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562Y1 -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 Google Patents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562Y1
KR200462562Y1 KR2020120004877U KR20120004877U KR200462562Y1 KR 200462562 Y1 KR200462562 Y1 KR 200462562Y1 KR 2020120004877 U KR2020120004877 U KR 2020120004877U KR 20120004877 U KR20120004877 U KR 20120004877U KR 200462562 Y1 KR200462562 Y1 KR 2004625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rope
safety
safety rope
shou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8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윤진
Original Assignee
정윤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윤진 filed Critical 정윤진
Priority to KR20201200048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5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5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5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06Harnesses; Accessories therefor
    • A62B35/0025Details and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Abstract

본 고안은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를 개시한다.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는 작업자의 어깨에 착용되며 좌측밴드 및 우측밴드가 서로 교차하여 이웃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구비되는 어깨고정밴드, 작업자의 하체에 착용되며 상기 어깨고정밴드의 하단에 연결된 하체받침밴드를 포함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로서, 상기 어깨고정밴드를 작업자가 착용하였을 때 작업자의 가슴부위에 위치되도록 상기 한 쌍의 어깨고정밴드상에서 전방측에 마련되는 로프연결 밴드부; 및 상기 로프연결 밴드부에 설치되며, 작업자가 탑승하는 의자를 승, 하강시키는 메인 안전로프 및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 안전로프와 결속하기 위한 안전로프 연결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고층건물 외벽의 페인트칠, 또는 고층건물의 외부유리창의 청소와 같은 고소작업시 작업을 자유롭게 실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소작업용 안전벨트{SAFETY BELT FOR HIGH PLACE WORK}
본 고안은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층건물 외벽의 페인트칠, 또는 고층건물의 외부유리창의 청소와 같은 고소작업시 작업을 자유롭게 실시할 수 있는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 건축물이나 특정 구조물 등의 외부 표면은 미관 및 보수를 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청소나 작업을 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건축물이나 구조물 등은 지면에서부터 높은 곳에 위치되어 있어 크레인과 같은 일정 높이의 위치까지만 연장시킬 수 있는 중장비는 사용할 수가 없게 된다. 따라서 고층 건축물은 작업자가 직접 그 건물의 옥상에 올라가서 안전로프를 타고 하강하면서 작업을 실시할 수 밖에 없다.
고층 건물에서 로프를 타고 작업을 할 때에는 작업자가 의지하여 앉을 수 있는 의자를 이용하게 된다. 의자는 나무 널판지 형태의 의자가 사용될 수 있고, 의자는 그 사방에 천공된 삽입공에 로프를 고정시킨 후 사방의 각 로프들을 옥상에서 지상으로 연결되는 안전로프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구에 고정시키는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의자를 타고 작업을 실시하기 위하여, 작업자는 고층 건물의 옥상에 올라가서 옥상에 형성된 고정물에 안전로프의 일측을 고정시키고 안전로프의 타측은 의자에 마련된 연결구에 권취시킨 다음 지상으로 길게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옥상의 구조물에 고정되어 지상에 연결되는 보조의 안전로프를 더 준비하여 하강 준비를 하게 된다.
또한 작업자는 어깨에 착용되는 어깨고정밴드 및 하체에 착용되는 하체받침밴드로 구성되는 산업용 안전벨트와 산업용 안전벨트에 마련되어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를 이용하여 의자에 연결되는 안전로프와 보조의 안전로프에 의지하여 하강하면서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산업용 안전벨트에 마련되는 안전장치는 의자에 연결되는 안전로프와 연결하기 위한 안전로프 연결고리 및 물림장치를 구비하여 보조의 안전로프에 연결되는 스토퍼로 이루어져 있다. 안전로프 연결고리는 의자에 연결되는 안전로프에 결합되며, 스토퍼는 추가의 안전로프에 결합된다. 그리고 안전로프 연결고리 및 스토퍼는 각각 별도의 로프 및 연결고리를 이용하여 산업용 안전벨트의 어깨고정밴드의 후방측에 연결된다. 안전로프 연결고리 및 스토퍼를 어깨고정밴드에 연결하는 로프는 안전로프 연결고리 및 스토퍼를 안전로프들에 연결할 때 작업자의 어깨를 넘어 전방으로 연장되게 된다.
