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167Y1 - 전기로 출강구의 홀더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전기로 출강구의 홀더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167Y1
KR200461167Y1 KR2020090011226U KR20090011226U KR200461167Y1 KR 200461167 Y1 KR200461167 Y1 KR 200461167Y1 KR 2020090011226 U KR2020090011226 U KR 2020090011226U KR 20090011226 U KR20090011226 U KR 20090011226U KR 200461167 Y1 KR200461167 Y1 KR 2004611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holder
pin
electric furnace
t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12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2211U (ko
Inventor
정연택
김상태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900112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167Y1/ko
Publication of KR201100022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2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1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16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5Tapping equipment; Equipment for removing or retaining slag
    • F27D3/1509Tapping equipment
    • F27D3/1536Devices for plugging tap holes, e.g. plugs stopper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52Manufacture of steel in electric furna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rtical, Hearth, Or Arc Furna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로 출강구의 홀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전기로의 출강구에 결합되는 브라켓(10)과, 핀(14)에 의해 상기 브라켓(10)에 분리가능케 결합되는 홀더(12)를 포함하되, 상기 브라켓의 외부에는 상기 핀의 머리부가 끼워져 걸리는 걸림홈(10c)이 형성된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홀더를 고정하는 핀의 손상을 방지하고 수리 및/또는 교체를 위한 홀더의 분리와 결합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기로 출강구의 홀더 고정장치{apparatus for fixing holder for tap-hole of electric furnace}
본 고안은 전기로 출강구의 홀더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출강구의 홀더를 고정하는 핀의 손상을 방지하고 수리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하는 전기로 출강구의 홀더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로는 노체 상부에 위치한 루프의 중앙으로 전기 양도체인 1개 내지 3개의 상부 전극을 구비하여 전기로 내부로 원료를 투입 후 상부 전극에 아크를 발생시켜 이에 의한 열로 원료를 용해하여 래들에 출강을 이루는 설비이다.
전기로는 통상적으로 고철을 노내에 투입하는 장입과정과, 노내에 투입된 고철을 녹이는 용해작업, 그리고 용해된 고철을 목표 온도까지 올리는 승온작업, 및 용강을 래들로 따르는 출강작업과 같은 조업을 행한다.
이러한 조업을 행하는 전기로는 출강작업을 가능토록 하기 위해서 하부에 출강구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 출강구를 어느 부위에 형성시켜 출강을 이루느냐에 따라 중심노저출강(CBT : Centric Bottom Tapping) 방식과 편심노저출강(EBT : Eccentric Bottom Tapping) 방식으로 나뉜다.
상기 중심노저출강 방식은 전기로 하부 중심에 출강구(Tap Hole)를 형성시켜 출강하는 방식이고, 편심노저출강 방식은 전기로 하부 중심으로부터 바깥쪽에 출강구를 형성시켜 출강하는 방식이다. 현재 전기로의 거의 모든 출강 방식은 출강(Tapping)시 출강 시간을 줄이고 출강 중의 온도 저하를 줄여주며, 래들(Laddle)내로 유출되는 슬래그(Slag)를 최소화할 수 있는 편심노저출강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출강구에는 브라켓이 결합되고, 이 브라켓에 홀더가 핀에 의해 분리가능케 고정결합되며, 상기 출강구 홀더의 구멍은 용강을 출강하기 위한 오프너 설비에 의해 개폐된다.
그런데, 종래 출강구에 결합되는 홀더를 고정하는 핀은 전기로의 내부로 그 머리부가 돌출되어 용강 등에 의해 손상되기 쉬울 뿐만 아니라 홀더의 수리 및 교체를 위한 분리와 결합작업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기로 출강구의 홀더를 고정하는 핀의 손상을 방지하고 수리 및 교체를 위한 분리와 결합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전기로 출강구의 홀더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전기로 출강구의 홀더 고정장치는, 전기로의 출강구에 결합되는 브라켓과, 핀에 의해 상기 브라켓에 분리가능케 결합되는 홀더를 포함하되, 상기 브라켓의 외부에는 상기 핀의 머리부가 끼워져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걸림홈은 상기 핀의 머리부가 상기 브라켓의 측부에서 끼워져 슬라이딩하여 걸리도록 상기 브라켓의 측면 및 저면이 트인 슬라이딩 홈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핀의 머리부 타단에는 코터가 끼워져 상기 홀더의 이탈을 방지하고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전기로 출강구의 홀더 고정장치에 의하면, 홀더를 고정하는 핀의 손상을 방지하고 수리 및/또는 교체를 위한 홀더의 분리와 결합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로(1)의 출강구에는 내부가 트인 브라켓(10)이 결합되고, 상기 브라켓(10)의 트인 부분에는 도시하지 않은 오프너에 의해 그 구멍이 개폐되는 홀더(12)가 머리달린 핀(14)에 의해 분리가능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전기로(1) 및 브라켓(10)의 내부에는 내화재로 된 연와(도시안됨)가 축조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10)은 도2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 플랜지부(10a)가 형성되며, 중간에 관통부(10b)가 형성되어 트인 원통형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브라켓(10)의 저부 외면에는 상기 핀(14)의 머리부(14a)가 끼워져 걸리는 걸림홈(10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홈(10c)은 상기 브라켓(10)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 곳(본 실시예에서는 3곳)에 형성되어, 각 걸림홈(10c)에 상기 핀(14)이 끼워져 걸리게 되어 있다. 상기 걸림홈(10c)은 상기 핀(14)의 머리부(14a)가 브라켓(10)의 측부에서 끼워져 슬라이딩하여 걸리도록 브라켓(10)의 측면 및 저면이 트인 슬라이딩 홈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홀더(12)는 도3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면에 플랜지부(12a)가 형성된 원통형상으로서, 상기 브라켓(10)의 관통부(10b) 내에 삽입되며, 상기 브라켓(10)의 저면에 플랜지부(12a)가 밀착하여 고정되는 구조이다. 상기 플랜지부(12a)에는 상기 핀(14)이 관통하는 구멍(12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핀(14)의 머리부(14a) 타단에는 코터(16)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직경방향을 따라 관통구멍(14b)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전기로 출강구의 홀더 고정장치에서는 상기 코터(16) 만 분리하면 상기 홀더(12)를 브라켓(10)에서 간단히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홀더(12)를 브라켓(10)에 결합할 경우에는 상기 브라켓(10)의 걸림홈(10c)에 핀(14)의 머리부(14a)가 끼워져 걸리도록 결합한 후, 홀더(12)의 구멍(12b)에 핀(14)을 맞추어 끼운 후 상기 코터(16)를 박으면 간단히 결합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홀더 고정장치의 핀(14)은 그 머리부(14a)가 브라켓(10)의 외부에 끼워져 걸리므로, 머리부(14a)가 용강 등에 의해 손상될 우려가 없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전기로 출강구의 홀더 고정장치를 나타내는 조립 단면도,
도2는 도1의 브라켓을 나타내는 단면도 및 저면도,
도3은 도1의 홀더는 나타내는 단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브라켓 12 : 홀더
14 : 핀 16 : 코터

