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1084Y1 - Switch - Google Patents

Swit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1084Y1
KR200461084Y1 KR2020100008857U KR20100008857U KR200461084Y1 KR 200461084 Y1 KR200461084 Y1 KR 200461084Y1 KR 2020100008857 U KR2020100008857 U KR 2020100008857U KR 20100008857 U KR20100008857 U KR 20100008857U KR 200461084 Y1 KR200461084 Y1 KR 2004610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metal
switch
plate
fixed terminals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8857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01519U (en
Inventor
이오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원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원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원 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20201000088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1084Y1/en
Publication of KR201200015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519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10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1084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6Driving mechanisms
    • H01H23/20Driving mechanisms having snap a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4Tumb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02Details
    • H01H37/32Thermally-sensitive members
    • H01H37/52Thermally-sensitive members actuated due to deflection of bimetallic el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hermally Actuated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이메탈방식과 로커방식이 혼합된 스위치이고,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에 바이메탈이 미세하게 상하로 요동하더라도 두 고정터미널의 접속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탄성판을 구비하고, 조립성을 향상을 위하여 바디의 양측면을 개방하고, 개방된 양측면에 커버가 후크식으로 조립결합되는 바이메탈방식과 로커방식이 혼합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바이메탈방식과 로커방식이 혼합된 스위치는 바디; 하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바디의 내부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고정터미널; 상기 바디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고, 일단이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터미널 상호 간의 전기적연결을 단속하는 가동자; 상기 바디의 내부 타측에 구비되고, 상하로 이동하여 또 다른 상기 한 쌍의 고정터미널 상호 간의 전기적연결을 단속하고, 과부하시 상기 한 쌍의 고정터미널 상호 간의 전기적연결을 차단하는 바이메탈판; 상기 바디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가동자 및 바이메탈판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버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tch, and more particularly, a bimetal switch and a rocker switch are mixed, so that the connection state of the two fixed terminals can be continuously maintained even if the bimetal swings up and down finely when power is appli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tch having a bimetallic type and a rocker type having an elastic plate, and opening both sides of the body in order to improve assemblability, and having the cover assembled by hooks on both open sides.
Bimetal switch and rocker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ixed body; A pair of fixed terminals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inner sides of the body to expose a lower portion thereof; A mov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and having one end moved up and down to control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pair of fixed terminals; A bimetal plate provided at the other inner side of the body and moving up and down to interrupt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another pair of fixed terminals, and block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pair of fixed terminals when overloaded; It is coupled to the upper body, the button for moving the mover and the bimetal plate up and down; made.

Figure R2020100008857
Figure R2020100008857

Description

바이메탈방식과 로커방식이 혼합된 스위치{Switch}Bimetal and Rocker Switch {Switch}

본 고안은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바이메탈방식과 로커방식이 혼합된 스위치이고,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에 바이메탈이 미세하게 상하로 요동하더라도 두 고정터미널의 접속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탄성판을 구비하고, 조립성을 향상을 위하여 바디의 양측면을 개방하고, 개방된 양측면에 커버가 후크식으로 조립결합되는 바이메탈방식과 로커방식이 혼합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tch, and more particularly, a bimetal switch and a rocker switch are mixed, so that the connection state of the two fixed terminals can be continuously maintained even if the bimetal swings up and down finely when power is appli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tch having a bimetallic type and a rocker type having an elastic plate, and opening both sides of the body in order to improve assemblability, and having the cover assembled by hooks on both open sides.

전기용품, 전기장치, 전기설비 같은 전기 응용품에는 대부분 전원을 단속(斷續), 즉 온/오프 하는 스위치가 구비된다. Electrical applications, such as electrical appliances, electrical equipment, and electrical installations, are often equipped with a switch that interrupts, ie, on or off, the power supply.

전원 단속을 위한 스위치로는 푸시방식 스위치와 로커방식 스위치가 가장 널리 사용된다. Push switches and rocker switches are the most widely used switches for power interruptions.

푸시방식 스위치는 사용자가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전원이 접속되고 버튼에서 손을 떼면 버튼이 자동으로 복귀되어 전원이 차단되는 스위치이고, 로커방식 스위치는 사용자가 버튼의 한쪽을 누르면 눌려진 상태를 유지하여 전원이 접속 또는 차단되는 스위치이다. The push type switch is a switch that is connected to the power 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and the button is automatically returned when the button is released. The rocker type switch maintains the pressed state when the user presses one of the buttons. This is a switch that is connected or disconnected.

그리고 바이메탈 방식 스위치는 바이메탈판이 가동자를 대체하여 과부하시 전원을 차단하는 스위치이다.
The bimetal switch is a switch in which the bimetal plate replaces the mover and cuts off the power when overloaded.

