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332Y1 - 롤방충망 장치용 리드프레임 - Google Patents

롤방충망 장치용 리드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332Y1
KR200461332Y1 KR2020080017114U KR20080017114U KR200461332Y1 KR 200461332 Y1 KR200461332 Y1 KR 200461332Y1 KR 2020080017114 U KR2020080017114 U KR 2020080017114U KR 20080017114 U KR20080017114 U KR 20080017114U KR 200461332 Y1 KR200461332 Y1 KR 2004613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frame
roll
lead frame
window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71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6780U (ko
Inventor
문종배
Original Assignee
(주)인익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익스 filed Critical (주)인익스
Priority to KR20200800171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332Y1/ko
Publication of KR201000067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7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3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3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8Screens extending between movable wing and fixed frame of window or do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E06B2009/543Horizontally moving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06B2009/801Lock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롤방충망 장치용 리드프레임은, 미닫이 창호용 롤방충망 장치에서 권취된 방충망을 인장하고 창틀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방충망 장치용 리드프레임으로서, 방충망의 일단이 고정되는 방충망 고정부; 창틀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딩되는 창문프레임과 교합 또는 해제 가능한 개폐장치; 및 리드프레임의 실내측 단면 측에 형성되어 창문프레임의 실외측 단면이 리드프레임의 실내측 단면과 교차되어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단차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리드프레임의 실내측 단면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롤방충망 장치용 리드프레임{Lead-Frame for Roll-Type Insect Net Apparatus}
본 고안은 수평으로 개폐되는 미닫이 창호에 설치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용 롤방충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롤방충망 장치에 권취된 방충망을 인장하는 리드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충망은 해충이 실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물의 창호 외부에 설치한다. 방충망은 창호의 가장 바깥쪽에 설치하는데, 통상 미닫이 창호에 있어서는 창틀프레임에 형성된 별도의 가이드레일 위에서 슬라이딩이 가능한 방충망용 틀에 방충망을 결합하여 설치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방충망틀은 미닫이 창호의 다른 창문들과 마찬가지로 미닫이 방식, 즉 슬라이딩 방식으로 열고 닫게 되는데, 항상 창문 외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먼지 등에 의해 오염되기 쉬우며, 또한 그러한 경우 조망권을 저해하게 되고, 더구나 창틀프레임에 방충망틀의 슬라이딩을 위해 별도의 가이드레일을 설치해야 하므로 창틀프레임의 제조비용 및 설치 폭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 방충망을 롤 형태로 권취하여 인장가 능하게 설치한 롤방충망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현재까지 사용되는 롤방충망은 비교적 창문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만 제한되어 사용되고, 아파트 베란다와 같이 큰 미닫이 창호에는 사용되기 어렵다. 또한, 종래의 롤방충망은 수직으로 개폐 가능한 형태이고, 베란다에 설치되는 미닫이 창호에서 수평으로 개폐 가능한 롤방충망은 아직까지 개발되어 있지 않다.
본 고안은 대형 미닫이 창호에서 설치가능한 롤방충망 장치에서 방충망이 창문프레임과 연동하여 개폐될 때 창문프레임에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롤방충망의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리드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롤방충망 장치용 리드프레임은, 창틀프레임(300)의 일측에 설치되며 방충망(110)이 롤 형태로 권취되어 인장 가능하게 수납된 롤방충망 케이스(120a); 및 상기 롤방충망 케이스(120a)로부터 인출된 상기 방충망(110)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창틀프레임(3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롤방충망 리드프레임(140); 및 상기 창틀프레임(3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창문프레임(212)과 연동되어 상기 방충망(110)을 개폐하는 롤방충망용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롤방충망 장치용 리드프레임으로서, 리드프레임(140)의 일측 가장자리에 상기 방충망(110)의 일단에 형성된 고정판(116a)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방충망 고정부(150)가 형성되고, 리드프레임(140)의 내부에는 상기 롤방충망용 개폐장치가 설치되며, 리드프레임(140)의 실내측 단면(152)의 가장자리에는 가이드 단차부(152a)가 형성된다. 