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739Y1 - Instant food receptacle - Google Patents

Instant food recepta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739Y1
KR200461739Y1 KR2020120001085U KR20120001085U KR200461739Y1 KR 200461739 Y1 KR200461739 Y1 KR 200461739Y1 KR 2020120001085 U KR2020120001085 U KR 2020120001085U KR 20120001085 U KR20120001085 U KR 20120001085U KR 200461739 Y1 KR200461739 Y1 KR 2004617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ischarge hole
hole forming
forming piece
cut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108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수연
Original Assignee
이수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연 filed Critical 이수연
Priority to KR20201200010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73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7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73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16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into which liquid is added and the resulting preparation is retained, e.g. cups preloaded with powder or dehydrated f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65D25/06Partitions adapted to be fitted in two or more alternative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 B65D2205/02Venting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즉석 식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성은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며 상면은 개방된 용기(20)와; 상기 용기(20)의 상면을 덮는 커버(32)와; 상기 용기(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간부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개별 공간부로 구획하여 상기 개별 공간부에 다른 종류의 면류 식품을 담을 수 있도록 하는 분리 격벽(40)과; 상기 용기(20) 내부의 상기 복수개의 개별 공간부의 각각의 측벽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측벽부에 인접 구비되며 방사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절개부(50)와; 상기 절개부(50)에 의해 상기 용기(20)의 상기 측벽부측에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용기(20)의 상기 개별 공간부에 채워져 있는 물의 밀어내는 힘에 의해 상기 용기(20)의 바깥 방향으로 밀려나면서 물을 버릴 수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배출홀 포밍편(60)과; 상기 배출홀 포밍편(60)과 상기 절개부(50)를 덮어주도록 상기 용기(20)의 표면에 접합수단을 매개로 부착되며, 상기 접합수단에서 박리되도록 외부에서 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용기(20)의 표면에서 박리되어 상기 복수개의 배출홀 포밍편(60)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배출홀을 통해 상기 개별 공간부 내부의 물을 버릴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물을 배출한 다음에는 상기 용기(20)에 재부착되어 상기 배출홀 포밍편(60)과 상기 절개부(50)를 폐쇄하는 클로즈 시트(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n instant food contain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pace portion therei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20 and; A cover 32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20; A separation partition 40 provided in the container 20 to partition the space into at least two individual spaces so as to contain different kinds of noodles in the individual spaces; A plurality of cutouts (50) disposed adjacent to at least one of the sidewall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individual spaces in the container (20) and disposed in a radial direction; The container 20 is disposed by the cutout 50 in the radial direction on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20 in the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container 20 by the pushing force of the water filled in the individual space of the container 20.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 forming pieces 60 to be discarded while being pushed outward; The container 20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container 20 so as to cover the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0 and the cutout 50 by a pulling force from the outside to be peeled off from the bonding means. Peel off from the surface of the) and through the discharge hole formed by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0 to discard the water inside the individual space portion and at the same time discharge the water and then the container 2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lose sheet 70 to be reattached to close the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0 and the cutout 50.

Description

즉석 식품 용기{Instant food receptacle}Instant food receptacle

종래에는 컵라면, 컵짜장, 컵우동, 컵냉면과 같이 컵을 이용해 먹는 식품이 많은데, 예를 들어 컵라면과 컵짜장 등 두가지 식품을 먹으려면 컵라면 따로 컵짜장 따로 구매해서 먹어야 하는 번거로움과 이중의 비용이 들었다. 이에 본 고안은 하나의 용기 내부에 다수의 칸(적어도 두 칸)으로 나눌 수 있는 분리벽을 형성하여, 하나의 용기에 두 가지 이상의 식품(용기 내부를 두 칸으로 나눈 경우, 한 칸에는 라면 다른 칸에는 짜장)을 담아서 한번에 두 가지 식품을 맛볼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즉석 식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Conventionally, there are many foods that are eaten using cups such as cup ramen, cup ramen, cup udon, and cup cold noodles. For example, to eat two foods, cup ramen and cup ramen, you need to buy cup ramen separately. It cost doubl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dividing wall that can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ompartments (at least two compartments) in one container, so that when one or more foods (inner container is divided into two compartments) in one container, the other is ramen Khan is a new instant food container that contains two different foods at once.

또한, 본 고안은 라면, 김치면과 같은 국물류 식품과 짜장면, 비빔면과 같은 소스류 식품과 같이 다른 종류의 면류 식품을 즐기기 위해서는 용기를 기울여서 물을 버려야 하는 과정이 수반되는 것을 감안하여, 면류를 담은 용기를 기울이지 않고서도 쉽게 물을 버리도록 용기의 측면에 물을 배출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국물 면류의 국물을 흘리지 않으면서도 소스 면류의 필요없는 물은 편리하게 배출할 수 있으므로, 다종 면류를 편리하게 즐길 수 있는데 기여하는 새로운 개념의 즉석 식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
In addition, in order to enjoy other kinds of noodles such as soup foods such as ramen, kimchi noodles and sauce foods such as jjajangmyeon, bibimbmyeon, the present invention involves the process of discarding water by tilting the container, By forming a structure in which the water can be drained on the side of the container so that the water can be easily discarded without tilting the container, the unnecessary water of the source noodles can be conveniently discharged without flowing the soup of the soup noodles. It's about a new concept of ready-to-eat containers that contribute to convenience.

컵라면이나 컵라면, 컵짜장, 컵우동, 컵냉면과 같이 뜨거운 물을 부어서 면을 익혀 먹는 식품이 시중에 많이 판매되고 있다. 면의 종류에는 국물이 있어야 맛이 나는 해장국, 라면, 우동, 김치면, 사골면 등과 같이 국물이 있어야 하는 종류와 뜨거운 물을 부어 면을 익히고 면이 익어서 준비가 되면 물을 일정량만큼 버리고 스프(또는 소스)를 면에 부어서 섭취하는 비빔면, 짜장면, 메밀면과 같은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즉, 비빔면, 짜장면과 같은 면류 식품도 일회용 용기에 담아서 판매되며, 이러한 비빔면, 짜장면 등을 섭취하기 위해서는 뜨거운 물을 용기에 붇고 나서 면이 익으면 물을 적당히 남기고 나머지 물은 버려야 하는 과정이 수반되는 것이다.There are many food products on the market that boil hot noodles such as cup noodle, cup noodle, cup udon and cup cold noodle. The types of noodles should be broth that tastes like haejangguk, ramen, udon, kimchi ramen, sake bone noodles, etc. The soup should be poured with hot water and cooked. Or sauce) can be divided into types such as bibimbyeon, jjajangmyeon, buckwheat noodle to pour noodles. In other words, noodle foods such as bibimbyeon and jjajangmyeon are also sold in disposable containers, and in order to consume such bibim noodles and jjajangmyeon, hot water is poured into the container, and when the noodles are ripe, water is left in moderation and the remaining water is accompanied. will be.

이때, 종래에는 컵라면과 컵짜장과 같이 두 가지 이상의 식품을 먹으려면 컵라면 따로 컵짜장 따로 구매해서 먹어야 하는 번거로움과 이중의 비용이 드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컵라면, 컵짜장, 비빔면 등의 식품(이하, 이해의 편의상 컵면이라 칭함)들은 정식으로 먹기보다는 간식 개념으로 많이 섭취하게 되는데, 사람에 따라서 다수의 식품을 조금씩 맛보고자 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라면과 짜장을 함께 맛보고 싶은 경우가 많은 것이다.In this case, conventionally, in order to eat two or more foods such as cup ramen and cup jang,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rouble of having to purchase and separately eat cup ramen separately requires a double cost. If the cup as described above, foods such as cup jjajang, bibim nood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cup noodle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is eaten a lot as a snack concept rather than a formal meal, many people want to taste a lot of food little by little . For example, many people want to taste ramen and jjajang together.

한편, 상기와 같이 컵라면이나 컵해장국, 컵우동, 컵김치면과 같이 국물이 있어야 맛이 나는 식품(이하, 이해의 편의상 국물류 식품이라 칭함)과 컵비빔면, 컵짜장과 같은 국물이 거의 없이 소스와 함께 먹는 식품(이하, 이해의 편의상 소스류 식품이라 칭함)의 경우, 종래에는 국물류 식품 따로 소스류 식품 따로 포장하여 판매하고, 소비자도 상기 국물류 식품과 소스류 식품을 따로 구입하여 섭취할 수밖에 없었다.On the other hand, there is almost no broth such as cup ramen, cup haejangguk, cup udon, cup kimchi noodle, food that tastes like soup (hereinafter referred to as broth food for convenience), cup bibim noodles, and cup jjajang. In the case of foods eaten with sau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sauce foods for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conventionally, the soup foods were packaged and sold separately, and consumers were forced to purchase the soup foods and sauce foods separately. .

다시 말해, 국물류 식품은 그냥 뜨거운 물을 부어서 면을 익힌 다음 그대로 먹으면 되지만, 소스류 식품은 뜨거운 물을 부어서 면을 익히고 필요한 물만 약간 남기도 나머지 물은 버려야 하는데, 소스류 식품과 국물류 식품을 하나의 용기에 담아서 판매하는 경우, 소비자가 섭취할 때에는 소스류 식품쪽의 물을 버리는 과정에서 용기를 기울여야 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국물류 식품쪽의 국물까지도 흘리기 때문에, 불편한 문제가 있다.In other words, the broth food should be poured with hot water to cook the noodles and then eaten as it is. However, the sauce food should be poured with hot water to cook the noodles, leaving only a little of the needed water, and discarding the remaining water. In the case of selling in a consumer, the container should be inclined in the process of discarding the water of the source food when ingested, in this process, even the soup in the soup food side, there is an uncomfortable problem.