작업자가 산업용 안전벨트를 착용하고 안전장치를 안전로프들에 연결한 상태에서 안전로프를 타고 하강하면서 작업을 실시할 때, 작업자는 의자와 안전로프를 연결하는 연결구에 권취된 안전로프를 풀어주면서 높이를 조절하여 조금씩 하강하게되고, 하강될 때 안전로프 연결고리와 스토퍼의 위치도 하측으로 이동시키면서 하강하게 된다.
그런데 안전로프 연결고리와 스토퍼는 작업자가 착용하고 있는 산업용 안전벨트의 어깨고정밴드의 후방으로부터 연장되는 로프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안전로프 연결고리와 스토퍼의 위치를 하측으로 이동시킬 때 어깨너머로 연장되는 로프의 간섭이 발생되어 안전로프 연결고리와 스토퍼를 이동시키는 과정이 매우 불편하였다.
뿐만 아니라, 안전로프 연결고리와 스토퍼를 연결하는 로프가 작업자의 어깨 너머로 연장되므로 시야를 가리는 등 작업 과정에 간섭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고소작업을 자유롭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는 작업자의 어깨에 착용되며 좌측밴드 및 우측밴드가 서로 교차하여 이웃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구비되는 어깨고정밴드, 작업자의 하체에 착용되며 상기 어깨고정밴드의 하단에 연결된 하체받침밴드를 포함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로서, 상기 어깨고정밴드를 작업자가 착용하였을 때 작업자의 가슴부위에 위치되도록 상기 한 쌍의 어깨고정밴드상에서 전방측에 마련되는 로프연결 밴드부; 및 상기 로프연결 밴드부에 설치되며, 작업자가 탑승하는 의자를 승, 하강시키는 메인 안전로프 및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 안전로프와 결속하기 위한 안전로프 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안전로프 연결부는 일측에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자유단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자유단 각각에는 상기 메인 안전로프에 체결되는 로프 결합고리 및 상기 보조 안전로프에 체결되는 추락방지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프연결 밴드부는 상기 좌측밴드 및 상기 우측밴드의 전방측에 각각 고정되는 제1 밴드 및 제2 밴드, 각각 상기 제1 밴드 및 상기 제2 밴드에 결속되어 구비되는 제1 연결고리 및제2 연결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로프 연결부는 상기 연결고리에 탈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는 로프연결 밴드부는 밴드연결클립, 상기 밴드연결클립에 엑스(X)자 형태로 교차하면서 끼워져서 양단이 상기 좌측밴드 및 상기 우측밴드에 고정되는 제1 밴드 및 제2 밴드, 상기 밴드연결클립에 구비되며 상기 안전로프 연결부가 연결되기 위한 연결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로프 연결부는 상기 연결고리에 탈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로프 연결부는 일측에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자유단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자유단 각각에는 상기 메인 안전로프에 체결되는 로프 결합고리 및 상기 보조 안전로프에 체결되는 추락방지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는 작업자의 어깨에 착용되며 좌측밴드 및 우측밴드가 서로 교차하여 이웃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구비되는 어깨고정밴드, 작업자의 하체에 착용되며 상기 한 쌍의 어깨고정밴드의 하단에 연결된 하체받침밴드를 포함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로서, 상기 어깨고정밴드의 전방측에 연결되며, 작업자가 탑승하는 의자를 승, 하강시키는 메인 안전로프 및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 안전로프와 결속하기 위한 안전로프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안전로프 연결부는 일측에 서로 이웃하는 복수의 자유단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자유단 각각에는 상기 메인 안전로프에 체결되는 로프 결합고리 및 상기 보조 안전로프에 체결되는 추락방지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는 로프연결 밴드부가 일단이 상기 좌측밴드 및 상기 우측밴드의 전방측에 고정되는 제1 및 제2 밴드, 상기 제1 고정밴드 또는 상기 제2 고정밴드의 다른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 고정밴드를 서로 결속시키기 위한 버클, 상기 버클의 상부에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안전로프 연결부는 상기 연결부에 탈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의하면, 고층건물 외벽의 페인트칠, 또는 고층건물의 외부유리창의 청소와 같은 고소작업시 작업을 자유롭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고안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용 안전벨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는 어깨고정밴드(110), 하체받침밴드(130), 로프연결 밴드부(170), 안전로프 연결부(180)를 포함한다.