여기서, 가이드 단차부(152a)는 창문프레임(212)의 실외측 단면(212a)이 리드프레임(140)의 실내측 단면(152)과 교차되어 슬라이딩되도록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롤방충망용 개폐장치는, 롤방충망 리드프레임(140)의 내부에 설치된 제1 래치블럭(100)과, 상기 창문프레임(212)의 상기 실외측 단면(212a)에 부착되는 제2 래치블럭(200)을 포함한다. 특히, 제1 래치블럭(100)은, 그 내면에 각각 안내레일(106) 및 회동축(105)이 형성된 상부 래치블럭 케이스(102) 및 하부 래치블럭 케이스(101); 상기 상부 및 하부 래치블럭 케이스(101, 102) 외부로 돌출된 걸림돌기(14, 24,)와, 상기 제1 및 제2 스프링(42, 44)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지지된 몸체(12, 22)로 구성되고, 상기 안내레일(106)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 및 제2 걸림쇠(10, 20); 및 상기 회동축(105)에 끼워지는 회동홈(38), 상기 상부 및 하부 래치블럭 케이스(101, 102) 외부로 돌출된 레버(32), 및 상기 제1 걸림쇠(10)의 몸체(12) 및 상기 제2 걸림쇠(20)의 몸체(2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레버(32)의 회동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걸림쇠(10, 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제1 및 제2 스토퍼(34, 36)로 구성된 회동자(3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 래치블럭(200)에는 상기 제1 및 제2 걸림쇠의 상기 걸림돌기(14, 24)와 교합되는 요홈(202)이 형성된다. 그리하여, 제1 및 제2 래치블럭(100, 200)을 서로 교합시켜 상기 창문프레임(212)이 상기 창틀프레임(300) 상에서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방충망(110)이 권취 또는 인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스토퍼(34) 및 상기 제2 스토퍼(36)는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레버(32)의 회동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스토퍼(34) 및 상기 제2 스토퍼(36)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1 걸림쇠(10)의 상기 몸체(12) 및 상기 제2 걸림쇠(20)의 상기 몸체(22) 중 어느 하나에 접촉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고안에 따르면, 방충망이 창문프레임과 연동되어 수평으로 개폐될 때, 창문프레임에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창문프레임의 일단이 리드프레임의 일단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다. 따라서, 롤방충망 장치의 개폐 동작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롤방충망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살펴보면, 본 고안에 따른 롤방충망 장치는 미닫이 창호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먼저, 일반적인 미닫이 창호의 구성을 설명하면, 건물 외측에서 바라볼 때, 예컨대 콘크리트 건물의 개구(미도시)에 창틀프레임(300)이 설치되고, 이 창틀프레임(300)에는 소정의 가이드레일(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내측 및 외측 창문(220, 210)이 끼워진다. 특히, 건물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 창문(210)은 창문프레임(212) 및 여기에 설치된 유리창(214)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롤방충망 장치는 외측 창문프레임(212)과 연동되어 개폐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데, 롤방충망 본체(120)는 창틀프레임(300)의 내측(복수개의 가이드레일들 사이)에 설치된다. 또한, 롤방충망 본체(120)에 권취된 방충망(110)은 상부 및 하부 레일(160, 180)을 따라 안내되고 리드프레임(140)에 의해 인장되며, 리드프레임(140)은 소정의 개폐장치(100, 200)를 통해 창문프레임(212)에 고정 및 해체가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본 고안에 따른 롤방충망 장치를 구성하는 방충망(110), 롤방충망 본체(120), 상부 및 하부 레일(160, 180), 리드프레임(140)은 모두 창틀프레임(300)에 형성된 복수개의 가이드레일들 중 외측 창문프레임(212)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들 사이의 소정의 공간에 설치되며, 외측 창문(210)의 개폐에 따라 방충망이 개폐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롤방충망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방충망(110)의 상측 및 하측에는 관 형상의 상측 및 하측 관부(112, 114)가 형성된다. 그리고 방충망의 일단이 권취관(10)에 고정되고 그 타단은 리드프레임(140)에 고정된다. 권취관(10)의 양단에는 각각 회동브라켓(20, 30)이 고정 된다. 그리고, 한쌍의 회동브라켓(20, 30) 및 권취관 내부를 관통하여 스프링(60)이 내삽된다. 스프링(60)의 일단은 한쌍의 케이스 봉지구(40, 50)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고, 그 타단은 스프링 고정구(62)를 통해 권취관(10)에 고정된다. 아울러, 방충망(110)이 권취된 권취관(10)은 회동브라켓(20, 30)과 함께 스프링(60)이 설치된 상태로 롤방충망 케이스(120a) 내에 장착된다. 그리고, 롤방충망 케이스(120a)의 양단은 한쌍의 케이스 봉지구(40, 50)를 통해 마감된다.