상기와 같이 컵라면이나 컵해장국, 컵우동, 컵김치면과 같은 국물류 식품과 컵비빔면, 컵짜장과 같은 소스류 식품과 같이 다른 종류의 면을 즐기기 위하여 국물을 버려야 하는 과정이 수반되는 것으로, 소스 면류를 익힌 나머지 물을 버리기 위해 용기를 기울일 때에 국물 면류쪽의 국물을 흘리지 않고 용이하게 불필요한 물을 배출하여 다양한 면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 요구된다.
As mentioned above, the process involves throwing away the soup to enjoy different kinds of noodles, such as soup foods such as cup noodles, cup haejangguk, cup udon noodles, cup kimchi noodles, and sauce foods such as cup bibim noodles and cup jjajang, When the container is inclined to discard the remaining water after cooking the noodles, a means for easily discharging unnecessary water and enjoying various noodles without flowing the soup on the side of the soup is required.

본 고안은 하나의 용기 내부에 다수의 칸(적어도 두 칸)으로 나눌 수 있는 분리벽을 형성하여, 하나의 용기에 두 가지 이상의 식품, 예를 들어, 용기 내부를 두 칸으로 나눈 경우, 한 칸에는 라면 다른 칸에는 짜장을 담아서 한번에 두 가지 식품을 맛볼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즉석 식품 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하나의 용기 내부에 적어도 두 칸으로 공간을 나눌 수 있는 분리벽을 형성하여, 상기와 같이 한 칸에는 라면 등의 국물류 식품을 다른 칸에는 짜장 등의 소스류 식품을 담아 한번에 두 가지 이상의 면류 식품을 맛볼 수 있도록 하는데 주요 목적이 있다. 다시 말해, 종래의 컵라면 용기는 한 개의 통으로 이루어져 있고, 라면이면 라면 짜장이면 짜장 또는 비빔면과 같이 하나의 용기에 한가지의 면만 포장되어 있었으나, 본 고안은 용기 내부를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획하여 복수 가지의 면류 식품을 즐길 수 있는 다종 라면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dividing wall that can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ompartments (at least two compartments) inside one container, so that when one or more foods, for example, the inside of the container is divided into two compartments, In the other side of the ramen is to provide a new instant food container containing the jjajang to taste two foods at once.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dividing wall for dividing the space into at least two compartments in one container, so that one compartment contains soup foods such as ramen and another sauce food such as jjajang in one compartment. Its main purpose is to allow you to taste more than four kinds of noodles. In other words, the conventional cup ramen container consists of a single container, if the ramen noodle jjajangmyeon one side is packaged in one container, such as jjajang or bibimbye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inside the container It is aimed to provide a variety of ramen containers that can enjoy their noodles.

본 고안은 다수 종류의 면류 식품을 하나의 용기에 수납하고 식도락을 즐길 수 있도록 다종 라면 용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면의 종류에는 국물이 있어야 맛이 나는 해장국, 라면, 우동, 김치면, 사골면 등과 같이 국물이 있어야 하는 종류와 뜨거운 물을 부어 면을 익히고 면이 익어서 준비가 되면 물을 일정량만큼 버리고 스프(또는 소스)를 면에 부어서 섭취하는 비빔면, 짜장면, 메밀면과 같은 종류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러한 다른 종류의 면류 식품(즉, 국물류 식품과 소스류 식품)을 즐기기 위해서는 용기를 기울여서 물을 버려야 하는 과정이 수반되는데, 본 고안은 용기를 기울이지 않고 물을 버리도록 용기의 측면에 물을 배출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여 국물 면류의 국물을 흘리지 않으면서도 소스 면류의 필요없는 물은 편리하게 배출할 수 있으므로, 다종 면류를 편리하게 즐길 수 있는데 기여하는 새로운 개념의 즉석 식품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riety of ramen containers so that you can store many kinds of noodles in one container and enjoy the gourmet, more specifically, the type of noodles must have a soup that tastes haejangguk, ramen, udon, kimchi Like noodles, bone bones, and other types of broth, pour hot water to cook the noodles, and when the noodles are ready to cook, discard the amount of water and pour the soup (or sauce) onto the noodles. In order to enjoy these different kinds of noodles (ie broth food and sauce food), it is necessary to tilt the container and discard the water. It forms a structure to discharge water on the side, so that the water that is not needed for sauce noodles without flowing the soup of noodles It can be re-discharged, to provide a new concept of fast food containers, which may contribute to conveniently enjoy the wide noodles as the main objective.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며 상면은 개방된 용기(20)와; 상기 용기(20)의 상면을 덮는 커버(32)와; 상기 용기(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간부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개별 공간부로 구획하여 상기 개별 공간부에 다른 종류의 면류 식품을 담을 수 있도록 하는 분리 격벽(40)과; 상기 용기(20) 내부의 상기 복수개의 개별 공간부의 각각의 측벽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측벽부에 인접되도록 구비되며 중앙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절개부(50)와; 상기 절개부(50)에 의해 상기 용기(20)의 상기 측벽부측에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용기(20)의 상기 개별 공간부에 채워져 있는 물의 밀어내는 힘에 의해 상기 용기(20)의 바깥 방향으로 밀려나면서 물을 버릴 수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배출홀 포밍편(60)과; 상기 배출홀 포밍편(60)과 상기 절개부(50)를 덮어주도록 상기 용기(20)의 표면에 접합수단을 매개로 부착되며, 상기 접합수단에서 박리되도록 외부에서 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용기(20)의 표면에서 박리되어 상기 복수개의 배출홀 포밍편(60)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배출홀을 통해 상기 개별 공간부 내부의 물을 버릴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물을 배출한 다음에는 상기 용기(20) 표면에 재부착되어 상기 배출홀 포밍편(60)과 상기 절개부(50)를 폐쇄하는 클로즈 시트(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식품 용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there is provided a space portion therein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20 and; A cover 32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20; A separation partition 40 provided in the container 20 to partition the space into at least two individual spaces so as to contain different kinds of noodles in the individual spaces; A plurality of cutouts (50) provided to be adjacent to at least one sidewall portion of each sidewall portion of the plurality of individual spaces inside the vessel (20) and disposed in a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a central portion; The container 20 is disposed by the cutout 50 in the radial direction on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20 in the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container 20 by the pushing force of the water filled in the individual space of the container 20.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 forming pieces 60 to be discarded while being pushed outward; The container 20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container 20 so as to cover the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0 and the cutout 50 by a pulling force from the outside to be peeled off from the bonding means. Peel off from the surface of the) and through the discharge hole formed by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0 to discard the water inside the individual space portion and at the same time discharge the water and then the container 20 An instant food container is provided that includes a close sheet 70 reattached to a surface to close the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0 and the cutout 50.

상기 절개부(50)는, 상기 용기(20)의 상기 개별 공간부를 구성하는 상기 측벽부의 일정 위치를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복수개로 절취하여 형성된 복수개의 제1절개부(52)와, 상기 제1절개부(52)의 중심부에 위치되어 원형으로 절취된 제2절개부(54)로 구성되며, 상기 배출홀 포밍편(60)은 상기 제1절개부(52)에 의해 기단부가 상기 용기(20)의 상기 측벽부에 붙어 있는 제1배출홀 포밍편(62)과, 상기 제2절개부(54)에 의해 상기 제1배출홀 포밍편(62)의 중앙부에 배치된 제2배출홀 포밍편(64)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cutout 5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cutouts 52 formed by cutti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positions of the sidewall portions of the container 20 in a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It is composed of a second cut portion 54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cut portion 52 is cut in a circular shape, the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0 is the base end by the first cut portion 52 is the container The first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2 attached to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20 and the second discharge hole dispos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2 by the second cutout 54. It may be composed of a forming piece (64).

상기 클로즈 시트(70)는, 내측면의 일부 면이 상기 용기(20)의 상기 측벽부 외표면에 고정 접착제층(72)에 의해 고정되도록 부착되고, 상기 고정 접착제층(72)을 제외한 나머지 면은 상기 배출홀 포밍편(60)과 상기 절개부(50)를 덮어주도록 점착제층(74)을 매개로 상기 용기(20)의 상기 측벽부에 부착되어 상기 클로즈 시트(70)를 상기 점착제층(74)에 의해 상기 용기(20)의 외표면에서 반복적으로 붙이고 박리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클로즈 시트(70)를 상기 용기(20)의 외표면에서 박리시킬 때에 상기 제1배출홀 포밍편(62)의 중앙부측에 배치된 상기 제2배출홀 포밍편(64)은 상기 클로즈 시트(70)에 부착된 상태로 박리되어 상기 제1배출홀 포밍편(62)의 선단부측에 센터 배출홀(66)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lose sheet 70 is attached so that some surfaces of the inner surface are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container 20 by the fixing adhesive layer 72, and the remaining surfaces except the fixing adhesive layer 72 are fixed. Is attached to the sidewall of the container 20 via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74 to cover the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0 and the cutout 50. 74 is repeatedly attached to and peeled off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20, and the first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2 is formed when the close sheet 70 is peeled off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20. The second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4 disposed on the center portion side of the c) is peeled off in a state of being attached to the close sheet 70, and the center discharge hole 66 is disposed at the distal end side of the first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2. Is preferably formed.

상기 절개부(50)는, 상기 용기(20)의 상기 개별 공간부를 구성하는 상기 측벽부의 일정 위치를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복수개로 절취하여 방사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배출홀 포밍편(60)을 형성하고, 상기 절개부(50)의 중심부 위치에는 센터 배출홀(66)이 구비되며, 상기 용기(20)의 상기 측벽부 외표면에는 상기 절개부(50)와 상기 배출홀 포밍편(60) 부분의 면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면적이 더 큰 시트가 부착되고, 상기 시트는 상기 절개부(50) 및 상기 배출홀 포밍편(60)에 마주하는 위치에 절개부(50)가 형성되고, 상기 절개부(50)의 안쪽 위치에는 박리 시트부가 구비되며, 상기 시트의 외표면에는 점착제층(74)을 매개로 클로즈 시트(70)가 부착되어, 상기 클로즈 시트(70)를 상기 용기(20)의 외표면에서 박리시킬 때에 상기 박리 시트부가 상기 클로즈 시트(70)에 부착된 상태로 박리되어 상기 배출홀 포밍편(60)과 상기 센터 배출홀(66)을 상기 용기(20)의 상기 측벽부 외부로 노출시키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The cutout 50 is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 forming pieces (60) arranged in the radial direction by cutting a plurality of positions of the side wall portion constituting the individual space of the container 20 in the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 A center discharge hole 66 is provided at a central position of the cutout 50, and the cutout 50 and the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ar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idewall of the container 20. 60) a sheet having a larger area than the area of the portion is attached, and the sheet is formed with a cutout 50 at a position facing the cutout 50 and the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0, A peeling sheet part is provided at an inner position of the cutout 50, and a closing sheet 70 is attach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sheet via an adhesive layer 74, and the closing sheet 70 is attached to the container 20. The peeling sheet portion is the claw when peeling off from the outer surface of Is peeled in a state of being attached to the sheet 70 may take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side wall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discharge hole forming part 60 and the center outlet hole (66), said container (20).