어깨고정밴드(110)는 작업자의 어깨에 착용된다. 일례로, 어깨고정밴드(110)는 작업자의 어깨에 착용되기 위하여, 작업자의 좌측어깨에 착용되는 좌측밴드(111) 및 작업자의 우측어깨에 착용되는 우측밴드(1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좌측밴드(111) 및 우측밴드(112)는 중앙이 서로 교차하여 이웃하는 형태로 배치될수 있다. 예를 들면, 좌측밴드(111) 및 우측밴드(112)는 대략 육각형태로 형성되고 좌측밴드(111) 및 우측밴드(112)가 엑스(X)자로 결속되기 위한 복수의 결속구멍(121)을 갖는 형태의 밴드연결클립(120)에 결속되어 엑스자 형태로 교차하여 서로 이웃할 수 있다.
어깨고정밴드(110)의 재질은 직물일 수 있으며, 직물은 나일론사 또는 폴리에스테르사로 제직된 직물일 수 있고, 쉽게 헤어지지 않거나 작업자의 체중을 견딜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가지는 직물이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하체받침밴드(130)는 작업자의 하체에 착용된다. 일례로, 하체받침밴드(130)가 작업자의 하체에 착용되기 위하여, 좌측 대퇴부 받침부(131) 및 우측 대퇴부 받침부(132), 그리고 둔부 받침부(13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좌측 대퇴부 받침부(131) 및 우측 대퇴부 받침부(132)는 일례로, 작업자의 대퇴부 둘레에 둘러지도록 착용되기 위하여, 대략 U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좌측 대퇴부 받침부(131) 및 우측 대퇴부 받침부(132)의 내측으로 작업자의 두 다리를 삽입하여 착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좌측 대퇴부 받침부(131) 및 우측 대퇴부 받침부(132)가 작업자의 사타구니 부위에 착용될 수 있으며, 착용시 작업자의 두 다리의 대퇴부를 받쳐줄 수 있다.
둔부 받침부(133)는 하체받침밴드(130)를 작업자가 착용하였을 때 작업자의 둔부를 받쳐준다. 일례로, 둔부 받침부(133)는 작업자의 둔부를 받칠 수 있도록, 좌측 대퇴부 받침부(131) 및 우측 대퇴부 받침부(132)의 후방측에 고정될 수 있다.
하체받침밴드(130)의 재질은 직물일 수 있으며, 직물은 나일론사 또는 폴리에스테르사로 제직된 직물일 수 있고, 쉽게 헤어지지 않거나 작업자의 체중을 견딜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가지는 직물이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이러한 하체받침밴드(130)는 어깨고정밴드(11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좌측 대퇴부 받침부(131) 및 우측 대퇴부 받침부(132) 각각의 제1 단부(131a, 132a)는 어깨고정밴드(110)를 구성하는 좌측밴드(111) 및 우측밴드(112) 각각의 두 단부들 모두에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제2 단부(131b, 132b)는 좌측밴드(111) 및 우측밴드(112)의 후방측 단부에 연결되는 것에 의해 어깨고정밴드(11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좌측 대퇴부 받침부(131) 및 우측 대퇴부 받침부(132) 각각의 제1 단부(131a, 132a)가 좌측밴드(111) 및 우측밴드(112) 각각의 두 단부들 모두에 연결되기 위하여, 예를 들면, 둔부 받침부(133)를 좌측 대퇴부 받침부(131) 및 우측 대퇴부 받침부(132)에 덧대어지는 형태로 고정하고, 둔부 받침부(133)와 좌측 대퇴부 받침부(131) 및 우측 대퇴부 받침부(132)의 덧대어진 면들 사이에 삽입공간(134)을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삽입공간(134)으로 좌측밴드(111) 및 우측밴드(112)의 후방측 단부가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어깨고정밴드(110)와 하체받침밴드(130)의 상호간의 연결을 위하여는, 예를 들면, 한 쌍의 연결클립(141, 142), 한 쌍의 결합편(151, 152), 한 쌍의 걸림편(161, 162)이 사용될 수 있다.
