 우수한 배관자재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파형강관은 원주방향으로 나선파형들이 반복되어서 우수 및 오수의 흐름방향에 대하여 거의 직각으로 굴곡져 있는 점을 감안하여 볼 때, 우수 및 오수의 정상적인 흐름을 방해하는 역기능을 가지게 됨으로써, 결과적으로 내부를 따라 흐르는 우수 및 오수가 원활하게 통수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한, 파형강관은 강판을 소재로 하여 만들어지고 내부를 따라 흐르는 우수 및 오수와 상시적으로 접촉하게 됨으로써 부식의 촉진으로 사용수명이 크게 단축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또한, 파형강관을 연결하는 연결장치는 단순히 외주면에 연질의 패킹을 가압하여 결합력 및 밀착력을 제공하는 것에 주안점을 두고 있어 상대적으로 시공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시공시 많은 작업공수가 소요되며 나아가서는 시공에 따른 비용상승의 원인이 되고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개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49948호(2004.06.14, 발명의 명칭: 이중구조를 가지는 매설관 및 그의 제조방법)를 보면, 파형강관의 내부에 평활합성수지관을 삽입하고, 파형강관과 평활합성수지관의 사이에 채움접합수지를 채워 일체로 접합되도록 함으로써 외적인 충격에 대응하도록 구조적강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우수 및 오수의 원활한 통수로 부식을 억제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매설관은 파형강관과 평활합성수지관의 사이에 채움접합수지를 채워넣기가 현실적으로 어려울 뿐만 아니라 최초 파형강관의 제작시 일체로 제작한다 하더라도 가공상에 어려움이 있어 제작이 난해하며, 상기 채움접합수지가 경화되어 수축되게 되면 파형강관으로부터 손쉽게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으며, 각각의 파형강관을 연결하기가 어려워 제작이 난해함에 따라 생산성의 저하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파형강관내에 평활수지관을 보다 손쉽게 구비시킴으로써 시공이 간단하고, 작업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원가 절감과 더불어 전체적인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더욱이 각각의 평활수지관이 구비된 파형강관을 결합하는 경우 결합력과 밀폐성을 향상시킨 상태로 손쉽게 결합시킬 수 있는 이중구조를 갖는 파형강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내주면 및 외주면에 나선형의 굴곡부가 형성된 일정 길이의 파형강관과, 상기 파형강관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부재를 매개로 결합되는 평활수지관을 포함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파형강관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파형강관(10)의 양측 단부에 결합되어 일정 높이로 돌출되되, 상기 파형강관(10)의 단면형상이 경사진 날개부(16)의 내주면에 경사면(32)이 밀착되고, 상기 경사면(32)의 일측에 예각을 갖는 수평면(33)이 상기 평활수지관(20)의 양측 단부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고정판(30)과; 상기 고정판(30)의 경사면(32) 타측의 둔각을 갖는 돌출부(34)에 일측이 밀착되고, 타측이 상기 날개부(16)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고정편(40)과; 상기 고정편(40)의 내부에 상기 파형강관(10)과 평활수지관(20)을 일체로 접합시키도록 채워지는 접합수지(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파형강관(10)의 양측 단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편(40)에 밀착되는 고리형의 플랜지(45)가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45)의 주연부에는 일정 간격 으로 결합공(46)이 형성되어 상호 볼트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플랜지(45)는 상기 굴곡부(12)의 돌출면(14)을 감싸도록 단면이 '∩'형상으로 형성되어 단부가 상기 굴곡부(12)의 삽입면(13)에 밀착되고, 일측면이 상기 고정편(40)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중구조를 갖는 파형강관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파형강관과 평활수지관의 결합상태를 보인 부분확대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파형강관의 연결상태를 보인 상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중구조를 갖는 파형강관는 원통체의 형상으로 내주면 및 외주면에 나선형의 굴곡부가 형성된 일정 길이의 파형강관(10)과, 상기 파형강관(10)의 내부에 파형강관(10)의 내경과 상응하는 외경을 갖는 평활수지관(20)과, 상기 평활수지관(20)을 상기 파형강관(10)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재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평활수지관(20)에 결합되어 상기 파형강관(10)의 양측 단부에 일정 높이로 돌출되는 고정판(30)과, 상기 고정판(40)과 상기 파형강관(10)을 밀착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편(40)과, 상기 고정편(40)의 내부에 상기 파형강관(10)과 평활수지관(20)을 일체로 접합시키도록 채워지는 접합수지(5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판(30)은 상기 파형강관(10)의 단면형상이 경사진 날개부(16)의 내 주면에 밀착되도록 일측에 경사면(32)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32)의 일측에 예각을 갖는 수평면(33)이 상기 평활수지관(20)의 양측 단부에 접합수지(36)를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파형강관(10)의 양측에 돌출되어 있다.