한편, 권취관(10)에 권취된 방충망(110)의 일단은 케이스(120a)에 형성된 슬릿(120b)를 통해 인출되어 있고 일단이 리드프레임(140)에 고정된다. 이렇게 설치된 방충망(110)은 리드프레임의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권취 또는 인장될 수 있다. 특히 방충망(110)은 스프링(60)에 의해 권취 상태에 있다가 리드프레임(140)이 슬라이딩되면 그에 따라 인장된 후에, 개폐장치(100)의 잠금상태가 해제되면 탄성적으로 복귀될 수 있다. 또한, 방충망(110)의 상측 관부(112)는 리드프레임(140)이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부 레일(160) 내부로 인입되는데, 이때 상측 관부(112)에 가이드봉(164)가 내삽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부 레일(160)에는 슬릿(162)이 형성되어 있고, 이 슬릿(162)을 따라 리드프레임 봉지구(142)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리드프레임 봉지구(142)는 리드프레임(140)의 일단을 마감하기 위한 것이며, 동시에 상측 관부(112)가 가이드봉(164)에 내삽되도록 가이드봉(164)을 지지한다. 마찬가지로, 하측 관부(114), 리드프레임 봉지구(144), 하부 레일(180) 및 가이드봉(184)의 결합관계도 이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도 3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롤방충망용 개폐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먼저, 제1 래치블럭(100)은, 롤방충 장치에 권취된 방충망(110)을 인장하는 리드프레임(140) 측에 설치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되 그 간격이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게 설치된 제1 및 제2 걸림쇠(10, 20)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1 및 제2 걸림쇠(10, 20)의 간격을 조절하는 회동자(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제2 래치블럭(200)은 창문프레임(특히 외측 창문프레임(212))의 일단에 부착된다. 창문프레임(212)을 리드프레임(140) 측으로 슬라이딩시켜 제1 래치블럭(100) 및 제2 래치블럭(200)을 교합시키고, 다시 창문프레임(212)을 반대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리드프레임(140)이 함께 슬라이딩되면서 방충망(110)이 롤방충망 케이스(120)으로부터 인출되어 나오게 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제1 래치블럭(1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및 제2 걸림쇠(10, 20)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레일(106)이 형성된 상부 및 하부 래치블럭 케이스(102, 101) 내에, 제1 및 제2 걸림쇠(10, 20)가 설치된다. 제1 및 제2 걸림쇠(10, 20)에는 각각 하부 래치블럭 케이스(101)에 형성된 소정의 개구(104) 외부로 돌출되는 걸림돌기(14, 24)가 형성되고, 각각의 몸체(12, 22)는 제1 및 제2 스프링(42, 44)에 의해 하부 래치블럭 케이스(101)에 지지되어 설치된다. 제1 및 제2 스프링(42, 44)은 각각 제1 및 제2 걸림쇠(10, 20)가 그 간격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힘을 작용한다.
다음으로, 회동자(30)는 그에 형성된 회동홈(38)이 케이스(101, 102)에 형성된 소정의 회동축(105)에 끼워져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회동자(30)에는, 하부 래치블럭 케이스(101)에 형성된 소정의 개구(103)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 레버(32)와, 제1 및 제2 걸림쇠 각각의 몸체(12, 22) 사이에 배치되어 레버(32)의 조작에 의해 회동자(30)가 회동될 때 제1 및 제2 걸림쇠(10, 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제1 및 제2 스토퍼(34, 36)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1 및 제2 스토퍼(34, 36)는 그 길이가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회동자(30)의 회동조작에 따라 제1 및 제2 스토퍼(34, 36) 중 어느 하나가 제1 및 제2 걸림쇠의 몸체(12, 22) 중 어느 하나에 접촉되어 제1 및 제2 걸림쇠(10, 20) 사이의 간격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걸림쇠(10, 20), 제1 및 제2 스프링(42, 44), 회동자(30)가 모두 설치된 후, 상부 및 하부 케이스(101, 102)를 소정의 체결공(103, 104)를 통해 나사로 조립함으로써, 제1 래치블럭(100)이 완성된다.
