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327Y1 - 안전모용 턱끈구조 - Google Patents

안전모용 턱끈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327Y1
KR200462327Y1 KR2020110000574U KR20110000574U KR200462327Y1 KR 200462327 Y1 KR200462327 Y1 KR 200462327Y1 KR 2020110000574 U KR2020110000574 U KR 2020110000574U KR 20110000574 U KR20110000574 U KR 20110000574U KR 200462327 Y1 KR200462327 Y1 KR 2004623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connecting piece
tightening
string
hard h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05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5471U (ko
Inventor
정현술
Original Assignee
스왈록아시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왈록아시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왈록아시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05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327Y1/ko
Publication of KR201200054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4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3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3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8Chin straps or similar retention devices
    • A42B3/085Occipital retent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73Neck restrain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0Linings
    • A42B3/14Suspension devices
    • A42B3/145Size adjustment device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전모용 턱끈구조에 관한 것으로, 양단부가 머리고정대의 걸림돌기들에 연결되는 연결끈들; 연결끈들의 양단에 인서트 사출성형되고 걸림돌기에 결합되도록 결합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편들; 양단부가 연결끈들에 연결되어 있고 작업자의 턱에 지지되는 조임끈; 조임끈의 양단부에 구비되어서 조임끈의 양단부가 연결끈에 결합되도록 하는 결속부재; 조임끈에 결합되어 있고 조임끈의 길이를 조절하여서 조임끈이 작업자의 턱에 지지되도록 하는 길이조절부재; 조임끈에 연결되어 있고 길이조절부재가 조임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이탈방지링으로 이루어지고; 연결편의 상단부 둘레에는 결합구멍 주변의 연결편을 보강하도록 보강돌부가 돌출되어 있으며; 결속부재는 조임끈의 단부를 연결끈에 감은 상태에서 조임끈의 단부에 인서트 사출성형되어서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취약부분인 결합구멍 주변의 연결편 부분이 보강돌부에 의해 보강되므로 안전모나 턱끈에 충격이 가해져도 결합구멍 주변의 연결편이 파손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안전모가 벗겨지는 등의 문제가 방지된다.

Description

안전모용 턱끈구조{Chin strap structure for safety cap}
본 고안은 안전모용 턱끈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연결편이 쉽게 파손되지 않고, 결속부재의 구조가 매우 견고하며, 연결편을 머리고정대에 간단히 결합시킬 수 있는 안전모용 턱끈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전모(safety cap, 보안모) 또는 헬멧(helmet)은 상부에서 물건 등이 떨어졌을 때 충격 에너지가 직접 사용자의 머리에 전달되지 않도록 해먹(hammock)을 내장(內裝)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작업이나 운동, 운전 등에 있어 보호하도록 구성되며 산업 건설현장이나 스포츠 영위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안전모는 노동부 고시의 규정에 따라, 모체와, 모체의 내부에 구비되어서 모체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재와, 모체의 내측에 고정되어 사용자의 머리부를 감싸는 머리고정대와, 머리고정대에 설치되어서 머리고정대의 크기를 조절하는 조절장치로 구성된다.
안전모의 머리고정대에는 턱끈이 결합되어 있다. 이 턱끈은 안전모의 머리고정대에 형성된 착탈돌기에 양단이 연결되는 연결끈과, 연결끈의 양단에 고정되어 있고 착탈돌기에 착탈되는 연결편들과, 양단이 연결끈에 연결되어 있고 작업자의 턱에 지지되는 조임끈과, 조임끈의 양단부에 결합되어 있어서 조임끈의 양단부가 연결끈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결속부재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안전모용 턱끈구조는 연결편이 매우 취약하여서 턱끈에 충격이 가해질 시 연결편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즉, 연결편의 결합구멍 둘레는 폭이 그다지 크지 않고 연결편 자체의 두께가 그다지 두껍지 않다. 안전모의 전체 중량은 정해진 표준 중량을 넘지 않아야 하므로 연결편의 두께를 임의로 두껍게 할 수 없다.
