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2016Y1 - 컵 크기 조절이 가능한 브래지어 - Google Patents

컵 크기 조절이 가능한 브래지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2016Y1
KR200462016Y1 KR2020120001406U KR20120001406U KR200462016Y1 KR 200462016 Y1 KR200462016 Y1 KR 200462016Y1 KR 2020120001406 U KR2020120001406 U KR 2020120001406U KR 20120001406 U KR20120001406 U KR 20120001406U KR 200462016 Y1 KR200462016 Y1 KR 2004620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bra
rotating member
tooth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14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지원
김용태
김시용
Original Assignee
윤지원
김시용
김용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지원, 김시용, 김용태 filed Critical 윤지원
Priority to KR20201200014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0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0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01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0028Brassieres with size and configuration adjustmen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CCORSETS; BRASSIERES
    • A41C3/00Brassieres
    • A41C3/12Component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의 컵 크기 조절이 가능한 브래지어는, 양측에 각각 형성된 컵; 상기 컵 사이에 고정되며, 내부가 비어 있으며 상측에 입구가 형성된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입구로 삽입되어 회전가능한 회전부재; 및 상기 회전부재에 고정연결되고, 상기 컵의 외측 둘레를 따라 삽입된 와이어;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손잡이를 돌려 컵의 외측 둘레에 내입된 와이어를 감고 풀 수 있어, 가슴크기에 따라 컵의 크기를 줄였다가 늘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슴을 브래지어 중앙으로 모아 외관상 아름답게 보이게 할 수 있는 컵 크기 조절이 가능한 브래지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컵 크기 조절이 가능한 브래지어{Brassiere}
본 고안은 컵 크기 조절이 가능한 브래지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손잡이를 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와이어가 감기면서 브래지어의 컵을 중심으로 당겨 가슴을 모아주고,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와이어가 풀리면서 중심으로 모았던 컵이 느슨해지는 컵 크기 조절이 가능한 브래지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래지어는 가슴의 크기에 따라 컵의 크기를 선택하여 착용한다.
이때, 여성은 가슴을 모아주기 위해 가슴 크기에 비해 작은 치수의 컵 크기를 선택하여 착용한다.
그러나, 자신의 가슴 크기에 비해 작은 치수의 컵을 착용한 후 오랜 시간이 지나면 답답함이 있으며, 심지어 컵의 외주면에 내장된 와이어가 가슴의 주위를 압박하면서 누르기 때문에 가슴에 자국이 남고 아픔을 호소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여성은 생리가 시작할 때 가슴이 커지는 현상으로 평상시에 착용하는 브래지어가 잘 안 맞을 수도 있으며, 임산부에게는 가슴크기의 변화로 새로운 브래지어를 구입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손잡이를 돌려 컵의 외측 둘레에 내입된 와이어를 감고 풀 수 있어, 가슴크기에 따라 컵의 크기를 줄였다가 늘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슴을 브래지어 중앙으로 모아 외관상 아름답게 보이게 할 수 있는 컵 크기 조절이 가능한 브래지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의 컵 크기 조절이 가능한 브래지어는, 양측에 각각 형성된 컵; 상기 컵 사이에 고정되며, 내부가 비어 있으며 상측에 입구가 형성된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입구로 삽입되어 회전가능한 지지축을 포함하는 회전부재; 및 상기 컵의 외측 둘레를 따라 삽입되며, 상기 지지축에 고정연결되어,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지지축에 감겨지거나 풀어지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하측면에 돌출되어 외주면에 형성된 제1풀림톱니 및 상기 본체의 내부 상측 내주면에 형성된 제1감김톱니를 포함한다.