상기 용기(20)의 외표면에는 상기 클로즈 시트(70)의 내측면 일부를 상기 개별 공간부의 상기 측벽부 외표면에 고정시킨 상기 고정 접착제층(72)과 인접된 위치에 다른 고정 접착제층(72)을 매개로 베이스 시트(80)가 부착되고, 상기 클로즈 시트(70)는, 상기 베이스 시트(80)의 외표면에 점착제층(84)을 매개로 붙이고 떼어낼 수 있도록 부착된 테이프(86)를 구비하며, 상기 테이프(86)는 절개부(50)를 기준으로 상기 클로즈 시트(70)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20, another fixing adhesive layer 72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fixing adhesive layer 72 in which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lose sheet 70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individual space portion. The base sheet 80 is attached to the base sheet 80, and the close sheet 70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sheet 80 by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84. Is provided, the tape 86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the close sheet 70 based on the cutout 50.

상기 용기(20)의 상기 분리 격벽(40)은, 내부에 상단부로 연통된 공간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공홀(4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eparation partition 40 of the container 20 has at least one hollow hole 42 forming a space communicating with an upper end thereof.

상기 용기(20)의 상면을 덮는 커버(32)는, 상기 분리 격벽(40)이 구획하는 개별 공간부의 상면을 덮을 수 있으면서 상기 분리 격벽(40)의 상단부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개봉 가이드 라인(34)에 의해 복수개의 개별 커버(32)로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ver 32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20 may be formed along the upper end of the separation partition 40 while covering the top surface of the individual space partitioned by the separation partition 4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individual covers (32) by.

본 고안은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며 상면은 개방된 용기와, 이 용기의 상면을 덮는 커버와, 용기의 내부에 구비되어 공간부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개별 공간부로 구획하여 개별 공간부에 다른 종류의 면류 식품을 담을 수 있도록 하는 분리 격벽과, 용기 내부의 개별 공간부를 구성하는 측벽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측벽부에 인접되도록 구비되며 중앙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절개부와, 상기 절개부에 의해 용기의 측벽부측에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어 용기의 개별 공간부에 채워져 있는 물의 밀어내는 힘에 의해 용기의 바깥 방향으로 밀려나면서 물을 버릴 수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배출홀 포밍편과, 이 배출홀 포밍편과 절개부를 덮어주도록 용기의 표면에 접합수단을 매개로 부착되며, 상기 접합수단에서 박리되도록 외부에서 당기는 힘에 의해 용기의 표면에서 박리되어 복수개의 배출홀 포밍편에 의해 형성되는 배출홀을 통해 개별 공간부 내부의 물을 버릴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물을 배출한 다음에는 용기 표면에 재부착되어 배출홀 포밍편과 절개부를 폐쇄하는 클로즈 시트를 기본 구성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pace portion therein, the upper surface is an open container, a cover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provided inside the container to divide the space portion into at least two or more individual space portion, different types of facets in the individual space portion A plurality of cutouts arranged in a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a center portion and provided to be separated from at least one sidewall portion among the sidewall portions constituting individual spaces inside the container and a separate partition wall for storing food;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 forming pieces which are disposed in a radial direction on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thereof and are discarded while being pushed out of the container by the pushing force of the water filled in the individual spaces of the container; It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container via the joining means to cover the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and the incision, in the joining means In order to dissipate water from the surface of the container by pulling force from the outside, the water inside the individual space can be discard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formed by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 forming pieces. It is basically a closed sheet which is reattached to close the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and the cutout.

따라서, 본 고안은 면류를 배를 채우기 위핸 먹는 것이 아니라, 간식으로 여러 가지 맛의 면류를 먹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용기에 구비된 절개부는 용기 내부의 개별 공간부를 구성하는 측벽부의 일정 위치에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제1절개부와, 이 제1절개부의 중심부에 위치되어 원형으로 절취되어 원형홀 형태의 제2절개부로 구성되고, 상기 배출홀 포밍편은 제1절개부에 의해 기단부가 용기의 측벽부에 붙어 있는 제1배출홀 포밍편과, 제2절개부에 의해 제1배출홀 포밍편의 중앙부에 배치된 원판형의 제2배출홀 포밍편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상기 클로즈 시트를 용기의 외표면에서 바깥으로 떼어내면, 제2배출홀 포밍편은 클로즈 시트의 내측면에 점착제층을 매개로 붙은 상태에서 용기로부터 떨어지면서 제2절개부에 의해 원형의 배출홀(센터 배출홀(66))이 형성되도록 함과 동시에 제1배출홀 포밍편은 용기에 담긴 물이 밀어내는 힘에 의해 기단부를 기준으로 용기의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제1절개부에 의해 다른 배출홀을 형성되도록 하므로, 용기를 기울이지 않고서도 용기에 담긴 불필요한 물이 쉽게 용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짜장면과 라면을 함께 먹기 위해 용기에서 짜장면이 담긴 부분과 라면이 담긴 부분에 뜨거운 물을 붙고 면발이 익기를 기다렸다가 짜장면에 담겨진 물을 일부 버리고자 할 때에는 용기를 기울이지 않고 상기 배출홀 포밍편과 절개부를 막고 있는 클로즈 시트의 일부를 살짝 떼어내기만 하면, 용기에 배출홀이 형성되면서 자연스럽게 원하는 량의 물을 따라 낼 수 있으므로, 간식으로 여러 가지 맛의 면류를 먹고자 하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데에 크게 일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제1배출홀 포밍편은 물의 밀어내는 힘에 의해 용기의 바깥 방향으로 콘형상으로 밀려나는데, 이처럼 복수개의 제1배출홀 포밍편이 콘형상으로 밀려난 형태를 유지함으로써, 짜장면과 같은 소스류 식품을 수용한 개별 공간부에서 물이 빠질 때에 물 이외에 짜장 면발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하게 된다. 즉, 상기 콘형상으로 밀려난 복수개의 제1배출홀 포밍편으로 인하여 물만 빠지고 면발 등의 식품 내용물은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in order to satisfy the desire to eat noodles of various flavors as a snack, rather than to eat the noodles to fill the stomach, and the cutout provided in the container is a side wall portion constituting an individual space part inside the container. And a plurality of first cutouts formed in a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nd a second cutout portion having a circular hole shape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cutout portion and cut in a circular shape. The first discharging hole forming piece having a proximal end attached to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container by the first cutout portion, and the second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having a disc shape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by the second cutting part. When the close sheet is peeled ou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the second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is removed from the container in a state where an adhesive layer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lose sheet. While falling, a circular discharge hole (center discharge hole 66) is formed by the second incision, and the first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has an outer side of the container based on the proximal end by the force pushed by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Since the other openings are formed by the first incision while being opened, the unnecessary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can b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without tilting the container. For example, in order to eat jjajangmyeon and ramen together, attach the hot water to the part containing jjangmyeon and ramen in the container, wait for the noodle to ripen, and then discard the water in the jjamyeon without draining the container. Simply remove a portion of the close sheet blocking the piece and the incision, and the drain hole is formed in the container, allowing you to naturally pour out the desired amount of water, satisfying the consumer's desire to eat various flavored noodles as a snack. It will be able to greatly contribute to this.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first discharge hole forming pieces are pushed in a cone shape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container by the pushing force of water. As such, the plurality of first discharge hole forming pieces are kept in the shape of being pushed out in the cone shape. In addition, when the water is drained from the individual space containing the same source foods, it also functions to prevent the jajangmyeon noodles from falling out. That is, due to the plurality of first discharge hole forming pieces pushed into the cone shape, only water falls out and food contents such as noodle will not fall out.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클로즈 시트의 인접 위치에 절개부를 기준으로 클로즈 시트와는 따로 떼어낼 수 있는 테이프가 더 구비되는데, 이러한 테이프는 용기의 내부에 뜨거운 물을 부어서 식품(상기 라면이나 짜장면 등)을 익히는 동안 커버로 용기의 상면을 닫아놓았을 때에 커버가 뜨거운 물의 열 등에 의해 다시 용기 상면 위로 열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먹고자 하는 식품이 담긴 용기의 개별 공간부에 뜨거운 물을 부어서 원하는 식품이 익는 동안 뚜껑을 닫고, 상기 베이스 시트에서 테이프를 떼어내서 커버와 용기에 동시에 테이프를 붙여 놓으면, 테이프의 부착된 힘에 의해 커버가 용기를 닫은 상태를 유지하므로, 먹기 원하는 식품(즉, 라면이나 짜장면 등)이 익을 때까지 기다리는 동안 커버가 용기 위로 열려버리는 현상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테이프를 필요할 때마다 쉽게 떼어내서 커버를 용기에 붙여서 열리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잡아줌으로써, 면발 등이 익는 동안 커버 위에 열리지 않도록 젖가락 등을 올려놓거나 하는 일이 없으므로, 보다 편리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further provided a tape that can be separated from the close sheet on the basis of the incision in the adjacent position of the close sheet, such a tape by pouring hot water into the interior of the food (such as ramen or jangjangmyeon)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is closed with the cover while cook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ver from open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again by the heat of hot water. That is, when hot water is poured into the individual space of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food to be eaten, the lid is closed while the desired food is being cooked, the tape is removed from the base sheet, and the tape is attached to the cover and the container at the same time. Since the cover keeps the container closed, it is possible to completely prevent the cover from being opened on the container while waiting for foods to be eaten (ie, ramen or jjajangmyeon) to ripen. The tape is peeled off whenever necessary, and the cover is attached to the container to hold it stably so that it does not open. Therefore, it is more convenient because there is no place on the cover so that it does not open on the cover during the cooking.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하면, 용기의 내부의 공간부를 구획하는 분리 격벽에 상하로 연장된 별도의 중공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러한 분리 격벽의 중공홀에는 면류를 먹기 위한 젓가락이나 숫가락을 꼽아 놓으면 되므로, 음식물 섭취시 등에 보다 편리하며 무엇보다 면류를 먹기 위한 도구를 정돈하는 식으로 분리 격벽에 꼽아 놓을 수 있으므로 원하는 음식을 보다 즐겁게 섭취하는데 더욱 기여하는 점에서 보다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hollow hole extending up and down is formed in the separating partition that partitions the interior space of the container, and the hollow hole of the separating partition has a chopstick or a spoon for eating noodles. In addition, it is more convenient when eating food, and more importantly, since it can be placed in the separating partition by arranging a tool for eating noodles, more importantly in terms of contributing more to the desired food more pleasantly.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즉석 식품 용기의 주요부인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용기와 커버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용기와 커버의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다른 주요부인 클로즈 시트와 테이프의 구성을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클로즈 시트와 테이프의 구성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테이프를 박리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주요부인 클로즈 시트를 용기에서 일부 박리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클로즈 시트를 용기에서 일부 박리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테이프를 커버와 용기에 붙인 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tainer which is a main part of an instant foo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iner and cover shown i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state of the container and the cover shown in FIG.
4 is a front view of FIG. 3
Fig. 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lose sheet and a tape, which are other main parts shown in Fig. 3;
6 is an enlarged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lose sheet and the tape shown in FIG.
7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ape shown in FIG. 6 is peeled off;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osed sheet which is the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ially peeled from the container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lose sheet shown in FIG. 8 is partially peeled from the container;
10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tape shown in Figure 6 attached to the cover and the containe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즉석 식품 용기는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며 상면은 개방된 용기(20)와, 이 용기(20)의 상면을 덮는 커버(32)와, 용기(20)의 내부 공간부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개별 공간부로 구획하여 개별 공간부에 다른 종류의 면류 식품을 담을 수 있도록 하는 분리 격벽(40)과, 상기 용기(20) 내부의 복수개의 개별 공간부의 각 측벽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측벽부에 인접되도록 구비되며 중앙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절개부(50)와, 이 절개부(50)에 의해 용기(20)의 측벽부측에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어 용기(20)의 개별 공간부에 채워져 있는 물의 밀어내는 힘에 의해 용기(20)의 바깥 방향으로 밀려나면서 물을 버릴 수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배출홀 포밍편(60)과, 이러한 배출홀 포밍편(60)과 절개부(50)를 덮어주도록 용기(20)의 외표면에 접합수단을 매개로 부착되어 접합수단에서 박리되도록 외부에서 당기는 힘(면을 먹고자 하는 사람이 손으로 잡아서 뜯어내는 힘)에 의해 용기(20)의 표면에서 박리되어 복수개의 배출홀 포밍편(60)에 의해 형성되는 배출홀을 통해 개별 공간부 내부의 물을 버릴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물을 배출한 다음에는 용기(20) 표면에 재부착되어 배출홀 포밍편(60)과 절개부(50)를 폐쇄하는 클로즈 시트(7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instant foo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pace portion therei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20, the cover 32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20, and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20 At least one of partition walls 40 for dividing the space into at least two individual spaces so as to contain different kinds of noodles in the individual spaces, and at each side wall of the plurality of individual spaces in the container 20. A plurality of cutouts 50 disposed to be adjacent to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and disposed in the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art, and disposed by the cutouts 50 in the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20.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 forming pieces 60 to be discarded while being pushed outward of the container 20 by the pushing force of the water filled in the individual spaces of the container 20, and such discharge hole forming pieces. 60 and incision 50 The surface of the container 20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20 by means of a joining means to cover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20 and pulled from the outside to pull off from the joining means. Peeled from the water through the discharge hole formed by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0 to discard the water inside the individual space portion and at the same time discharge the water and then reattach to the surface of the container 20 is discharge hole And a closing sheet 70 for closing the forming piece 60 and the cutout 50.