한 쌍의 연결클립(141, 142)은 각각 좌측 대퇴부 받침부(131) 및 우측 대퇴부 받침부(132)의 제1 단부(131a, 132a)들에 구비되어 좌측밴드(111) 및 우측밴드(112)의 전방측 단부와 결속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좌측 대퇴부 받침부(131) 및 우측 대퇴부 받침부(132)의 제1 단부(131a, 132a)들이 좌측밴드(111) 및 우측밴드(112)의 전방측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결합편(151, 152)은 좌측밴드(111) 및 우측밴드(112)의 후방측 단부에 결속될 수 있다. 한 쌍의 걸림편(161, 162)은 좌측 대퇴부 받침부(131) 및 우측 대퇴부 받침부(132)의 제2 단부(131b, 132b)들에 결속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결합편(151, 152) 및 한 쌍의 걸림편(161, 162)은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좌측 대퇴부 받침부(131) 및 우측 대퇴부 받침부(132)의 제2 단부(131b, 132b)들이 좌측밴드(111) 및 우측밴드(112)의 후방측 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연결클립(141, 142), 한쌍의 결합편(151, 152) 및 한 쌍의 걸림편(161, 162)의 재질은 작업자의 체중을 강하게 견딜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작업자의 체중을 견딜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갖는다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로프연결 밴드부(170)는 안전로프 연결부(180)와 체결되어서 작업자가 안전벨트(100)를 착용하였을 때 안전로프 연결부(180)가 작업자의 전방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로프연결 밴드부(170)는 어깨고정밴드(110)의 전방측에 마련된다. 일례로, 로프연결 밴드부(170)는 안전로프 연결부(180)의 체결을 위하여 제1 밴드(171) 및 제2 밴드(172), 제1 연결고리(173) 및 제2 연결고리(17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밴드(171) 및 제2 밴드(172)는 어깨고정밴드(110)의 전방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밴드(171)는 어깨고정밴드(110)의 좌측밴드(111)의 정면측에 단부가 재봉되어 고정될 수 있고, 제2 밴드(172)는 어깨고정밴드(110)의 우측밴드(112)의 정면측에 단부가 재봉되어 고정될 수 있다. 제1 밴드(171) 및 제2 밴드(172)는 좌측밴드(111) 및 우측밴드(112)에 재봉되어 고정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제1 밴드(171) 및 제2 밴드(172)를 띠 형태로 준비한 후 양단을 겹쳐서 겹쳐진 단부들을 좌측밴드(111) 및 우측밴드(112)들에 재봉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1 밴드(171) 및 제2 밴드(172)의 고정된 단부들 상부로 제1 연결고리(173) 및 제2 연결고리(174)가 결속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연결고리(173) 및 제2 연결고리(174)는 제1 밴드(171) 및 제2 밴드(172)에 결속되어 구비될 수 있다. 제1 연결고리(173) 및 제2 연결고리(174)가 제1 밴드(171) 및 제2 밴드(172)에 결속되기 위하여는, 예를 들면, 위에서 예를 들어 설명한 제1 밴드(171) 및 제2 밴드(172)의 재봉 과정에서 미리 제1 밴드(171) 및 제2 밴드(172)에 끼워진 후 제1 밴드(171) 및 제2 밴드(172)를 좌측밴드(111) 및 우측밴드(112)에 재봉하여 고정하는 과정에 의해 제1 밴드(171) 및 제2 밴드(172)에 결속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연결고리(173) 및 제2 연결고리(174)는 직사각 또는 정사각 형상과 같은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또는 원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제1 연결고리(173) 및 제2 연결고리(174)의 재질은 작업자의 체중을 강하게 견디고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작업자의 체중을 견딜 수 있고 쉽게 파손되지 않는 정도의 강도를 갖는다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안전로프 연결부(180)는 로프연결 밴드부(170)에 체결되어 안전벨트()를 고소작업시 작업자가 탑승하는 의자를 승, 하강시키는 메인 안전로프(1) 및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 안전로프(2)와 연결되도록 한다. 일례로, 안전로프 연결부(180)는 연결로프(181), 제1 탈착편(182), 제2 탈착편(183), 로프 결합고리(184), 추락방지 스토퍼(185)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로프(181)는 메인로프부(181a), 제1 고정단(181b) 및 제2 고정단(181c), 제1 자유단(181d) 및 제2 자유단(181e)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로프부(181a)는 수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단(181b) 및 제2 고정단(181c)은 각각 메인로프부(181a)의 하부로부터 하향되게 좌측 및 우측으로 뻗어 연장될 수 있다. 제1 고정단(181b)은 로프연결 밴드부(170)의 제1 연결고리(173)와 연결될 수 있고, 제2 고정단(181c)은 로프연결 밴드부(170)의 제2 연결고리(174)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자유단(181d) 및 제2 자유단(181e)은 각각 메인로프부(181a)의 상부로부터 상향되게 좌측 및 우측으로 뻗어 연장될 수 있다. 제1 자유단(181d)은 메인 안전로프(1)와 연결될 수 있고, 제2 자유단(181e)은 보조 안전로프(2)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로프(181)는 섬유를 꼬아서 만든 고강도의 섬유 로프일 수 있고, 또는 강선을 꼬아서 만든 와이어 로프일 수 있다.
