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398Y1 - 크로스헤드와 로킹레버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크로스헤드와 로킹레버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398Y1
KR200461398Y1 KR2020060031766U KR20060031766U KR200461398Y1 KR 200461398 Y1 KR200461398 Y1 KR 200461398Y1 KR 2020060031766 U KR2020060031766 U KR 2020060031766U KR 20060031766 U KR20060031766 U KR 20060031766U KR 200461398 Y1 KR200461398 Y1 KR 2004613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osshead
locking lever
steam
slide pad
steam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17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1937U (ko
Inventor
공창훈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317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398Y1/ko
Publication of KR200800019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193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3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3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2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06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driven by steam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50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70/00Control
    • F05B2270/50Control logic embodiment by
    • F05B2270/508Control logic embodiment by mechanical means, e.g. levers, gears or ca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84/00Bea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크로스헤드의 양측에 만입되어 형성되는 슬롯; 상기 홈의 내부에서 안착되어 미끄러지는 슬라이드 패드; 상기 크로스 헤드의 외부로부터 상기 슬라이드 패드로 윤활유를 주입하는 윤활유 주입구; 상기 크로스헤드와 연결되는 로킹레버; 상기 로킹레버를 관통하며, 상기 슬라이드 패드에 고정되는 핀을 포함하는 크로스헤드와 로킹레버의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증기밸브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증기밸브 구동기구에 있어서 크로스헤드와 로킹레버 사이에 슬라이드 패드를 삽입하여 상기 크로스헤드로부터 상기 로킹레버에 증기밸브를 제어하는 힘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고, 연결부위에 마찰을 최소화하여 증기밸브를 구동하는 기구가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할 수 있는 크로스헤드와 로킹레버의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크로스헤드, 슬라이드 패드, 로킹레버, 랩슨 슬라이더, 왕복동 펌프, 피스톤, 증기 실린더, 증기 밸브, 링키지