이때, 상기 고정판(30)을 상기 파형강관(10)에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편(40)은 일측이 상기 고정판(30)의 경사면(32) 타측의 둔각을 갖는 돌출부(34)에 밀착되고, 타측이 상기 날개부(16)의 외주면에 밀착되게 단면형상이 사분원형 또는 중앙부가 굴곡된 '┐' 및 '┌'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파형강관(10)의 양측 단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편(40)에 밀착되게 고리형의 플랜지(4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플랜지(45)의 주연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결합공(46)이 형성되어 상기 파형강관(10)의 결합시 상호 볼트결합되게 한다.
상기 플랜지(45)는 상기 굴곡부(12)의 돌출면(14)을 감싸도록 단면이 '∩'형상으로 형성되어 단부가 상기 굴곡부(12)의 삽입면(13)에 밀착되고, 일측면이 상기 고정편(40)에 밀착되게 형성되고, 상기 플랜지(45)의 결합에 따른 상기 파형강관(10)의 연결시 상기 고정판(30)과 고정판(30)의 사이에는 밀폐력을 향상시키도록 탄성을 갖는 고리형의 패킹재(38)가 더 구비되어 누수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패킹재(38)를 구비하지 않고 상기 고정판(30) 자체를 합성수지재로 제조하여 상호 밀착시킴으로써 누수를 방지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평활수지관(20)은 일정 길이로 제조된 다수개의 합성수지 의 평판을 각각 열융착 또는 고주파융착한 후 원형으로 형성시킨 평활관으로서, 그 제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저렴한 비용으로도 손쉽게 제조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살펴보면, 일정 직경을 갖는 파형강관(10)을 구비한 후 상기 파형강관(10)의 내부에 내경과 상응하는 외경을 갖는 평활수지관(20)을 삽입시킨 다음 상기 평활수지관(20)의 양측 단부의 외주면에 고정판(30)의 수평면(33)을 위치시킨 다음 접합수지(36)로 접합시킨다.
이 후, 상기 고정판(30)의 돌출부(34)와 상기 파형강관(10)의 날개부(16) 외주면을 고정편(40)으로 결합시킨 다음 내부에 접합수지(50)를 채워넣어 일체로 형성시킨다.
상기의 파형강관(10)을 상호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파형강관(10)의 외부면에 플랜지(45)를 구비하되, 상기 플랜지(45)는 상기 파형강관(10)의 굴곡부(12)의 돌출면(14)을 감싸도록 양단부를 상기 굴곡부(12)의 삽입면(13)에 밀착되게 구비시킨 상태에서 볼트를 이용하여 다른 파형강관(10)에 구비된 플랜지(45)와 상호 연결시켜 조이면 된다.