제1 탈착편(182) 및 제2 탈착편(183)은 제1 고정단(181b) 및 제2 고정단(181c)이 로프연결 밴드부(170)의 제1 연결고리(173) 및 제2 연결고리(174)와 연결되도록 한다. 제1 탈착편(182)은 제1 고정단(181b)에 구비될 수 있고, 제2 탈착편(183)은 제2 고정단(181c)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탈착편(182) 및 제2 탈착편(183)은 예를 들면, 안전용 및 레저용으로 널리 이용되는 "비너"로 통칭되는 스냅후크(snap hook)가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잠금장치를 갖는 스냅후크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제1 연결고리(173) 및 제2 연결고리(174)에 탈착 가능한 형태라면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로프 결합고리(184)는 제1 자유단(181d)이 메인 안전로프(1)와 연결되도록 한다. 로프 결합고리(184)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대략 갈고리 형상을 갖는 몸체(184a)의 개방부분에 외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구조의 개폐부재(184b)를 갖는 통상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위에서 설명된 "비너"로 통칭되는 스냅후크가 사용될 수도 있으며, 메인 안전로프(1)에 탈착 가능한 형태라면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추락방지 스토퍼(185)는 고소작업 중 작업자가 메인 안전로프(1)와 연결된 의자에서 이탈되어 작업자가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추락방지 스토퍼(185)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형태의 추락방지 스토퍼(185)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보조 안전로프(2)에 체결되어 작업자의 추락시 로프를 물어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물림장치를 구비하는 형태라면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고안 고소작업용 안전벨트(100)는 고소작업, 즉 고층건물 외벽의 페인트칠이나, 고층건물의 외부유리창의 청소 등과 같은 고소작업시에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 고소작업용 안전벨트(100)를 이용하는 경우, 안전벨트(100)를 작업자가 착용하면 고소작업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마련되는 메인 안전로프(1) 및 보조 안전로프(2)와 연결하기 위한 안전로프 연결부(180)가 작업자의 가슴 부위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작업자의 가슴 부위에 위치하는 안전로프 연결부(180)에 의해 메인 안전로프(1)에 결속되기 위한 로프 결합고리(184) 및 보조 안전로프(2)에 결속되기 위한 추락방지 스토퍼(185)가 작업자의 전방에 위치되고, 메인로프부(181a)가 작업자의 정면에 위치될 수 있다.
로프 결합고리(184) 및 추락방지 스토퍼(185), 메인로프부(181a)가 작업자의 전방에 위치하면 작업자는 로프 결합고리(184) 및 추락방지 스토퍼(185)의 위치를 작업자의 가슴 부위 아래로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안전로프 연결부(180)가 작업자의 시야를 가리는 등의 간섭 없이 고층건물 외벽의 페인트칠, 또는 고층건물의 외부유리창의 청소와 같은 작업을 자유롭게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고안 고소작업용 안전벨트(100)를 이용하는 경우, 작업자가 탑승하고 있는 의자를 메인 안전로프(1)를 따라 하측으로 점차 하강시키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정면에서 로프 결합고리(184) 및 추락방지 스토퍼(185)의 위치를 간단히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하강 과정이 자유로워질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고소작업용 안전벨트(200)는 어깨고정밴드(210), 하체받침밴드(230), 로프연결 밴드부(270), 안전로프 연결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어깨고정밴드(210), 하체받침밴드(230)의 구체적인 설명은 도 1을 참조한 어깨고정밴드(110), 하체받침밴드(130)에 대한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로프연결 밴드부(270)는 밴드연결클립(271), 제1 밴드(272) 및 제2 밴드(273), 연결고리(274)를 포함할 수 있다.