삭제
또한, 상기 회전부재는, 상부에 형성된 손잡이와, 상기 지지축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감김톱니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감김톱니 및 상기 제2감김톱니의 하측면이 개구되며 내입 형성된 공간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풀림톱니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풀림톱니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감김톱니와 제1풀림톱니는,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될 때, 일방향으로만 회전하여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손잡이의 하측면에 상기 와이어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걸이구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걸이구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를 돌리면서 지지축에 감겨지는 와이어를 받쳐주며 가이드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는, 내주면에 요철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지지축의 외주면에 요철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손잡이를 돌려 컵의 외측 둘레에 내입된 와이어를 감고 풀 수 있어, 가슴크기에 따라 컵의 크기를 줄였다가 늘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슴을 브래지어 중앙으로 모아 외관상 아름답게 보이게 할 수 있는 컵 크기 조절이 가능한 브래지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컵 크기 조절이 가능한 브래지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컵 크기 조절이 가능한 브래지어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컵 크기 조절이 가능한 브래지어를 나타낸 단면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컵 크기 조절이 가능한 브래지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 크기 조절이 가능한 브래지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 크기 조절이 가능한 브래지어를 나타낸 상측 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컵 크기 조절이 가능한 브래지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컵 크기 조절이 가능한 브래지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컵 크기 조절이 가능한 브래지어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컵 크기 조절이 가능한 브래지어는 컵(111), 회전부재(120), 고정부재(130), 와이어(140) 및 탄성부재(150)를 포함한다.
먼저, 컵(111)은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또한, 고정부재(130)는 컵(111) 사이에 고정되며, 내부가 비어 있으며 상측에 입구(미도시)가 형성된다.
또한, 회전부재(120)는 고정부재(130)의 입구로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때, 회전부재(120)는 고정부재(130)의 내부에 삽입될 때, 억지끼움되어 억지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고정부재와(130), 회전부재(120)는 연성의 성질을 갖는 고무재질로 되어 사용자의 가슴이 압박되는 것을 방지하고, 회전부재(120)가 고정부재(130)의 입구에 삽입될 수 있다. 그러나, 재질에 대해서 한정하지 않으며, 고정부재(130)의 입구에 회전부재(120)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은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와이어(140)는 회전부재(120)에 고정연결되고, 컵(111)의 외측 둘레를 따라 삽입된다.
한편, 회전부재(120)와 고정부재(130)가 서로 결합되어 억지회전하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이 시도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 크기 조절이 가능한 브래지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컵 크기 조절이 가능한 브래지어를 나타낸 상측 단면도이다.
예를 들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회전부재(120)의 외주면과, 고정부재(130)의 내주면이 서로 겹쳐지며 결합될 때, 회전부재(120)의 외주면과 고정부재(130)의 내주면이 서로 대응되게 굴곡져 형성될 수 있다.
즉, 고정부재(130)는, 내주면에 요철패턴(139)이 형성된다.
또한, 회전부재(120)는, 고정부재(130)의 입구로 삽입되고 와이어가 연결되는 지지축(123)을 포함하고, 지지축(123)의 외주면에 요철패턴(129)이 형성된다.
고정부재(130)의 내주면에 회전부재(120)의 지지축(123) 외주면에 각각 요철패턴(129, 139)이 형성될 수 있으며, 요철패턴(129, 139)이 서로 반대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부재(130)의 요철패턴(139)과 지지축(123)의 요철패턴(129)이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요철패턴(129, 139)는 억지회전하되, 회전이 원활할 수 있도록 서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될 수도 있으며, 서로 같은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요철패턴(129, 139)은 고정부재(120) 또는 회전부재(120)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부재(120)의 요철패턴(129)과 고정부재(130)의 요철패턴(139)이 서로 결합되어 회전부재(120)가 양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되, 소정의 힘을 가하여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회전부재(120)와 고정부재(130)가 서로 억지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회전부재(12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와이어(140)를 지지축(123)에 감았을 때, 회전부재(12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즉, 와이어(140)가 풀리지 않고 고정되므로 와이어(140)를 용이하게 회전부재(120)의 지지축(123)에 감고 풀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컵 크기 조절이 가능한 브래지어를 나타낸 단면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컵 크기 조절이 가능한 브래지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고정부재(130)는, 본체(131), 제1풀림톱니(132) 및 제1감김톱니(135)를 포함한다.
본체(131)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
제1풀림톱니(132)는, 본체(131)의 내부 하측면에 돌출되어 외주면에 형성된다. 즉, 본체(131)의 내부 하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기둥의 외주면에 제1풀림톱니(132)가 형성되는 것이다.
제1감김톱니(135)는, 본체(131)의 내부 상측 내주면에 형성된다.
한편, 회전부재(120)는, 손잡이(121), 지지축(123), 제2감김톱니(124), 제2풀림톱니(125)를 포함한다.