이처럼 스위치는 가동자를 이용하여 전원을 접속 또는 차단하는 전통적인 로커방식과, 바이메탈판을 이용하여 전원을 접속 또는 차단하되 접속상태에서 과부하가 걸리면 전원을 차단하는 바이메탈방식이 있는데, 종래의 스위치는 로커방식이나 바이메탈방식 중 어느 한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다시 말해, 종래에는 로커방식과 바이메탈방식이 혼합된 스위치가 없었다.
As such, the switch has a conventional rocker method of connecting or disconnecting power using a mover, and a bimetal method of connecting or disconnecting a power using a bimetal plate, but cutting off the power when an overload occurs in a connected state. Either bimetal or bimetal. In other words, conventionally, there is no switch in which the rocker method and the bimetal method are mixed.

그리고 바이메탈방식의 스위치에서는 바이메탈판에 전원이 인가되면 바이메탈판이 상하로 미세하게 움직이는(즉, 요동치는) 경우가 발생된다. In the bimetal switch,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bimetal plate, the bimetal plate moves finely (that is, fluctuates) up and down.

바이메탈판이 미세하게나마 요동을 치면 바이메탈판에 구비된 접속단자와 고정터미널에 구비된 접속단자 간의 접속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못하고 쇼트와 오픈을 반복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전기안전사고를 발생시킨다. When the bimetal plate fluctuates minutely,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in the bimetal plate and the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in the fixed terminal is not maintained stably, and short and open are repeated, thereby causing an electrical safety accident.

따라서 바이메탈판의 접속단자와 고정터미널의 접속단자 간의 접속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한데, 종래기술에 따른 스위치에서는 이러한 수단이 구비되지 못하고 있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means for stably maintaining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bimetal plate and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fixed terminal, which is not provided in the switch according to the prior art.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스위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고안으로서, 로커방식과 바이메탈방식을 혼합하여 구성함으로써, 스위치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전류 과부하시 전원을 차단하며, 바이메탈판이 한곳에서만 작동하여 특성제어가 쉽고, 스위치 내부 온도를 낮출 수 있어 케이스의 변형을 줄일 수 있고, 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switch according to the prior art as above, by combining a rocker method and a bi-metal method, to simplify the structure of the switch, cut off the power when the current overload, bimetal plate is one place It is easy to control the characteristics only by operating at low temperature, and it can reduce the deformation of the case by lower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switch.

전원이 인가되어 바이메탈판이 상하로 움직이더라도 두 접속단자의 접속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여 전기 안전사고의 발생을 예방한 바이메탈방식과 로커방식이 혼합된 스위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witch in which a bimetal type and a rocker type are mixe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n electric safety accident by maintaining the connection state of two connection terminals stably even when the power is applied and the bimetal plate moves up and down.

또한, 스위치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바디의 양측면을 개방시키고, 개방된 양측면에는 커버가 후크식으로 조립결합되도록 하여, 스위치의 조립성 및 생산성을 높이고, 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body is opened to facilitate the assembly of the switch, and the cover is assembled to the hooked type on both sides of the open, thereby improving the assembly and productivity of the switch,

장기간 반복적으로 사용하더라도 고정터미널들이 바디에서 제 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하여 품질을 높인 바이메탈방식과 로커방식이 혼합된 스위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Even if it is used repeatedly for a long tim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witch in which bimetal and rocker methods are improved in quality by ensuring that fixed terminals do not leave their positions in the body.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바이메탈방식과 로커방식이 혼합된 스위치는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bimetal switch and a rocker switch are mix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바디;body;

하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바디의 내부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고정터미널;A pair of fixed terminals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inner sides of the body to expose a lower portion thereof;

상기 바디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고, 일단이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터미널 상호 간의 전기적연결을 단속하는 가동자;A mover provided at one inner side of the body and having one end moved up and down to control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pair of fixed terminals;

상기 바디의 내부 타측에 구비되고, 상하로 이동하여 또 다른 상기 한 쌍의 고정터미널 상호 간의 전기적연결을 단속하고, 과부하시 상기 한 쌍의 고정터미널 상호 간의 전기적연결을 차단하는 바이메탈판;A bimetal plate provided at the other inner side of the body and moving up and down to interrupt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another pair of fixed terminals, and block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pair of fixed terminals when overloaded;

상기 바디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가동자 및 바이메탈판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버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It is coupled to the upper body, the button for moving the mover and the bimetal plate up and down; made.

그리고 상기 바이메탈판은 일단이 제1 고정터미널에 결합되고, 타단에는 리어 접속단자가 구비되어 있고, The bimetal plate has one end coupled to the first fixed terminal, and the other end has a rear connection terminal.

일단이 제2 고정터미널에 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리어 접속단자와 접속되는 프론트 접속단자가 구비되어 있으며, 탄성 복원력으로 상기 바이메탈의 상하 요동시에도 상기 리어 접속단자와 상기 프론트 접속단자의 접속상태를 유지시키는 탄성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One end is coupled to the second fixed terminal,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front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rear connection terminal, and the connection state of the rear connection terminal and the front connection terminal is maintained even when the bimetal swings up and down with elastic restoring for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상기 바디의 양측면은 개방되어 있고, Both sides of the body are open,

개방된 상기 바디의 양측면에 후크식으로 조립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And hooks assembled on both sides of the open body in a hooked manner.