따라서 연결편의 결합구멍을 머리고정대의 착탈돌기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턱끈이나 안전모에 충격이 전달되어서 결합부위에 인장력이 전달될 경우, 취약한 연결편의 둘레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종래의 안전모용 턱끈구조는 조임끈의 단부를 연결끈에 결합시키기 위해 결속부재가 사용되는데, 이 결속부재는 암수로 이루어진 두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져서 조임끈의 단부에 서로 체결시켜서 조임끈을 연결끈에 결합시킨다.
따라서 조임끈의 일단을 연결끈에 고정시키기 위해 암수로 이루어진 한쌍의 결속부재가 필요하므로 부품수가 증가되고 이에 따라 조립공수 및 제조단가가 증가되었다.
그리고 종래의 안전모용 턱끈구조는 연결편을 머리고정대의 걸림돌기에 결합시키는 작업이 불편하였다. 연결편의 결합구멍은 수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머리고정대의 걸림돌부 단부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편을 걸림돌기에 결합시키려면 연결편을 파지한 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90°회전시킨 후 연결편의 결합구멍을 걸림돌기의 단부에 대향시키고, 결합구멍을 걸림돌기에 끼운 다음 다시 연결편을 반시계방향 또는 시게방향으로 90°회전시켜서 연결편을 머리고정대의 걸림돌기에 결합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 연결편을 걸림돌기에 결합시킬 때마다 연결편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결합구멍과 걸림돌기의 단부를 대향시키는 작업이 필요하므로 턱끈을 안전모에 결합시키는 작업이 번잡하였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연결편이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한 안전모용 턱끈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결속부재의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견고하도록 한 안전모용 턱끈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연결편을 머리고정대에 간단히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안전모용 턱끈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 안전모용 턱끈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안전모용 턱끈구조는, 모체와 모체의 내부에 구비되어서 모체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재와 모체의 내측에 고정되어 사용자의 머리부를 감싸는 머리고정대로 이루어진 안전모에 설치되어서, 안전모를 작업자의 머리에 고정하는 안전모용 턱끈구조에 있어서, 안전모의 내측 둘레에 설치되고 한쌍의 걸림돌기들이 형성되어 있는 머리고정대; 양단부가 머리고정대의 걸림돌기들에 연결되는 연결끈들; 연결끈들의 양단에 인서트 사출성형되고 걸림돌기에 결합되도록 결합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편들; 양단부가 연결끈들에 연결되어 있고 작업자의 턱에 지지되는 조임끈; 조임끈의 양단부에 구비되어서 조임끈의 양단부가 연결끈에 결합되도록 하는 결속부재; 조임끈에 결합되어 있고 조임끈의 길이를 조절하여서 조임끈이 작업자의 턱에 지지되도록 하는 길이조절부재; 조임끈에 연결되어 있고 길이조절부재가 조임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이탈방지링으로 이루어지고; 연결편의 상단부 둘레에는 결합구멍 주변의 연결편을 보강하도록 보강돌부가 돌출되어 있으며; 결속부재는 조임끈의 단부를 연결끈에 감은 상태에서 조임끈의 단부에 인서트 사출성형되어서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안전모용 턱끈구조의 다른 특징은,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연결편의 결합구멍 양측에는, 연결편의 결합구멍을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걸림돌기 측으로 밀어서 걸림돌기의 단부를 삽입시키도록 삽입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안전모용 턱끈구조의 또 다른 특징은, 삽입구멍은, 결합구멍의 하단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안전모용 턱끈구조의 또 다른 특징은,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연결편의 결합구멍 양측에는, 연결편의 결합구멍을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걸림돌기 측으로 밀어서 걸림돌기의 단부를 끼워 넣도록 절개홈이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안전모용 턱끈구조의 또 다른 특징은, 연결끈 및 조임끈에는, 이브닝 프림로즈 오일 60-70 중량%, 카모마일 저먼 오일 5-15 중량%, 카렌줄라 오일 20-30 중량%을 혼합한 기능성 오일이 스프레이 방식으로 도포되되, 연결끈 및 조임끈과 기능성 오일 분사노즐이 40~60㎝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5~15초 정도 분사하여서 도포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은, 연결편의 상단부 둘레에 결합구멍 주변의 연결편을 보강하도록 보강돌부가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취약부분인 결합구멍 주변의 연결편 부분이 보강돌부에 의해 보강되므로 안전모나 턱끈에 충격이 가해져도 결합구멍 주변의 연결편이 파손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안전모가 벗겨지는 등의 문제가 방지된다.