따라서, 본 고안은 컵라면이나 컵해장국, 컵우동, 컵김치면과 같이 국물이 있는 국물류 식품과 컵짜장, 컵비빔면과 같이 국물이 없는 소스류 식품을 한꺼번에 먹고자 할 경우에 소스류 식품에서 필요한 양만큼을 물을 남기고 나머지 물을 버릴 때에 국물류 식품의 국물까지 쏟아지는 일이 없이 간편하게 불필요한 물을 버릴 수 있도록 한다는 것에 특징이 있는 고안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f you want to eat soup foods such as cup noodles, cup haejangguk, cup udon, cup kimchi noodles and sauce-free foods such as cup jjajang, cup bibimb noodles at the same time as the amount required in the source foods When the water is left and the remaining water is discarded, it is designed to make it possible to simply discard unnecessary water without spilling the soup of soup foods.

한편, 본 고안에서 칭하는 즉석 식품 용기라 함은 국물이 있어야 맛이 나는 해장국, 라면, 우동, 김치면, 사골면 등과 같이 국물이 있어야 하는 식품과 뜨거운 물을 부어 면을 익히고 면이 익어서 준비가 되면 물을 일정량만큼 버리고 스프(또는 소스)를 면에 부어서 섭취하는 비빔면, 짜장면, 메밀면과 같은 식품을 담는 용기를 의미함은 물론 기타 뜨거운 물을 부어서 식품을 익혀서 먹는 모든 종류의 식품을 담는 용기라는 의미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해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instant food container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that the soup must have a taste, such as haejangguk, ramen, udon, kimchi noodles, sake bone noodles, etc. This means a container for foods such as bibimbyeon, jjajangmyeon, buckwheat noodles, which are consumed by throwing a certain amount of water and pouring soup (or sauce) onto the noodles, as well as containers for all kinds of foods that are cooked by pouring hot water. It should be understood as a concept that includes the meaning.

상기 용기(20)는 일정 면적의 바닥부와, 이 바닥부에 상단부가 접합되어 상향 연장된 측벽부를 구비하고, 상면은 개방된 그릇 형태로 구성된다. 용기(20)는 스티로폼이나 플라스틱과 같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용기(20)의 상면 개방부는 커버(32)(얇은 시트 형태가 될 수 있음)에 의해 밀봉된다. 커버(32)는 아래의 알루미늄 포일과 위쪽의 시트지(종이 재질 등이 될 수 있음)가 두 개 층으로 접합된 구조로서, 용기(20)의 상단부측 테두리부에 커버(32)의 저면 외곽부가 수지와 같은 접합부에 의해 부착되어 있으며, 손으로 잡아 뜯으면 접합부를 구성하는 수지가 뜯어지면서 커버(32)를 열 수 있게 되며, 커버(32)를 일부 용기(20)의 상면에서 열어놓고 용기(20)의 내부에 뜨거운 물을 부어서 라면 등의 식품을 익힐 수 있다.The container 20 has a bottom portion of a predetermined area and a sidewall portion which is joined to an upper end portion of the bottom portion and extends upwardly, and the upper surface is formed in an open bowl shape. The container 20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styrofoam or plastic. The top opening of this container 20 is sealed by a cover 32 (which may b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The cover 32 is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aluminum foil and the upper sheet paper (which may be made of paper, etc.) are bonded in two layers, and the outer edg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over 32 is formed at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container 20. It is attached by a joint such as a resin, and when it is pulled by hand, the resin constituting the joint is torn off and the cover 32 can be opened, and the cover 32 is opened on the upper surface of some containers 20 and the container ( You can pour hot water inside to cook foods such as ramen.

상기 용기(20)의 내부에는 분리 격벽(40)이 구비되어, 이 분리 격벽(40)에 의해 용기(20) 내부의 공간부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공간부로 구획된다. 본 고안에서는 십자형으로 분리 격벽(40)이 구비되어, 용기(20)의 내부 공간부가 네 개의 개별 공간부로 구획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용기(20)가 십자형 분리 격벽(40)에 의해 네 개의 개별 공간부로 구획된 경우에는 각각의 개별 공간부에 라면, 우동, 비빔면, 짜장면과 같이 여러 종류의 식품을 담을 수 있게 된다.The separation partition 40 is provided inside the container 20, and the separation partition 40 divides the space inside the container 20 into at least two space parts. In the present invention, an embodiment in which the separation partition 40 is provided in a cross shape and the inner space part of the container 20 is divided into four separate space parts is illustrated. When the container 20 is partitioned into four separate spaces by the cross-separated partition wall 40, various types of foods such as ramen noodles, udon noodles, and jjajangmyeon can be contained in each individual space portion.

상기 분리 격벽(40)은 내부에 상단부로 연통된 공간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공홀(4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는 중공홀(42)이 분리 격벽(40)의 상하단으로 길게 연장된 구멍 형태(사각 구멍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중공홀(42)은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분리 격벽(40)의 내부에 다수개의 중공홀(42)이 구비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중공홀(42)은 분리 격벽(40) 자체에서 살빼기홀 기능을 하는 것이어서 재료 절감도 되고, 분리 격벽(40)의 중공홀(42)에 젓가락이나 숫가락을 꽂아 놓을 수 있어서 음식(즉, 면류 식품)을 즐기는데 보다 편리하다.The separation partition 40 is preferably formed with at least one hollow hole 42 to form a space in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end therei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low hole 42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hole (square hole shape) extending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eparation partition 40, the hollow hole 42 is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radial direction relative to the center. It is formed as, has a structu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ollow holes 42 in the separation partition 40. Since the hollow hole 42 functions as a weight loss hole in the separation partition 40 itself, material savings can be achieved, and the chopsticks or spoons can be inserted into the hollow hole 42 of the separation partition 40 so that food (ie, Noodle food) is more convenient to enjoy.

