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4174U - Switch structure with overload breaking - Google Patents

Switch structure with overload break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4174U
KR19990014174U KR2019980022027U KR19980022027U KR19990014174U KR 19990014174 U KR19990014174 U KR 19990014174U KR 2019980022027 U KR2019980022027 U KR 2019980022027U KR 19980022027 U KR19980022027 U KR 19980022027U KR 19990014174 U KR19990014174 U KR 1999001417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blocking
switch
connection
over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202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배옥복
Original Assignee
배옥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옥복 filed Critical 배옥복
Priority to KR20199800220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4174U/en
Publication of KR199900141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174U/en

Links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서는 전력인가 스위치와 과부하 차단기를 하나의 구조물에 조립 제공하여 멀티콘센트 등에 적용시 한번에 조립함으로써 조립이 용이하고 또한 제작비 절감을 가져올 수 있으며, 스위치버튼과 과부하 차단버튼을 별도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과부하에 의한 전력 차단시 이를 용이하게 감지하여 적당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있는 과부하 차단 기능을 갖는 스위치 구조물을 공개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switch and the overload breaker are provided in one structure to be assembled at a time when applied to a multi-outlet, so that the assembly is easy and the production cost can be reduced. Disclosed is a switch structure having an overload cut-off function that can easily detect the power cut by the power cut by the appropriate action.

Description

과부하 차단 기능을 갖는 스위치 구조물Switch structure with overload breaking

본 고안은 과부하 차단 기능을 갖는 스위치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멀티콘센트나 트랜스에 조립 적용되어 이들에 대해 전력을 인가하거나 차단하고 동시에 과부하 시에는 전력 공급을 차단하여 그 자체와 이에 연결되는 각종 전기제품을 보호토록 하는 스위치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tch structure having an overload blocking function, and more specifically, is applied to the multi-conductor or transformer is applied to them, or at the same time to cut off the power supply when the overload is connected to itself It relates to a switch structure for protecting various electrical appliances.

일반적으로 멀티콘센트에는 전력을 인가 및 차단하기 위한 스위치가 조립 설치되는데, 최근에는 과부하로부터 스위치 및 콘센트에 연결된 전기제품을 보호하기 위해 자동 전력 차단기를 함께 구성하고 있다.In general, multi-outlets are equipped with a switch for applying and disconnecting power. Recently, an automatic power breaker has been configured together to protect electrical appliances connected to the switch and an outlet from overload.

아울러 최근에는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108084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회로차단기와 전원지시기를 함께 갖는 스위치 구조물도 사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여기에 개시된 스위치 구조물은, 내부에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양측에 따라서 외부에 부착된 록킹수단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형상을 갖는 커버와, 양측의 하부에서 한쌍의 피봇핀을 가지므로 상기 커버와 상기 하우징에 피봇 상태로 장착되는 시이소 버튼과, 각기 접지선, 열선 및 중립단자로서 작용하며 상기 하우징의 바닥에 형성된 3개의 록킹슬롯 속에 일부가 수용되는 3개의 전기전도성 블레이드와, 열변형성을 갖고 제 1 단부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의 내측 슬롯 속에 견고히 수용되는 제 1 유연성 전기전도성 플레이트와, 상기 중립 블레이드의 상부에 고정된 제 1 단부를 가지며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유연성 전기전도성 플레이트의 제 2 단부와 분리 가능하게 접속하는 제 2 접속단자를 갖는 제 2 단부를 가지는 열변형성 전기전도성 플레이트와, 상기 시이소 버튼의 일측으로부터 블록상에 형성된 구멍속에 수용되는 제3플러그스트립과 전방부에서 상기 제 2 유연성 전기전도성 플레이트와 분리 가능하게 접속되는 록킹슬롯을 갖는 접속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상기 시이소버튼의 좌측이 눌러질 때 상기 연결플레이트가 상기 제 2 유연성 전기전도성 플레이트를 하방으로 밀어 상기 열선 블레이드의 제 1 접속단자와 제 2 접속단자를 접속하게 하여 스위치 온 상태를 만들며, 저항으로 인해 접속점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상기 제 2 유연성 전기전도성 플레이트가 변형되어 상기 접속단자 사이를 자동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Recently, a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108084, a switch structure having a circuit breaker and a power supply indicator is also used. Specifically, the switch structure disclosed herein includes a housing having an inner space formed therein and having a locking means attached to the outside along both sides thereof, a cover having a shape coupled to the housing, and a pair of pivot pins at the lower sides of both sides. A seesaw button pivotally mounted to the cover and the housing, three electrically conductive blades each serving as a grounding wire, a heating wire, and a neutral terminal, each of which is accommodated in three locking slot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housing; A first flexible electroconductive plate having a first end and firmly received in an inner slot of the housing, and having a first end fixed at the top of the neutral blade and extending downwards of the first flexible electroconductive plate. A row having a second end with a second connecting terminal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econd end And a connecting plate having a deformable electroconductive plate, a third plug strip received in a hole formed on the block from one side of the seesaw button, and a locking slot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econd flexible electroconductive plate at the front part thereof. When the left side of the seesaw button is pressed, the connecting plate pushes the second flexible electroconductive plate downward to connect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of the heating wire blade to make a switched-on state, The second flexible electroconductive plate is deformed by the heat generated at the connection point, thereby automatically cutting off the connection terminals.