본 고안의 결속부재는 조임끈의 단부를 연결끈에 감은 상태에서 조임끈의 단부에 인서트 사출성형되어서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결속부재가 연결끈의 단부에 일체로 성형되므로 결속부재 제조, 연결끈의 단부에 결속부재를 결합시키는 작업이 한 번의 고정으로 이루어지므로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외부의 충격에도 결속부재가 분리되거나 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조임끈의 단부가 연결끈으로부터 풀리지 않는다.
본 고안의 연결편에는 결합구멍의 양측에 수평방향으로 삽입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편의 결합구멍을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삽입구멍을 걸림돌기에 대향시킨 후 걸림돌기 측으로 밀어 끼우고, 연결편을 하측으로 내리면 걸림돌기에 연결편의 결합구멍이 결합된다. 그러므로 연결편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필요없이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걸림돌기 측으로 밀어 끼운 후 하측으로 내리면 연결편이 걸림돌기에 결합되므로 턱끈을 안전모에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연결끈 및 조임끈에는, 이브닝 프림로즈 오일 60-70 중량%, 카모마일 저먼 오일 5-15 중량%, 카렌줄라 오일 20-30 중량%을 혼합한 기능성 오일이 스프레이 방식으로 도포되어 있다. 따라서 턱끈에 도포된 기능성 오일에 의해 피부 질환, 호흡기 질환 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안전모용 턱끈구조를 보인 개략적 분리 사시도
도 2는 연결편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3은 결속부재의 평단면도
도 4는 길이조절부재의 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연결편의 다른 실시예들을 보인 개략적 사시도들
도 1은 본 고안의 안전모용 턱끈구조를 보인 개략적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연결편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결속부재의 평단면도이다. 도 4는 길이조절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연결편의 다른 실시예들을 보인 개략적 사시도들이다.
본 고안의 안전모용 턱끈구조는, 모체(2)와, 모체(2)의 내부에 구비되어서 모체(2)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재(미도시)와, 모체(2)의 내측에 고정되어 사용자의 머리부를 감싸는 머리고정대(3)로 이루어진 안전모(1)에 설치되어서, 안전모(1)를 작업자의 머리에 고정한다.
이러한 안전모용 턱끈구조는, 머리고정대(3), 연결끈(10), 연결편(20), 조임끈(30), 결속부재(40), 길이조절부재(50), 이탈방지링(60)으로 이루어진다.
머리고정대(3)는 안전모(1)의 내측 둘레에 설치되고 한쌍의 걸림돌기(4)들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돌기(4)의 단부는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어서 후술할 연결편(20)의 결합구멍(21)이 걸림돌기(4)에 결합된 상태에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걸림돌기(4)들은 머리고정대(3)의 양측에 각각 한쌍씩 구비되어 있다.
연결끈(10)들은 양단부가 머리고정대(3)의 걸림돌기(4)들에 연결되어 있다.
