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1431Y1 - Safety switch - Google Patents

Safety switc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1431Y1
KR200261431Y1 KR2020010032631U KR20010032631U KR200261431Y1 KR 200261431 Y1 KR200261431 Y1 KR 200261431Y1 KR 2020010032631 U KR2020010032631 U KR 2020010032631U KR 20010032631 U KR20010032631 U KR 20010032631U KR 200261431 Y1 KR200261431 Y1 KR 2002614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imetal plate
bimetal
switch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263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충-모우 유
Original Assignee
충-모우 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모우 유 filed Critical 충-모우 유
Priority to KR20200100326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1431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14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1431Y1/en

Links

Landscapes

  • Thermally Actuated Switches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안전 스위치는 제1 접촉점을 갖는 제1 터미널 플레이트와 바이메탈판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는 제2 터미널 플레이트를 갖는 케이싱을 포함한다. 제2 접촉점은 바이메탈판의 텅(tongue)에 연결되어 있다. 스위치 부재는 케이싱에 연결되어 있고, 연결 부재는 스위치 부재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다. 연결 부재의 일단은 후퇴부를 갖고 바이메탈판의 일단은 후퇴부 내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어 있다.The safety switch includes a casing having a first terminal plate having a first contact point and a second terminal plate to which one end of the bimetal plate is connected. The second contact point is connected to the tongue of the bimetal plate. The switch member is connected to the casing, and the connection member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witch member. On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has a recess and one end of the bimetal plate is movably positioned in the recess.

Description

안전 스위치 {SAFETY SWITCH}Safety switch {SAFETY SWITCH}

본 고안은 바이메탈판이 스위치 부재에 형성된 갭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하여, 스위치 부재가 움직이지 못하고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에도, 회로가 개방상태로 될 수 있도록 하는 안전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switch that enables the bimetal plate to be movably coupled to a gap formed in the switch member, so that the circuit can be opened even when the switch member is not moved and an overcurrent flows.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종래 기술에 따른 시소 스위치는 이동 가능하게 플레이트(12)를 가압하여 플레이트(12)의 2개의 단부의 2개의 접촉부들이 각각 가압되어 대응하는 접촉점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돌출부(110)를 구비하는 스위치 부재(11)를 포함한다. 이러한 유형의 스위치는 과전류가 흐를 때, 자동적으로 떨어질 수 없다. 도 2a 및 도 2b는 미국 특허공보 제5,262,748호에 개시된 스위치를 도시하고 있으며, 이것은 바이메탈판(170)에 연결된 연결판(14)에 연결되는 일 단부를 갖는 스위치 부재(13)를 포함한다. 굽은 탄성판(18)은 스위치 장치의 케이싱(10)에 연결된 일 단부와, 바이메탈판(170)에 연결된 타 단부를 갖는다. 3개의 터미널 플레이트(15, 16, 17)는 스위치 장치의 케이싱(10)에 연결되고, 바이메탈판(170)의 타 단부는 터미널 플레이트(17)에 연결된다. 접촉점(171)은 바이메탈판(170)에 연결되고, 또 다른 접촉점(160)은 터미널 플레이트(16)에 연결된다. 바이메탈판(170)은 스위치 부재(13)를 가압함으로써, 하강되어 폐쇄회로를 형성한다. 과전류가 흐르면, 바이메탈판(170)은 변형되어 2개의 접촉점(171, 160)을 분리한다. 그러나, 스위치 부재(13)가 움직이지 못하거나 탄성판(18)이 고장나면, 바이메탈판(170)은 변형되지 않는다. 또한, 바이메탈판(170)의 변형력이 탄성판(18)의 변형력 보다 크면, 탄성판(18)은 개방회로 상태로 바이메탈판(170)을 유지할 것이다. 만약, 사용자가 스위치 부재(13)를 다시 가압하면, 바이메탈판(170)은 다시 떨어지고, 이것은 스파크를 유발하여 잠재적인 위험을 갖게 할 수 있다.The seesaw switch according to the prior art shown in FIG. 1 is movable to press the plate 12 so that the two contact portions of the two ends of the plate 12 can be pressed to contact the corresponding contact points, respectively ( And a switch member 11 having a 110. This type of switch cannot drop automatically when overcurrent flows. 2A and 2B show a switch disclosed in US Pat. No. 5,262,748, which includes a switch member 13 having one end connected to a connecting plate 14 connected to a bimetal plate 170. The curved elastic plate 18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casing 10 of the switch device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bimetal plate 170. The three terminal plates 15, 16, 17 are connected to the casing 10 of the switch device, and the other end of the bimetal plate 170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plate 17. The contact point 171 is connected to the bimetal plate 170, and another contact point 160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plate 16. The bimetal plate 170 is lowered by pressing the switch member 13 to form a closed circuit. When the overcurrent flows, the bimetal plate 170 deforms to separate the two contact points 171 and 160. However, if the switch member 13 does not move or the elastic plate 18 is broken, the bimetal plate 170 is not deformed. In addition, when the deformation force of the bimetal plate 170 is greater than the deformation force of the elastic plate 18, the elastic plate 18 will hold the bimetal plate 170 in an open circuit state. If the user presses the switch member 13 again, the bimetal plate 170 falls again, which can cause sparks and pose a potential risk.