그러나 위에 예시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 전자와 같이 멀티콘센트에 스위치 및 차단기를 별도 제작하여 조립하는 경우에는 이의 제작과 조립이 두 번에 걸쳐 이루어지므로 번거롭고 경제성이 떨어진다. 그리고 회로차단기 및 전원지시기를 갖는 스위치 구조물의 경우는 하나의 스위치가 전력인가 스위치로 작동됨과 동시에 차단 스위치로 작동하게 되지만, 2개의 유연성 전기전도성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등 그 구조가 복잡하고 전력인가 스위치와 차단스위치가 구분되어 있지 않아 예를들어 전력이 차단된 경우 과부하에 의한 전력 차단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다. 따라서 과부하에 의한 전력 차단인 경우 어떠한 후속 조치 없이 스위치를 온(on) 시키게 되면 다시 과부하에 의해 전력이 차단되는 등 번거로워지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prior art exemplified above, when the switch and the circuit breaker ar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assembled in the multi-conductor as in the former, their manufacture and assembly are made twice, which is cumbersome and economical. In the case of a switch structure having a circuit breaker and a power supply indicator, one switch operates as a power-on switch and at the same time operates as a cutoff switch. However,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and it is complicated by using two flexible electroconductive plates. It is difficult to check whether the power is cut off due to overload, for example, when the power is cut off because there is no cut off switch. Therefore, in the case of the power cut off due to overload, when the switch is turned on without any follow-up,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ower is cut off by the overload again.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력의 인가 및 차단 스위치와 과부하 차단기를 구분하여 하나의 하우징이 형성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식별이 용이토록 함과 동시에 하나의 구조물에 두 개의 단위개체를 함께 구성함으로써 멀티콘센트나 트랜스의 전력인가 스위치로의 조립이 용이토록 한 과부하 차단용 스위치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purpose of which is to separate the application of the power switch and the breaker switch and the overload circuit breaker to form a housing to facilitate the user and at the same time to a single structure By constructing two unit objects togeth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overload cut-off switch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assembled into a power supply switch of a multi-conductor or a transform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과부하 차단 기능을 갖는 스위치 구조물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witch structure having an overload bloc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과부하 차단 기능을 갖는 스위치 구조물의 분해사시도.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witch structure having an overload breaking function.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스위치 온 상태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witched on state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4는 도 1의 A-A선에 따른 스위치 오프 상태의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witched-off state along line A-A in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하우징 11 : 스위칭부10 housing 11 switching unit

12 : 삽입홈 13 : 차단부12: insertion groove 13: block

14 : 결합핀 15 : 체결부재14: coupling pin 15: fastening member

20 : 스위치버튼 22 : 피봇핀20: switch button 22: pivot pin

24 : 받침대 26 : 램프24: pedestal 26: lamp

30 : 가압부재 32, 66 : 스프링30: pressure member 32, 66: spring

40 : 접속플레이트 42, 72, 57, 86 : 접점40: connection plate 42, 72, 57, 86: contact

50, 54, 56 : 블레이드 52 : 접속편50, 54, 56: blade 52: connection piece

55 : 가이드 58 : 연결탭55: guide 58: connection tab

58a, 76 : 연결구 59 : 연결핀58a, 76: connector 59: connecting pin

74, 74a, 92 : 결합구 60 : 차단버튼74, 74a, 92: coupler 60: blocking button

62 : 차단편 64 : 돌설부62: blocking piece 64: stone tongue

70 : 제 1 연결플레이트 80 : 제 2 연결플레이트70: first connection plate 80: second connection plate