연결편(20)들은, 연결끈(10)들의 양단에 인서트 사출성형되고 걸림돌기(4)에 결합되도록 결합구멍(21)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구멍(21)은 수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결합구멍(21)을 걸림돌기(4)에 결합시키려면 연결편(20)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90°회전시켜서 결합구멍(21)을 수평으로 위치시킨 후 걸림돌기(4)의 단부에 끼우고 연결편(20)을 반시계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결합구멍(21)을 수직으로 세우므로 연결편(20)이 걸림돌기(4)의 단부 양측에 걸리도록 한다.
연결편(20)의 상단부 둘레에는 결합구멍(21) 주변의 연결편(20)을 보강하도록 보강돌부(25)가 돌출되어 있다.
조임끈(30)은, 양단부가 연결끈(10)들에 연결되어 있고 작업자의 턱에 지지된다.
결속부재(40)는, 조임끈(30)의 양단부에 구비되어서 조임끈(30)의 양단부가 연결끈(10)에 결합되도록 한다. 이러한 결속부재(40)는 조임끈(30)의 단부를 연결끈(10)에 감은 상태에서 조임끈(30)의 단부에 인서트 사출성형되어서 일체로 형성된다.
길이조절부재(50)는, 조임끈(30)에 결합되어 있고 조임끈(30)의 길이를 조절하여서 조임끈(30)이 작업자의 턱에 지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길이조절부재(50)는, 몸체(51), 버튼(54), 스프링(56)으로 이루어진다.
몸체(51)는 내부에 일측으로 개방된 형상의 설치구멍(52)이 형성되어 있고, 이 설치구멍(52)에는 버튼(54)의 일측이 슬라이드되도록 결합되어 있다. 몸체(51)에는 설치구멍(52)과 직교하도록 관통구멍(5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관통구멍(53)에는 조임끈(30)이 통과된다.
버튼(54)은 일단이 몸체(51)의 설치구멍(52)에 슬라이드되도록 삽입되어 있고 조임끈(30)이 통과되도록 누름구멍(5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조임끈(30)은 몸체(51)의 상부 관통구멍(53), 버튼(54)의 누름구멍(55), 몸체(51)의 하부 관통구멍(53)을 통과한다.
스프링(56)은 몸체(51)의 설치구멍(52) 내에 구비되어 있으며 일단은 설치구멍(52)의 내측에 지지되고 타단은 버튼(54)의 대응 단부에 지지되어서 버튼(54)을 설치구멍(52)의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조임끈(30)에는 길이조절부재(50)가 조임끈(3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키도록 이탈방지링(60)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의 안전모용 턱끈구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먼저, 연결편(20)의 상단부 둘레에 결합구멍(21) 주변의 연결편(20)을 보강하도록 보강돌부(25)가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취약부분인 결합구멍(21) 주변의 연결편(20) 부분이 보강돌부(25)에 의해 보강되므로 안전모(1)나 턱끈에 충격이 가해져도 결합구멍(21) 주변의 연결편(20)이 파손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안전모(1)가 벗겨지는 등의 문제가 방지된다.
또한, 본 고안의 결속부재(40)는 조임끈(30)의 단부를 연결끈(10)에 감은 상태에서 조임끈(30)의 단부에 인서트 사출성형되어서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결속부재(40)가 연결끈(10)의 단부에 일체로 성형되므로 결속부재(40)의 제조, 연결끈(10)의 단부에 결속부재(40)를 결합시키는 작업이 한 번의 작업으로 이루어지므로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외부의 충격에도 결속부재(40)가 분리되거나 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조임끈(30)의 단부가 연결끈(10)으로부터 쉽게 풀리지 않는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발췌 사시도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연결편(20)의 결합구멍(21) 양측에는, 연결편(20)의 결합구멍(21)을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걸림돌기(4) 측으로 밀어서 걸림돌기(4)의 단부를 삽입시키도록 삽입구멍(2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편(20)의 결합구멍(21)을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삽입구멍(22)을 걸림돌기(4)에 대향시킨 후 걸림돌기(4) 측으로 밀어 끼우고, 연결편(20)을 하측으로 내리면 걸림돌기(4)에 연결편(20)의 결합구멍(21)이 결합된다.