밴드연결클립(271)은 제1 밴드(272) 및 제2 밴드(273)가 서로 교차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일례로, 밴드연결클립(271)은 제1 밴드(272) 및 제2 밴드(273)가 서로 교차되도록 하기 위하여, 대략 육각형태로 형성되고 제1 밴드(272) 및 제2 밴드(273)가 엑스(X)자로 결속되기 위한 복수의 결속구멍(271a, 271b)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결속구멍(271a, 271b)은 제1 밴드(272)가 제1 사선 방향으로 결속되도록 제1 사선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1 결속구멍(271a) 및 제2 밴드(273)가 제1 사선 방향과 교차하는 제2 사선 방향으로 결속되도록 제2 사선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2 결속구멍(271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밴드연결클립(271)은 연결고리(274)가 결합되기 위하여 정면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결합부(271c)가 형성될 수 있다. 밴드연결클립(271)의 재질은 작업자의 체중을 강하게 견딜 수 있도록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작업자의 체중을 견딜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갖는다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 밴드(272) 및 제2 밴드(273)는 밴드연결클립(271)에 결속될 수 있다. 제1 밴드(272)는 밴드연결클립(271)의 한 쌍의 제1 결속구멍(271a)에 결속되어 상단이 어깨고정밴드(210)의 좌측밴드(211)에 고정될 수 있고, 하단이 어깨고정밴드(210)의 우측밴드(212)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밴드(273)는 밴드연결클립(271)의 한 쌍의 제2 결속구멍(271b)에 결속되어 상단이 어깨고정밴드(210)의 좌측밴드(211)에 고정될 수 있고, 하단이 어깨고정밴드(210)의 우측밴드(212)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밴드(272) 및 제2 밴드(273)는 엑스(X)자 형태로 교차하면서 서로 이웃할 수 있다. 제1 밴드(272) 및 제2 밴드(273)의 재질은 직물일 수 있으며, 직물은 나일론사 또는 폴리에스테르사로 제직된 직물일 수 있고, 쉽게 헤어지지 않거나 작업자의 체중을 견딜 수 있을 정도의 강도를 가지는 직물이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연결고리(274)는 밴드연결클립(271)의 결합부(271c)에 구비될 수 있다. 직사각 또는 정사각 형상과 같은 다각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또는 원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연결고리(274)의 재질은 작업자의 체중을 강하게 견디고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작업자의 체중을 견딜 수 있고 쉽게 파손되지 않는 정도의 강도를 갖는다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위와 같이 로프연결 밴드부(270)가 구성되는 경우, 일례로, 안전로프 연결부(280)는 연결로프(181), 탈착편(282), 로프 결합고리(284), 추락방지 스토퍼(285)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로프(281)는 메인로프부(281a), 제1 자유단(281b) 및 제2 자유단(281c)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로프부(281a)는 로프연결 밴드부(270)와 연결될 수 있고, 제1 자유단(281b)은 메인 안전로프(1)와 연결될 수 있고, 제2 자유단(281c)은 보조 안전로프(2)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제외한 메인로프부(281a), 제1 자유단(281b) 및 제2 자유단(281c)의 구성은 상기 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메인로프부(181a), 제1 자유단(181d) 및 제2 자유단(181e)에 대한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탈착편(282)은 연결로프(281)가 로프연결 밴드부(270)와 연결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고리(274)에 탈착될 수 있다. 이를 제외한 탈착편(282)의 구성은 상기 일 실시예의 제1 탈착편(182) 및 제2 탈착편(183)에 대한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이러한 본 고안 고소작업용 안전벨트(200)를 이용하는 경우, 로프연결 밴드부(270)의 제1 밴드(272) 및 제2 밴드(273)가 엑스자로 교차되게 배치되어 어깨고정밴드(210)의 전방측을 작업자의 가슴 부위로 모아주므로 어깨고정밴드(210)가 작업자의 상체에 더욱 확실히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전술일 실시예들에서는 로프연결 밴드부(170, 270)가 어깨고정밴드(110, 210)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로프연결 밴드부(170, 270)는 생략될 수도 있다. 로프연결 밴드부(170, 270)가 생략되는 경우, 안전로프 연결부(180, 280)는 어깨고정밴드(110, 270)에 직접 고정될 수 있다. 안전로프 연결부(180, 280)를 어깨고정밴드(110, 210)에 직접 고정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안전로프 연결부(180)의 제1 고정단(181b) 및 제2 고정단(181c)을 어깨고정밴드(110, 210)에 묶어서 고정하는 형태일 수도 있고, 제1 고정단(181b) 및 제2 고정단(181c)을 넓직한 밴드 형태로 구성하여 어깨고정밴드(110)에 재봉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안전로프 연결부(180, 280)를 어깨고정밴드(110, 210)에 직접 고정하는 경우, 안전로프 연결부(180, 280)가 어깨고정밴드(110, 210)에 직접 고정되므로 탈착편에 의해 어깨고정밴드에 연결되는 것보다 작업자의 고소작업시 안전로프 연결부(180, 280)의 흔들림이 감소되어 간섭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작업자의 작업 능률이 향상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고소작업용 안전벨트(300)는 어깨고정밴드(310), 하체받침밴드(330), 로프연결 밴드부(370), 안전로프 연결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
어깨고정밴드(310), 하체받침밴드(330), 안전로프 연결부(380)의 구체적인 설명은 도 1을 참조한 어깨고정밴드(110), 하체받침밴드(130)에 대한 설명과, 도 3을 참조한 안전로프 연결부(280)의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로프연결 밴드부(370)는 제1 밴드(371) 및 제2 밴드(371), 버클(37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밴드(371)는 일단이 좌측밴드(311) 전방측에 고정되며, 제2 밴드(372)는 우측밴드(312)의 전방측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밴드(371) 및 제2 밴드(372)는 어깨고정밴드(110)의 전방에서 수평으로 위치한다. 제2 밴드(372)의 중앙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구멍(372a)이 형성될 수 있다.