Description

크로스헤드와 로킹레버의 연결구조{MECHANISM OF CONNECTING CROSS HEAD AND LEVER}
도 1은 본 고안의 증기 직동식 왕복동 복동 피스톤 펌프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증기 직동식 왕복동 복동 피스톤 펌프에 적용된 링키지 기구의 세부도면.
도 3은 도 2의 A-A' 선의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 선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크로스헤드 200 : 증기피스톤
210 : 증기실린더 220 : 증기밸브
230 : 밸브피스톤 300 : 리퀴드피스톤
310 : 리퀴드실린더 320 : 토출밸브
330 : 흡입밸브 400 : 로킹레버
410 : 레버샤프트 420 : 핀
430 : 슬라이드 패드 440 : 윤활유 주입구
450 : 잠금너트
본 고안은 랩슨 슬라이더 변형기구(THE REDUCED FORM OF RAPSON'S SLIDER)를 활용한 증기밸브 구동 링키지기구에 있어서, 증기 피스톤의 움짐임을 링키지 기구를 통해 서로 맞은편의 증기밸브를 구동시킴으로써 두 증기기관이 연동하도록 할 때 크로스헤드와 로킹레버의 연결구조를 개선함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종래 크로스헤드와 로킹레버는 핀 등의 체결수단을 통하여 직접 연결되며, 피스톤의 운동으로 인하여 상기 크로스헤드가 축을 중심으로 상하운동을 할 때 상기 크로스헤드와 로킹레버 사이에는 큰 마찰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크로스헤드의 상하 운동시 크로스헤드와 로킹레버 사이의 마찰을 줄일 수 있는 방안의 개발이 요구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증기밸브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증기밸브 구동기구에 있어서 크로스헤드와 로킹레버 사이에 슬라이드 패드를 삽입하여 상기 크로스헤드로부터 상기 로킹레버에 증기밸브를 제어하는 힘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고, 연결부위에 마찰을 최소화하여 증기밸브를 구동하는 기구가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할 수 있는 크로스헤드와 로킹레버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크로스헤드의 양측에 만입되어 형성되는 슬롯; 상기 슬롯의 내부에서 안착되어 미끄러지는 슬라이드 패드; 상기 크로스 헤드의 외부로부터 상기 슬라이드 패드로 윤활유를 주입하는 윤활유 주입구; 상기 크로스헤드와 연결되는 로킹레버; 상기 로킹레버를 관통하며, 상기 슬라이드 패드에 고정되는 핀을 포함하는 크로스헤드와 로킹레버의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로킹레버는 상기 크로스헤드와 핀으로 연결되는 부분에 무급유 베어링이 삽입되어 핀과 로킹레버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한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성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의 증기 직동식 왕복동 복동 피스톤 펌프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펌프의 상반부는 펌프에 필요한 힘을 공급하는 증기 기관이고 하반부는 왕복동 복동 피스톤 펌프이다. 상, 하부 모두 실린더는 두개가 형성되며, 상하의 실린더는 실린더 내부를 왕복 운동하는 두 피스톤이 크로스헤 드(100)로 직결되어 있다. 상부 증기기관에서 기력에 의해 증기피스톤(200)이 움직이면 상기 크로스헤드(100)로 직결된 하부의 리퀴드 피스톤(300)이 리퀴드 실린더(310) 내를 왕복 운동하면서 피스톤 전진방향으로 액체를 밀어낸다. 이와 동시에 피스톤 맞은편 실린더로는 액체가 흡입된다. 밀려난 액체는 토출밸브(320)에 힘을 가하고 상기 토출밸브(320)가 열리면서 외부로 배출된다. 액체의 흡입은 피스톤의 움직임으로 피스톤 하부에 진공압이 형성되면서 압력차에 의해 흡입밸브(330)가 열려 액체가 유입된다. 증기기관은 증기실린더(210)와 증기피스톤(200)으로 구분되는 두 공간에서 한쪽으로는 고압의 증기가 공급되고 다른쪽 공간은 배기관과 연결되어 기력에 의해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상기 증기실린더(210)에는 고압의 증기를 공급하는 증기밸브(220)가 붙어 있고, 상기 증기밸브(220)는 밸브피스톤(230)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증기실린더(210)에 공급되는 증기의 량과 방향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증기피스톤(200)이 증기실린더(210) 끝에 도달하면 밸브피스톤(230)을 조절하여 스팀의 흐름을 역전시켜 증기피스톤(200)의 진행방향을 바꾸어 상기 증기피스톤(200)이 왕복운동을 하도록 한다.
한편, 리퀴드실린더(310)는 복수로 형성되고 두 실린더는 1/2 행정거리를 두고 순차적으로 연동할 때 효율적으로 작동된다. 펌프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서는 두 증기실린더(210)에 증기를 공급하고 배출하는 시점을 적절히 제어할 필요가 있다. 상기 펌프는 증기가 공급되면 자동으로 작동을 시작하게 된다. 편의상 좌, 우 실린더를 각각 1 번과 2 번으로 호칭하면, 1 번 피스톤이 움직이면 링키지 기구를 통해 움직임이 2 번 증기밸브(220)를 움직여 2 번 실린더에 증기가 공급되도록 한다. 이 어서 2 번 피스톤이 움직이면 이로 인해 1 번 증기밸브(220)가 움직여서 l 번 실린더에 공급되는 증기의 방향을 역전시켜 1 번 피스톤이 실린더 끝에서 진행방향을 바꾸어 왕복운동을 하게 한다. 두 실린더는 1/2 행정거리의 차이를 두고 연동하도록 링키지 기구가 설계된다.
이중 본 고안은 특히 증기밸브 구동 링키지기구에 있어서, 증기 피스톤의 움직임을 링키지 기구를 통해 서로 맞은편의 증기밸브를 구동시킴으로써 두 증기기관이 연동하도록 할 때 크로스헤드와 로킹레버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증기직동식 왕복동 복동 피스톤 펌프에 적용된 링키지 기구의 세부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A-A' 선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B-B' 선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크로스헤드는 증기피스톤(200)과 리퀴드피스톤(300)을 직결하며 상기 증기피스톤(200)에 작용하는 기력을 상기 리퀴드피스톤(3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크로스헤드(100)의 양측면에는 한쌍의 슬롯이 만입되어 형성되며, 로킹레버(400)는 레버샤프트(41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로킹레버(400)는 상기 증기밸브(220)를 제어하는 힘을 상기 크로스헤드(100)로부터 전달받아 상기 레버샤프트(410)를 통해 밸브를 움직이는 역할을 한다. 상기 로킹레버(400)와 크로스헤드(100) 사이의 힘의 전달은 상기 로킹레버(400)의 끝 구멍에 핀(420)으로 연결된 슬라이드 패드(430)를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드 패드(430)는 핀(420)을 축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로킹레버(400)의 두 가지에 달린 슬라이드 패드(430)는 상기 크로스헤드(100) 양 측면에 형성되는 슬롯에 끼워져, 상기 크로스헤드(100)가 상하로 움직일 때, 누르는 힘을 상기 로킹레버(400)에 전달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슬라이드 패드(430)의 중심은 레버샤프트(410)를 축으로 한 원궤적을 따라 움직이게 되는데 이를 상기 슬롯에서 보면 슬롯을 따라 전후로 미끄럼 운동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상기 크로스헤드(100)의 왕복동 운동은 슬라이드 패드(430)를 거쳐 상기 로킹레버(400)를 누르는 힘으로 전달되며, 이 힘이 상기 레버샤프트(410)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호 접동면에서 힘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드 패드(430)가 위치한 크로스헤드(100) 상부에 윤활유 주입구(440)가 형성되어 오일컵이나 자동주유기를 통해 윤활유가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드 패드(430)와 상기 로킹레버(400) 사이의 핀조인트는 핀(420)을 축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있고, 상기 로킹레버의 연결구멍에는 무급유베어링(미도시)을 삽입하여 상기 핀(420)과의 마찰을 최소화한다. 핀(420)의 끝은 잠금너트(450)로 고정되어 작동시 상기 핀(420)이 풀림으로 인해 야기될 수 있는 사고를 예방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은 증기밸브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증기밸브 구동기구에 있어서 크로스헤드와 로킹레버 사이에 슬라이드 패드를 삽입하여 상기 크로스헤드로부터 상기 로킹레버에 증기밸브를 제어하는 힘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고, 연결부위에 마찰을 최소화하여 증기밸브를 구동하는 기구가 원활하게 작동하도록 할 수 있는 크로스헤드와 로킹레버의 연결구조를 제공한다.