한편, 제2 래치블럭(200)은 소정의 체결공(204)을 통해 나사를 조립하여 창문프레임(212)의 일단에 설치되는데, 제2 래치블럭(200)에는 제1 및 제2 걸림쇠(10, 20)에 형성된 걸림돌기(14, 24)가 각각 교합될 수 있는 요홈(202)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리드프레임(140)에는 방충망(110)의 일단에 형성된 고정판(116a)이 삽입/고정되는 방충망 고정부(150)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래치블럭(100)이 리드프레임(140) 내에 장착되어 창틀프레임(212)의 실외측 단면(212a)에 설치된 제2 래치블럭(200)과 교합 및 해제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리드프레임(140)의 실내측 단면(152)에는 가이드 단차부(154)가 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롤방충망 장치의 개폐는, 창틀프레임(300)에 형성된 소정의 가이드레일을 따라 창문프레임(212)이 리드프레임(140) 측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제1 래치블럭(100)의 걸림돌기(14, 24)가 제2 래치블럭(200)의 요홈(202)에 걸리게 되고, 그 후 창문프레임(212)을 다시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그에 따라 리드프레임(140)이 슬라이딩되면서 방충망(110)이 인출되어 나오게 된다. 따라서, 방충망(110)의 개폐는 제1 래치블럭(100) 및 제2 래치블럭(200)의 교합에 따라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리드프레임(140)의 실내측 단면(152)는 대략 창문프레임(212)의 실외측 단면(212a)과 일직선 상에 배치되도록 설치되어야 창문프레임(212)과 리드프레임(140)이 걸리지 않고 제1 래치블럭(100) 및 제2 래치블럭(200)의 교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도 5에서 보듯이, 만약 리드프레임(140)에 가이드 단차부(154)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창문프레임(212)이 리드프레임(140)과 교차될 때 그 모서리(153)에 걸릴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래치블럭(100)과 제2 래치블럭(200)이 교합되지 못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롤방충망 장치에서 방충망(110)의 인출이 불가능하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롤방충망 장치를 창틀프레임(300)에 설치할 때, 이러한 경우를 예상하여 오차를 줄이도록 설치하게 되지만, 건물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창문프레임(212)에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더구나, 창문프레임(212)은 보통 알루미늄 샷시로 제조되므로 그러한 변형에 취약하다. 만약, 창문프레임(212)에 변형이 발생하면 위와 같은 이유로 롤방충망 장치의 개폐가 불가능해진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리드프레임(140)에는 그 실내측 단면(152) 측에 가이드 단차부(15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창문프레임(212)에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창 문프레임(212)의 실외측 단면(212a)이 리드프레임(140)의 실내측 단면(152)과 교차되어 슬라이딩되도록 안내하게 된다. 특히, 도 4에서 보듯이, 리드프레임(140)의 일단면에는 가이드 플랜지(154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가이드 단차부(154)는 리드프레임(140)의 실내측 단면(152)의 가장자리 및 가이드 플랜지(154a)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도 6에서 보듯이, 본 고안에 따른 리드프레임(140)의 실내측 단면은 곡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 단차부(152a)는 도 4의 실시예에 비해 그 단면 형상이 유선형의 프로파일을 갖는다.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창문프레임(212)에 어느 정도의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창문프레임(212)의 개폐와 연동되어 동작되는 롤방충망 장치의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롤방충망 장치가 미닫이 창호의 창틀프레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실외측에서 바라 본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롤방충망 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롤방충망 장치에서 리드프레임에 장착되는 개폐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리드프레임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는 부분단면도이고,
도 5는, 비교예로서 가이드 단차부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오동작 상태를 도시한 부분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리드프레임의 변형 실시예에 대한 부분단면도이다.

Claims (7)

  1. 창틀프레임(300)의 일측에 설치되며 방충망(110)이 롤 형태로 권취되어 인장 가능하게 수납된 롤방충망 케이스(120a); 및 상기 롤방충망 케이스(120a)로부터 인출된 상기 방충망(110)의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창틀프레임(3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롤방충망 리드프레임(140); 및 상기 창틀프레임(30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창문프레임(212)과 연동되어 상기 방충망(110)을 개폐하는 롤방충망용 개폐장치;를 포함하는 롤방충망 장치용 리드프레임에 있어서,
    상기 리드프레임(140)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방충망(110)의 일단에 형성된 고정판(116a)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방충망 고정부(150)가 형성되고,
    상기 리드프레임(140)의 내부에는 상기 롤방충망용 개폐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리드프레임(140)의 실내측 단면(152)의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창문프레임(212)의 실외측 단면(212a)이 상기 리드프레임(140)의 상기 실내측 단면(152)과 교차되어 슬라이딩되도록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 단차부(152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방충망 장치용 리드프레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방충망용 개폐장치는 상기 롤방충망 리드프레임(140)의 내부에 설치된 제1 래치블럭(100)과, 상기 창문프레임(212)의 상기 실외측 단면(212a)에 부착되는 제2 래치블럭(200)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래치블럭(100)은,