상기 커버의 내면에는 상기 고정터미널을 접촉하여 지지하는 지지돌출부가 돌출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protrusion for contacting and supporting the fixed terminal is formed protruding.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바이메탈방식과 로커방식이 혼합된 스위치는 바이메탈방식과 로커방식이 모두 적용되어 구조를 단순화하여 원가를 절감하고, 과부하시 전원을 차단하면서도 바이메탈판을 하나만 사용하여 바이메탈판의 고저항으로 인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고,The bimetal switch and the rocker switch are mix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so that both the bimetal and the rocker methods are applied to simplify the structure, thereby reducing the cost, and cutting off the power when overloaded, using only one bimetal plate. It is effective to reduce power consumption due to high resistance of the plate,

탄성판을 도입하여 바이메탈이 상하로 움직이더라도 두 접속단자가 접속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전기 안전사고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고, By introducing the elastic plate, even if the bimetal moves up and down, the two connection terminals can keep the connection state sta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electrical safety accidents,

바디 내에 고정터미널, 바이메탈판 등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결합되고, 커버 역시 후크식으로 바디에 간이 신속하게 조립결합되어 조립성 및 생산성이 탁월한 스위치로서, 산업발전에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The fixed terminal, bimetal plate, etc. are easily and quickly combined in the body, and the cover is also a quick switch that is easily assembled and assembled to the body in a hook type, and is excellent in assembly and productivity.

도 1 은 본 고안 따른 스위치의 사시도.
도 2 는 도1에 도시된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3 은 바이메탈방식의 스위치 단속 상태도.
도 4 는 로커방식의 스위치 단속 상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witch shown in FIG.
3 is a bimetallic switch interruption state diagram.
4 is a switch interruption state diagram of a rocker method.

이하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이메탈방식과 로커방식이 혼합된 스위치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a switch in which the bimetal and rocker systems are mix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바이메탈방식과 로커방식이 혼합된 스위치는 바디(10), 다수의 고정 터미널(T1, T2, T3, T4), 가동자(50), 바이메탈판(60), 탄성판(70), 버튼(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mixed switch of the bimetal method and the rocker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0, a plurality of fixed terminals (T1, T2, T3, T4), a mover 50, a bimetal plate 60, It includes an elastic plate 70, the button 40.

상기 바디(10)는 상부와 양측면이 각각 개방되어, 상부에는 상기 버튼(40)이 일정범위에서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양측면에는 커버(30)가 후크식으로 조립결합된다.
The body 10 is open at the top and both sides, respectively, the upper portion of the button 40 is hinged rotatably from side to side in a predetermined range, the cover 30 is assembled on the hook side on both sides.

상기 바디(10)의 내부 중앙에는 양측을 분리시키는 격판(16)이 구비되고, 측판(11) 외부 양측에는 락킹 플레이트(99)가 슬라이드식으로 삽입 결합되는 슬라이드홈(14)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고정 터미널(T1, T2, T3, T4)들을 상호 분리 구획하는 분리판(13)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The inner center of the body 10 is provided with a diaphragm 16 for separating both sides, the outer side of the side plate 11 is formed with a slide groove 14 to which the locking plate 99 is slidably inserted, In the lower part, a separating plate 13 protruding from the fixing terminals T1, T2, T3, and T4 is formed.

상기 바디(10)의 하부판(12) 양측에는 각각 한 쌍의 고정 터미널(T1, T2, T3, T4)이 삽입되는 두 삽입부(19)가 형성되어 있고, On both sides of the lower plate 12 of the body 10 are formed two insertion portions 19 into which a pair of fixed terminals T1, T2, T3, and T4 are inserted, respectively.

상기 바디(10)의 내측 하부 모서리 양측에는 상기 커버(30)의 후크돌기(31)가 안착되어 걸리는 후크홈(17)이 형성되어 있고, Hook grooves 17 on which the hook protrusions 31 of the cover 30 are seated are formed on both inner lower corners of the body 10,

바디(10)의 상부 중앙에는 상기 커버(30)의 후크홈(32)에 안착되어 걸리는 후크돌기(18)가 형성되어 있고, In the upper center of the body 10 is formed a hook projection 18 is seated in the hook groove 32 of the cover 30,

바디(10)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커버(30)의 삽입돌기(35)가 삽입되는 삽입공(15)이 형성되어 있고,An insertion hole 15 into which the insertion protrusion 35 of the cover 30 is inserted is formed at the upper edge of the body 10,

상기 삽입부(19) 옆에는 상기 고정 터미널(T1, T2, T3, T4)에 구비된 돌출부(83)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부(20)가 형성되어 있다.
Next to the insertion portion 19, a support portion 20 is formed to support the protrusions 83 provided in the fixed terminals T1, T2, T3, and T4.