또한, 상기 용기(20)의 상면 개방부를 덮는 커버(32)는 분리 격벽(40)이 구획하는 개별 공간부의 상면을 덮을 수 있으면서 분리 격벽(40)의 상단부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개봉 가이드 라인(34)에 의해 복수개의 개별 커버(32)로 분할되어 있다. 즉, 개봉 가이드 라인(34)은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십자 형태로 연장되어 있는데, 이러한 개봉 가이드 라인(34)은 점선형 취약부 구조(즉, 일정 간격으로 통공이 형성되고, 통공 사이에는 커버(32)와 붙어 있는 연결편이 일정 간격으로 구비된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예를 들어, 라면을 먹고 싶은 경우에는 상기 개봉 가이드 라인(34)에 의해 라면이 담겨져 있는 개별 공간부 상면 커버(32)를 뜯어내고, 뜨거운 물을 부어서 라면을 익혀 먹으면 된다. 또한, 짜장을 먹고 싶으면 짜장이 담겨 있는 다른 개봉 가이드 라인(34)에 의해 짜장이 담겨져 있는 개병 공간부 상면의 개별 커버(32)를 뜯어내고, 물을 부어서 짜장면용 면발을 익히면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cover 32 covering the top opening of the container 20 may cover the top surface of the individual space partitioned by the separation partition 40 while being formed along the upper end of the separation partition 4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individual covers (32). That is, the opening guide line 34 extends crosswise in the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and the opening guide line 34 has a dotted weakened structure (that is, a hole i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a cover is formed between the holes. And a connecting piece attached to the (32)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and, for example, when the ramen is to be eaten, the upper surface cover 32 of the individual space portion in which the ramen is contained by the opening guide line 34. Rinse off, pour hot water and cook the ramen. In addition, if you want to eat jjajang by removing the individual cover 3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opening of the opening space containing the jjajang by the other opening guide line 34 containing the jjajang, pour water to learn the noodle.

이때, 본 고안에서는 컵라면과 같은 국물류 식품과 컵짜장과 같이 국물이 없는 소스류 식품을 한꺼번에 먹고자 할 경우 국물류 식품의 국물까지 쏟아지는 일이 없이 간편하게 불필요한 물을 버릴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춘 것에 첫 번째 특징이 있다.At this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you want to eat soup foods such as cup ramen and sauce-free foods such as cup jjajang at the same time, it is the first to have a structure that can easily discard unnecessary water without pouring to the soup of soup foods. There is a second feature.

상기와 같이 용기(20)에서 소스류 식품이 담긴 개별 공간부에서 물을 버리면서 다른 국물류 식품쪽의 물은 쏟아지지 않도록 하는 구성은 용기(20) 내부의 상기 개별 공간부의 측벽부에 인접되도록 구비된 복수개의 절개부(50)와, 이 절개부(50)에 의해 용기(20)의 측벽부측에 배치된 배출홀 포밍편(60)과, 이 배출홀 포밍편(60)과 절개부(50)를 덮어주도록 용기(20)의 표면에 접합수단을 매개로 부착된 클로즈 시트(70)를 포함한다.As described above, the water is discarded from the individual space portion containing the source foods in the container 20, so that the water from other broth foods is not spilled, provided to be adjacent to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individual space inside the container 20. The plurality of cutouts 50, the discharge hole forming pieces 60 arranged on the side wall portion side of the container 20 by the cutouts 50, the discharge hole forming pieces 60 and the cutouts 50. ) And a close sheet 70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container 20 by means of bonding means.

이때, 상기 절개부(50)는 용기(20) 내부의 복수개의 개별 공간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측벽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측벽부에 인접되도록 구비되며 중앙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복수개의 절개부(50)가 중앙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어 있다. 용기(20)에서 짜장면과 같이 면발을 익힌 물을 버리는 개별 공간부의 측벽부에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절개부(50)가 구비된 것이다. 이 절개부(50)는 측벽부의 외표면에서 내표면으로 연통된 형태의 절단선이라 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utout 50 is provided to be adjacent to at least one sidewall portion of each sidewall portion constitut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spaces inside the container 20 and is disposed in the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rtion. That is, the plurality of cutouts 50 extend in the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rtion. In the container 20, a plurality of cutouts 50 extending in a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are provided in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individual space that discards the cooked water, such as a woven surface. The cutout 50 may be referred to as a cutting line in communication with the inner surfac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portion.

본 고안은 복수개의 절개부(50)에 의해 용기(20)의 측벽부측에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어 용기(20)의 개별 공간부에 채워져 있는 물의 밀어내는 힘에 의해 용기(20)의 바깥 방향으로 밀려나면서 물을 버릴 수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배출홀 포밍편(60)을 구비한다. 두 개의 이웃한 제1절개부(52)와 원형홀 형태의 제2절개부(54)에 의해 하나의 배출홀 포밍편(60)을 이루는데, 이러한 배출홀 포밍편(60)은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복수개로 배치된 구조이다. 이때, 중심부라 함은 원판형의 제2배출홀 포밍편(64)의 중심부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중심부를 기준으로 용기(20) 외부로 밀려날 수 있는 복수개의 배출홀 포밍편(60)이 방사 방향으로 배치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the radial direction on the side wall portion side of the container 20 by the plurality of cutouts 50 in the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20 by the pushing force of the water filled in the individual space of the container 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0 to be discarded while being pushed out of the direction. The two adjacent first cutouts 52 and the second cutouts 54 in the form of circular holes form one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0, and the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0 is based on the center portion. It is a structure arranged in plural in the radial direction. In this case, the central portion may be referred to as a central portion of the disc-shaped second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4, and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 forming pieces 60 which may be pushed out of the container 20 based on the central portion are radiated. It is arranged in the direction.

이때, 상기 절개부(50)는 용기(20)의 개별 공간부를 구성하는 측벽부(상기한 짜장면을 담는 개별 공간부를 구성하는 측벽부 부분이며 크게 보면 용기(20)의 측벽부 중에서 일부의 측벽부 부분이라 할 수 있음)의 일정 위치를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복수개로 절취하여 형성된 복수개의 제1절개부(52)와, 이 제1절개부(52)의 중심부에 위치되어 원형으로 절취되어 원형홀 형태의 제2절개부(54)로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cutout 50 is a side wall portion constituting the individual space portion of the container 20 (side wall portion constituting the individual space portion containing the above described surface and if viewed larger part of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container 20 And a plurality of first cutouts 52 formed by cutti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cutouts in a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and are cut in a circular shape by being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cutouts 52. It is composed of a second cut 54 in the form of a circular hole.

또한, 상기 배출홀 포밍편(60)은 제1절개부(52)에 의해 기단부가 용기(20)의 측벽부에 붙어 있는 제1배출홀 포밍편(62)과, 제2절개부(54)에 의해 제1배출홀 포밍편(62)의 중앙부에 배치된 원판형의 제2배출홀 포밍편(64)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0 includes a first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2 having a proximal end affixed to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20 by a first cutout 52, and a second cutout 54. It can be composed of a disk-shaped second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4 dispos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2).

따라서, 제2배출홀 포밍편(64)은 후술할 클로즈 시트(70)에 붙어서 용기(20)로부터 떨어지면서 제2절개부(54)에 의해 원형의 배출홀이 형성되도록 함과 동시에 제1배출홀 포밍편(62)은 용기(20)에 담긴 물(즉, 짜장 등의 소스류 식품이 담긴 개별 공간부에 담기 물)이 밀어내는 힘에 의해 기단부를 기준으로 용기(20)의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제1절개부(52)에 의해 다른 배출홀을 형성되도록 하므로, 용기(20)를 기울이지 않고서도 용기(20)에 담긴 불필요한 물이 쉽게 용기(2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second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4 is attached to the close sheet 70 to be described later,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20 so as to form a circular discharge hole by the second cutout 54,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discharge. The hole forming piece 62 is open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20 based on the proximal end by the force pushed by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20 (that is, the water contained in the individual space containing the sauce-like food such as squeezed food). Since another discharge hole is formed by the first cutout 52, unnecessary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20 can b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20 without tilting the container 20.

상기 배출홀 포밍편(60)과 절개부(50)는 평상시에는 용기(20)에 부착된 클로즈 시트(70)에 의해 막혀 있게 된다. 이 클로즈 시트(70)는 비닐이나 수질 재질의 사각 필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클로즈 시트(70)의 내측면 중에서 대략 중간 부분이 고정 접착제층(72)(강력 접착제 등이 될 수 있음)에 의해 용기(20)의 외표면(즉, 상기 짜장면과 같이 소스류 식품이 담긴 개별 공간부의 측벽부 외표면)에 박리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붙어 있다. 클로즈 시트(70)가 부분적으로 용기(20)의 외표면에 붙어 있어야 되므로, 상기 고정 접착제층(72)으로 클로즈 시트(70)의 내측면 일부가 강력하게 고착시킨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The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0 and the cutout 50 are normally blocked by the close sheet 70 attached to the container 20. The close sheet 70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film of vinyl or water quality, and approximately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inner side of the close sheet 70 may be fixed to the fixed adhesive layer 72 (which may be a strong adhesive). This is firmly adher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20 (that is,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individual space portion containing the source foods, such as the jangjang surface). Since the close sheet 70 must be partially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20,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lose sheet 70 is strongly fixed to the fixing adhesive layer 72.