Claims (2)

  1. 크로스헤드의 양측에 만입되어 형성되는 슬롯;
    상기 슬롯의 내부에서 안착되어 미끄러지는 슬라이드 패드;
    상기 크로스 헤드의 외부로부터 상기 슬라이드 패드로 윤활유를 주입하는 윤활유 주입구;
    상기 크로스헤드와 연결되는 로킹레버;
    상기 로킹레버를 관통하며, 상기 슬라이드 패드에 고정되는 핀을 포함하는 크로스헤드와 로킹레버의 연결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레버는 상기 크로스헤드와 핀으로 연결되는 부분에 무급유 베어링이 삽입되어 핀과 로킹레버 사이의 마찰을 최소화하는 크로스헤드와 로킹레버의 연결구조.
KR2020060031766U 2006-12-15 2006-12-15 크로스헤드와 로킹레버의 연결구조 KR2004613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766U KR200461398Y1 (ko) 2006-12-15 2006-12-15 크로스헤드와 로킹레버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766U KR200461398Y1 (ko) 2006-12-15 2006-12-15 크로스헤드와 로킹레버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937U KR20080001937U (ko) 2008-06-19
KR200461398Y1 true KR200461398Y1 (ko) 2012-07-10

Family

ID=41325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1766U KR200461398Y1 (ko) 2006-12-15 2006-12-15 크로스헤드와 로킹레버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398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3940A (ja) 1999-10-22 2001-05-08 Maruyama Mfg Co Ltd 往復ポンプ装置
JP2002266765A (ja) 2001-03-08 2002-09-18 Maruyama Mfg Co Ltd 往復機械のクランクケース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3940A (ja) 1999-10-22 2001-05-08 Maruyama Mfg Co Ltd 往復ポンプ装置
JP2002266765A (ja) 2001-03-08 2002-09-18 Maruyama Mfg Co Ltd 往復機械のクランクケー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1937U (ko) 200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4802B2 (en) Reciprocating drive apparatus and method
EP0846226B1 (en) Reciprocating machine
CN101375040B (zh) 可变压缩比发动机的压力装置
US7509937B2 (en) Piston ring, piston skirt and cylinder liner lubr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1313948B1 (en) Reciprocating motor with unidirectional fluid flow
KR101533124B1 (ko) 의료용 진공펌프로서 이용하기 위한 피스톤 장치
US10626858B2 (en) Fluid machinery, heat exchange equipment, and operating method for fluid machinery
CN102840002B (zh) 包括径向再循环开口带的液压间隙调节器
KR102277604B1 (ko) 피스톤-형 압력 변환기를 위한 스트로크 단부 팽창기
JP6451486B2 (ja) 油圧発生装置およびクロスヘッド型エンジン
EP0972936A2 (en) Positive displacement pumps
KR200461398Y1 (ko) 크로스헤드와 로킹레버의 연결구조
JP2012528265A (ja) 潤滑オイルポンプ、シリンダ潤滑システム、および内燃機関
CN108104946B (zh) 一种用于可变压缩比发动机的润滑系统
US5803028A (en) Fluid actuated engines and engine mechanisms
KR19990029990A (ko) 디젤 엔진 및 그 작동 방법
KR101323679B1 (ko) 대형 터보 과급 2-행정 디젤엔진을 위한 연료펌프
WO2017214708A1 (en) Wedge arm based device providing variable operation of a device
JP2023527344A (ja) 船舶デュアル燃料エンジンのガス供給ポンプ
KR101221219B1 (ko) 엔진 브레이크 장치
US5992359A (en) Fluid actuated engines and engine mechanisms
KR20120118367A (ko) 엔진의 실린더 휴지 장치 및 실린더 휴지 방법
KR102124752B1 (ko) 동변 장치 및 크로스헤드식 내연 기관
US20220404077A1 (en) Refrigeration system and oil recovery method for the same
US20120174887A1 (en) Engine brake camshaft lobe lubric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