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1187B1 - Ice pocket - Google Patents

Ice pock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1187B1
KR101981187B1 KR1020180115240A KR20180115240A KR101981187B1 KR 101981187 B1 KR101981187 B1 KR 101981187B1 KR 1020180115240 A KR1020180115240 A KR 1020180115240A KR 20180115240 A KR20180115240 A KR 20180115240A KR 101981187 B1 KR101981187 B1 KR 101981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drinking
contents
storag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52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기섭
Original Assignee
정기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기섭 filed Critical 정기섭
Priority to KR1020180115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118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1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118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75/3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and having several recesses to accommodate a series of articles or quantities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ackage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 pocket easily freezing water to make 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n ice pocket capable of easily detaching made ice from a surface, to which the ice is attached, any time, being carried when a vessel for using the ice is not prepared so as to take iced water immediately, being sealed and opened again as necessary when taking the content to adjust the amount of content, and being put in an ice bag to be used as an ice pa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ce pocket freezing water to make and store ice comprises: an eating part (10) having an inlet formed on one side thereof to take content; a storage part (20) receiving content supplied from the eating part (10) to store and make ice; and an attachment part (30) bonding and fixing each circumference of front and rear surfaces (31, 32).

Description

얼음 포켓{ICE POCKET}Ice Pocket {ICE POCKET}

본 발명은 물을 손쉽게 얼려서 얼음을 제조할 수 있는 얼음 포켓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ice pockets in which ice can be easily produced by freezing water.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조된 얼음을 접착된 면을 뜯어서 언제든지 사용할 수 있는 얼음 포켓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ce pocket in which manufactured ice can be used at any time by tearing off the bonded surface.

본 발명은 얼음을 사용할 용기가 없을 때 휴대하면서 바로 얼음물을 음용할 수 있는 얼음 포켓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ice pockets which can carry ice water while drinking when there is no container for using ice.

또한 음용할 때 필요에 따라 밀봉하고 다시 개봉하여 내용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얼음 포켓에 관한 것이다.It also relates to ice pockets which can be sealed and reopened as needed to control the amount of the contents when drinking.

필요시 아이스박스에 넣어 아이스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얼음 포켓에 관한 것이다.It is about ice pockets that can be used as an ice pack in an icebox if needed.

최근 캠핑족이라는 신조어가 생겨날 정도로 캠핑에 관해 많은 관심이 쏟아지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에 따르면 현재 전국에 1200여 개의 캠핑장이 등록되어 운영되고 있고, 캠핑 인구는 약 500만명으로 추산된다고 한다. 또한 캠핑아웃도어진흥원에 따르면 국내 캠핑산업 규모는 2008년 200억원에서 2015년 6000억원 규모로, 6년만에 약 30배정도 초고속 성장한 셈이다.There is a lot of interest in camping so that the new word camping is coming up recently.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bout 1,200 camping sites are registered and operated nationwide, and the camping population is estimated to be about 5 million. According to the Camping Outdoor Agency, the size of the domestic camping industry has grown from 20 billion won in 2008 to 600 billion won in 2015, 30 times faster than in the past six years.

현재 캠핑장들은 대부분 텐트, 타프는 물론 취사도구, 랜턴, 코펠, 버너, 침낭, 테이블 및 의자까지 기본적인 장비는 다 갖추고 있는 렌탈캠핑으로 운영되고 있기때문에 꼭 필요한 장비와 음식만 구비해가면 되니 캠핑은 이제 가족들과 즐길 수 있는 하나의 취미생활이 되고 있다.Most of the campgrounds are equipped with basic equipment such as tents, tarps, as well as cooking tools, lanterns, coppers, burners, sleeping bags, tables and chairs. Now it is becoming a hobby that you can enjoy with your family.

그러나 야외에서 취사를 하는 것이 특징인 캠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음식을 잘 보관하는 것인 반면, 농협중앙회가 펴낸 캠핑 푸드 시장 동향을 살펴보면 캠핑 음식으로 선호되는 식품은 다름 아닌 육류였다. 소시지, 삼겹살 및 목살 등의 냉장육으로 더운 여름철 가장 잘 상하기 쉬운 음식들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However, while the most important thing in camping is that it keeps food in the open air, while the NACF's camping food market trends show, the food that is preferred as camping food is meat. Sausages, bacon, and mackerel, and the highest percentage of hot food in the hot summer was the highest rate.