도 3a 및 도 3b는 대만 특허 공고공보 제334,165호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것은 연결 부재(2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동 부재(21)를 갖는 스위치(20)를 포함하고 있다. 스프링(24)이 구동 부재(21)와 스위치 장치의 케이싱 내부 사이에 연결된다. 바이메탈판(23)은 케이싱의 2개의 터미널 플레이트 중 하나에 고정된 일 단부와 연결판(22)에 결합되는 타 단부를 구비한다. 바이메탈판(23)은 스위치 부재(20)가 가압되면 다른 나머지 하나의 터미널 플레이트에 접촉한다. 과전류가 흐르면, 바이메탈판(23)은 변형되어 구동 부재(21)를 가압하여 구동 부재(21)의 볼록 형상부가 케이싱의 내부에 형성된 후퇴부(25)에 결합되게 하고, 바이메탈판(23)은 터미널 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된다. 스위치 부재(20), 구동 부재(21) 혹은 연결부재(22) 중 하나가 고장나거나 움직이지 않게 되면, 개방회로가 될 수 없다. 스프링(24)의 탄성력이 너무 크면, 바이메탈판(23)은 터미널 플레이트로부터 떨어질 수 없고, 만약 스프링(24)의 탄성력이 너무 작으면, 바이메탈판(23)은 종종 떨어질 수 있다.3A and 3B show Taiwan Patent Publication No. 334,165, which includes a switch 20 having a drive member 21 slidably coupled to a connecting member 22. A spring 24 is connected between the drive member 21 and the casing interior of the switch device. The bimetal plate 23 has one end fixed to one of the two terminal plates of the casing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connecting plate 22. The bimetal plate 23 contacts the other terminal plate when the switch member 20 is pressed. When the overcurrent flows, the bimetal plate 23 deforms to pressurize the drive member 21 so that the convex portion of the drive member 21 is coupled to the recess 25 formed in the casing, and the bimetal plate 23 It is separated from the terminal plate. If one of the switch member 20, the drive member 21 or the connecting member 22 fails or does not move, it cannot be an open circuit. If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24 is too large, the bimetal plate 23 cannot fall off the terminal plate, and if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24 is too small, the bimetal plate 23 can often fall.

도 4a, 4b 및 도 4c는 미국 특허번호 제5,760,672호에 개시된 스위치 장치를도시하고 있고, 이것은 바이메탈판(27)의 일 단부를 수납하기 위한 후크부를 갖는 연결판(26)에 연결된 일 단부를 갖는 스위치 부재(28)를 포함한다. 3개의 터미널 플레이트가 스위치 장치의 케이싱에 연결되어 있고, 바이메탈판(27) 위의 접촉점(271)은 터미널 플레이트들 중 하나의 터미널 플레이트의 다른 하나의 접촉점(272)에 접촉되게 된다. 바이메탈판(27)이 변형될 수 있게 갭(△S)이 후크부에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유형의 스위치는 특정한 유형의 시소 스위치 부재에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부재(26)가 바이메탈판(27)의 구멍을 통해 연장되어, 바이메탈판(27)의 후크부의 수평부재(261, 262) 중 하나가 고장나거나 바이메탈판(27)의 구멍에 의해 가압될 때, 바이메탈판(27)은 떨어질 수 없다. 온도가 떨어지면, 변형된 바이메탈판(27)은 접촉점(272)에 다시 접촉할 것이다. 이러한 과전류 상태가 해제되지 않기 때문에, 회로는 개방과 폐쇄를 반복할 것이다.4A, 4B and 4C show the switch device disclosed in US Pat. No. 5,760,672, which has one end connected to a connecting plate 26 having a hook for accommodating one end of the bimetal plate 27. And a switch member 28. Three terminal plates are connected to the casing of the switch device, and the contact point 271 on the bimetal plate 27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ther contact point 272 of one terminal plate of the terminal plates. The gap ΔS is formed in the hook portion so that the bimetal plate 27 can be deformed. However, this type of switch can only be used for certain types of seesaw switch members. In addition, the connecting member 26 extends through the hole of the bimetal plate 27 so that one of the horizontal members 261 and 262 of the hook portion of the bimetal plate 27 is broken or pressed by the hole of the bimetal plate 27. When made, the bimetal plate 27 cannot fall. If the temperature drops, the deformed bimetallic plate 27 will contact the contact point 272 again. Since this overcurrent condition is not released, the circuit will repeat opening and closing.