손잡이(121)는, 상부에 형성된다.
지지축(123)은 손잡이(121)의 일측면에 돌출형성된다.
제2감김톱니(124)는, 지지축(123)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감김톱니(135)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풀림톱니(125)는, 제2감김톱니(124)의 하측면이 개구되며 내입 형성된 공간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풀림톱니(132)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쓰이는 톱니는 일반적인 톱니에 관한 것이며, 서로 결합되었을 때, 한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설명한다.
여기서, 제1감김톱니(135)와 제1풀림톱니(132)는, 일방향으로만 회전하여 와이어(140)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형성되며,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회전부재(120)는, 손잡이(121)의 하측면에 상기 와이어(14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걸이구(126)를 더 포함한다.
또한, 회전부재(120)는, 걸이구(126)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121)를 돌리면서 지지축(123)에 감겨지는 와이어(140)를 받쳐주며 가이드하는 받침부(127)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컵 크기 조절이 가능한 브래지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컵(111)는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회전부재(120)는 상부에 형성된 손잡이(121), 지지축(123), 제2감김톱니(124) 및 제2풀림톱니(125)를 포함한다.
지지축(123)은, 상기 손잡이(121)의 하향으로 돌출되고 하측면이 개구되어 내입된 지지공(122)이 형성된다.
제2감김톱니(124)는, 상기 지지축(123)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2풀림톱니(125)는, 상기 제2감김톱니(124)의 하측면이 개구되며 내입 형성된 공간의 외주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2감김톱니(124)와 제2풀림톱니(125)는 일방향으로만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되, 손잡이(121)를 돌림에 따라 후술할 와이어(140)가 감기고 풀릴 수 있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감김톱니(124)와 제1감김톱니(135)가 결합되어 있을 때, 손잡이(121)를 왼쪽으로 돌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면, 제2풀림톱니(125)와 제1풀림톱니(132)는 손잡이(121)를 오른쪽으로 돌릴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전부재(120)는, 상기 손잡이(121)의 하측면에 상기 와이어(140)의 타단이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걸이구(126)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120)는, 상기 걸이구(126)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121)를 돌리면서 지지축(123)에 감겨지는 와이어(140)를 받쳐주며 가이드하는 받침부(127)를 더 포함한다.
받침부(127)가 형성됨으로써, 와이어(140)의 풀림과 감김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고정부재(130)는 상기 컵(111) 사이에 고정되며, 본체(131), 제1풀림톱니(132), 고정축(134) 및 제1감김톱니(135)를 포함한다.
본체(131)는 상기 제2감김톱니(124)가 삽입되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풀림톱니(132)는 상기 본체(131)의 내부 하측면에 돌출되어 제2풀림톱니(125)와 결합된다.
또한, 고정축(134)은 상기 제1풀림톱니(132)의 중심에 상기 지지축(123)이 결합되는 결합공(133)이 형성되며 상기 지지공(122)에 삽입고정되게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지지축(123)과 결합공(133)만 형성되어 회전부재(120)와 고정부재(130)가 결합될 수 있으나, 고정축(134)이 제1풀림톱니(132)의 상단보다 높게 돌출형성되어 제2풀림톱니(125)와 제1풀림톱니(132)가 서로 해체되어 있을 때, 지지축(123)과 결합공(133)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도록 지지공(122)과 고정축(134)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제1감김톱니(135)는, 상기 본체(131) 내부 상측면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감김톱니(124)와 결합된다.
와이어(140)는 상기 컵(111)의 양측에 형성된 컵(111) 외측 둘레에 각각 내입되며, 양 끝단이 손잡이(121)의 하측면에 돌출 형성된 지지축(123)의 상측에 결합된다. 또한, 와이어(140)는 일단은 지지축(123)에 결합되고, 타단은 와이어 이동경로(112) 어느 한 위치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와이어(140)는 컵의 내외측에 결합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컵의 외측둘레를 따라 소정의 크기로 와이어 이동경로(112) 가 형성되고, 그 와이어 이동경로(112)를 따라 와이어(140)가 삽입된다.
즉, 와이어(140)는 와이어 이동경로(112)에 내입된다.