이때, 상기 플랜지(45)에 의한 연결작업시 상기 고정판(30)과 고정판(30)의 사이에는 별도의 패킹재(38)를 구비시킨 상태로 밀착 결합시켜 누수를 방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평활수지관(20)에 의한 내구성의 증가로 상기 파형강관(1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평활수지관(20)에 의한 우수 및 오수의 원활한 흐름으로 막힘 등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우수 및 오수가 상기 파형강 관(10)에 접촉하지 못하도록 차단함으로써 파형강관(10)의 수명을 연장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파형강관내에 평활수지관을 보다 손쉽게 구비시킴으로써 시공이 간단하고, 작업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원가 절감과 더불어 전체적인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더욱이 각각의 평활수지관이 구비된 파형강관을 결합하는 경우 결합력과 밀폐성을 향상시킨 상태로 손쉽게 결합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내주면 및 외주면에 나선형의 굴곡부가 형성된 일정 길이의 파형강관과, 상기 파형강관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부재를 매개로 결합되는 평활수지관을 포함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파형강관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파형강관(10)의 양측 단부에 결합되어 일정 높이로 돌출되되, 상기 파형강관(10)의 단면형상이 경사진 날개부(16)의 내주면에 경사면(32)이 밀착되고, 상기 경사면(32)의 일측에 예각을 갖는 수평면(33)이 상기 평활수지관(20)의 양측 단부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고정판(30)과;
    상기 고정판(30)의 경사면(32) 타측의 둔각을 갖는 돌출부(34)에 일측이 밀착되고, 타측이 상기 날개부(16)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고정편(40)과;
    상기 고정편(40)의 내부에 상기 파형강관(10)과 평활수지관(20)을 일체로 접합시키도록 채워지는 접합수지(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파형강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강관(10)의 양측 단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고정편(40)에 밀착되는 고리형의 플랜지(45)가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45)의 주연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결합공(46)이 형성되어 상호 볼트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을 갖는 파형 강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45)는 상기 굴곡부(12)의 돌출면(14)을 감싸도록 단면이 '∩'형상으로 형성되어 단부가 상기 굴곡부(12)의 삽입면(13)에 밀착되고, 일측면이 상기 고정편(40)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를 갖는 파형강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평활수지관(20)은 일정 길이로 제조된 다수개의 합성수지의 평판을 각각 열융착 또는 고주파융착한 후 원형으로 형성시킨 평활관인 것을 특징으로 이중구조를 갖는 파형강관.
KR1020070001046A 2007-01-04 2007-01-04 이중구조를 갖는 파형강관 Active KR1007161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1046A KR100716126B1 (ko) 2007-01-04 2007-01-04 이중구조를 갖는 파형강관
EP07746824A EP2102539B1 (en) 2007-01-04 2007-06-01 Double-walled corrugated steel pipe
CN2007800492860A CN101573552B (zh) 2007-01-04 2007-06-01 具有双重结构的波纹钢管
PCT/KR2007/002677 WO2008082040A1 (en) 2007-01-04 2007-06-01 Corrugated steel pipe haved dual type
US12/497,530 US20100269942A1 (en) 2007-01-04 2009-07-02 Dual Layer Pipe
US13/308,613 US20120067518A1 (en) 2007-01-04 2011-12-01 Dual layer pi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1046A KR100716126B1 (ko) 2007-01-04 2007-01-04 이중구조를 갖는 파형강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6126B1 true KR100716126B1 (ko) 2007-05-10

Family

ID=38270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1046A Active KR100716126B1 (ko) 2007-01-04 2007-01-04 이중구조를 갖는 파형강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20100269942A1 (ko)
EP (1) EP2102539B1 (ko)
KR (1) KR100716126B1 (ko)
CN (1) CN101573552B (ko)
WO (1) WO200808204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107B1 (ko) 2007-09-13 2009-10-05 이장섭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2219004B1 (ko) 2020-08-26 2021-02-23 동원철강 주식회사 파형강관용 연결장치
KR102333986B1 (ko) 2021-09-06 2021-12-03 주식회사 다은 재골부의 내부 보강 및 누수방지 기능이 구비된 파형강관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87707B2 (en) * 2008-12-11 2013-03-05 Vetco Gray Inc. Bellows type adjustable casing
CN110629922A (zh) * 2019-07-08 2019-12-31 河北天振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管道建筑砌块及其施工方法
KR102096350B1 (ko) * 2019-09-02 2020-04-02 이경노 내·외관 일체형 보호관의 성형장치 및 그 보호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64614A (ja) * 1990-03-31 1992-06-10 Takiron Co Ltd 合成樹脂製波形管のフランジ形成方法
KR950019728U (ko) * 1993-12-21 1995-07-24 윤승규 나선형 파형관의 접속부용 패킹