그러므로 연결편(20)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필요없이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걸림돌기(4) 측으로 밀어 끼운 후 하측으로 내리면 연결편(20)이 걸림돌기(4)에 결합되므로 턱끈을 안전모(1)에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도 6은 연결편(2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로써, 삽입구멍(23)이 결합구멍(21)의 하단 양측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편(20)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필요없이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걸림돌기(4) 측으로 밀어 끼운 후 하측으로 내리면 연결편(20)이 걸림돌기(4)에 결합되므로 턱끈을 안전모(1)에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삽입구멍(23)이 결합구멍(21)의 하단 양측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연결편(20)을 걸림돌기(4)로부터 분리시키는 작업이 비교적 용이하다.
즉, 연결편(20)을 걸림돌기(4)로부터 분리시키려면 연결편(20)을 파지하고 상측으로 끝까지 밀어 올리면 결합구멍(21)의 하단이 걸림돌기(4)에 걸리게 되며 이러한 상태는 걸림돌기(4)의 단부 양측이 삽입구멍(23)에 대향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연결편(20)을 걸림돌기(4)의 전방측으로 당기면 연결편(20)이 걸림돌기(4)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연결편(20)을 걸림돌기(4)로 분리시키기 위해 걸림돌기(4)의 단부 양측과 삽입구멍(23)을 눈으로 확인하면서 일치시킬 필요없이 연결편(20)을 끝까지 상측으로 밀어 올리기만 하면 걸림돌기(4)의 단부 양측이 삽입구멍(23)에 대향된다. 그러므로 걸림돌기(4)의 단부 양측과 연결편(20)의 삽입구멍(23)을 일치시키는 작업이 매우 간편하다.
도 7은 연결편(2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사시도로써,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연결편(20)의 결합구멍(21) 양측에는, 연결편(20)의 결합구멍(21)을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걸림돌기(4) 측으로 밀어서 걸림돌기(4)의 단부를 끼워 넣도록 절개홈(24)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연결편(20)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필요없이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연결편(20)의 절개홈(24) 부위를 걸림돌기(4)의 단부 양측에 대향시키고 걸림돌기(4) 측으로 밀어 끼우면 절개홈(24) 부위가 탄성적으로 벌어지면서 걸림돌기(4)의 단부가 삽입되고 걸림돌기(4) 단부의 삽입이 완료되면 탄성변형된 절개홈(24) 부위가 복원된다.걸림돌기(4)가 절개홈(24) 측으로 삽입되면 연결편(20)을 하측으로 내려서 연결편(20)이 걸림돌기(4)에 결합되도록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절개홈(24)은 걸림돌기(4)의 단부 측으로 강제로 밀거나 당길 경우에만 벌어지면서 걸림돌기(4)의 단부가 착탈되며 걸림돌기(4)가 끼워진 후에는 탄성복원된다.
따라서 연결편(20)이 걸림돌기(4)에 일단 결합되면 절개홈(24)이 복원되면서 걸림돌기(4)의 단부 양측의 출입구를 닫으므로 연결편(20)을 걸림돌기(4)의 반대방향으로 당기지 않는 한 연결편(20)이 걸림돌기(4)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안전모와 턱끈이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한편, 연결끈(10) 및 조임끈(30)에는, 이브닝 프림로즈 오일 60-70 중량%, 카모마일 저먼 오일 5-15 중량%, 카렌줄라 오일 20-30 중량%을 혼합한 기능성 오일이 스프레이 방식으로 도포된다. 연결끈(10) 및 조임끈(30)과 기능성 오일 분사노즐이 40~60㎝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5~15초 정도 분사하여서 도포된다.