또한, 클로즈 시트(70)는 고정 접착제층(72)이 있는 면을 제외한 내측면 일부가 접합수단을 매개로 부착되어 있으면서 용기(20)의 측벽부에 구비된 배출홀 포밍편(60)과 절개부(50)를 덮어주고 있다. 이때, 접합수단은 점착제층(74)으로 구성되어, 클로즈 시트(70)가 점착제층(74)에서 박리되도록 외부에서 당기는 힘(구체적으로, 용기(20)에 담긴 음식물을 먹고자 하는 사람이 손으로 잡고 당기는 힘)에 의해 용기(20)의 외표면에서 박리되고, 이처럼 클로즈 시트(70)가 외부에서 당기는 힘으로 일부(즉, 점착제층(74)이 도포된 내측면)이 용기(20)의 외표면에서 박리되면, 용기(20)에 담겨져 있는 물이 밀어내는 힘에 의해 복수개의 배출홀 포밍편(60)이 용기(20)의 외부로 밀려나면서 벌어진다. 도 8 및 도 9 참조하면, 제1배출홀 포밍편(62)은 용기(20)의 외부로 콘형상으로 벌어짐과 동시에 제2배출홀 포밍편(64)은 점착제층(74)에 의해 클로즈 시트(70)에 함께 붙어서 떨어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In addition, the close sheet 70 is cut off with the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0 provided on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20 while a part of the inner side of the close sheet 70 is attached via the joining means except for the surface with the fixing adhesive layer 72. The part 50 is covered. At this time, the bonding means is composed of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74, the pulling force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close sheet 70 is peeled off fro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74 (specifically, a person who wants to eat food contained in the container 20 by hand) It is peeled off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20 by the force of pulling and pulling, and a part (that is, the inner surface on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74 is applied) is closed by the force of pulling the close sheet 70 from the outside. When peeled from the outer surface,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 forming pieces 60 are opened while being pushed out of the container 20 by the force pushed out of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20. 8 and 9, the first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2 opens in a cone shape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20, and the second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4 is closed by an adhesive layer 74. A state in which 70 is stuck together is shown.

이때, 상기와 같이, 절개부(50)는 용기(20)의 개별 공간부를 구성하는 측벽부의 일정 위치에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제1절개부(52)와, 이 제1절개부(52)의 중심부에 위치되어 원형으로 절취되어 원형홀 형태의 제2절개부(54)로 구성되고, 상기 배출홀 포밍편(60)은 제1절개부(52)에 의해 기단부가 용기(20)의 측벽부에 붙어 있는 제1배출홀 포밍편(62)과, 제2절개부(54)에 의해 제1배출홀 포밍편(62)의 중앙부에 배치된 원판형의 제2배출홀 포밍편(64)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상기 클로즈 시트(70)를 점착제층(74)에 의해 용기(20)의 외표면에서 바깥으로 떼어내면, 제2배출홀 포밍편(64)은 클로즈 시트(70)의 내측면에 점착제층(74)을 매개로 붙은 상태에서 용기(20)로부터 떨어지면서 제2절개부(54)에 의해 원형의 배출홀이 형성되도록 함과 동시에 제1배출홀 포밍편(62)은 용기(20)에 담긴 물이 밀어내는 힘에 의해 기단부를 기준으로 용기(20)의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제1절개부(52)에 의해 다른 배출홀을 형성되도록 하므로, 용기(20)를 기울이지 않고서도 용기(20)에 담긴 불필요한 물이 쉽게 용기(2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9에서는 제1배출홀 포밍편(62)이 용기(20)의 외부로 콘형상으로 벌어져서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물이 빠지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cutout 50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cutouts 52 formed in a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sidewall of the container 20, and the first cutout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portion 52 is cut in a circular configuration consisting of a second cut portion 54 in the form of a circular hole, the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0 is the base end portion by the first cut portion 52 ( A first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2 attached to the side wall portion of 20 and a disc-shaped second discharge hole forming part disposed at the center of the first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2 by the second cutout 54. It is comprised by the piece 64, and when the said close sheet 70 is peeled ou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20 by the adhesive layer 74, the 2nd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4 will be closed sheet 70 At the same time the circular discharge hole is formed by the second cutout 54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20 while the adhesive layer 74 is attached to the inner side of The first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2 is open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20 based on the proximal end by the force pushed by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20 to form another discharge hole by the first cutout 52. Therefore, unnecessary water contained in the container 20 can b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20 without tilting the container 20. In FIG. 9, the first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2 is opened in the shape of a cone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20 and water is discharged in the direction indicated by the arrow.

또한, 용기(20)에서 상기 짜장면과 같은 소스류 식품이 담긴 개별 공간부에서 불필요한 물을 배출한 다음에는 클로즈 시트(70)를 다시 점착제층(84)(74)을 이용하여 용기(20) 표면에 재부착시키면, 상기 제1배출홀 포밍편(62)은 다시 용기(20) 안쪽으로 밀려 들어가서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방사 방향으로 벌여졌던 배출홀을 막아주고 동시에 제2배출홀 포밍편(64)은 제1배출홀 포밍편(62)의 선단부측(즉, 중앙부)에 형성되었던 원형의 배출홀도 막아주므로, 용기(20)의 공간부 중에서 물을 배출하였던 개별 공간부를 다시 견고하게 막은 상태로 유지하므로, 이러한 상태에서 소스류 식품에 소스(예를 들면, 상기 짜장면인 경우에는 짜장 소스)를 첨부하여 먹으면 된다.In addition, after discharging the unnecessary water from the individual space portion containing the sauce-like foods such as the jjajangmyeon in the container 20, the close sheet 70 is again used on the surface of the container 20 by using the adhesive layers 84, 74 When reattached, the first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2 is pushed back into the container 20 to return to its original position, thereby preventing the discharge hole that was opened in the radial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4 is removed. Since the circular discharge hole formed at the distal end side (ie, the central portion) of the one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2 is also blocked, the individual space portion from which the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space portion of the container 20 is again kept firmly blocked. In this state, the sauce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said jjajangmyeon) may be attached to the sauce food to eat.

이를테면, 상기 클로즈 시트(70)는 점착제층(74)에 의해 용기(20)의 외표면에 붙어있으면서 상기 배출홀 포밍편(60)과 절개부(50)를 막고, 클로즈 시트(70)를 손으로 잡아 당기면 용기(20)의 외표면에서 떨어지므로, 용기(20)를 기울이지 않고 불필요한 물은 용기(20) 내부에서 버리는 동작과 소스류 식품 섭취 중에 용기(20)의 구멍 부분(즉, 배출홀 부분)을 견고하게 닫아주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즉, 클로즈 시트(70)를 반복적으로 용기(20)에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으므로, 용기(20)를 기울이지 않고 편리하기 물을 버리는 것이 가능하고, 음식물 섭취 중에는 용기(20) 구멍 부분을 편리하면서도 튼튼하게 막아줌으로써 즐거운 음식물 섭취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For example, the close sheet 70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20 by an adhesive layer 74 to block the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0 and the cutout 50, and to close the close sheet 70. When pulled out, the water drops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20, so that unnecessary water is thrown away from the inside of the container 20 without tilting the container 20, and the hole portion of the container 20 (that is, the discharge hole part) during the intake of the source food.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able to repeatedly perform the operation of closing the) firmly. That is, since the close sheet 70 can be repeated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container 20,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discard the water without tilting the container 20. By preventing the strong food intake is possible.

정리하면, 상기 클로즈 시트(70)는 내측면의 일부 면이 용기(20)의 측벽부 외표면에 고정 접착제층(72)에 의해 떨어지지 않도록 부착되고, 상기 고정 접착제층(72)을 제외한 나머지 면은 배출홀 포밍편(60)과 절개부(50)를 덮어주도록 점착제층(74)을 매개로 용기(20)의 측벽부에 부착되어, 클로즈 시트(70)를 점착제층(74)에 의해 용기(20)의 외표면에서 반복적으로 붙이고 박리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클로즈 시트(70)를 용기(20)의 외표면에서 박리시킬 때에 제1배출홀 포밍편(62)의 중앙부측에 배치된 제2배출홀 포밍편(64)은 클로즈 시트(70)에 부착된 상태로 박리되어 제1배출홀 포밍편(62)의 선단부측(중앙부)에 센터 배출홀(66)을 형성하고, 클로즈 시트(70)를 다시 붙일 때에는 제2배출홀 포밍편(64)이 다시 센터 배출홀(66)을 막아주는 것이다. 이때, 상기 클로즈 시트(70)는 코너부와 인접된 위치는 점착제가 도포되지 않고 그대로 놔둔 비점착제층(84)(74)으로 구성하여, 손으로 클로즈 시트(70)를 잡고자 할 때에는 클로즈 시트(70)의 코너부는 용기(20)의 외표면에 붙어있지 않은 상태이므로, 클로즈 시트(70)의 코너부를 보다 쉽게 잡아서 용기(20) 외부로 클로즈 시트(70)를 떼어낼 수 있도록 하므로, 사용이 보다 편리하다.In summary, the close sheet 70 is attached so that some surfaces of the inner surface do not fall off by the fixing adhesive layer 72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container 20, and the remaining surfaces except the fixing adhesive layer 72. The silver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0 is attached to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20 via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74 so as to cover the cutout 50, and the close sheet 70 is attached to the container by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74. A material disposed 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2 when the close sheet 70 is peeled off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20. The two discharge hole forming pieces 64 are peeled off in a state of being attached to the close sheet 70 to form a center discharge hole 66 at the distal end side (center portion) of the first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2. When attaching 70 again, the second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4 blocks the center discharge hole 66 again. At this time, the close sheet 70 is composed of a non-adhesive layer 84, 74 which is left untouched without the adhesive applied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corner portion, and when the close sheet 70 is to be grasped by hand. Since the corner portion of the 70 is not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20, the corner portion of the close sheet 70 can be more easily grasped so that the close sheet 70 can be detach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20. This is more convenient.