이처럼 쉽게 상하는 음식을 잘 보관하기 위해서는 아이스박스에 얼음을 다량 준비해야 하는데 마실 물과 음료를 넣고 거기에 얼음까지 준비하게 되면 불필요하게 많은 부피를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아이스팩에 사용되는 물의 대부분은 식용으로 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 사용 후 녹게 되면 자신의 쓸모를 다한 아이스팩의 물은 버려지게 된다.In order to store food that can easily be burned, ice cubes must be prepared in large quantities. If ice cubes are filled with water and beverages, the ice cubes become unnecessarily large. Also, most of the water used in ice packs can not be used for edible purposes. When they are dissolved after use, water in the ice packs that are used for their own use is discarded.

이런 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생수병을 얼려 아이스 팩 대용으로 사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얼음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녹을 때까지 기다려 부숴야 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얼음의 모양과 형상이 일정하지 못하고, 시중에서 판매되는 얼음을 사용하는 경우 텀블러와 같은 용기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동하면서 먹기에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the bottled water bottle is sometimes used as a substitute for ice pack. In order to use ice, there is a problem that it has to wait until it melts. In addition, the shapes and shapes of ice are not constant, and when a commercially available ice is used, a container such as a tumbler is required, which makes it inconvenient to eat while moving.

따라서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고, 얼음 또는 얼음물을 섭취하기 전에는 아이스 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얼음을 마시고 싶을 때 입구를 열어 마시고, 얼음을 먹고 싶을 때 용기를 뜯어서 사용하는 등 때와 장소에 따라서 다양하게 적용되어 사용할 수 있는 용기의 개발이 요구된다.It can be carried easily. It can be used as an ice pack before eating ice or ice water. It can be used variously according to places and places such as opening the entrance when you want to drink ice, and opening the container when you want to eat i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ontainer that can be used.

본 출원인 역시 이러한 요구에 따라 얼음 포켓을 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안출였다.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vented the present invention by inventing ice pockets in accordance with this demand.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공개된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29066호에 "얼음 제조용 생수병"에 대해 게시되어 있다.Prior art relat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 Bottled water bottle for ice making "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5-0029066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청구항 1을 살펴보면, 그 내부에 생수가 수용되며 음용부에 병목(11)이 형성된 몸체(10); 상기 몸체(10)에 구성되며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격벽(30); 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격벽(30)에 의해서 형성된 공간(S)은 서로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제조용 생수병이 기재되어 있다.Claim 1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dy (10) in which bottled water is accommodated and a bottle neck (11) is formed in a drinking portion; A partition wall 30 formed in the body 10 and protruding inward; And the space S formed by the partition 30 is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상기 선행기술은 PET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상기 선행기술이 구현하고자 하는 형상을 PET로 제조하게 되면, 복잡한 형상으로 인해 약해지는 부분이 발생하고 얼렸을 때 터질 수 있다. 또한 복잡한 형상을 PET로 제조하는 데 있어서 단가가 상승하게 된다.The prior art is manufactured using PET. When the shape to be implemented by the prior art is made of PET, weak portions are generated due to complicated shapes and may be blown when frozen. In addition, the unit price is increased when a complicated shape is made of PET.

게다가 얼음을 사용하기 위해서 생수병을 비틀어 파열하여야 하는데 제빙과정을 견딜 수 있는 정도의 두께를 파열할 때까지 비틀기에 많은 힘이 필요하고, 파열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파편으로 상처가 발생할 수 있다.Moreover, in order to use ice, a bottled water bottle must be twisted and ruptured, but a lot of force is required to twist until the rupture of the thickness to withstand the deicing process, and the rupture may cause scarring.

또 다른 선행기술의 일예로, 등록특허공보 제10-1486971호의 "일회용 아이스 포켓"이 게시되어 있다.As an example of another prior art, a " disposable ice pocket " of Patent Registration No. 10-1486971 is published.

청구항 1을 살펴보면, 제1 포장팩(10); 상기 제1포장팩(10)과 합지되는 제2포장팩(10A); 상기 제1포장팩(10)과 제2포장팩(10A)의 내부에 구획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수용공간(20); 상기 수용공간(20)들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는 유로(30);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상기 수용공간에 물을 주입하는 노즐이 투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물의 주입 후에 밀봉되는 주입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포장팩(10)은 외측으로부터 나일론필름(17), 폴리에틸렌필름(13) 및 폴리올레핀필름(11)의 순서로 합지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2포장팩(10A)은 외측으로부터 나일론필름(17A)과 폴리프로필렌필름(11A)의 순서로 합지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제1포장팩(10)과 제2포장팩(10A)은 마주보도록 접속시킨 후에 1차로 열씰링하여 합지되고, 상기 수용공간(20), 유로(30) 및 주입구(40)는 상기 1차 열 씰링 처리 과정에서 형성되고, 상기 주입구(40)는 물의 주입 후에 2차로 열 씰링 처리하여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아이스 포켓이 기재되어 있다.According to claim 1, a first packaging pack (10); A second packaging pack (10A) laminated with the first packaging pack (10); A plurality of receiving spaces 20 defined in the first and second packing packs 10 and 10A; A flow path 30 formed to connect the accommodation spaces 20; And an injection port (40) formed so that a nozzle for injecting water can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and sealed after the injection of water, wherein the first packing pack (10) comprises a nylon film And the polypropylene film 11A are laminated in this order from the outer side in the order of the nylon film 17A and the polyolefin film 11A, The first packaging pack 10 and the second packaging pack 10A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face each other and then sealed by heat sealing. Is formed in the primary heat sealing process, and the injection port (40) is sealed by a heat sealing process after the injection of water, thereby disposing the disposable ice pocket.