연결끈(10) 및 조임끈(30)에 도포된 이브닝 프림로즈 오일, 카모마일 저먼 오일 카렌줄라 오일은 기능성 오일로써 특정한 조건을 갖도록 혼합한 후 사용하면 아토피 등의 피부질환을 개선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이브닝 프림로즈 오일(Evening primrose oil)은, 달맞이 꽃 오일이라고도 불리며,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감마리놀레익산(Gamma Linolenic Acid)과 비타민E를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습진, 피부염에 좋은 치료 효과를 보인다. 이 오일은 복용하거나 피부에 접촉되면 습진이나 건선 등의 피부의 염증의 개선에 유효하며 알러지 상태의 개선 및 호르몬의 균형의 도모에도 좋다.
이러한 이브닝 프림로즈 오일은 기능성 오일에 60~70 중량% 정도 혼합되는데, 이브닝 프림로즈 오일의 혼합비율이 60~70 중량% 미만일 경우, 상술한 효능이 저하되므로 그 효과가 미미하다. 이브닝 프림로즈 오일은 심장병 예방 및 혈압을 낮추는 기능을 가지므로 이브닝 프림로즈 오일의 혼합비율이 70 중량%를 초과하면 저혈압 환자들에게 적합하지 않다.
카모마일 저먼 오일(Chamomile German oil)은, 모노터피네와 세스퀴터피네를 다량 함유하는 것으로 항염, 항알러지 효과가 큰 chamazulene 7% 이상(2.16~35.59%) 함유하고 있는 것이 보통인데, 이는 식물에 함유된 matricarin 성분이 스팀증류법으로 오일을 추출하는 과정에서 chamanulene으로 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카모마일 저먼 오일에 함유된 α-bisabolol 성분은 관절염에 진경, 항염, 소염작용을 하는 것으로 생쥐실험을 통해서 밝혀졌으며, 건위작용과 더불어 박테리아를 죽이고 상처를 치료하며, 습진, 물집, 여드름, 건선, 신경불안 등에 뛰어나다.
이러한 카모마일 저먼 오일은, 기능성 오일에 5~15 중량% 정도 혼합되는데, 카모마일 저먼 오일의 혼합비율이 5 중량% 미만일 경우, 상술한 효능이 저하되므로 그 효과가 미미하다. 카모마일 저먼 오일은 신경안정효과가 뛰어나므로 카모마일 저먼 오일의 혼합비율이 15 중량%를 초과하면 신경계를 과도하게 이완시키므로 특정 업무를 집중하는데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카렌줄라 오일(calendula oil)은, 비타민A,B,D, 그리고 비타민E를 함유하고 있고, 피부질환, 특히 습진, 마른버짐 등의 치료에 좋으며 항염, 항경련, 담즙 분비를 촉진하는 작용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카렌줄라 오일을 넣어 만든 크림은 손발 튼데, 주부습진 등으로 거칠어진 손을 보호하는데 쓰이며, 정맥류가 있는 피부에 발라주면 좋고 비듬치료를 위해 머리에 발라주거나 가려움증이 심한 다리에 발라주기도 한다.
이러한 카렌줄라 오일은, 기능성 오일에 20~30 중량% 정도 혼합되는데, 카렌줄라 오일의 혼합비율이 20 중량% 미만일 경우, 상술한 효능이 저하되므로 그 효과가 미미하다. 카렌줄라 오일에는 케톤(Ketone)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카렌줄라 오일의 혼합비율이 30 중량%를 초과하면 이에 함유된 케톤 성분의 과다로 인해 해로울 수 있다. 케톤 성분의 화학적인 구조는 가운데 있는 탄소에 산소 원자가 더블본드로 결합된 물질이다. 케톤 성분이 과량 들어 있는 오일은 사용 시 사용량을 절대 지켜야 한다. 대량 사용 시 신경독성 유발, 지속적 반복 사용 시 부작용이 우려되므로 정량 사용을 지켜야 한다. 사용량만 지켜지면 이 성분은 신경조직 강화 및 재생의 효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강력한 진해제의 역할을 한다. 이 성분이 들어있는 대부분의 오일은 만성 기관지 질환, 가래 등으로 인한 기침, 호흡 곤란증에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성 오일은, 상술한 바와 같이 연결끈(10) 및 조임끈(30)과 기능성 오일 분사노즐이 40~60㎝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5~15초 정도 분사하여서 도포된다.