그리고 바이메탈판(60)이 배치되는 바디(10)의 양측면 중 일측면에는 프론트 접속단자(93)가 눌려져 상기 탄성판(70)이 기울어진 경우에 탄성판(70)의 일단을 지지하여 잡아주는 지지돌기(22)가 형성되어 있고, The front connection terminal 93 is pressed on one side of both sides of the body 10 on which the bimetal plate 60 is disposed to support and hold one end of the elastic plate 70 when the elastic plate 70 is inclined. The support protrusion 22 is formed,

가동자(50)가 배치되는 바디(10)의 타측면에는 상기 가동자(50)의 일단이 상승된 경우에 타단 하부면을 지지하여 더 이상의 회전을 억제하는 억제돌출부(21)가 형성되어 있다.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10 on which the mover 50 is disposed, a suppression protrusion 21 for supporting the other end lower surface when the one end of the mover 50 is raised is formed to suppress further rotation. .

상기 고정 터미널(T1, T2, T3, T4)은 상기 바디(10)의 양측에 각각 두 개의 고정 터미널(T1, T2와 T3, T4)이 결합된다. 즉, 양측에 각각 한 쌍의 고정 터미널(T1, T2와 T3, T4)이 결합된다.
The fixed terminals T1, T2, T3, and T4 have two fixed terminals T1, T2, T3, and T4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body 10, respectively. That is, a pair of fixed terminals T1, T2, T3, and T4 are coupled to both sides, respectively.

이하에서는 바디(10)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고정 터미널(T1, T2, )을 제1, 제2 고정 터미널(T1, T2)이라하고, 타측면에 결하되는 한 쌍의 고정 터미널(T3, T4)을 제3, 제4 고정 터미널(T3, T4)이라고 한다.
Hereinafter, a pair of fixed terminals T1 and T2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10 may be referred to as first and second fixed terminals T1 and T2, and a pair of fixed terminals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 T3 and T4 are called third and fourth fixed terminals T3 and T4.

상기 고정 터미널(T1, T2, T3, T4)은 하부가 상기 바디(10)의 외부로 노출되는 수직부(81)와, 상기 수직부(81)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수평부(82)로 구성된다. 다만, 상기 제4 고정 터미널(T4)에는 도면에서 수평부(82)가 구비되어 있지 않다.
The fixed terminals T1, T2, T3, and T4 may include a vertical portion 81 having a lower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10, and a horizontal portion 82 bent in a horizontal direction from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portion 81. It is composed of However, the fourth fixing terminal T4 is not provided with the horizontal portion 82 in the drawing.

상기 고정 터미널(T1, T2, T3, T4)의 수직부(81)에는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83)가 형성되어 있다. Protruding portions 83 protru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e formed in the vertical portions 81 of the fixed terminals T1, T2, T3, and T4.

상기 돌출부(83)는 상기 바디(10)의 지지부(20)에 삽입되어 고정 터미널(T1, T2, T3, T4)을 지지하며 고정 터미널(T1, T2, T3, T4)이 처음 장착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한다. 다만, 상기 제2 고정 터미널(T2)에는 도면에서 돌출부(83)가 구비되어 있지 않다.
The protrusion 83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20 of the body 10 to support the fixed terminals (T1, T2, T3, T4) and the fixed terminals (T1, T2, T3, T4) do not deviate from the initial mounting position. Do not. However, the second fixing terminal T2 is not provided with the protrusion 83 in the drawing.

상기 제1 고정 터미널(T1)의 수평부(82)에는 상기 바이메탈판(60)의 일단이 결합되고, One end of the bimetal plate 60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portion 82 of the first fixed terminal T1,

상기 제2 고정 터미널(T2)의 수평부(82)에는 상기 탄성판(70)의 일단이 결합되고, 수평부(82)의 상부에는 보조코일스프링(97)이 얹혀져 지지되는 지지로드(84)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One end of the elastic plate 70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portion 82 of the second fixing terminal T2, and the support rod 84 on which the auxiliary coil spring 97 is supported is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rizontal portion 82. Is overhanging,

상기 제3 고정 터미널(T3)의 수평부(82)에는 프론트 접속단자(93)가 결합되고, The front connection terminal 93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portion 82 of the third fixed terminal T3,

상기 제4 고정 터미널(T4)의 상단에는 메인코일스프링(95)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안착홈(85)이 형성되어 있다.
The upper end of the fourth fixing terminal (T4) is formed with a seating groove (85) on which the main coil spring (95) is seated and supported.

참고로, 상기 메인코일스프링(95)은 상기 버튼(40)의 좌우 눌림에 연동되어 상기 가동자(50)가 좌우로 회전(즉, 일단을 상하로 이동)하도록 하고, 상기 보조코일스프링(97)은 상기 메인코일스프링(95)과 함께 상기 버튼(40)의 양측을 각각 탄성지지하여 버튼(40)의 균형을 맞추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버튼(40)에 내장되는 램프(46)의 리드선(47)이 접촉되어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에 램프가 점등되도록 한다.
For reference, the main coil spring 95 is linked to the left and right pressing of the button 40 to allow the mover 50 to rotate from side to side (that is, move one end up and down), and the auxiliary coil spring 97 ) Serves to balance the button 40 by elastically supporting both sides of the button 40 together with the main coil spring 95 and at the same time the lead wire of the lamp 46 embedded in the button 40. 47) is turned on, the lamp is turned on when the power is applied.