상기 선행기술은 얇은 필름으로 형성된 포장팩을 합지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아이스 팩으로 사용하면서 이동시에 음용하기에는 내구성이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특정한 절개선 없이 제1포장팩과 제2포장팩을 상하로 벌려 개봉하는 방식이지만 주입하는 입구가 각 줄마다 따로 구성되어 있어서 공정이 추가되고 아이스 팩의 불필요한 공간이 많아지게 된다.The prior art is manufactured by laminating a packaged pack formed of a thin film and has a problem in that it is poor in durability to be used as an ice pack for drinking while moving. In addition, although the first packing pack and the second packing pack are opened by opening the first and second packing packs without special clause refinement, the inlet for injecting is separately formed for each row, so that a process is added and an unnecessary space of the ice pack is increased.

더불어 휴대하면서 음용할 수 있는 입구가 존재하지 않아 얼음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개별적인 컵 또는 텀블러 등의 용기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no entrance to drink while being portable, so there is a problem that a container such as a cup or a tumbler is required in order to use ice.

따라서 본 출원인은 쉽게 비틀어 분리할 수 있고 휴대가 편리하며 내용물을 음용하기 편리한 얼음 포켓을 개발하고자 한다.The Applicant therefore wishes to develop ice pockets that are easily twistable, separable, portable and easy to drink.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29066호(2015.03.18.)Publishe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10-2015-0029066 (Feb. 등록특허공보 제10-1486971호(2015.02.04.)Patent Registration No. 10-1486971 (Feb.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물을 손쉽게 얼려서 얼음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포켓을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ce pouch which is capable of easily freezing water to produce ice.

더욱 구체적으로는 원하는 내용물을 주입한 후 얼려 사용하는 것으로, 접착된 면을 뜯게 되면 언제, 어디서든지 얼음을 사용할 수 있고, 얼음을 담을 용기가 없을 때 얼음물을 바로 음용할 수 있도록 입구를 포함하고 있으며, 음용할 때 필요에 따라 밀봉하고 다시 개봉하여 내용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포켓을 제공하는 데 있다.More specifically, it is used for freezing after injecting desired contents, and it is possible to use ice anywhere at any time when the adhesive side is opened, and the inlet for drinking ice water immediately when there is no container for storing i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ce pouch which is sealed and reopened as needed to control the amount of the contents.

또한 외부의 간단한 충격에 유연하면서도 강한 재질을 사용하여 필요시 내용물을 얼린 후 아이스박스에 넣어 아이스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포켓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ice pocket which is soft and flexible to an external impact but which is made of a strong material and which can be used as an ice pack after being frozen if necessary in an ice box.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얼음 포켓은, 음용부 일측에 내용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입구가 형성되는 음용부(10); 상기 음용부(10)로부터 공급되어 내용물 저장 및 얼음을 제조하는 저장부(20); 및 정면(31)과 배면(32)의 각 둘레를 접착하여 고정하는 접착부(30)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ce pouch comprising: a drinking part having an inlet formed at one side of a drinking part for drinking contents; A storage part 20 supplied from the drinking part 10 to store contents and produce ice; And a bonding portion 30 for adhering and fixing the respective peripheries of the front face 31 and the back face 32.

또한 상기 음용부(10)는, 내용물이 얼 때 부피 증가 현상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는 여유공간(11); 음용 도중 재보관 할 수 있도록 밀봉하는 밀봉수단(12); 및 휴대하면서 마실 수 있는 입구인 음용구(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drinking portion 10 includes a clearance space 11 for preventing breakage due to a volume increase phenomenon when the contents are frozen; A sealing means (12) sealing to be able to be stored during drinking; And a mouthpiece 13 serving as an inlet for drinking while being portable.