82 : 연결편 84 : 바이메탈82: connecting piece 84: bimetal

90 : 커버부재90: cover member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부하 차단용 스위치 구조물은, 내부공간이 스위칭부와 차단부로 구분되고 양쪽 측면에는 멀티콘센트 또는 트랜스와의 조립을 위한 체결부재가 구비된 하우징과; 양측의 하부에 한쌍의 피봇핀을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에 피봇 상태로 장착되는 스위치버튼, 상기 스위치버튼의 하부에 조립되며 중앙 하부에는 원통체가 연장되어 있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원통체내에 탄성을 받도록 조립되는 가압부재, 상기 하우징의 바닥에 형성된 3개의 체결슬롯에 일부가 수용 고정되어 각기 접지, 중립 및 열선단자로 작용하는 전기전도성 블레이드들, 및 상기 중립단자 블레이드에 제 1 단부가 접속되고 제 2 단부는 열선단자 블레이드 상부에 위치토록 수용되어 상기 가압부재의 작동에 따라 시이소 되어 제 2 단부가 열선단자 블레이드에 접속/단락되는 전기전도성 접속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스위칭부와; 상기 하우징의 차단부 내부에 수용 고정되며 상기 스위칭부의 열선단자 블레이드와 연결되어 있는 전기전도성 제 1 연결플레이트, 상기 제 1 연결플레이트의 반대편에 수용 고정되는 전기전도성 제 2 연결플레이트, 상기 제 2 연결플레이트에 제 1 단부가 고정 접속되고 제 2 단부는 상기 제 1 연결플레이트에 접속되는 바이메탈, 및 하부에 탄성을 받는 돌설부와 차단편이 구비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플레이트 사이의 내부 슬롯에 돌설부가 지지되고 차단편이 상기 바이메탈과 제 2 연결플레이트의 접속점 하부에 위치토록 수용되며 상기 돌설부의 탄성력에 의해 과부하시 상기 접속점 사이를 단락시키는 차단버튼으로 이루어진 차단부와;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 끼워져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데에 특징이 있다.Switch structure for overload cut-off for achiev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ior space is divided into a switching unit and the blocking unit and both sides of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member for assembling the multi-conductor or transformer; A pair of pivot pins are provided at the lower sides of both sides, and the switch button is pivotally mounted to the housing, the lower part of the switch button is assembled, and the lower part of the center has a cylindrical body extended, and is assembled to receive elasticity in the cylindrical body of the pedestal. Pressurized member, a part of which is fixed to three fastening slot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housing, and electrically conductive blades respectively acting as ground, neutral and hot wire terminals, and a first end connected to the neutral terminal blade, and a second end. A switching unit compris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connecting plate housed above the hot wire blade blades and seesaw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sing member so that a second end thereof is connected / shorted to the hot wire blade blades; An electrically conductive first connection plate accommodated and fixed inside the blocking unit of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heat terminal blade of the switching unit, and an electrically conductive second connection plate accommodated and fix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late, and the second connection plate. A bimetal is fixedly connected to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plate, and a protrusion and a blocking piece are elastically provid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so that the protrusion is formed in the inner slo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lates. It is supported so that the blocking piece is located below the connection point of the bimetal and the second connection plate and the blocking portion consisting of a blocking button for shorting the connection point when the overloa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protrusion;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ver member fitted to the housing coupled.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소정의 접속단자를 갖는 램프가 받침대에 의해 스위치버튼내에 수용되고 이 램프는 스위치버튼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접지단자 블레이드에 접속/단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witching uni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lamp having a predetermined connection terminal is received in the switch button by a pedestal and the lamp is connected / shorted to the ground terminal blad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witch button.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과부하 차단 기능을 갖는 스위치 구조물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a switch structure having an overload brea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과부하 차단 기능을 갖는 스위치 구조물의 일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스위치 구조물은 소정 형상을 갖는 하우징(10)에 고정 설치되는데 모든 구성요소를 조립 설치한 후 커버부재(90)를 결합하여 완성한다. 스위치 구조물은 크게 스위칭부와 차단부로 분리될 수 있다. 대부분의 구성요소는 하우징(10) 내측에 설치되며, 스위치버튼(20), 차단버튼(60) 및 3개의 블레이드(50)(54)(56)의 경우에는 하우징(10)내에 일부 수용되고 일부는 하우징의 외부에 돌설되어 있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witch structure having an overload bloc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witch structure is fixedly installed in the housing 10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is completed by assembling the cover member 90 after assembling and installing all the components. The switch structure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 switching unit and a blocking unit. Most of the components are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0, and in the case of the switch button 20, the blocking button 60, and the three blades 50, 54, 56 are partially housed in the housing 10 and partly. Is protruded from the outside of the housing.