KR960000664B1 (ko) * 1993-08-02 1996-01-11 주식회사연합고리 플랜지가 붙은 이중벽체의 나선형 파형관 및 그의 제조방법
JPH08267602A (ja) * 1995-03-31 1996-10-15 Tonen Chem Corp フランジ継手付合成樹脂製コルゲート管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0020966A (ko) * 1999-08-10 2001-03-15 조용래 합성수지제 나선파형관용 접속구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7626A (en) * 1975-09-15 1977-07-26 Standard Oil Company (Indiana) High strength composite pipe structure having leakproof joints
US4202568A (en) * 1975-09-25 1980-05-13 Ab Gustavsberg Tube joint
IT1246600B (it) * 1991-04-15 1994-11-24 Prochind Flangia isolante per condotte metalliche
US6082741A (en) * 1996-11-28 2000-07-04 Ipex Inc. Resilient pipe gasket
US6086110A (en) * 1997-04-10 2000-07-11 Senior Engineering Investments Ag Vibration decoupling connector for exhaust systems
US20010054820A1 (en) * 2000-06-19 2001-12-27 Starita Joseph M. Corrugated plastic pipe sections having flanged ends and structurally tight joints thereof
DE20211150U1 (de) * 2002-07-23 2002-09-26 Vohran Patentverwertungs GmbH, 61462 Königstein Schlauch, insbesondere Sanitärschlauch
KR20040049948A (ko) * 2002-12-05 2004-06-14 김복순 이중구조를 가지는 매설관 및 그의 제조방법
CN2637867Y (zh) * 2003-07-22 2004-09-01 大庆油田长垣管业有限公司 一种管材活套法兰组件
KR200389344Y1 (ko) * 2005-03-02 2005-07-14 윤석은 파형강관 연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64614A (ja) * 1990-03-31 1992-06-10 Takiron Co Ltd 合成樹脂製波形管のフランジ形成方法
KR960000664B1 (ko) * 1993-08-02 1996-01-11 주식회사연합고리 플랜지가 붙은 이중벽체의 나선형 파형관 및 그의 제조방법
KR950019728U (ko) * 1993-12-21 1995-07-24 윤승규 나선형 파형관의 접속부용 패킹
JPH08267602A (ja) * 1995-03-31 1996-10-15 Tonen Chem Corp フランジ継手付合成樹脂製コルゲート管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10020966A (ko) * 1999-08-10 2001-03-15 조용래 합성수지제 나선파형관용 접속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107B1 (ko) 2007-09-13 2009-10-05 이장섭 파형강관 연결장치
KR102219004B1 (ko) 2020-08-26 2021-02-23 동원철강 주식회사 파형강관용 연결장치
KR102333986B1 (ko) 2021-09-06 2021-12-03 주식회사 다은 재골부의 내부 보강 및 누수방지 기능이 구비된 파형강관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82040A1 (en) 2008-07-10
US20120067518A1 (en) 2012-03-22
EP2102539A4 (en) 2011-08-31
EP2102539A1 (en) 2009-09-23
EP2102539B1 (en) 2012-10-03
CN101573552A (zh) 2009-11-04
CN101573552B (zh) 2013-01-23
US20100269942A1 (en) 2010-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6126B1 (ko) 이중구조를 갖는 파형강관
CN201016418Y (zh) 一种排水管道用预埋套管
CN103062532A (zh) 聚乙烯塑钢缠绕排水管卡箍
KR101171334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KR20090027957A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CN208237254U (zh) 一种聚乙烯双波峰加筋增强排水管
KR100933823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CN222479809U (zh) 一种钢塑复合管道连接装置
KR100887614B1 (ko) 맨홀 구조와 맨홀을 제작하는 방법
CN102287589A (zh) 螺旋缠绕钢丝增强体的钢塑复合管及管网
KR100919107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CN209892935U (zh) 一种rtp管高压密封连接结构
KR100800280B1 (ko) 건축용 파형강관 연결 고정구
CN205401986U (zh) 聚乙烯钢肋增强双平壁排水管
CN203686450U (zh) 一种钢带增强聚乙烯螺旋波纹管所用的承插接头
CN202972253U (zh) 一种加筋排水管管接头及连接结构
KR200389344Y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CN106838485B (zh) 一种连接牢固的高强度hdpe双壁波纹管
KR101034517B1 (ko) 결속부재가 구비된 합성수지 코로게이트관
CN206299929U (zh) 大口径缠绕结构壁排污管道
CN201090855Y (zh) 内衬卡压复合管连接件
KR101589031B1 (ko) 복합형 파형 강관 연결재
KR20180023341A (ko) 파형강관 구조체
CN218954239U (zh) 一种双肋增强缠绕结构壁管材
CN214171669U (zh) 一种增强型排污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7010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704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705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705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1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02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0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17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27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12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13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