또한 상기 저장부(20)는, 내용물이 저장되어 얼음을 제조하는 저장공간(21); 복수의 상기 저장공간(21)을 분리하는 분리수단(22); 및 뒤틀림과 파손을 방지하도록 도와주는 지지수단(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storage unit 20 includes a storage space 21 for storing contents to produce ice; Separating means (22) for separating the plurality of storage spaces (21); And a support means (23) for preventing warping and breakage.

또한 접착부(30)는, 얼음 포켓의 상기 정면(31)과 배면(32) 각각의 테두리를 접착 고정하고, 하단 일측에 일부 미접착되어 양면을 벌려 개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dhesive portion 3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im of each of the front face 31 and the back face 32 of the ice pocket is adhered and fixed and partially unbonded to the lower one side so that both sides can be opened and opened.

또한 상기 정면(31) 및 상기 배면(32)은, 내용물과 맞닿는 면에 얼음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front surface 31 and the rear surface 32 include protrusions for easily separating ice from the surface contacting the contents.

또한 상기 지지수단(23)은, 상기 저장부(20)의 정면과 배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21)의 네 모서리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upport means 23 is formed to penetrate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storage unit 20 and is located at four corners of the storage space 21. [

본 발명에 따른 얼음 포켓은 얼음을 얼릴 수 있는 용기로 사용됨과 동시에 아이스 팩으로도 사용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The ice po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being used as a container capable of freezing ice and also being used as an ice pack.

본 발명에 따른 얼음 포켓은 이동하면서 음용할 수 있는 입구를 가지고 있어 얼음물을 언제든 음용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The ice po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inlet that can be moved while drinking, so that it has an effect of drinking ice water at any time.

본 발명에 따른 얼음 포켓은 얼음을 쉽게 꺼내고 사용할 수 있도록 뜯어서 벌릴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The ice pocke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effect of being able to tear open the ice for easy use and use.

본 발명에 따른 얼음 포켓은 본체를 관통하는 지지부로 인해 얼음을 얼릴 시 뒤틀림 없는 효과를 보유한다.The ice po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wist-free effect when the ice is frozen due to the support portion passing through the body.

본 발명에 따른 얼음 포켓은 음용할 때 필요에 따라 밀봉하고 다시 개봉하여 내용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The ice pocke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effect of sealing and reopening as needed to control the amount of contents when drink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 포켓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얼음 포켓의 음용부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 포켓의 저장부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얼음 포켓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
1 show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ice pocket according to the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drinking part configuration of an ice po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a storage portion of an ice po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ice po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출원인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applicants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various equival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ations can be mad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described or specifically described with respect to a known configuration that can be easily add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Let the sound be revealed.

본 발명은 휴대하면서 마실 수 있고 아이스 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얼음 포켓에 관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ice pockets which are portable and can be used as an ice pack, and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은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고, 얼음 또는 얼음물을 섭취하기 전에는 아이스 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얼음을 마시고 싶을 때 입구를 열어 마시고, 얼음을 먹고 싶을 때 용기를 뜯어서 사용하는 등 때와 장소에 따라서 다양하게 적용되어 사용할 수 있는 얼음 포켓에 관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carried and can be used as an ice pack before eating ice or ice water, opening the mouth when it is desired to drink ice, and opening the container when it is desired to eat ice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얼음 포켓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얼음 포켓은 크게 음용부(10), 저장부(20) 및 접착부(30)를 포함할 수 있다.FIG.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ice po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an ice po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nking part 10, a storage part 20, and a bonding part 30 .

얼음 포켓을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얼음 포켓의 음용부(10)의 구성을 설명한다.More specifically, the ice pocke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which shows a configuration of the drinking portion 10 of the ice po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음용부(10)는 음용시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유공간(11), 밀봉수단(12) 및 음용구(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drinking portion 10 serves to assist drinking, and may include a clearance space 11, a sealing means 12, and a drinking mouth 13.

첨부된 도면 중 도 2는 상기 음용부(10)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음용부(10)는 휴대하면서 얼음물을 음용하기 편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FIG. 2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shows the construction of the drinking part 10, and the drinking part 10 may be configured to be convenient for drinking and drinking ice water.

여유공간(11)은 음용구(13)가 부착되는 높이만큼 또는 상기 높이 이상의 길이를 비워두는 공간으로, 물이 어는 과정에서 부피가 증가하는 현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clearance space 11 serves to prevent breakage caused by a phenomenon in which the volume increases in the process of freezing the water, which is a space in which the length of the water inlet 13 is attached or the height is longer than the height.