버클(373)은 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원형 또는 육각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버클(373)의 내측 중앙에는 제2 밴드(372)의 구멍(372a)과 결속되기 위한 결속핀(373a)이 구비될 수 있다. 버클(373)의 외측 상부에는 연결부(373b)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373b)에는 안전로프 연결부(380)의 탈착편(382)이 탈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소작업용 안전벨트(300)를 이용하면, 안전벨트(300)의 착용시 어깨고정밴드(310)를 간단히 어깨에 착용한 후 로프연결 밴드부(370)의 버클(373) 및 제2 밴드(372)를 결속하여 착용을 완료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벨트(300)의 착용이 간편해질 수 있다.
110, 210, 310 : 어깨고정밴드 111, 211, 311 : 좌측밴드
113, 213, 313 : 우측밴드 120, 271 : 밴드연결클립
130, 230, 330 : 하체받침밴드 131 : 좌측 대퇴부 받침부
132 : 우측 대퇴부 받침부 133 : 둔부 받침부
141, 142 : 연결클립 151, 152 : 결합편
161, 162 : 걸림편 170, 270, 370 : 로프연결 밴드부
171, 272, 371 : 제1 밴드 172, 273, 372 : 제2 밴드
173 : 제1 연결고리 174 : 제2 연결고리
180, 280, 380 : 안전로프 연결부 181, 281 : 연결로프
181a, 281a : 메인로프부 181b : 제1 고정단
181c : 제2 고정단 181d : 제1 자유단
181e : 제2 자유단 182 : 제1 탈착편
183 : 제2 탈착편 184, 284 결합고리
185, 285 : 추락방지 스토퍼 383 : 버클
383a : 결속핀 383b : 연결부

Claims (6)

  1. 삭제
  2. 작업자의 어깨에 착용되며 좌측밴드 및 우측밴드가 서로 교차하여 이웃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구비되는 어깨고정밴드, 작업자의 하체에 착용되며 상기 어깨고정밴드의 하단에 연결된 하체받침밴드를 포함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로서,
    상기 어깨고정밴드를 작업자가 착용하였을 때 작업자의 가슴부위에 위치되도록 상기 한 쌍의 어깨고정밴드상에서 전방측에 마련되는 로프연결 밴드부; 및
    상기 로프연결 밴드부에 설치되며, 작업자가 탑승하는 의자를 승, 하강시키는 메인 안전로프 및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 안전로프와 결속하기 위한 안전로프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프연결 밴드부는
    밴드연결클립,
    상기 밴드연결클립에 엑스(X)자 형태로 교차하면서 끼워져서 양단이 상기 좌측밴드 및 상기 우측밴드에 고정되는 제1 밴드 및 제2 밴드,
    상기 밴드연결클립에 구비되며 상기 안전로프 연결부가 연결되기 위한 연결고리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로프 연결부는 상기 연결고리에 탈착되는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3. 삭제
  4. 작업자의 어깨에 착용되며 좌측밴드 및 우측밴드가 서로 교차하여 이웃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구비되는 어깨고정밴드, 작업자의 하체에 착용되며 상기 어깨고정밴드의 하단에 연결된 하체받침밴드를 포함하는 고소작업용 안전벨트로서,
    상기 어깨고정밴드를 작업자가 착용하였을 때 작업자의 가슴부위에 위치되도록 상기 한 쌍의 어깨고정밴드상에서 전방측에 마련되는 로프연결 밴드부; 및
    상기 로프연결 밴드부에 설치되며, 작업자가 탑승하는 의자를 승, 하강시키는 메인 안전로프 및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 안전로프와 결속하기 위한 안전로프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로프연결 밴드부는
    일단이 상기 좌측밴드 및 상기 우측밴드의 전방측에 고정되는 제1 및 제2 밴드,
    상기 제1 고정밴드 또는 상기 제2 고정밴드의 다른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및 제2 고정밴드를 서로 결속시키기 위한 버클,
    상기 버클의 상부에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안전로프 연결부는 상기 연결부에 탈착되는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5. 삭제
  6. 삭제
KR2020120004877U 2012-06-08 2012-06-08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KR2004625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877U KR200462562Y1 (ko) 2012-06-08 2012-06-08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877U KR200462562Y1 (ko) 2012-06-08 2012-06-08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2562Y1 true KR200462562Y1 (ko) 2012-09-14