상기 가동자(50)는 상기 격판(16)으로 분리되는 상기 바디(10)의 양측 중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버튼(40)의 눌림에 연동되어 일단이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제3 고정 터미널(T3)과 제4 고정 터미널(T4)을 상호 전기적으로 단속시킨다.
The mover 50 is provided on one side of both sides of the body 10 separated by the diaphragm 16, and interlocked with the pressing of the button 40, one end is moved up and down to the third fixed terminal ( T3) and the fourth fixed terminal T4 are electrically interrupted with each other.

상기 가동자(50)는 중앙에 오목하게 들어가 상기 메인코일스프링(95)의 하부가 수용되는 수용부(51)와, 상기 수용부(51)의 상부 양측에서 수평으로 대칭되게 돌출된 단속부(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일측의 단속부(55)에는 상기 제3 고정 터미널(T3)에 구비된 프론트 접속단자(93)와 접촉되는 리어 접속단자(91)가 구비된다.
The mover 50 is recessed in the center to accommodate the accommodating portion 51 accommodates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coil spring 95, and the intermittent portion protrudes horizontally symmetrically from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51 ( 55, and a rear connection terminal 91 in contact with the front connection terminal 93 provided in the third fixed terminal T3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intermittent portion 55.

그리고 상기 가동자(50)의 수용부(51) 바닥 상부면에는 라운드진 장방형의 볼록부(52)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면에는 오목부(53)가 형성되어 있다.
A rounded rectangular convex portion 52 is formed on the bottom upp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51 of the mover 50, and a concave portion 53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상기 볼록부(52)는 상기 메인코일스프링(95)의 하단과 접촉되어 메인코일스프링(95)에 의한 접점압을 높이고, 버튼(40)의 눌림에 따라 전해지는 메인코일스프링(95)의 가압력에 의해 가동자(50)의 이동 각도 범위를 넓힌다.
The convex portion 52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main coil spring (95) to increase the contact pressure by the main coil spring (95), the pressing force of the main coil spring (95) transmitted as the button 40 is pressed. By this, the moving angle range of the mover 50 is widened.

즉, 미동작 없이 버튼(40)에 연동되어 가동자(50)가 확실히 위치가 가변되도록 하고, 가동자(50) 단속부의 이동 범위(즉, 각도 변화)를 크게 한다.
In other words, the position of the mover 50 is surely varied by interlocking with the button 40 without inactivation, and the moving range of the intermittent portion of the mover 50 is increased (that is, the angle change).

상기 오목부(53)는 상기 볼록부(52)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그 모양 역시 상기 볼록부에 대응되게 오목한 형상을 한다.
The concave portion 53 is form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convex portion 52, and the shape thereof also has a concave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nvex portion.

상기 오목부(53)는 가동자(50)의 단속부가 상하로 이동하는 기준점, 즉, 축의 역할을 하고, 상기 제4 고정 터미널(T4)에 구비된 안착홈(85)에 안착된다. 그리고 오목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이곳을 축으로 상기 가동자(50)가 상하로 보다 부드럽고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한다.
The recess 53 serves as a reference point for moving the up and down intermittent portion of the mover 50, that is, an axis, and is seated in the seating recess 85 provided in the fourth fixing terminal T4. And it is made of a concave shape so that the mover 50 is rotated up and down more smoothly and smoothly.

상기 바이메탈판(60)은 일단이 상기 제1 고정 터미널(T1)에 결합되고, 타단에는 리어 접속단자(91)가 결합된다.
One end of the bimetal plate 60 is coupled to the first fixed terminal T1, and a rear connection terminal 91 is coupled to the other end thereof.

그리고 바이메탈판(60)의 타단에는 스프링판(61)이 연결된다. 상기 스프링판(61)은 고정스크류(62)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바이메탈판(60)에 연결된다.
The spring plate 61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bimetal plate 60. One end of the spring plate 61 is coupled to the fixing screw 62, and the other end of the spring plate 61 is connected to the bimetal plate 60.

상기 스프링판(61)은 타단이 가상의 기준선 보다 상부에 배치될 때는 상부로 탄성을 발휘하고, 기준선 보다 하부에 배치될 때는 하부로 탄성을 발휘하여, 바이메탈판(60)의 타단이 상부와 하부로 각각 이동할 때 힘을 보태어 바이메탈판(60)의 타단이 보다 신속하고 확실하게 상하부로 이동하여 바이메탈판(60)의 리어 접속단자(91)와 탄성판(70)의 프런트 접속단자(93) 간의 단속 신뢰성을 높인다.
The spring plate 61 exerts elasticity when the other end is disposed above the imaginary reference line, and exerts elasticity when the other end is disposed below the reference line,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bimetal plate 60 is upper and lower.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bimetal plate 60 moves up and down more quickly and reliably when moving to each other, so that between the rear connection terminal 91 of the bimetal plate 60 and the front connection terminal 93 of the elastic plate 70, respectively. Improve intermittent reliability.

바이메탈판(60)은 주지하다시피 온도에 따른 신장률이 다른 두 금속판을 부착시켜 온도 변화에 따른 어느 한 방향으로 휘어져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데 사용한다. As the bimetal plate 60 is known, the two metal plates having different elongation rates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are attached to each other to be bent in one direction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change, and used to cut off the electrical connection.