어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피 변화는 내용물의 종류에 따라 일정부분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일반적인 물을 사용하는 경우 20% 정도의 부피가 증가한다. 그러나 사용되는 내용물은 물 뿐만 아니라 커피, 음료 또는 주스 등이 될 수 있는데 이때의 당도(Brix)는 아이스크림의 대표적인 당도인 27~34 Brix로 조정한다.Volume changes occurring in the freezing process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contents, but when using general water, the volume increases by about 20%. However, the content used may be not only water, but also coffee, beverage or juice. Brix is adjusted to 27 ~ 34 Brix, which is a typical sugar content of ice cream.

이는 어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피 변화 및 점성의 차이로 인한 얼음의 제조 가능성을 위한 것이다. 당 함량이 34 Brix 이상이면 얼지 않고 끈적끈적해 점성이 강하고 질감이 무거워지게 되기에 따라서 내용물의 당도는 34 Brix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is is for the possibility of producing ice due to the volume change and viscosity difference occurring in the freezing process. When the sugar content is 34 Brix or more, the sugar content of the content is preferably 34 Brix or less, since the sugar content is not freezing, sticky, viscous, and heavy in texture.

밀봉수단(12)은 얼음을 사용할 때가 아닌 휴대하면서 얼음물을 음용하고 얼음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지퍼를 이용하여 밀봉할 수 있다.The sealing means 12 can be sealed by using a zipper as a structure for allowing the user to drink ice water and adjust the amount of ice water while carrying it, not when using ice.

일정량 섭취하고 남은 내용물을 재보관하고자 하거나 완전히 녹을 때까지 휴대하면서 음용하고자 할 때 이용될 수 있다.It can be used when you want to keep a certain amount of food and keep the remaining contents, or to drink while drinking until completely melted.

또한 눕혀서 재보관할 때는 내용물이 여유공간(11)으로 넘어오는 것을 방지하여 주고, 음용구(13)에 닿아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음용구(13)를 통해 흘러나오거나 세는 것을 막을 수 있다.In addition, when lying down and stored, the contents are prevented from falling into the clearance space (11),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pagation of germs by touching the sound tool (13) have.

음용구(13)는 기존에 아이스크림 용기에 사용되던 마개면 모두 적용될 수 있으나 그 중 스파우트 마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uthpiece 13 may be applied to all of the stopper surfaces used in the conventional ice cream container, but it is preferable to use a spout stopper.

그 이유는 스파우트 마개의 주입구가 넓고 빨대처럼 되어 있어 내용물을 흘리지 않고 마실 수 있고, 기존에 튜브형 아이스크림 용기로 많이 사용되던 열접합식의 일체형 마개에 비해 환경호르몬이 검출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mouthpiece of the spout cap is wide and it is like a straw, so it can drink without spilling the contents, and the environmental hormone is not detected compared with the thermostatic integral cap which was conventionally used as a tubular ice cream container.

또한 음용구(13)는 음용부(10)의 최상단의 어느 곳이나 부착 가능하나 대표적으로는 얼음 포켓의 상부에서 왼쪽 끝, 오른쪽 끝 또는 중앙에 부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uthpiece 13 can be attached to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drinking portion 10, but typically can be attached at the left end, the right end, or the center at the upper portion of the ice pocket.

음용구(13)가 좌우 중 일측에 구비될 경우 바닥부터 음용구(13)의 마개까지의 높이는 절단되지 않은 용기의 길이를 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적재하거나 나란히 배치하는 경우, 공간 활용을 더욱 증진시키기 위해서 용기의 밖으로 돌출되지 않게 설치되는 것을 의미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from the bottom to the stopper of the billet 13 does not exceed the length of the uncut container when the billet 13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This means that when stacked or placed side by side, they are installed so as not to protrude out of the container to further enhance space utilization.

도 3은 저장부(20)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나타내고 있다.Fig. 3 specifically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storage unit 20. As shown in Fig.

저장부(20)는 내용물이 저장되어 얼음이 되는 곳으로 저장공간(21), 분리수단(22) 및 지지수단(23)로 구성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20 may include a storage space 21, a separation unit 22, and a support unit 23 where the contents are stored and become ice.

저장공간(21)은 충전되는 내용물이 저장되어 얼음으로 만들어지는 공간으로, 복수의 저장공간(21)으로 분리되어 복수의 얼음을 제조하는 역할을 한다.The storage space 21 is a space in which the contents to be filled are stored and made into ice, and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torage spaces 21 to produce a plurality of ice.

저장공간(21)의 크기 및 모양은 한정되지 않으며 설계자의 필요에 따라 타원형, 원형, 사각형 또는 원기둥형 등 다양한 모양으로 변경될 수 있다.The size and shape of the storage space 21 are not limited and can be changed into various shapes such as an ellipse, a circle, a square, or a cylinder depending on the needs of the designer.