도 2의 분해사시도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하우징(10)에 대해 설명하고, 다음에 하우징내에 설치되는 스위칭부(11)과 차단부(13)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First, the housing 10 will be described, and then the switching unit 11 and the blocking unit 13 installed in the housing will be described.

스위치 구조물의 하우징(1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스위치 및 차단기의 구성요소들이 끼워져 고정되는 소정의 슬롯들이 공간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위칭부(11)와 차단부(13)가 분리되어 있으며 차단부(13)쪽의 하우징(10) 벽체가 개방되어 있어 각 구성요소의 조립 후 커버부재(90)를 결합하여 폐쇄시키는 구조이다. 즉 하우징(10)은 스위칭부(11)와 차단부(13)의 형성 공간 사이에 벽체에 대해 수직으로 어느정도 돌설된 소정의 격판이 형성되고, 이 격판의 각 모서리에 차단부(13)쪽으로 돌설된 결합핀(14)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하우징(10)의 상부면에는 스위칭부(11)와 차단부(13)의 각 버튼이 조립될 수 있는 구멍이 뚫려 있고 하우징 벽체의 양측 외벽에는 스위치 구조물을 멀티콘센트나 트랜스 등에 조립하기 위한 체결부재(15)가 구비되어 있다.The housing 10 of the switch structure has a space formed therein and predetermined slots in which the components of the switch and the breaker are fitted and fixed. In addition, since the switching unit 11 and the blocking unit 13 are separated and the housing 10 wall of the blocking unit 13 is opened, the cover member 90 is coupled and closed after assembling each component. . In other words, the housing 10 has a predetermined diaphragm which is somewhat protruded perpendicularly to the wall between the switching portion 11 and the forming space of the blocking portion 13, and protrudes toward the blocking portion 13 at each corner of the diaphragm. Coupling pins 14 are provided.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 has a hole through which the buttons of the switching unit 11 and the blocking unit 13 can be assembled, and fastening members for assembling the switch structure on the outer wall of both sides of the housing wall. (15) is provided.

상기 스위칭부(11)에는 스위치버튼(20), 받침대(24), 가압부재(30), 3개의 전기전도성 블레이드(50)(54)(56), 및 전기전도성 접속플레이트(40)가 수용되거나 조립 고정된다.The switch 11, the switch button 20, the pedestal 24, the pressing member 30, the three conductive blades 50, 54, 56, and the conductive connecting plate 40 or Assembly is fixed.

스위치버튼(20)은 하부의 양측에 한 쌍의 피봇핀(22)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스위치버튼(20)은 피봇핀(22)이 상기 하우징(10) 상단의 삽입홈(12)에 끼워 조립된다.The switch button 20 has a pair of pivot pins 2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portion, and an empty space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The switch button 20 is assembled to the pivot pin 22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2 of the top of the housing (10).

상기 스위치버튼(20)의 하부 빈 공간에는 소정의 접속단자(28)을 갖는 램프(26)(도 3 및 도 4 참조)을 넣은 상태에서 중앙 하부에 원통체가 연장되어 있는 받침대(24)가 끼워 조립된다. 즉, 램프(26)는 받침대(24)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받침대(24)의 원통체 속에는 스프링(32)과 함께 봉상의 가압부재(30)가 삽입 조립된다.In the lower empty space of the switch button 20, a pedestal 24 having a cylindrical body extended in the center is inserted in a state in which a lamp 26 having a predetermined connection terminal 28 (see FIGS. 3 and 4) is inserted. Are assembled. That is, the lamp 26 is supported by the pedestal 24. In the cylindrical body of the pedestal 24, a rod-like pressing member 30 is inserted and assembled together with the spring 32.