Claims (3)

  1. 삭제
  2. 전기로의 출강구에 결합되는 브라켓과, 핀에 의해 상기 브라켓에 분리가능케 결합되는 홀더를 포함하되,
    상기 브라켓의 외부에는 상기 핀의 머리부가 끼워져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은 상기 핀의 머리부가 상기 브라켓의 측부에서 끼워져 슬라이딩하여 걸리도록 상기 브라켓의 측면 및 저면이 트인 슬라이딩 홈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 출강구의 홀더 고정장치.
  3. 전기로의 출강구에 결합되는 브라켓과, 핀에 의해 상기 브라켓에 분리가능케 결합되는 홀더를 포함하되,
    상기 브라켓의 외부에는 상기 핀의 머리부가 끼워져 걸리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핀의 머리부 타단에는 코터가 끼워져 상기 홀더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로 출강구의 홀더 고정장치.
KR2020090011226U 2009-08-27 2009-08-27 전기로 출강구의 홀더 고정장치 KR2004611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226U KR200461167Y1 (ko) 2009-08-27 2009-08-27 전기로 출강구의 홀더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226U KR200461167Y1 (ko) 2009-08-27 2009-08-27 전기로 출강구의 홀더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211U KR20110002211U (ko) 2011-03-07
KR200461167Y1 true KR200461167Y1 (ko) 2012-06-25

Family

ID=44207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1226U KR200461167Y1 (ko) 2009-08-27 2009-08-27 전기로 출강구의 홀더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167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4051A (ko) * 1999-12-03 2001-07-02 이구택 전기로의 출탕구 보수장치
KR20020048161A (ko) * 2000-12-16 2002-06-22 이구택 출선구 보호벽 형성장치
KR20030035578A (ko) * 2001-10-31 2003-05-09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로의 편심노저 출강구 오프너
KR20080016273A (ko) * 2006-08-18 2008-02-21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로의 출강구커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4051A (ko) * 1999-12-03 2001-07-02 이구택 전기로의 출탕구 보수장치
KR20020048161A (ko) * 2000-12-16 2002-06-22 이구택 출선구 보호벽 형성장치
KR20030035578A (ko) * 2001-10-31 2003-05-09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로의 편심노저 출강구 오프너
KR20080016273A (ko) * 2006-08-18 2008-02-21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로의 출강구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211U (ko) 2011-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66939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различных переменных в носке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ого конвертера
JPH08226766A (ja) 二重容器アーク炉を運転する方法及び装置
KR101588631B1 (ko) 전기 아크로 및 그 작동 방법
KR100823014B1 (ko) 탭 홀 냉각 구조
EP3336854A1 (en) Plasma melting furnace having lateral discharge gates
KR200461167Y1 (ko) 전기로 출강구의 홀더 고정장치
JP2006206937A (ja) 金属滓からの金属回収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回収操業方法
KR100893754B1 (ko) 유도 가열로
WO2015071823A1 (en) Method for melting minerals containing iron, titanium and vanadium
JP7026693B2 (ja) 金属製造プロセスのための炉アセンブリ
CA2958295A1 (en) Tap on a metallurgical vessel, in particular on an electric arc furnace
CN107367170A (zh) 一种用修补铁水包的浇注料筑砌电炉炉口以保护炉口的结构
US11425801B2 (en) Apparatus for lifting graphite electrodes
KR102053105B1 (ko) 교체형 런너 및 그 교체 방법
KR101159975B1 (ko) 전기로의 샌드 투입 안내구
US12010785B2 (en) Apparatus for lifting graphite electrodes
KR101090873B1 (ko) 고로 출선구 폐쇄장치
KR101104798B1 (ko) 용강 제어 장치
KR101790000B1 (ko) 전로 설비 및 전로 유지보수 방법
JP6221477B2 (ja) 銅製錬用ps型転炉の炉口
KR20120001833A (ko) 전기로
KR101706570B1 (ko) 전기로
KR101586931B1 (ko) 래들
JPS61231113A (ja) 冶金用取鍋
KR101159964B1 (ko) 전기로 출강구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