분리수단(22)은 일정한 간격으로 구성되어 내용물이 복수의 저장공간(21)에 충전될 수 있도록 하면서 각각의 저장공간(21)을 분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대표적으로는 용기의 정면과 배면의 열접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eparating means 22 is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separate the storage spaces 21 while allowing the contents to be filled in the plurality of storage spaces 21. Typically, Lt; / RTI >

구성되는 분리수단(22)의 개수는 용기의 크기 및 넓이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저장공간(21)의 네 모서리를 제외하고 구성될 수 있다.The number of the separating means 22 constituted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and the width of the container and can be configured excluding four corners of the storage space 21. [

이렇게 형성된 분리수단(22)은 용기를 비틀거나 쥐어짤 때 제거되어 편리하게 음용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또한 얼음을 사용할 때 접착부(30)의 개봉과 함께 쉽게 제거될 수 있는 열 온도를 사용하여 접합하여야 한다.The separating means 22 thus formed can be removed when twisting or squeezing the container to facilitate convenient drinking. In addition, when using ice, it is necessary to bond by using the heat temperature which can be easily removed together with the opening of the adhesive portion 30. [

지지수단(23)은 용기의 정면과 배면을 관통하여 구성된 것으로 얼릴 때 발생할 수 있는 용기의 뒤틀림과 파손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support means 23 is constructed to pass through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container, and serves to prevent the container from being twisted and broken when it is frozen.

이는 저장공간(21)의 네 모서리 근처에 형성되는데 지지수단(23)의 지름을 최소화하여 접착부(30)를 개봉할 때 같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This is formed near the four corners of the storage space 21 and minimizes the diameter of the support means 23 so that it can be removed when the adhesive portion 30 is opened.

또한 지지수단(23)의 모양은 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 등이 될 수 있으나 원형으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원형으로 형성할 경우 최소한의 면적을 차지하여 내용물이 저장공간(21)에 충전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Further, the shape of the support means 23 may be circular, square, polygonal or the like, but it is most preferable to have a circular shape. The reason for this is that when it is formed into a circular shape, it occupies a minimum area and the contents may not be prevented from being filled in the storage space 21. [

도 4는 도 3에서의 A-A'와 B-B'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내용물이 충전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은 내용물이 충전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and B-B' in FIG. 3, showing the state where the contents are filled, and the dotted line indicates that the contents are filled.

(a)는 A-A'의 단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리수단(22) 또는 지지수단(23)을 제외한 단면이기 때문에 저장공간(21)과 연결되어 있는 곳에 내용물이 흐르는 것을 볼 수 있다.(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It is a cross-sectional view excluding the separating means 22 or the supporting means 23, so that the contents are seen to be connected to the storage space 21.

(b)는 B-B'의 단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지지수단(23)을 관통한 단면이기 때문에 저장공간(21)과 연결되는 부분인 지지수단(23)에 내용물이 흐르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 and it can be seen that the contents do not flow into the support means 23, which is a portion connected to the storage space 21, because it is a cross section through the support means 23.

접착부(30)는 도 1 내지 도 4에서 살펴볼 수 있는데 용기의 테두리를 접착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용기 저장부(20)의 일측에 일정부분은 접착하지 않아 잡을 수 있는 공간을 내어 접착부(30)를 벌려 개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1 to 4, the adhesive portion 30 has a function of adhering and fixing the rim of the container. The adhesive portion 30 does not adhere a certain portion to one side of the container storage portion 20, 30 to open.

접착부(30)를 개봉할 때 상기 분리수단(22)과 지지수단(23) 또한 연결이 끊어져 얼음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접착부(30)는 저장부(20)의 범위까지 모두 벌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separating means 22 and the supporting means 23 are also disconnected when the adhering portion 30 is opened so that the adhering portion 30 can be fully opened up to the range of the storing portion 20 so that ice can be easily used .

이때 접착부(30)를 개봉하기 전에 미리 용기를 비틀고 주무르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얼음과 얼음을 미리 분리하여 놓기 위함이고, 분리수단(22)과 지지수단(23)이 더 용이하게 제거되기 위함이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ainer is twisted and rubbed before opening the adhesive portion 30 in order to separate the ice and ice in advance, so that the separating means 22 and the supporting means 23 are more easily removed.

접착부(30)는 동일한 폴리에틸렌 재질의 정면(31)과 배면(32)의 테두리를 접착한 것을 의미하고, 열접합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설계자의 요구에 맞게 접합 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The adhesive portion 30 means that the front face 31 and the rear face 32 of the same polyethylene material are adhered to each other, and can be fixed by thermal bonding. If necessary, the bonding method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designer's requirements.