한편, 상기 용기(20)의 외표면에는 클로즈 시트(70)의 내측면 일부를 개별 공간부의 측벽부 외표면에 고정시킨 고정 접착제층(72)과 인접된 위치에 다른 고정 접착제층(82)을 매개로 베이스 시트(80)가 부착되고, 이 클로즈 시트(70)는 베이스 시트(80)의 외표면에 점착제층(84)을 매개로 붙이고 떼어낼 수 있도록 부착된 테이프(86)를 구비하며, 이러한 테이프(86)는 절개부(88)를 기준으로 클로즈 시트(70)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클로즈 시트(70)는 비닐이나 수지 재질의 한 장의 사각 시트지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고정 접착제층(82)에 의해 용기(20)에 고정되는 부분과 점착제층(84)에 의해 용기(20)의 배출홀 포밍편(60)과 절개부(50)를 막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내측면(본 고안에서는 측단면도를 기준으로 상부측 내측면)에는 박리층을 매개로 베이스 시트(80)의 전면이 부착되고, 이 베이스 시트(80)의 배면은 고정 접착제층(72)(예를 들어, 강력 접착제층이 될 수 있음)에 의해 용기(20)의 외표면에 고정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20 has another fixing adhesive layer 82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fixing adhesive layer 72 in which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lose sheet 70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individual space. The base sheet 80 is attached to the medium, and the close sheet 70 includes a tape 86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sheet 80 so as to attach and detach the adhesive layer 84 through the medium. This tape 86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close sheet 70 with respect to the incision 88. That is, the close sheet 70 may be composed of one sheet of rectangular sheet paper made of vinyl or resin, and the container is fixed to the container 20 by the fixing adhesive layer 82 and the container by the adhesive layer 84. Base sheet 80 through the release layer on the inner side surface (upper side inner side in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side cross-sectional view) except for the portion blocking the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0 and the cutout portion 50 of the 20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sheet 80 is attached, and the back surface of the base sheet 80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20 by the fixing adhesive layer 72 (which may be a strong adhesive layer, for example).

본 고안에서 테이프(86)는 베이스 시트(80)의 전면에 박리층을 매개로 부착된 클로즈 시트(70)의 상부측 일부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클로즈 시트(70)에서 고정 접착제층(72) 상측 위치에 반칼 처리(즉, 클로즈 시트(70)의 외측면에서 내측면은 완전 절단하고 베이스 시트(80)는 절단 하지 않는 컷팅 처리)된 절개부(88)를 기준으로 클로즈 시트(70)에서 분리될 수 있는 테이프(86)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테이프(86)는 일정 면적을 가진 사각 필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가로 방향의 절개부(88a)와 다른 세로 방향의 복수개의 절개부(88b)에 의해 복수개로 나누어진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가로 방향 절개부(88a)와 세로 방향 절개부(88b)에 의해 복수개의 테이프(86)가 베이스 시트(80) 전면에 붙어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세로 방향 절개부(88b) 역시 상기와 같은 반칼 처리가 되어 있고, 상기 박리층은 점착제층(84)으로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 시트(80)에서 테이프(86)만을 떼어내면, 테이프(86) 자체의 내측면에 점착체층(84)이 도포되어 있는 구조가 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ape 86 may be part of the upper side of the close sheet 70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ase sheet 80 via a release layer. That is, a half-knife treatment (ie, a cutting treatment in which the inner surface is completely cut and the base sheet 80 is not cut) in the upper position of the fixing adhesive layer 72 in the close sheet 70. Based on the cut 88, the tape 86 may be separated from the close sheet 70. In addition, the tape 86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film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has a configuration divided into a plurality by the plurality of cutouts (88b)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horizontal cutout (88a). Can be. That is, the plurality of tapes 86 may be attached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base sheet 80 by the horizontal cutout 88a and the vertical cutout 88b. The vertical cutout 88b is also subjected to the half-knife treatment as described above, and the release layer is composed of an adhesive layer 84, and when only the tape 86 is removed from the base sheet 80, the tape 86 It may be a structure in which the adhesive layer 84 is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itself.

상기 테이프(86)의 기능은 용기(20)의 내부에 뜨거운 물을 부어서 식품(상기 라면이나 짜장면 등)을 익히는 동안 커버(32)로 용기(20)의 상면을 닫아놓았을 때에 커버(32)가 뜨거운 물의 열 등에 의해 다시 용기(20) 상면 위로 열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즉, 먹고자 하는 식품이 담긴 용기(20)의 개별 공간부에 뜨거운 물을 부어서 원하는 식품이 익는 동안 뚜껑을 닫고, 상기 베이스 시트(80)에서 테이프(86)를 떼어내서 커버(32)와 용기(20)에 동시에 테이프(86)를 붙여 놓으면, 테이프(86)의 힘에 의해 커버(32)가 용기(20)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원하는 식품(즉, 라면이나 짜장면 등)이 익을 때까지 기다리는 동안 커버(32)가 용기(20) 위로 열려버리는 현상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 참조.The function of the tape 86 is to cover 32 whe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20 is closed with the cover 32 while pouring hot water into the container 20 to cook foods (such as the ramen noodles or the noodle soup). This is to prevent the phenomenon of open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20 again by the heat of hot water or the like. That is, by pouring hot water into the individual space of the container 20 containing the food to be eaten, close the lid while the desired food is ripe, and remove the tape 86 from the base sheet 80 to cover the cover 32 and the container ( By attaching the tape 86 to 20 at the same time, the cover 32 remains attached to the container 20 by the force of the tape 86, so that when the desired food (i.e., ramen or squeezed noodles) is cooked While waiting until the cover 32 can be completely prevented from opening the container 20. See FIG. 9.

한편, 본 고안에 의하면, 용기(20) 내부의 공간부를 구획하는 분리 격벽(40)은 내부에 상단부로 연통된 공간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공홀(4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중공홀(42)은 분리 격벽(40)의 상하부로 연장되면서 분리 격벽(40)의 상단부로 연통된 사각홀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분리 격벽(40)에 형성된 각각의 중공홀(42)에 식품을 먹기 위한 젓가락이나 숟가락 등을 꼽아 놓을 수 있으므로, 보다 편리하고 즐거운 식품 섭취가 이루어지는데 기여할 수 있다. 꽂이대에 젓가락이나 숟가락을 꼽아 놓듯이 분리 격벽(40)의 종공홀에 젓가락 등을 꼽아놓고 기다리면 되므로 편리하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hollow hole 42 is formed in the separation partition 40 partitioning the space portion inside the container 20 to form a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end therei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low hole 42 may be configured in the shape of a square hole extending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eparating partition 40 and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end of the separating partition 40, and each hollow hole formed in the separating partition 40. Chopsticks and spoons for eating food can be placed in (42), which can contribute to more convenient and enjoyable food intake. Just as chopsticks or spoons are inserted into the rack, it is convenient because the chopsticks are placed in the termination hole of the separating partition 40 and wait.

또한, 상기 분리 격벽(40)의 중공홀(42)은 살빼기홀의 기능을 함으로써, 재료 절감 효과도 거둘 수 있다. 용기(20)와 분리 격벽(40)을 스티로폼이나 플라스틱 등의 원료로 성형하는데, 분리 격벽(40) 부분에 다수개의 살빼기 중공홀(42)을 형성하면, 그만큼 재료가 절감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hollow hole 42 of the separation partition 40 may function as a weight loss hole, thereby reducing material savings. The container 20 and the separating partition 40 are formed of a raw material such as styrofoam or plastic, and if a plurality of fat hollow holes 42 are formed in the separating partition 40, the effect of reducing the material can be expected. will be.

한편,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절개부(50)는 용기(20)의 개별 공간부를 구성하는 측벽부의 일정 위치를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복수개로 절취하여 방사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배출홀 포밍편(60)을 형성하고, 상기 절개부(50)의 중심부 위치에는 센터 배출홀(66)이 구비되며, 상기 용기(20)의 측벽부 외표면에는 절개부(50)와 배출홀 포밍편(60) 부분의 면적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면적이 더 큰 시트가 부착되고, 상기 시트는 절개부(50) 및 배출홀 포밍편(60)에 마주하는 위치에 절개부(50)가 형성되고, 이러한 절개부(50)의 안쪽 위치에는 박리 시트부가 구비되며, 상기 시트의 외표면에는 점착제층을 매개로 클로즈 시트(70)가 부착되어, 상기 클로즈 시트(70)를 용기(20)의 외표면에서 박리시킬 때에 시트의 박리 시트부가 클로즈 시트(70)에 점착제층을 매개로 부착된 상태로 박리되면서 용기(20)의 배출홀 포밍편(60)과 센터 배출홀(66)을 용기(20)의 측벽부 외부로 노출시키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utout 50 is formed by cutting a plurality of positions of the side wall portion constituting the individual space of the container 20 in the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 forming in the radial direction A piece 60 is formed, and a center discharge hole 66 is provided at a central position of the cutout 50, and the cutout 50 and the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20. A sheet having a larger area relative to the area of the portion 60 is attached, and the sheet is formed with a cut portion 50 at a position facing the cut portion 50 and the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0. A peeling sheet part is provided at an inner position of the part 50, and a closing sheet 70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heet via an adhesive layer, and the closing sheet 70 is peeled off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20. When the release sheet portion of the sheet is attached to the closed sheet 70 Configuration may have to as peeling in the attached state to expose the outlet hole forming part 60 and the center discharge hole 66 of the container 20 to the outer side wall portion of the container 20 to the.

상기와 같이, 용기(20)의 배출홀 포밍편(60)과 센터 배출홀(66)을 용기(20)의 측벽부 외부로 노출시키는 것은 용기(20)에 채워진 물의 밀어 내는 힘에 의해 복수개의 배출홀 포밍편(60)은 용기(20)의 외부로 밀려나면서 절개부(50)가 벌어지면서 주위의 배출홀을 형성하고, 동시에 센터 배출홀(66)은 용기(20)의 측벽부 내측면과 외측면으로 연통되도록 하여서 용기(20)의 개별 공간부(즉, 물을 버려야 하는 공간부)에서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exposing the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0 and the center discharge hole 66 of the vessel 20 to the outside of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vessel 20 is a plurality of by the pushing force of the water filled in the vessel 20 The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0 is pushed out of the container 20 to form a peripheral discharge hole as the cutout 50 is opened, and at the same time, the center discharge hole 66 has an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20. It is to be communicated to the outer surface and to allow the water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in the individual space portion (ie, the space portion to be discarded) of the container 20.