연결끈(10) 및 조임끈(30)과 기능성 오일 분사노즐의 간격이 40㎝ 미만이면, 기능성 오일이 연결끈(10) 및 조임끈(30)의 한 부분에 집중적으로 도포된다. 연결끈(10) 및 조임끈(30)과 기능성 오일 분사노즐의 간격이 60㎝를 초과하면 기능성 오일의 분사시 주변으로 비산되는 양이 그만큼 증가하므로 고가의 기능성 오일을 낭비하게 된다.
또한 연결끈(10) 및 조임끈(30)의 일면에 분사되는 기능성 오일의 분사시간이 5초 미만이면 충분한 양의 기능성 오일이 연결끈(10) 및 조임끈(30)에 도포되기 어려우며, 이에 따라 그 효과가 미미하다. 연결끈(10) 및 조임끈(30)의 일면에 분사되는 기능성 오일의 분사시간이 15초를 초과하면, 그 효과는 5~15초 정도 분사한 경우에 비해 그 효과가 크게 상승되지 않는 반면에 기능성 오일이 불필요하게 낭비된다.
따라서 턱끈에 도포된 기능성 오일에 의해 피부 질환, 호흡기 질환 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1 : 안전모 2 : 모체
3 : 머리고정대 4 : 걸림돌기
10 : 연결끈 20 : 연결편
21 : 결합구멍 22,23 : 삽입구멍
24 : 절개홈 30 : 조임끈
40 : 결속부재 50 : 길이조절부재
51 : 몸체 52 : 설치구멍
53 : 관통구멍 54 : 버튼
55 : 누름구멍 56 : 스프링
60 : 이탈방지링

Claims (5)

  1. 모체와 모체의 내부에 구비되어서 모체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재와 모체의 내측에 고정되어 사용자의 머리부를 감싸는 머리고정대로 이루어진 안전모에 설치되어서, 안전모를 작업자의 머리에 고정하는 안전모용 턱끈구조에 있어서,
    안전모(1)의 내측 둘레에 설치되고 한쌍의 걸림돌기(4)들이 형성되어 있는 머리고정대(3);
    양단부가 머리고정대(3)의 걸림돌기(4)들에 연결되는 연결끈(10)들;
    연결끈(10)들의 양단에 인서트 사출성형되고 걸림돌기(4)에 결합되도록 결합구멍(21)이 형성되어 있는 연결편(20)들;
    양단부가 연결끈(10)들에 연결되어 있고 작업자의 턱에 지지되는 조임끈(30);
    조임끈(30)의 양단부에 구비되어서 조임끈(30)의 양단부가 연결끈(10)에 결합되도록 하는 결속부재(40);
    조임끈(30)에 결합되어 있고 조임끈(30)의 길이를 조절하여서 조임끈(30)이 작업자의 턱에 지지되도록 하는 길이조절부재(50);
    조임끈(30)에 연결되어 있고 길이조절부재(50)가 조임끈(3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이탈방지링(60)으로 이루어지고;
    연결편(20)의 상단부 둘레에는 결합구멍(21) 주변의 연결편(20)을 보강하도록 보강돌부(25)가 돌출되어 있으며;
    결속부재(40)는 조임끈(30)의 단부를 연결끈(10)에 감은 상태에서 조임끈(30)의 단부에 인서트 사출성형되어서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용 턱끈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연결편(20)의 결합구멍(21) 양측에는, 연결편(20)의 결합구멍(21)을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걸림돌기(4) 측으로 밀어서 걸림돌기(4)의 단부를 삽입시키도록 삽입구멍(22)(2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용 턱끈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삽입구멍(23)은,
    결합구멍(21)의 하단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용 턱끈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연결편(20)의 결합구멍(21) 양측에는, 연결편(20)의 결합구멍(21)을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걸림돌기(4) 측으로 밀어서 걸림돌기(4)의 단부를 끼워 넣도록 절개홈(2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용 턱끈구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연결끈(10) 및 조임끈(30)에는,
    이브닝 프림로즈 오일 60-70 중량%, 카모마일 저먼 오일 5-15 중량%, 카렌줄라 오일 20-30 중량%을 혼합한 기능성 오일이 스프레이 방식으로 도포되되, 연결끈(10) 및 조임끈(30)과 기능성 오일 분사노즐이 40~60㎝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5~15초 정도 분사하여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용 턱끈구조.