또한, 손잡이(121)를 회전하여 와이어(140)가 당겨지면, 컵(111)의 외측 둘레뿐만 아닌 전체적으로 컵과 컵 사이의 중앙으로 당겨지므로 가슴이 모아진다.
또한, 탄성부재(150)는 상기 손잡이(121) 하측면과 고정부재(130)의 상측면 사이에 구비되어 손잡이(121)와 고정부재(130)를 서로 이격시킨다.
즉, 상기 손잡이(121)를 눌렀을 때 탄성부재(150)가 눌리면서 회전부재(120)가 고정부재(130)의 내부로 들어간다. 이때, 제2감김톱니(124)와 제1감김톱니(135)가 해체되며 제2풀림톱니(125)와 제1풀림톱니(132)가 결합된다.
반대로, 손잡이(121)를 놨을 때 탄성부재(150)는 탄성에 의해 회전부재(120)가 고정부재(130)에서 나오도록 하면서 손잡이(121)와 고정부재(130)를 서로 이격시킨다. 이때, 제2풀림톱니(125)와 제1풀림톱니(132)가 해체되며 제2감김톱니(124)와 제1감김톱니(135)가 결합된다.
여기서, 탄성부재(150)에 의해 항상 제2감김톱니(124)와 제1감김톱니(135)가 결합되어 있고, 제2풀림톱니(125)와 제1풀림톱니(132)가 해체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컵 크기 조절이 가능한 브래지어의 작동방법에 설명한다.
브래지어를 착용한다.
브래지어를 착용한 다음, 사용자는 손잡이(121)를 돌려지는 방향으로 돌린다. 이때, 와이어(140)는 걸이구(126)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받침부(127)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지지축(123)에 감겨진다.
와이어(140)는 양쪽의 컵(111) 외측 둘레에 각각 내입되어 있어 손잡이(121)가 회전함에 따라 지지축(123)에 감겨지면 양쪽의 컵(111)이 컵과 컵 사이로 당겨지면서 사용자의 가슴을 컵(111)의 중심으로 모아준다.
그리고, 사용자는 브래지어를 착용한 상태에서 가슴의 답답함을 느끼면 손잡이(121)를 눌러 돌려지는 방향 즉, 가슴을 모아주도록 회전시킨 반대방향으로 돌린다. 이때, 와이어(140)는 지지축(123)에서 풀리면서 모았던 가슴이 풀리게 된다.
참고로, 제2감김톱니(124)와 제1감김톱니(135)가 서로 결합되어 있을 때, 돌라가는 방향으로 돌리면, 와이어(140)가 감길 수도 있으며, 이미 와이어(140)가 지지축(123)에 감겨져 있다면 풀어질 수 있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여 와이어(140)를 감는지 푸는지를 자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것이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인 감김톱니와 풀림톱니가 와이어(140)를 반듯이 지지축(123)에 감거나 푸는 것은 아니다.
또한, 손잡이(121)가 외력에 의해 눌려지거나 손잡이(121)를 눌렀을 때, 감겨졌던 와이어(140)가 갑자기 풀려지는 것을 방지하고, 와이어(140)의 감김이나 풀림을 세밀하게 조절하기 위해 제2감김톱니(124)와 제1감김톱니(135)가 해체될 때, 제2풀림톱니(125)와 제1풀림톱니(132)가 곧바로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1: 컵 112: 와이어 이동경로
120: 회전부재 121: 손잡이
123: 지지축 124: 제2감김톱니
125: 제2풀림톱니 126: 걸이구
127: 받침부 129: 요철패턴
130: 고정부재 132: 본체
132: 제1풀림톱니 135: 제1감김톱니
139: 요철패턴 140: 와이어
150: 탄성부재

Claims (8)

  1. 양측에 각각 형성된 컵;
    상기 컵 사이에 고정되며, 내부가 비어 있으며 상측에 입구가 형성된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의 입구로 삽입되어 회전가능한 지지축을 포함하는 회전부재; 및
    상기 컵의 외측 둘레를 따라 삽입되며, 상기 지지축에 고정연결되어,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지지축에 감겨지거나 풀어지는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재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 하측면에 돌출되어 외주면에 형성된 제1풀림톱니 및
    상기 본체의 내부 상측 내주면에 형성된 제1감김톱니를 포함하는 컵 크기 조절이 가능한 브래지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부에 형성된 손잡이와,
    상기 지지축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감김톱니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감김톱니 및
    상기 제2감김톱니의 하측면이 개구되며 내입 형성된 공간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1풀림톱니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풀림톱니를 더 포함하는 컵 크기 조절이 가능한 브래지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감김톱니와 제1풀림톱니는,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될 때, 일방향으로만 회전하여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리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크기 조절이 가능한 브래지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손잡이의 하측면에 상기 와이어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걸이구를 더 포함하는 컵 크기 조절이 가능한 브래지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걸이구의 하측에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를 돌리면서 지지축에 감겨지는 와이어를 받쳐주며 가이드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하는 컵 크기 조절이 가능한 브래지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내주면에 요철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크기 조절이 가능한 브래지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지지축의 외주면에 요철패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크기 조절이 가능한 브래지어.