본 고안의 일 특징에 따르면, 제1 터미널 플레이트와 제2 터미널 플레이트를 갖는 케이싱을 포함하는 안전 스위치가 제공된다. 제1 접촉점은 제1 터미널 플레이트에 연결되고, 바이메탈판은 제2 터미널 플레이트에 고정 연결된다. 제2 접촉점은 바이메탈판의 텅(tongue)에 연결된다. 스위치 부재는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연결 부재는 스위치 부재의 일 단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내에 형성된 후퇴부를 갖는다. 바이메탈판의 나머지 다른 하나의 단부는 이동 가능하게 후퇴부에 위치된다.According to one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afety switch comprising a casing having a first terminal plate and a second terminal plate. The first contact point is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plate and the bimetal plate is fixedly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plate. The second contact point is connected to the tongue of the bimetal plate. The switch member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casing, and the connecting member is mov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switch member and has a recess formed therein. The other end of the bimetal plate is movably located in the recess.

본 고안의 주 목적은 바이메탈판이 변형 가능하게 되어, 스위치 부재가 고장나더라도 회로를 차단하도록 된 안전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fety switch device in which the bimetal plate is deformable, so that the circuit is cut even if the switch member fails.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오직 예시의 목적으로만 도시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는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본 고안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hown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도 1은 시소형 스위치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esaw switch device.

도 2a 및 도 2b는 미국 특허 제5,262,748호에 개시된 스위치 장치의 개방 상태 및 폐쇄 상태를 도시한 도.2A and 2B illustrate an open state and a closed state of a switch device disclosed in US Pat. No. 5,262,748.

도 3a 및 도 3b는 대만 특허 공고공보 제334165호에 개시된 스위치 장치의 개방 상태 및 폐쇄 상태를 도시하는 도.3A and 3B show an open state and a closed state of a switch device disclosed in Taiwan Patent Publication No. 334165.

도 4a, 4b 및 4c는 미국 특허 제5,760,672호에 개시된 스위치 장치의 개방 상태 및 폐쇄 상태를 도시하는 도.4A, 4B and 4C show the open and closed states of the switch device disclosed in US Pat. No. 5,760,672.

도 5는 본 고안의 안전 스위치 장치를 도시하는 분해도.5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safety switch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안전 스위치 장치의 오프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ff state of the safety switch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고안의 안전 스위치 장치의 온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n state of a safety switch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과전류가 흐르고 바이메탈판의 돌출부가 연결판의 후퇴부 내에서 이동될 때 바이메탈판의 텅이 변형되는 것을 도시하는 단면도.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at the tongue of the bimetal plate is deformed when overcurrent flows and the protrusion of the bimetal plate is moved within the recess of the connecting plate.

도 9a는 본 고안의 안전 스위치에 사용되는 바이메탈판를 도시하는 도.Figure 9a is a view showing a bimetal plate used in the safety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b는 본 고안의 안전 스위치 장치에 사용되는 바이메탈판의 2개의 레그가 서로를 향해 가압되는 것을 도시하는 도.9B is a view showing that two legs of the bimetal plate used in the safety switch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essed toward each other.