3개의 전기전도성 금속 블레이드(50)(54)(56)는 각기 접지선, 중립 및 열선 단자로 작용하는데, 상기 하우징(10)의 바닥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3개의 체결슬롯에 일부가 수용되어 고정된다. 접지선단자 블레이드(50)는 상부 쪽으로 접속편(52)이 연장되어 있으며, 이 접속편(52)은 상기 스위치버튼(20)의 온/오프시 상기 램프(26)의 접속단자(28)와 접속/단락 된다. 중립단자 블레이드(54)는 양쪽 단부에서 상부 쪽으로 연장되어 추후 설명하는 접속플레이트(40)의 좌우 이동을 방지하는 가이드(55)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열선단자 블레이드(56)는 상부에 수직으로 연장된 접속편이 형성되고 또 여기에서 상기 차단부(13)에 면 대응하도록 수직 연장된 연결구(58a)를 갖는 연결탭(58)이 구비되어 있다.The three electrically conductive metal blades 50, 54, 56 function as ground wires, neutral wires and hot wire terminals, respectively, and part of them are accommodated in three fastening slot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bottom of the housing 10. . The grounding terminal blade 50 has a connecting piece 52 extending upward, and the connecting piece 52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terminal 28 of the lamp 26 when the switch button 20 is turned on or off. / Shorted. The neutral terminal blade 54 extends from both ends toward the upper portion to form a guide 55 for preventing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connecting plate 40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hot-wire terminal blade 56 is provided with a connecting tab 58 having a connecting piece extending vertically on the upper part and having a connector 58a extending vertically to correspond to the blocking portion 13.

접속플레이트(40)는 일단이 상기 중립단자 블레이드(54)의 가이드(55) 사이에 접속된 상태로 위치하고 타단의 접점(42)(도 3 및 도 4 참조)이 상기 열선단자 블레이드(56)의 접속편 상부에 위치토록 수용되어 있다. 또한 이는 상부로부터 상기 가압부재(30)의 압력을 받아서 그의 작동에 따라 좌우로 시이소 되어 그 접점(42)이 열선단자 블레이드(56)의 접속편상 접점(57)에 접속/단락 되는 것이다.The connection plate 40 has one end connected between the guides 55 of the neutral terminal blade 54, and the other end contact 42 (see FIGS. 3 and 4) is connected to the hot wire blade 56. It is housed above the connecting piece. In addition, it receives the pressure of the pressing member 30 from the upper side and seesaws from side to side according to its operation so that the contact point 42 is connected / shorted to the contact point 57 on the connection piece of the hot-terminal blade 56.

상기 차단부(13)에는 전기전도성의 제 1 연결플레이트(70), 제 2 연결플레이트(80), 바이메탈(84) 및 차단버튼(60)이 조립 수용된다.In the blocking unit 13, an electrically conductive first connecting plate 70, a second connecting plate 80, a bimetal 84, and a blocking button 60 are assembled and accommodated.

제 1 연결플레이트(70)는 결합구(74)(74a)가 뚫려 있어 이에 대응하는 상기 하우징(10)의 결합핀(14)에 끼워 조립되는데 열선단자 블레이드(56)와 접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구(58a)(76)을 통해 연결핀(59)으로 고정하여 열선단자 블레이드(56)와 제 1 연결플레이트는 접속된다.The first connecting plate 70 is fitted with the coupling pins 74 and 74a of the coupling pin 14 of the housing 10 corresponding thereto, and is connected to the hot wire blade 56. Specifically, the hot wire terminal blade 56 and the first connection plate are connected by fixing the connection pins 59 through the coupling holes 58a and 76.

제 2 연결플레이트(80)는 상기 제 1 연결플레이트의 반대편 결합핀(14)에 끼워져 조립되는데, 그 중단에는 일단에 형성된 접점(86)이 상기 제 1 연결플레이트(70)의 접점(72)에 단락 가능토록 접속되어 있는 바이메탈(84)의 타단이 고정 접속되어 있다. 또한 선택적이기는 하지만 상부로부터 연장되어 소정 선로와의 연결편(82)이 구비될 수 있다.The second connecting plate 80 is assembled by being fitted to the opposite coupling pin 14 of the first connecting plate, and at the interruption thereof, a contact 86 formed at one end thereof is connected to the contact 72 of the first connecting plate 70. The other end of the bimetal 84 which is connected so that short circuit is possible is fixedly connected. It is also optional but extending from the top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ing piece 82 with a predetermined line.