즉, 스위치에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 바이메탈판(60)이 휘어져 제1 고정 터미널(T1)과 제2 고정 터미널(T2)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한다.
That is, when the switch is overloaded, the bimetal plate 60 is bent to block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fixed terminal T1 and the second fixed terminal T2.

상기 탄성판(70)은 일단이 상기 제2 고정 터미널(T2)의 수평부(82)에 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바이메탈판(60)의 리어 접속단자(91)와 접속되는 프론트 접속단자(93)가 결합된다.
One end of the elastic plate 70 is coupled to the horizontal portion 82 of the second fixed terminal T2, and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plate 70 is connected to the rear connection terminal 91 of the bimetal plate 60. ) Are combined.

상기 탄성판(70)은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런트 접속단자(93)가 결합되어 있는 타단이 바디(10)의 하부판(12)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어, 바이메탈판(60)의 리어 접속단자(91)가 가압하는 경우에 타단이 하강하여 상승하고자하는 탄성 복원력이 작용한다.
3, the other end to which the front connection terminal 93 is coupled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late 12 of the body 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s shown in FIG. 3, so that the rear connection terminal of the bimetal plate 60 is provided. When 91 is pressurized, the elastic restoring force which the other end descends and tries to raise acts.

그리하여 바이메탈판(60)에 전원이 인가되어 바이메탈판(60)의 타단이 상하로 요동하는 경우에, 요동으로 바이메탈판(60)이 상부로 움직이면 탄성 복원력으로 탄성판(70)의 프론트 접속단자(93)가 바이메탈판의 리어 접속단자(91)와 접속된 상태로 탄성판(70)도 상부로 움직이고, 요동으로 바이메탈이 하부로 움직이면 가압력으로 탄성판(70)의 프론트 접속단자(93)가 바이메탈의 리어 접속단자(91)와 접속된 상태로 탄성판(70)도 하부로 움직여, 바이메탈판(60)의 요동에도 불구하고 탄성판(70)이 리어 접속단자(91)와 프론트 접속단자(93)의 접속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킨다.
Thus,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bimetal plate 60 and the other end of the bimetal plate 60 swings up and down, when the bimetal plate 60 moves upward due to rocking, the front connection terminal of the elastic plate 70 is elastically restored ( When the elastic plate 70 also moves upward while 93 is connected to the rear connection terminal 91 of the bimetal plate, and the bimetal moves downward due to the rocking motion, the front connection terminal 93 of the elastic plate 70 is bimetallic under pressure. The elastic plate 70 also moves downward in a state of being connected to the rear connection terminal 91 of the rear connection terminal 91 so that the elastic plate 70 is connected to the rear connection terminal 91 and the front connection terminal 93 despite the fluctuation of the bimetal plate 60. ) Keep the connection status stable.

상기 버튼(40)은 상부가 상기 바디(10)의 상부로 노출되는 노브(41)와, 상기 노브(41)가 조립결합되고 바디(10)의 상부 개구부에 내장되는 홀더(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button 40 includes a knob 41 having an upper portion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0, and a holder 44 having the knob 41 assembled and embedded in the upper opening of the body 10. Is done.

상기 노브(41)의 양측 외측면에는 상기 바디(10)의 힌지공(23)에 힌지결합되는 힌지돌기(42)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부면에는 전원의 온오프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돌기(4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Hinge protrusions 42 hinged to hinge holes 23 of the body 10 are formed on both outer sides of the knob 41, and guide protrusions for guiding the on / off direction of the power a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43 is formed to protrude.

상기 홀더(44)에는 램프(46)가 내장되고, 홀더(44)의 바닥면에는 내장된 램프의 리드선(47)이 하부로 관통되어 노출되도록 하는 관통공(4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램프의 리드선(47)에는 램프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저항(48)이 연결되어 있다.
A lamp 46 is built in the holder 44, and a through hole 45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der 44 so that the lead wire 47 of the embedded lamp penetrates downward and is exposed. In addition, a protection resistor 48 for protecting the lamp is connected to the lead wire 47 of the lamp.

그리고 상기 홀더(44)의 하부면 중앙 양측에는 상기 메인코일스프링(95)과 보조코일스프링(97)이 각각 끼워져 결합되는 끼움부(미도시)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fitting portions (not shown) to which the main coil springs 95 and the auxiliary coil springs 97 are fitted are respectively formed at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44.

그리고 상기 홀더(44)의 하부면 타측에는 'E'자 형상의 링크부재(63)가 체결되어 바이메탈판(60)의 타측과 홀더(44)의 타측을 연결하여, 버튼(40)의 좌우 움직임에 연동하여 바이메탈판(60)의 타측이 상하로 움직이도록 한다.
And the other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holder 44 'E' shaped link member 63 is fastened to connect the other side of the bimetal plate 60 and the other side of the holder 44,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button 40 In conjunction with the other side of the bimetal plate 60 to move up and down.