Family

ID=47559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877U KR200462562Y1 (ko) 2012-06-08 2012-06-08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56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2177B1 (ko) 2014-06-30 2015-10-22 주식회사 에덴뷰 착용이 용이한 작업용 의자
KR20170037259A (ko) 2015-09-25 2017-04-04 주식회사 우석 비상 동작이 가능한 작업용 안전 밴드 어셈블리
KR102116547B1 (ko) 2019-03-27 2020-05-29 주식회사 에스탑 안전그네용 벨트
KR102219222B1 (ko) 2020-07-10 2021-02-23 김태수 충격흡수용 안전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3633A (en) 1984-08-13 1985-11-19 Armstrong Timothy J Safety harness system for confined space workers
JP2008110128A (ja) * 2006-10-31 2008-05-15 Yondenko Corp 保守作業補助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構造物の保守工法
JP2008148803A (ja) 2006-12-15 2008-07-03 Prop:Kk ハーネス型安全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53633A (en) 1984-08-13 1985-11-19 Armstrong Timothy J Safety harness system for confined space workers
JP2008110128A (ja) * 2006-10-31 2008-05-15 Yondenko Corp 保守作業補助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構造物の保守工法
JP2008148803A (ja) 2006-12-15 2008-07-03 Prop:Kk ハーネス型安全帯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2177B1 (ko) 2014-06-30 2015-10-22 주식회사 에덴뷰 착용이 용이한 작업용 의자
KR20170037259A (ko) 2015-09-25 2017-04-04 주식회사 우석 비상 동작이 가능한 작업용 안전 밴드 어셈블리
KR102116547B1 (ko) 2019-03-27 2020-05-29 주식회사 에스탑 안전그네용 벨트
KR102219222B1 (ko) 2020-07-10 2021-02-23 김태수 충격흡수용 안전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2562Y1 (ko) 고소작업용 안전벨트
JP6049026B2 (ja) 着脱可能な墜落防止用安全帯を備えた落石防護用救命胴衣
KR100626420B1 (ko) 고소작업용 충격흡수 안전벨트
US20050205356A1 (en) Simplification of donning a safety harness and connecting a connecting element to the safety harness
AU2006269837B2 (en) Working platform
US2303954A (en) Safety device for workmen on steel structures
US20070114095A1 (en) Positioning and safety lanyard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of use
US20160346570A1 (en) Scaffolding safety line
JP5651514B2 (ja) 2点係止型の墜落防止ロープとチョーク台付ベルトを備えた樹木昇降補助具とそれを用いた樹木昇降方法
KR20100109538A (ko) 달비계용 2중 안전 샤클조립체
JP6549463B2 (ja) 傾斜面用ランヤードのグリップ及び安全対策装備並びに傾斜面作業における二重安全対策方法
KR200471729Y1 (ko) 산업용 그네식 안전벨트
JP6662810B2 (ja) 高所作業の二重安全対策に用いる中継装置及び二重安全対策方法
CN208380493U (zh) 一种用于攀爬生产硫酸镍反应釜的扶梯
KR200262784Y1 (ko) 안전벨트가 부착된 작업복
JP6864355B2 (ja) ハーネス型安全帯
JP2018011817A (ja) 工具吊り具
CN206443377U (zh) 一种吊床端侧的连接结构以及一种吊床
KR200439915Y1 (ko) 안전대용 충격흡수대가 구비된 작업복
CN106606060B (zh) 吊床端侧的连接结构及其编织方法
JP2020195518A (ja) ランヤード
CN218479510U (zh) 用于盘扣式脚手架的安全带系留装置及盘扣式脚手架
CN216949609U (zh) 一种防撕裂的编织安全网
KR200493377Y1 (ko) 고층 건물의 외벽 작업용 달비계
DE20217248U1 (de) Schutznetz zum Auffangen von abstürzenden Personen und/oder Gegenständen bei Bau- und/oder Montagearbeit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