차단버튼(60)은 하부에 돌설부(64)가 있어 여기에 스프링(66)이 끼워진다. 또 돌설부(64)에 수직방향으로 차단편(62)이 연장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차단버튼(60)은 상기 돌설부(64)가 상기 하우징(10)내 내부 슬롯에 지지되어 스프링(66)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탄성을 받는 상태로 제 1 및 제 2 연결플레이트(70)(80)의 사이에 수용되도록 조립된다. 따라서 상기 차단편(62)은 서로 단락 가능 상태로 접속되어 있는 상기 바이메탈(84)의 접점(86)과 제 1 연결플레이트(70)의 접점(76) 사이의 바로 밑에 위치된다.The cutoff button 60 has a protrusion 64 at the bottom thereof, and the spring 66 is fitted therein. In addition, the blocking piece 62 extends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rotrusion 64. The blocking button 60 of this configuration is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late 70 in a state that the protrusion 64 is supported in the inner slot in the housing 10 and is elastically upward by the spring 66. It is assembled to be accommodated between the (80). Accordingly, the blocking piece 62 is located directly below the contact 86 of the bimetal 84 and the contact 76 of the first connecting plate 70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short circuitable state.

상기 커버부재(90)는 하우징(10)에 모든 구성요소가 조립 수용된 후 마지막으로 조립된다. 즉 네 모서리 부분에 형성된 결합구(92)를 이에 대응하는 하우징(10)의 결합핀(14)에 끼워 조립하게 된다.The cover member 90 is finally assembled after all the components are housed in the housing 10. In other words, the coupling holes 92 formed at the four corner portions are assembled to the coupling pins 14 of the housing 10 corresponding thereto.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과부하 차단 기능을 갖는 스위치 구조물의 작용을 스위치 구조물의 온/오프 상태를 보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The operation of the switch structure having an overload bloc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showing the on / off state of the switch structure.

스위치 오프 상태에서 스위치버튼(20)의 온 방향을 눌러 스위치 온 시키면, 버튼 하부에 조립 고정된 받침대(24)와 여기에 끼워져 있는 가압부재(30)가 일측으로 밀리게 되면서 가압부재(30)는 그 하부의 접속플레이트(40)의 우측 절곡 위치에서 멈추면서 누르게 된다. 이때 가압부재(30)는 스프링(32)의 탄성에 의해 받침대(24)에 밀려들어가면서 부드럽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접속플레이트(40)의 우측 단부(도 3 참조)의 접점(42)이 열선단자 플레이트(50)의 접점(57)에 접속되어 결국 열선단자 플레이트(50)와 중립단자 플레이트(54)가 연결되므로 멀티콘센트에 전력을 인가하게 되는 것이다.When the switch is turned on by pressing the on direction of the switch button 20 in the switch-off state, the pressing member 30 is pushed to one side while the base 24 fixed to the button and the pressing member 30 fitted thereto are pushed to one side. Pressing stops at the right bending position of the lower connection plate 40. At this time, the pressing member 30 can be moved smoothly while being pushed into the pedestal 24 by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32). Accordingly, the contact 42 of the right end (see FIG. 3) of the connecting plate 40 is connected to the contact 57 of the hot terminal plate 50, so that the hot terminal plate 50 and the neutral terminal plate 54 are connected. Therefore, power is applied to the multi-outlet.

한편, 스위치가 온 되면 접지선단자 블레이드(50)의 접속편(52)이 램프(26)의 접속단자(28)에 접속되어 램프에 불이 들어와 스위치 온 상태를 외부에 표시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witch is turned on, the connecting piece 52 of the grounding terminal blade 5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ng terminal 28 of the lamp 26 so that the lamp is lit to display the switched on state externally.

반대로 스위치를 오프 시키게 되면(도 4 참조) 가압부재(30)가 좌측으로 밀리게 되면서 그 하부의 접속플레이트(40) 좌측을 누르게 되어 접속플레이트(40)의 접점(42)이 열선단자 플레이트(50)의 접점(57)에서 떨어지게 되어 결국 열선단자 플레이트(50)와 중립단자 플레이트(54)가 단락되므로 멀티콘센트에 대한 전력이 차단되는 것이다. 이때에 접속플레이트(40)의 좌측 단부에 각기 양 방향으로 수직되게 절곡 연장된 부분(44)(46)은 가압부재(30)의 이동을 억제하여 가압부재가 이 플레이트의 상부면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접속플레이트가 하방으로 밀려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switch is turned off (see FIG. 4), the pressing member 30 is pushed to the left side and the left side of the connecting plate 40 is pressed to the left side of the contact plate 40. The contact 57 of the ()) and eventually the hot terminal plate 50 and the neutral terminal plate 54 is short-circuited, the power to the multi-conductor is cut off. At this time, the portions 44 and 46 which are bent and extended vertically in both directions to the left end of the connecting plate 40 suppress the movement of the pressing member 30, thereby preventing the pressing membe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At the same time, the connection plate is prevented from being pushed downward.