이상, 본 고안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고안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Th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However,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who have it will understand.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Therefore, since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provided to completely infor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should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and not limiting in all respects.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20. 용기 32. 커버
34. 개봉 가이드 라인 40. 분리 격벽
42. 중공홀 50. 절개부
52. 제1절개부 54. 제2절개부
60. 배출홀 포밍편 62. 제1배출홀 포밍편
64. 제2배출홀 포밍편 66. 센터 배출홀
70. 클로즈 시트 72. 고정 접착제층
74. 점착제층 80. 베이스 시트
82. 고정 접착제층 84. 점착제층
86. 테이프
20. Container 32. Cover
34. Opening Guidelines 40. Separation Bulkhead
42. Hollow hole 50. Incision
52. First incision 54. Second incision
60. Output hole forming part 62. First output hole forming part
64. 2nd discharge hole forming part 66. Center discharge hole
70. Close sheet 72. Fixing adhesive layer
74. Adhesive layer 80. Base sheet
82. Fixed Adhesive Layer 84. Adhesive Layer
86. Tape

Claims (6)

내부에 공간부가 구비되며 상면은 개방된 용기(20)와;
상기 용기(20)의 상면을 덮는 커버(32)와;
상기 용기(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공간부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개별 공간부로 구획하여 상기 개별 공간부에 다른 종류의 면류 식품을 담을 수 있도록 하는 분리 격벽(40)과;
상기 용기(20) 내부의 상기 복수개의 개별 공간부의 각각의 측벽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측벽부에 인접되도록 구비되며 중앙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절개부(50)와;
상기 절개부(50)에 의해 상기 용기(20)의 상기 측벽부측에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용기(20)의 상기 개별 공간부에 채워져 있는 물의 밀어내는 힘에 의해 상기 용기(20)의 바깥 방향으로 밀려나면서 물을 버릴 수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배출홀 포밍편(60)과;
상기 배출홀 포밍편(60)과 상기 절개부(50)를 덮어주도록 상기 용기(20)의 표면에 접합수단을 매개로 부착되며, 상기 접합수단에서 박리되도록 외부에서 당기는 힘에 의해 상기 용기(20)의 표면에서 박리되어 상기 복수개의 배출홀 포밍편(60)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배출홀을 통해 상기 개별 공간부 내부의 물을 버릴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물을 배출한 다음에는 상기 용기(20) 표면에 재부착되어 상기 배출홀 포밍편(60)과 상기 절개부(50)를 폐쇄하는 클로즈 시트(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식품 용기.
A space portion provided inside and an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20;
A cover 32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20;
A separation partition 40 provided in the container 20 to partition the space into at least two individual spaces so as to contain different kinds of noodles in the individual spaces;
A plurality of cutouts (50) provided to be adjacent to at least one sidewall portion of each sidewall portion of the plurality of individual spaces inside the vessel (20) and disposed in a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a central portion;
The container 20 is disposed by the cutout 50 in the radial direction on the side wall of the container 20 in the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container 20 by the pushing force of the water filled in the individual space of the container 20.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 forming pieces 60 to be discarded while being pushed outward;
The container 20 is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container 20 so as to cover the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0 and the cutout 50 by a pulling force from the outside to be peeled off from the bonding means. Peel off from the surface of the) and through the discharge hole formed by the plurality of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0 to discard the water inside the individual space portion and at the same time discharge the water and then the container 20 And a close sheet (70) reattached to a surface to close the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0) and the cutout portion (5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50)는, 상기 용기(20)의 상기 개별 공간부를 구성하는 상기 측벽부의 일정 위치를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 방향으로 복수개로 절취하여 형성된 복수개의 제1절개부(52)와, 상기 제1절개부(52)의 중심부에 위치되어 원형으로 절취된 제2절개부(54)로 구성되며, 상기 배출홀 포밍편(60)은, 상기 제1절개부(52)에 의해 기단부가 상기 용기(20)의 상기 측벽부에 붙어 있는 제1배출홀 포밍편(62)과, 상기 제2절개부(54)에 의해 상기 제1배출홀 포밍편(62)의 중앙부에 배치된 제2배출홀 포밍편(6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식품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utout 5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cutouts 52 formed by cutting a plurality of predetermined positions of the sidewall portions of the container 20 in a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a central portion thereof, and It is composed of a second cut portion 54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cut portion 52 is cut circularly, the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0, the proximal end of the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0) The first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2 attached to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container 20 and the second discharge portion dispos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2 by the second cutout 54. Instant food container comprising a hole forming piece (6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로즈 시트(70)는, 내측면의 일부 면이 상기 용기(20)의 상기 측벽부 외표면에 고정 접착제층(72)에 의해 고정되도록 부착되고, 상기 고정 접착제층(72)을 제외한 나머지 면은 상기 배출홀 포밍편(60)과 상기 절개부(50)를 덮어주도록 점착제층(74)을 매개로 상기 용기(20)의 상기 측벽부에 부착되어 상기 클로즈 시트(70)를 상기 점착제층(74)에 의해 상기 용기(20)의 외표면에서 반복적으로 붙이고 박리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클로즈 시트(70)를 상기 용기(20)의 외표면에서 박리시킬 때에 상기 제1배출홀 포밍편(62)의 중앙부측에 배치된 상기 제2배출홀 포밍편(64)은 상기 클로즈 시트(70)에 부착된 상태로 박리되어 상기 제1배출홀 포밍편(62)의 선단부측에 센터 배출홀(66)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식품 용기.
The method of claim 2,
The close sheet 70 is attached so that some surfaces of the inner surface are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container 20 by the fixing adhesive layer 72, and the remaining surfaces except the fixing adhesive layer 72 are fixed. Is attached to the sidewall of the container 20 via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74 to cover the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0 and the cutout 50. 74 is repeatedly attached to and peeled off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20, and the first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2 is formed when the close sheet 70 is peeled off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20. The second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4 disposed on the center portion side of the c) is peeled off in a state of being attached to the close sheet 70, and the center discharge hole 66 is disposed at the distal end side of the first discharge hole forming piece 62. Instant food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forming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20)의 외표면에는 상기 클로즈 시트(70)의 내측면 일부를 상기 개별 공간부의 상기 측벽부 외표면에 고정시킨 상기 고정 접착제층(72)과 인접된 위치에 다른 고정 접착제층(72)을 매개로 베이스 시트(80)가 부착되고, 상기 클로즈 시트(70)는, 상기 베이스 시트(80)의 외표면에 점착제층(84)을 매개로 붙이고 떼어낼 수 있도록 부착된 테이프(86)를 구비하며, 상기 테이프(86)는 절개부(88)를 기준으로 상기 클로즈 시트(70)에서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식품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20, another fixing adhesive layer 72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fixing adhesive layer 72 in which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lose sheet 70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portion of the individual space portion. The base sheet 80 is attached to the base sheet 80, and the close sheet 70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ase sheet 80 by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84. And the tape (86)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from the close sheet (70) on the basis of the incision (8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20)의 상기 분리 격벽(40)은, 내부에 상단부로 연통된 공간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중공홀(4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식품 용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separation partition 40 of the container 20, the instant food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at least one hollow hole (42) forming a space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end therei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20)의 상면을 덮는 커버(32)는, 상기 분리 격벽(40)이 구획하는 개별 공간부의 상면을 덮을 수 있으면서 상기 분리 격벽(40)의 상단부를 따라 형성되어 있는 개봉 가이드 라인(34)에 의해 복수개의 개별 커버(32)로 분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식품 용기.
The method of claim 5,
The cover 32 covering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20 may be formed along the upper end of the separation partition 40 while covering the top surface of the individual space partitioned by the separation partition 40. The instant food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individual covers (32).
KR2020120001085U 2012-02-13 2012-02-13 Instant food receptacle KR20046173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085U KR200461739Y1 (en) 2012-02-13 2012-02-13 Instant food recepta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1085U KR200461739Y1 (en) 2012-02-13 2012-02-13 Instant food recepta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1739Y1 true KR200461739Y1 (en) 2012-08-07

Family

ID=47138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1085U KR200461739Y1 (en) 2012-02-13 2012-02-13 Instant food recepta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739Y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4205A (en) 2001-03-29 2002-10-03 Toyokazu Takase Cup-shaped food container
JP2003261185A (en) 2002-03-06 2003-09-16 Tatsuji Aomori Container which enables two or more kinds of instant noodles or the like to be cooked simultaneously in single container and eaten
JP2005082242A (en) 2003-09-09 2005-03-31 Yasushi Tsuneyama Liquid preparation storage contain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4205A (en) 2001-03-29 2002-10-03 Toyokazu Takase Cup-shaped food container
JP2003261185A (en) 2002-03-06 2003-09-16 Tatsuji Aomori Container which enables two or more kinds of instant noodles or the like to be cooked simultaneously in single container and eaten
JP2005082242A (en) 2003-09-09 2005-03-31 Yasushi Tsuneyama Liquid preparation storage cont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64260A1 (en) Container for holding food and drinks
US20190084750A1 (en) Food package and method for transfer of food
US20100116698A1 (en) Container cover with integrated compartments
KR20070089816A (en) Condiment dispenser for beverage container
EP1831085B1 (en) Utensil shaped container
US20150075006A1 (en) Dual-purpose dispensing container and utensil
AU2005200235B2 (en) A container for food products
TWM570062U (en) Beverage cup
KR200461739Y1 (en) Instant food receptacle
US20120258213A1 (en) Enhanced Multicompartment Cup
KR101971896B1 (en) Keeping container for instant foods
KR20170123508A (en) Convenient disposable container for instance noodles mixed with sauce
JP2001240149A (en) Storage container for instant noodle
JP4608883B2 (en) Instant food products in containers
JP4179712B2 (en) Instant food containers
US20120103997A1 (en) Multi-functional baby training cup
KR200487454Y1 (en) Instant food set
JP2891658B2 (en) Instant food container and instant food in a container using the same container
KR101981187B1 (en) Ice pocket
KR20220072320A (en) Packing structure of food packing case
JP2004155467A (en) Additive serving method, additive serving device, cup lid for the device, and additive container
JP2004236720A (en) Tableware
US11034502B2 (en) Self-combining receptacle for producing coated or admixture products
GB2541894A (en) A lid for a cup or container
KR200267370Y1 (en) Drink cup have support vess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