KR2020120001406U 2012-02-23 2012-02-23 컵 크기 조절이 가능한 브래지어 KR2004620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406U KR200462016Y1 (ko) 2012-02-23 2012-02-23 컵 크기 조절이 가능한 브래지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406U KR200462016Y1 (ko) 2012-02-23 2012-02-23 컵 크기 조절이 가능한 브래지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2016Y1 true KR200462016Y1 (ko) 2012-08-20

Family

ID=53717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1406U KR200462016Y1 (ko) 2012-02-23 2012-02-23 컵 크기 조절이 가능한 브래지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01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2510B1 (ko) * 2016-04-27 2017-06-01 변영환 브레지어 컵 보정장치
KR101763862B1 (ko) 2016-10-24 2017-08-14 하민우 체형 맞춤형 조임장치가 구비된 브래지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475Y1 (ko) 2001-08-02 2001-11-23 홍순명 유두 보호 및 탄력있는 가슴을 연출하는 브래지어
US20050277362A1 (en) 2003-05-29 2005-12-15 Allen Marsha M Drawstring bra cup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2475Y1 (ko) 2001-08-02 2001-11-23 홍순명 유두 보호 및 탄력있는 가슴을 연출하는 브래지어
US20050277362A1 (en) 2003-05-29 2005-12-15 Allen Marsha M Drawstring bra cup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2510B1 (ko) * 2016-04-27 2017-06-01 변영환 브레지어 컵 보정장치
KR101763862B1 (ko) 2016-10-24 2017-08-14 하민우 체형 맞춤형 조임장치가 구비된 브래지어
WO2018080024A1 (ko) * 2016-10-24 2018-05-03 하민우 체형 맞춤형 조임장치가 구비된 브래지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4518731A (ja) 紐の長さ調節装置
WO2014122697A1 (ja) ブラジャーのカップ及びブラジャー並びにその製造方法
KR200462016Y1 (ko) 컵 크기 조절이 가능한 브래지어
JP6266383B2 (ja) カップ部を備えた衣類
US20180035836A1 (en) Device and method of removing a sports bra
US20150072592A1 (en) Wireless bra
JP4806620B2 (ja) カップ付き女性用衣類
JP4943965B2 (ja) ブラジャー
KR101742510B1 (ko) 브레지어 컵 보정장치
JP4674178B2 (ja) カップ付き女性用衣類
KR102082797B1 (ko)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여성용 속옷
CN213369951U (zh) 一种外硬内软舒适型燕窝盏模杯
JPH057202Y2 (ko)
CN105326635B (zh) 一种胸部按摩器
CN210672110U (zh) 一种聚拢按摩的内衣
CN213188108U (zh) 一种新型无痕塑形胸衣
JP4875502B2 (ja) カップ部を有する衣類
CN205358266U (zh) 一种零压迫按摩文胸
KR102629600B1 (ko) 유폭 및 유장 조절이 가능한 의류 탈부착형 이너웨어
KR200235243Y1 (ko) 스냅식 와이어 브래지어
CN206498963U (zh) 一种无痕一片式防走光的哺乳文胸
CN201085056Y (zh) 育婴文胸
AU2015101423A4 (en) Bra Liner
KR200270911Y1 (ko) 브레지어
KR20150015240A (ko) 밴드 체결 수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