한편, 스위치 온 상태에서 과전류 즉 과부하가 걸리는 경우에는 차단부(13) 쪽의 바이메탈(84)이 열에 의해 유연해지면서 그 접점(86)과 열선단자 블레이드(56)에 연결된 제 1 연결플레이트(70)의 접점(72) 사이의 접속력이 약해지게 되며, 이때에 스프링(66)의 탄성을 받고 있는 차단버튼(60)이 상부 쪽으로 밀리면서 그 차단편(62)가 두 접점(72)(86) 사이에 끼여 들어오게 되어 열선단자 블레이드(56)와의 연결을 단락시키므로 전류가 차단된다.On the other hand, when an overcurrent, i.e., an overload is applied in the switched-on state, the first metal plate 70 connected to the contact 86 and the hot wire blade 56 becomes flexible by the heat, and the bimetal 84 on the side of the breaker 13 is heated. ), The connection force between the contacts 72 is weakened, and at this time, the blocking piece 60 is pushed toward the upper side while the blocking button 60 receiving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66 is pushed toward the two contacts 72 and 86. ) Is inserted into the circuit and short-circuits the connection with the hot wire blades 56 so that the current is cut off.

따라서 과부하에 의한 차단버튼(60)이 작동한 경우에는 멀티콘센트 등의 상태, 즉 어떠한 전자제품이 사용되어 과전류를 흐르게 하였는지를 판별하여 원인 제공 물품을 제거한 후 차단버튼(60)을 누르면 다시 상기 두 접점(72)(86) 사이의 차단편(62)이 하부로 밀려나게 되므로 스위치버튼(20)의 온/오프에 의해 전력을 인가/차단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when the cut-off button 60 due to overload is operated, the state of the multi-outlet, that is, which electronics ar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overcurrent flows, and removes the cause-providing article and then presses the cut-off button 60 again to contact the two contacts. Since the blocking piece 62 between the 72 and 86 is pushed downward, power can be applied / blocked by the on / off of the switch button 20.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과부하 차단 기능을 갖는 스위치 구조물은 전력 인가 스위치와 과부하 차단기를 하나의 구조물에 조립 제공함으로써 멀티콘센트 등에 적용시 한번에 조립할 수 있게 되어 그 제작비 절감은 물론 조립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스위치버튼과 차단버튼을 별도 구성하였기 때문에 사용자가 과부하에 의한 전력 차단시 이를 용이하게 감지하여 적당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있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As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witch structure having an overload block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ssembled at a time when applied to the multi-conductor by applying the power supply switch and the overload circuit breaker in a single structur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s well as the assembly In addition to providing convenience, the switch button and the blocking button are separately configured, so that the user can easily detect this when the power is cut off due to overload and take appropriate measures.

Claims (3)