상기 커버(30)는 상기 바디(10)의 양측면의 개구부를 덮는다. 상기 커버(30)는 상기 바디(10)의 개구부에 후크식으로 조립결합된다.
The cover 30 covers openings on both sides of the body 10. The cover 30 is assembled to the opening of the body 10 in a hooked manner.

후크식 조립결합을 위해 상기 커버(30)의 내면 하부 양측에는 후크돌기(31)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외면 상부 중앙에는 후크홈(32)이 형성되어 있다.
Hook protrusions 31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id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30 for hook type assembly coupling, and hook grooves 32 ar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outer surface.

또한, 상기 커버(30)의 내면 상부 양측에는 삽입돌기(35)가 형성되어 있고, 내면 하부에는 상기 바디(10)의 삽입부(19)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부(19)에 삽입된 고정 터미널(T1, T2, T3, T4)의 측면을 접촉 가압하는 가압돌출부(33)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30, the insertion projections 35 are formed,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fixed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19 of the body 1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19 The pressurizing protrusion part 33 which contacts-presses the side surface of T1, T2, T3, and T4 is protrud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스위치의 작동 개요를 도3과 도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operation of the swit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as follows.

우선, 사용자가 버튼(40)의 노브(41)에서 가이드돌기(43)가 있는 쪽을 누르면, 버튼(40)의 하부면에 연결되어 있는 링크부재(63)가 하강하여 바이메탈판(60)의 타측을 하강시켜 바이메탈판(60)의 리어 접속단자(91)와 탄성판(70)의 프론트 접속단자(93)를 접속시켜 제1 고정 터미널(T1)과 제2 고정 터미널(T2)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First, when the user presses the side with the guide protrusion 43 on the knob 41 of the button 40, the link member 63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utton 40 is lowered, so that the bimetal plate 60 The other side is lowered to connect the rear connection terminal 91 of the bimetal plate 60 and the front connection terminal 93 of the elastic plate 70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fixed terminal T1 and the second fixed terminal T2. Connect

또한, 사용자가 버튼(40)의 노브(41)에서 가이드돌기(43)가 있는 쪽을 누르면, 버튼(40)의 하부면 중앙에 연결되어 있는 메인코일스프링(95)이 가동자(50)의 일측 단속부(55)를 하강하도록 가동자(50)를 회전시키고, 그러면 가동자(50)의 리어 접속단자(91)가 제3 고정 터미널(T3)의 프런트 접속단자와 접속되어, 제3 고정 터미널(T3)과 제4 고정 터미널(T4)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presses the side with the guide protrusion 43 on the knob 41 of the button 40, the main coil spring 95 connected to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utton 40 is connected to the movable element 50. The mover 50 is rotated so as to lower the one-side intermittent portion 55, and then the rear connection terminal 91 of the mover 50 is connected to the front connection terminal of the third fixed terminal T3, and the third fixed portion is fixed. The terminal T3 and the fourth fixed terminal T4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그리고 사용자가 버튼(40)의 노부에서 가이드돌기(43) 반대쪽을 누르면 위의 동작이 반대로 이루어져 제1 고정 터미널(T1)과 제2 고정 터미널(T2)의 전기적 연결과, 제3 고정 터미널(T3)과 제4 고정 터미널(T4)(T1, T2, T3, T4)의 전기적 연결이 차단된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presses the opposite side of the guide protrusion 43 on the button 40, the above operation is reversed, and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fixed terminal T1 and the second fixed terminal T2 and the third fixed terminal T3 are performed. ) And the fourth fixed terminal T4 (T1, T2, T3, T4) are cut off.

그리고 사용자가 버튼(40)의 노브(41)에서 가이드돌기(43) 반대쪽을 누르지 아니하여도 과부하가 걸리는 때에는 바이메탈판(60)이 상부로 휘어지면서 제1 고정 터미널(T1)과 제2 고정 터미널(T2)의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고, 동시에 바이메탈판(60)이 상부로 휘어짐에 따라 버튼(40)도 반대쪽이 눌려져 가동자(50)의 일측 단속부(55)가 상승하여 제3 고정 터미널(T3)과 제4 고정 터미널(T4)의 전기적 연결도 차단한다.
In addition, when the user is not overloaded by the knob 41 of the button 4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guide protrusion 43, the bimetal plate 60 is bent upward, and the first fixing terminal T1 and the second fixing terminal are bent. As the bimetal plate 60 is bent upward, at the same time, the button 40 is pressed to the opposite side, so that the one-side intermittent part 55 of the mover 50 is lifted to the third fixed terminal (T2).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3) and the fourth fixed terminal T4 is also cut off.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바이메탈방식과 로커방식이 혼합된 스위치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as been described for the switch mixed with the bimetal and rocker method having a specific shape and structu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uch variations and Change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바디 30 : 커버
40 : 버튼 50 : 가동자
60 : 바이메탈판 70 : 탄성판
T1~T4 : 고정 터미널
10: body 30: cover
40: button 50: mover
60: bimetal plate 70: elastic plate
T1 ~ T4: Fixed Terminal

Claims (4)