본 발명의 정면 및 배면 등 전체 용기의 재질은 비닐, PVC, PE(폴리에틸렌, Polyethylene) 등의 소재를 사용할 수 있지만 그중에서도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Materials such as vinyl, PVC, PE (polyethylene, polyethylene) and the like can be used for the entire container such as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mong them, polyethylene is most preferably used.

폴리에틸렌(PE)은 에틸렌을 중합시켜서 만들어진 플라스틱 중 하나로 현재 식품용기, 특히 빙과류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방습성이 좋아서 습기를 꺼리는 식료품 등의 보존에도 많이 쓰이는 등 식품위생법상 안전성이 입증된 재질이다.Polyethylene (PE) is one of the plastics made by polymerizing ethylene, and is now widely used in food containers, especially in ice. It is also proven to be safe in terms of food hygiene regulations, such as being widely used for preserving foodstuffs that are resistant to moisture due to its good moisture-proof property.

또한 폴리에틸렌(PE)은 플라스틱 내에서도 탄성률이 낮고 부드러운 재료에 속하여 충격에도 찌그러짐이나 갈라짐, 부서짐이 적다는 점 등과 같이 식품용기로서 내구성이 높다.In addition, polyethylene (PE) has a low elastic modulus in plastic and is a soft material, and it has high durability as a food container in that it is not dented, cracked, or crushed by impact.

따라서 아이스 박스에서 넣어 아이스 팩으로도 사용할 수 있고 얼음을 얼리면서 아이스크림처럼 이동하며 음용하기에 가장 바람직한 재질이다.Therefore, it can be used as an ice pack by putting it in an ice box, and it is the most desirable material for drinking and moving like ice cream while freezing ice.

용기의 내부에는 얕은 돌기(미도시)를 포함하고 있는데 상기 돌기(미도시)는 격자무늬를 사용하거나 또는 점으로 된 일정한 패턴을 사용하는 등 얼음과 용기를 쉽게 분리할 수 있는 형상이면 어느 것이나 적용 가능하다.The protrusion (not shown) includes a shallow protrusion (not shown) inside the container, and the protrusion (not shown) can be any shape that can easily separate the ice and the container, for example, by using a grid pattern or using a predetermined pattern It is possible.

한편, 상기에서 도 1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내지 도 4의 구성 및 기능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1 to 4 are merely the main poi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far as various designs can be made within the technical scope there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s and functions of Figs. 1 to 4 It is self-evident that it is not limited.

10 : 음용부 11 : 여유공간
12 : 밀봉수단 13 : 음용구
20 : 저장부 21 : 저장공간
22 : 분리수단 23 : 지지수단
30 : 접착부 31 : 정면
32 : 배면
10: drinking section 11: free space
12: sealing means 13:
20: storage unit 21: storage space
22: separating means 23: supporting means
30: Adhesive 31: Front
32: back surface

Claims (6)

물을 얼려서 얼음을 제조 및 저장할 수 있는 얼음 포켓에 있어서,
음용부 일측에 내용물을 음용할 수 있도록 입구가 형성되는 음용부(10);
상기 음용부(10)로부터 공급되어 내용물 저장 및 얼음을 제조하는 저장부(20); 및
정면(31)과 배면(32)의 각 둘레를 접착하여 고정하는 접착부(30)로 포함하며,
상기 음용부(10)는,
내용물이 얼 때 부피 증가 현상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는 여유공간(11);
음용 도중 재보관할 수 있도록 밀봉하며, 상기 여유공간(11)과 상기 저장부 사이에 위치하여 얼음을 사용할 때가 아닌 휴대하면서 얼음물을 음용하고 얼음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을 지닌 밀봉수단(12); 및
휴대하면서 마실 수 있는 입구인 음용구(13)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20)는 내용물이 저장되어 얼음을 제조하는 복수의 저장공간(21)들을 포함하고,
상기 여유공간(11)은 상기 복수의 저장공간(21)들 중 하나의 저장공간(21)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포켓.
In ice pockets where water can be frozen to make and store ice,
A drinking part (10) having an inlet formed at one side of the drinking part for drinking the contents;
A storage part 20 supplied from the drinking part 10 to store contents and produce ice; And
And a bonding portion 30 for bonding and fixing the peripheries of the front face 31 and the back face 32,
The drinking section (10)
A clearance space (11) for preventing breakage due to the volume increase phenomenon when the contents are frozen;
A sealing means (12) which is sealed between the free space (11) and the storage portion so as to be able to be stored during drinking and has a constitution capable of drinking ice water and adjusting the amount of ice water while carrying ice without using ice; And
And a mouthpiece (13) serving as an inlet for drinking while being carried,
The storage unit 20 includes a plurality of storage spaces 21 in which contents are stored to produce ice,
Wherein the clearance space (11) is larger than one of the plurality of storage spaces (21).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20)는,
상기 복수의 상기 저장공간(21)을 분리하는 분리수단(22); 및
뒤틀림과 파손을 방지하도록 도와주는 지지수단(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포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orage unit (20)
Separating means (22) for separating the plurality of storage spaces (21);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support means (23) to help prevent twisting and breakage.
청구항 1에 있어서,
접착부(30)는,
얼음 포켓의 상기 정면(31)과 배면(32) 각각의 테두리를 접착 고정하고, 하단 일측에 일부 미접착되어 양면을 벌려 개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포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onding portion (30)
Wherein an edge of each of the front face (31) and the back face (32) of the ice pocket is adhesively fixed and partially unbonded to the lower one side so that both sides can be opened and open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면(31) 및 상기 배면(32)은,
내용물과 맞닿는 면에 얼음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포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ont face (31) and the back face (32)
And a protrusion for easily separating the ice from a surface contacting the contents.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23)은,
상기 저장부(20)의 정면과 배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21)의 네 모서리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음 포켓.
The method of claim 3,
The supporting means (23)
(21) is formed at the four corners of the storage space (21) by passing through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storage part (20).
KR1020180115240A 2018-09-27 2018-09-27 Ice pocket KR10198118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240A KR101981187B1 (en) 2018-09-27 2018-09-27 Ice pock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5240A KR101981187B1 (en) 2018-09-27 2018-09-27 Ice pock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1187B1 true KR101981187B1 (en) 2019-05-22