내부공간이 스위칭부와 차단부로 구분되고 양쪽 측면에는 멀티콘센트 또는 트랜스와의 조립을 위한 체결부재가 구비된 하우징과;An inner space divided into a switching unit and a blocking unit, and a housing having fastening members for assembling with a multi-outlet or a transformer on both sides; 양측의 하부에 한쌍의 피봇핀을 구비하여 상기 하우징에 피봇 상태로 장착되는 스위치버튼, 상기 스위치버튼의 하부에 조립되며 중앙 하부에는 원통체가 연장되어 있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원통체내에 탄성을 받도록 조립되는 가압부재, 상기 하우징의 바닥에 형성된 3개의 체결슬롯에 일부가 수용 고정되어 각기 접지, 중립 및 열선단자로 작용하는 전기전도성 블레이드들, 및 상기 중립단자 블레이드에 제 1 단부가 접속되고 제 2 단부는 열선단자 블레이드 상부에 위치토록 수용되어 상기 가압부재의 작동에 따라 시이소 되어 제 2 단부가 열선단자 블레이드에 접속/단락되는 전기전도성 접속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스위칭부와;A pair of pivot pins are provided at the lower sides of both sides, and the switch button is pivotally mounted to the housing, the lower part of the switch button is assembled, and the lower part of the center has a cylindrical body extended, and is assembled to receive elasticity in the cylindrical body of the pedestal. Pressurized member, a part of which is fixed to three fastening slot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housing, and electrically conductive blades respectively acting as ground, neutral and hot wire terminals, and a first end connected to the neutral terminal blade, and a second end. A switching unit compris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connecting plate housed above the hot wire blade blades and seesaw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sing member so that a second end thereof is connected / shorted to the hot wire blade blades; 상기 하우징의 차단부 내부에 수용 고정되며 상기 스위칭부의 열선단자 블레이드와 연결되어 있는 전기전도성 제 1 연결플레이트, 상기 제 1 연결플레이트의 반대편에 수용 고정되는 전기전도성 제 2 연결플레이트, 상기 제 2 연결플레이트에 제 1 단부가 고정 접속되고 제 2 단부는 상기 제 1 연결플레이트에 접속되는 바이메탈, 및 하부에 탄성을 받는 돌설부와 차단편이 구비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연결플레이트 사이의 내부 슬롯에 돌설부가 지지되고 차단편이 상기 바이메탈과 제 2 연결플레이트의 접속점 하부에 위치토록 수용되며 상기 돌설부의 탄성력에 의해 과부하시 상기 접속점 사이를 단락시키는 차단버튼으로 이루어진 차단부와;An electrically conductive first connection plate accommodated and fixed inside the blocking unit of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heat terminal blade of the switching unit, and an electrically conductive second connection plate accommodated and fixed to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plate, and the second connection plate. A bimetal is fixedly connected to the first end and the second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plate, and a protrusion and a blocking piece are elastically provid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so that the protrusion is formed in the inner slo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lates. It is supported so that the blocking piece is located below the connection point of the bimetal and the second connection plate and the blocking portion consisting of a blocking button for shorting the connection point when the overloa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protrusion;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 끼워져 결합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과부하 차단 기능을 갖는 스위치 구조물.And a cover member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hou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는 소정의 접속단자를 갖는 램프가 받침대에 의해 스위치버튼내에 수용되고 이 램프는 스위치버튼의 동작에 따라 상기 접지단자 블레이드에 접속/단락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 차단 기능을 갖는 스위치 구조물.The overload cut-off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witching unit is configured such that a lamp having a predetermined connection terminal is received in the switch button by a pedestal, and the lamp is connected / shorted to the ground terminal blade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witch button. Switch structure with the fun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의 제 1 및 제 2 연결플레이트는 상기 커버부재 조립을 위한 상기 하우징의 결합구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부하 차단 기능을 갖는 스위치 구조물.The switch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lates of the blocking unit are fitted into and fixed to the coupling hole of the housing for assembling the cover member.
KR2019980022027U 1998-11-13 1998-11-13 Switch structure with overload breaking KR19990014174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027U KR19990014174U (en) 1998-11-13 1998-11-13 Switch structure with overload break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027U KR19990014174U (en) 1998-11-13 1998-11-13 Switch structure with overload break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174U true KR19990014174U (en) 1999-04-26

Family

ID=69508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2027U KR19990014174U (en) 1998-11-13 1998-11-13 Switch structure with overload break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4174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084Y1 (en) * 2010-08-25 2012-06-21 주식회사 케이원 코퍼레이션 Switch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1084Y1 (en) * 2010-08-25 2012-06-21 주식회사 케이원 코퍼레이션 Switch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2052A (en) Latching and release system for ground fault receptacle
US7210960B2 (en) Extension cor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4939615A (en) Latching and release system for ground fault receptacle
US6843673B1 (en) Coaxial connector structure
GB2318694A (en) A switch for connection to a bus bar
US8766761B2 (en) Rocker switch unit with fuse
CA1257314A (en) Overload protective circuit breaker
US5936505A (en) Circuit breaker
CA2402050C (en) Electrical connector
US20040145446A1 (en) Overload prevention plug structure
KR19990014174U (en) Switch structure with overload breaking
US4236128A (en) Ground fault receptacle
EP1073162B1 (en) Switch device with AC inlet
CN210040064U (en) Multifunctional temperature controller
US6480090B1 (en) Universal device for safety switches
JP4203616B2 (en) Switch terminal device
CN113489382B (en) Integrated motor starting protector
CN218351330U (en) Overload protection key switch and electrical appliance
KR200261456Y1 (en) Overload-breaking switch
US9105424B2 (en) Rocker switch unit
KR100306488B1 (en) Switch having cut-off function for overload
KR200176985Y1 (en) Switch having cut-off function for overload
CN216750541U (en) Socket and power connection assembly
CN210006669U (en) manual reset kick type temperature controller
KR102626056B1 (en) connector combined type plug safe parating soc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