도 10a 및 도 10b는 본 고안의 안전 스위치 장치에 사용되는 바이메탈판의텅이 서로 다른 두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도시하는 도.10a and 10b are views showing that the tongue of the bimetal plate used in the safety switch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ormed in two different directions.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안전 스위치 장치는 제1 터미널 플레이트(7) 및 제2 터미널 플레이트(8)을 위한 3개의 슬롯(31)이 그 일단에 형성되어 있는 케이싱(3)을 포함하는데, 제1 및 제2 터미널 플레이트(7, 8)는 각각 슬롯(31)들 중 2개에 각각 결합된다. 제1 접촉점(71)은 제1 터미널 플레이트(7)의 수평부(70)에 연결된다. 또한, 도 9a를 참조하면, 바이메탈판(6)은 제2 터미널 플레이트(8)의 수평부(81)에 고정 연결되는 일 단부를 갖는다. 바이메탈판(6)은 U자 형상이고, 텅(62)은 바이메탈판(6)의 U자 형상부로부터 연장되어 바이메탈판(6)의 2개의 레그 사이에 위치된다. 제2 접촉점(61)은 바이메탈판(6)의 텅(62)의 자유 단부의 구멍(621)에 결합된다. 바이메탈판(6)의 2개의 레그는 각각 구멍(63)을 구비하고, 바이메탈판(6)의 2개의 레그의 2개의 구멍(63)이 제2 터미널 플레이트(8)의 수평부(81)의 보스(82)에 설치될 때, 2개의 레그는 먼저 서로를 향해 가압되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W1으로부터 W2로 그 사이의 폭이 좁혀진다. 보다 좁혀진 폭(W2)은 바이메탈판(6)의 2개의 다리의 2개의 구멍(63)이 보스(82)에 설치될 수 있게 한다. 돌출부(60)는 바이메탈판(6)의 U자형상부로부터 연장되어 텅(62)의 반대 쪽에 위치된다. 2개의 리브(32, 33)가 케이싱(3)의 내부로부터 각각 연장되어 바이메탈판(6)은 2개의 리브(32, 33)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다. 2개의 리브(32,33)는 바이메탈판(6)이 과도하게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5 and 6, the safety switch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asing 3 in which three slots 31 for the first terminal plate 7 and the second terminal plate 8 are formed at one end thereof.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plates 7, 8 are each coupled to two of the slots 31, respectively. The first contact point 71 is connected to the horizontal portion 70 of the first terminal plate 7. Referring also to FIG. 9A, the bimetal plate 6 has one end fixedly connected to the horizontal portion 81 of the second terminal plate 8. The bimetal plate 6 is U-shaped, and the tongue 62 extends from the U-shaped portion of the bimetal plate 6 and is located between the two legs of the bimetal plate 6. The second contact point 61 is coupled to the hole 621 of the free end of the tongue 62 of the bimetal plate 6. The two legs of the bimetal plate 6 each have a hole 63, and the two holes 63 of the two legs of the bimetal plate 6 have a horizontal portion 81 of the second terminal plate 8. When installed in the boss 82, the two legs are first pressed towards each other, narrowing the width between them from W1 to W2 as shown in FIG. 9B. The narrower width W2 allows the two holes 63 of the two legs of the bimetal plate 6 to be installed in the boss 82. The protrusion 60 extends from the U-shape of the bimetal plate 6 and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tongue 62. Two ribs 32, 33 extend from the inside of the casing 3, respectively, so that the bimetal plate 6 extends between the two ribs 32, 33. The two ribs 32 and 33 prevent the bimetal plate 6 from being excessively deformed.

스위치 부재(4)는 케이싱(3)에 형성된 상부 구멍(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러그(lug;41)가 스위치 부재(4)의 일 단부의 하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연결 부재(5)는 러그(41)에 형성된 구멍(42)에 결합되는 일 단부(51)와, 후퇴부(52)를 갖는 타 단부를 구비하고 있다. 바이메탈판(6)의 돌출부(60)는 이동 가능하게 후퇴부(52)에 위치되어 있다. 스위치 부재(4)의 좌측 단부가 가압되면, 돌출부(60)는 후퇴부(52)의 내측에 의해 가압되어, 텅(62)은 제1 접촉점(71)으로부터 들려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를 차단 상태로 만든다.The switch member 4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hole 30 formed in the casing 3, and a lug 41 extends from the lower side of one end of the switch member 4. The connecting member 5 has one end 51 coupled to the hole 42 formed in the lug 41 and the other end having the retracted portion 52. The protrusion 60 of the bimetal plate 6 is located at the recess 52 so as to be movable. When the left end of the switch member 4 is pressed, the protrusion 60 is pressed by the inside of the recess 52 so that the tongue 62 is lifted from the first contact point 71 and the circuit as shown in FIG. To block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부재(4)의 우측 단부가 가압되면, 돌출부(60)는 후퇴부(52)의 내측에 의해 상승되고, 제2 접촉점(61)은 하강되어 제1 접촉점(71)에 접촉되어 회로를 연결 상태로 만든다.As shown in FIG. 7, when the right end of the switch member 4 is pressed, the protrusion 60 is raised by the inside of the recess 52, and the second contact point 61 is lowered to lower the first contact point ( 71) to make the circuit connected.