Family

ID=66680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5240A KR101981187B1 (en) 2018-09-27 2018-09-27 Ice pock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1187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1480A (en) * 2009-03-09 2010-09-17 주찬 An ice pack for a disposable
KR101486971B1 (en) 2014-09-22 2015-02-04 주식회사 포스텍 A disposable ice pocket
KR20150029066A (en) 2013-09-09 2015-03-18 전홍찬 Water bottle for cube ice manufacture
KR101633685B1 (en) * 2015-12-03 2016-06-30 (유) 가이아 Ice pack for ease disposal
KR20180082064A (en) * 2017-01-09 2018-07-18 주식회사 우성팩 A pouch pack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1480A (en) * 2009-03-09 2010-09-17 주찬 An ice pack for a disposable
KR20150029066A (en) 2013-09-09 2015-03-18 전홍찬 Water bottle for cube ice manufacture
KR101486971B1 (en) 2014-09-22 2015-02-04 주식회사 포스텍 A disposable ice pocket
KR101633685B1 (en) * 2015-12-03 2016-06-30 (유) 가이아 Ice pack for ease disposal
KR20180082064A (en) * 2017-01-09 2018-07-18 주식회사 우성팩 A pouch pac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50531T3 (en) CONTAINER FOR STORAGE AND DOWNLOAD BULK MATERIAL.
US6913777B2 (en) Portable, side-by-side compartment container and method for separately storing and dispensing two consumable products, especially cereal and milk
ES2630727T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frozen drinks, ice cream and other frozen sweets
US3323706A (en) Combination liquid and food particle container
US20190084750A1 (en) Food package and method for transfer of food
US7900471B2 (en) Pre-packaged, flexible container of ice and air
US20070107447A1 (en) Sealed water-filled container with ice cube features
US20180312321A1 (en) Multi-compartment snack storage and dispensing appliance
US20040099544A1 (en) Portable food container having separate compartments
US20120305571A1 (en) Portable beverage can cooler
ES2216952T3 (en) PROCESS FOR PACKAGING OF FOOD PRODUCTS.
AU2005200235B2 (en) A container for food products
US20020192338A1 (en) Portable food container having separate compartments
US20090159605A1 (en) Collapsible receptacle for flexible beverage container
EP1883586B1 (en) A single-dose container for liquids and/or solids
KR101981187B1 (en) Ice pocket
US20060086755A1 (en) Two compartment container adapted to separately hold consumable foodstuffs
US20100189847A1 (en) Two Part Container Adapted To Separately Hold Consumable Foodstuffs
JPH0398871A (en) Container and small container for additive and carbonated beverage using said containers
WO2009124239A1 (en) Disposable container for frozen liquids
CN207595653U (en) A kind of dual-purpose cold drink packaging bag
WO2014112887A1 (en) A liquid containing means
US20120103997A1 (en) Multi-functional baby training cup
KR200487454Y1 (en) Instant food set
ES2283167B1 (en) PACK FOR PRO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