    그 내면에 각각 안내레일(106) 및 회동축(105)이 형성된 상부 래치블럭 케이스(102) 및 하부 래치블럭 케이스(101);
    제1 몸체(12)와, 상기 하부 래치블럭 케이스(101)에 대하여 상기 제1 몸체(12)를 지지하는 제1 스프링(42)과, 상기 상부 및 하부 래치블럭 케이스(102, 101) 외부로 돌출된 제1 걸림돌기(1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안내레일(106)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 걸림쇠(10);
    제2 몸체(22)와, 상기 하부 래치블럭 케이스(101)에 대하여 상기 제2 몸체(22)를 지지하는 제2 스프링(44)과, 상기 상부 및 하부 래치블럭 케이스(102, 101) 외부로 돌출된 제2 걸림돌기(2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안내레일(106)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제2 걸림쇠(20); 및
    상기 회동축(105)에 끼워지는 회동홈(38), 상기 상부 및 하부 래치블럭 케이스(102, 101) 외부로 돌출된 레버(32), 및 상기 제1 걸림쇠(10)의 상기 제1 몸체(12) 및 상기 제2 걸림쇠(20)의 상기 제2 몸체(2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레버(32)의 회동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걸림쇠(10, 2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제1 및 제2 스토퍼(34, 36)로 구성된 회동자(3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래치블럭(200)에는 상기 제1 및 제2 걸림쇠(10, 20)의 상기 제1 및 제2 걸림돌기(14, 24)와 교합되는 요홈(202)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래치블럭(100, 200)을 서로 교합시켜 상기 창문프레임(212)이 상기 창틀프레임(300) 상에서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방충망(110)이 권취 또는 인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방충망용 리드프레임.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토퍼(34) 및 상기 제2 스토퍼(36)는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어, 상기 레버(32)의 회동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스토퍼(34) 및 상기 제2 스토퍼(36)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1 걸림쇠(10)의 상기 제1 몸체(12) 및 상기 제2 걸림쇠(20)의 상기 제2 몸체(22) 중 어느 하나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방충망 장치용 리드프레임.
KR2020080017114U 2008-12-24 2008-12-24 롤방충망 장치용 리드프레임 KR2004613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7114U KR200461332Y1 (ko) 2008-12-24 2008-12-24 롤방충망 장치용 리드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7114U KR200461332Y1 (ko) 2008-12-24 2008-12-24 롤방충망 장치용 리드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780U KR20100006780U (ko) 2010-07-02
KR200461332Y1 true KR200461332Y1 (ko) 2012-07-10

Family

ID=44452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7114U KR200461332Y1 (ko) 2008-12-24 2008-12-24 롤방충망 장치용 리드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332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861Y1 (ko) 2004-04-13 2004-07-09 권오훈 권취식 방충망의 개폐구조
JP2005048362A (ja) 2003-07-29 2005-02-24 Panahome Corp 引戸装置
KR200398753Y1 (ko) 2005-07-11 2005-10-18 (주)정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미서기 창문용 착탈식 방충망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48362A (ja) 2003-07-29 2005-02-24 Panahome Corp 引戸装置
KR200355861Y1 (ko) 2004-04-13 2004-07-09 권오훈 권취식 방충망의 개폐구조
KR200398753Y1 (ko) 2005-07-11 2005-10-18 (주)정우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미서기 창문용 착탈식 방충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780U (ko) 201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9747B1 (ko) 폴딩도어 잠금장치
KR200443126Y1 (ko) 발코니창의 자동 잠금장치
KR20100006779U (ko) 롤방충망 케이스 고정구조
KR200461332Y1 (ko) 롤방충망 장치용 리드프레임
KR101101170B1 (ko) 미닫이 창호용 롤방충망 장치
KR101163161B1 (ko) 롤방충망용 개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롤방충망 장치
JP5352349B2 (ja) 引き違い窓機構
KR101236524B1 (ko) 접이문
KR102174448B1 (ko) 스마트 실내 인출입 시스템
KR200455121Y1 (ko) 미닫이 창호용 롤방충망 장치
KR101930728B1 (ko) 일체형 방충망 창호
KR100929813B1 (ko) 루버 및 그 개폐구조
JP2007297798A (ja) シャッタ装置
JP3609717B2 (ja) 巻取式網戸
KR102520537B1 (ko) 미닫이문용 손잡이
JP2009243103A (ja) 網戸装置
JP2009035893A (ja) ルーバー装置および建具
KR102655055B1 (ko) 방충창 이탈방지구
KR102489818B1 (ko) 환기구 개폐 장치
JP7117074B2 (ja) ロック解除装置及び建具
JP7289451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装置
KR200300465Y1 (ko) 롤러식 방충망의 슬라이드 안내 장치
JP2008138357A (ja) 窓シャッターの操作装置
JP3409979B2 (ja) サッシ
JP4933836B2 (ja) シャッタ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