도 8,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과전류가 흐르고, 스위치 부재(4) 혹은 연결 부재(5)가 함께 끼거나 혹은 움직일 수 없는 상태가 되어 회전할 수 없을 때, 후퇴부(52)의 폭(△S)은 돌출부(60)가 그 내에서 이동하기에 충분한 폭으로 되어 있고, 텅(62)이 도 10a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도 10b에 도시된 위치로 상측으로 변형되어 회로를 차단 상태로 만든다.8, 10A and 10B, when the overcurrent flows and the switch member 4 or the connecting member 5 is stuck together or unable to move, the retracting portion 52 cannot be rotated. The width ΔS is wide enough for the protrusion 60 to move therein, and the tongue 62 is deformed upward from the position shown in FIG. 10A to the position shown in FIG. Make it.

본 고안에 의하면, 바이메탈판이 변형 가능하게 되어, 스위치 부재가 고장 혹은 움직일 수 없더라도 회로가 차단되도록 된 안전 스위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afety switch device in which a bimetal plate is deformable and the circuit is cut off even if the switch member fails or cannot move.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도시 및 기술하였으나, 또 다른 실시예가 본 고안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자라면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3)

각각 결합된 제1 터미널 플레이트 및 제2 터미널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케이싱, 상기 제2 터미널 플레이트에 고정 연결된 일 단부를 갖는 바이메탈판 및 상기 제1 터미널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제1 접촉점, 상기 바이메탈판에 연결되는 제2 접촉점, 상기 케이싱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스위치 부재, 그리고A casing having a first terminal plate and a second terminal plate coupled to each other, a bimetal plate having one end fixedly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plate, a first contact point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plate, and connected to the bimetal plate A second contact point, a switch member rotatably connected to the casing, and 상기 스위치 부재의 일 단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내부에 형성되는 후퇴부를 구비하며, 상기 바이메탈판의 타 단부가 상기 후퇴부에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어 있는 연결 부재A connection member movably coupled to one end of the switch member and formed therein, wherein the other end of the bimetal plate is movably positioned in the recess 를 포함하는 안전 스위치.Safety switch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케이싱의 내측으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2개의 리브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바이메탈판은 상기 2개의 리브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안전 스위치.And two ribs each extending from the inside of the casing, wherein the bimetal plate extends between the two rib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메탈판은 U자 형상 부재이고 2개의 레그와 상기 U자 형상 부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2개의 레그 사이에 위치된 하나의 텅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레그는 각각 상기 제2 터미널 플레이트의 2개의 보스에 설치되는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제2 접촉점은 상기 텅의 자유 단부에 위치하는 안전 스위치.2. The bimetallic plate of claim 1 wherein the bimetal plate is a U-shaped member and includes two legs and one tongue extending from the U-shaped member and positioned between the two legs, wherein the two legs are each the second leg. And a hole installed in two bosses of the terminal plate, the second contact point being located at the free end of the tongue.
KR2020010032631U 2001-10-25 2001-10-25 Safety switch KR20026143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631U KR200261431Y1 (en) 2001-10-25 2001-10-25 Safety switc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631U KR200261431Y1 (en) 2001-10-25 2001-10-25 Safety switc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1431Y1 true KR200261431Y1 (en) 2002-01-23

Family

ID=73111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2631U KR200261431Y1 (en) 2001-10-25 2001-10-25 Safety switc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1431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084Y1 (en) 2010-08-25 2012-06-21 주식회사 케이원 코퍼레이션 Switch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084Y1 (en) 2010-08-25 2012-06-21 주식회사 케이원 코퍼레이션 Switc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0672A (en) Safety switch built-in with protecting circuit
US6307460B1 (en) Power switch device
US6400250B1 (en) Safety switch
US20020130028A1 (en) Switch with an override interruption structure
US5786742A (en) Push button switch with override interruption structure
US7323650B2 (en) Protection mechanism for switch
US7208693B1 (en) Safety device for dual-circuit switch
KR100301878B1 (en) Small Push Button Switch
JP3070998U (en) Push-button current disconnect safety switch
US6788186B1 (en) Activation mechanism for switch devices
US6307459B1 (en) Power switch device
KR200261431Y1 (en) Safety switch
US6252490B1 (en) Safety plug and switch device
US6150624A (en) Keyswitch device
JP4149907B2 (en) power outlet
US20030071710A1 (en) Safety switch
US7026906B2 (en) Circuit breaker
US6617951B2 (en) Safety switch
US6480090B1 (en) Universal device for safety switches
KR200255196Y1 (en) Safety switch
US7005957B2 (en) Mechanism for trip-free of the bimetallic plate of a safety switch device
US7232971B2 (en) Circuit breaker
US6822179B1 (en) Circuit breaker
US7034650B2 (en) Protection mechanism for switches
KR200334426Y1 (en) Safety dual-circuit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