KR2020110000574U 2011-01-20 2011-01-20 안전모용 턱끈구조 KR2004623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574U KR200462327Y1 (ko) 2011-01-20 2011-01-20 안전모용 턱끈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0574U KR200462327Y1 (ko) 2011-01-20 2011-01-20 안전모용 턱끈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471U KR20120005471U (ko) 2012-07-30
KR200462327Y1 true KR200462327Y1 (ko) 2012-09-06

Family

ID=46874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0574U KR200462327Y1 (ko) 2011-01-20 2011-01-20 안전모용 턱끈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32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075Y1 (ko) 2013-05-10 2016-04-08 조용현 운동용 모자
KR20210089398A (ko) 2020-01-08 2021-07-16 채호성 안전 헬멧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3605B1 (ko) * 2019-12-27 2021-12-03 주식회사 에스지 소방헬멧 내부의 습기 제거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75298A (ja) 2008-05-12 2009-11-26 Morito Co Ltd ヘルメット用顎バンド
JP2010189803A (ja) 2009-02-18 2010-09-02 Yellow:Kk ヘルメット装着具及びこのヘルメット装着具を備えたヘルメッ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75298A (ja) 2008-05-12 2009-11-26 Morito Co Ltd ヘルメット用顎バンド
JP2010189803A (ja) 2009-02-18 2010-09-02 Yellow:Kk ヘルメット装着具及びこのヘルメット装着具を備えたヘルメッ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075Y1 (ko) 2013-05-10 2016-04-08 조용현 운동용 모자
KR20210089398A (ko) 2020-01-08 2021-07-16 채호성 안전 헬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471U (ko) 2012-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2327Y1 (ko) 안전모용 턱끈구조
DE102011122796B4 (de) Schutzhelm, insbesondere für Fahrradfahrer
CN202933101U (zh) 医用胸带
CN205460570U (zh) 一种带有缓冲带的安全带
DE202010000928U1 (de) Steigbügel
CN210331573U (zh) 一种电力维修用登板
CN212165077U (zh) 一种多功能儿童全盔
CN209464535U (zh) 一种下肢康复训练装置
TW201417859A (zh) 能快速更換桿的高爾夫球桿
CN202015273U (zh) 一种动踝防旋防垂足支具
CN202355793U (zh) 一种脚扣
CN206180476U (zh) 一种带电作业吊篮固定专用工器具
CN202506063U (zh) 防松脱登杆器
CN108786025A (zh) 防脱落脚扣
CN206262071U (zh) 一种碰碰球背负肩带
JP3149428U (ja) ウォーキング補助具
CN218853348U (zh) 一种水利建筑工程用高空作业防坠落装置
CN204157829U (zh) 一种登山杖手柄头
CN204811154U (zh) 园林用攀爬装置
CN104248496B (zh) 一种腿部康复练习车
CN211536410U (zh) 一种安全快速自动锁紧蹬杆脚扣
CN215653713U (zh) 一种防羽毛球拍脱手的保护装置
CN214762954U (zh) 一种便携式消防专用儿童版救援设备
CN109966041A (zh) 约束带
CN202777589U (zh) 一种哑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