바디;
하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바디의 내부 양측에 각각 결합되어 있는 한 쌍의 고정터미널;
상기 바디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고, 일단이 상하로 이동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터미널 상호 간의 전기적연결을 단속하는 가동자;
상기 바디의 내부 타측에 구비되고, 상하로 이동하여 또 다른 상기 한 쌍의 고정터미널 상호 간의 전기적연결을 단속하고, 과부하시 상기 한 쌍의 고정터미널 상호 간의 전기적연결을 차단하는 바이메탈판;
상기 바디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가동자 및 바이메탈판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버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바이메탈판은 일단이 제1 고정터미널에 결합되고, 타단에는 리어 접속단자가 구비되어 있고,
일단이 제2 고정터미널에 결합되고, 타단에는 상기 리어 접속단자와 접속되는 프론트 접속단자가 구비되어 있으며, 탄성 복원력으로 상기 바이메탈의 상하 요동시에도 상기 리어 접속단자와 상기 프론트 접속단자의 접속상태를 유지시키는 탄성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메탈방식과 로커방식이 혼합된 스위치.
body;
A pair of fixed terminals respectively coupled to both inner sides of the body to expose a lower portion thereof;
A mov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and having one end moved up and down to control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pair of fixed terminals;
A bimetal plate provided at the other inner side of the body and moving up and down to interrupt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another pair of fixed terminals, and block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pair of fixed terminals when overloaded;
Is coupled to the upper body, the button for moving the mover and the bimetal plate up and down;

One end of the bimetal plate is coupled to the first fixed terminal, and the other end has a rear connection terminal.
One end is coupled to the second fixed terminal,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front connection terminal connected to the rear connection terminal, and the connection state of the rear connection terminal and the front connection terminal is maintained even when the bimetal swings up and down with elastic restoring force. The switch is mixed with a bimetal and rocker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plate to hold.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양측면은 개방되어 있고,
개방된 상기 바디의 양측면에 후크식으로 조립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메탈방식과 로커방식이 혼합된 스위치.
The method of claim 1,
Both sides of the body are open,
The bimetallic and rocker switch is mixe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cover that is assembled to the hook type on both sides of the open body.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내면에는 상기 고정터미널을 접촉하여 지지하는 지지돌출부가 돌출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메탈방식과 로커방식이 혼합된 스위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witch of the bimetal and rocker metho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is formed with a protrusion projecting support portion for contacting and supporting the fixed terminal.
KR2020100008857U 2010-08-25 2010-08-25 Switch KR20046108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857U KR200461084Y1 (en) 2010-08-25 2010-08-25 Swit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857U KR200461084Y1 (en) 2010-08-25 2010-08-25 Switc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519U KR20120001519U (en) 2012-03-06
KR200461084Y1 true KR200461084Y1 (en) 2012-06-21

Family

ID=46173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8857U KR200461084Y1 (en) 2010-08-25 2010-08-25 Swit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1084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3747B1 (en) * 2019-11-18 2021-01-15 (주)두남 Switch of multi-conc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174U (en) * 1998-11-13 1999-04-26 배옥복 Switch structure with overload breaking
KR200261431Y1 (en) 2001-10-25 2002-01-23 충-모우 유 Safety switch
KR20070118579A (en) * 2005-03-12 2007-12-17 엘렌베르거 앤드 포엔스겐 게엠베하 Protective circuit breaker for protecting an electric circuit
KR20100090742A (en) * 2009-02-07 2010-08-17 주식회사 케이원 코퍼레이션 Bimetal switch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174U (en) * 1998-11-13 1999-04-26 배옥복 Switch structure with overload breaking
KR200261431Y1 (en) 2001-10-25 2002-01-23 충-모우 유 Safety switch
KR20070118579A (en) * 2005-03-12 2007-12-17 엘렌베르거 앤드 포엔스겐 게엠베하 Protective circuit breaker for protecting an electric circuit
KR20100090742A (en) * 2009-02-07 2010-08-17 주식회사 케이원 코퍼레이션 Bimetal swi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519U (en) 2012-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37377B1 (en) Slip connection
US6552644B2 (en) Safety press-button switch
US2954447A (en) Thermostatic switch
US20020130028A1 (en) Switch with an override interruption structure
US20060220779A1 (en) Adjustable safety switch
US5498846A (en) Toggle switches
US8729415B2 (en) Power switch suitable for automated production
KR200461084Y1 (en) Switch
US7208693B1 (en) Safety device for dual-circuit switch
US7638723B1 (en) Toggle flange
JP4395023B2 (en) Circuit breaker
US7518078B1 (en) Flipper mechanism
CN212848269U (en) Maintenance type earth leakage protector
US4689451A (en) Slow make and break action switch
CN109411276B (en) Micro-switch
CN209804553U (en) Energy regulator
JP2722095B2 (en) switch
KR200461085Y1 (en) Rocker switch
US20030071710A1 (en) Safety switch
US5471024A (en) Electric switch having improved attachment of movable contact to contact carrier
CN201584342U (en) Reset switch
CN209981149U (en) Tripping contact mechanism for leakage socket
CN220439541U (en) Contact device
KR102203747B1 (en) Switch of multi-concent
KR200414489Y1 (en) Safety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