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835Y1 - 골프티 - Google Patents

골프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835Y1
KR200460835Y1 KR2020110006511U KR20110006511U KR200460835Y1 KR 200460835 Y1 KR200460835 Y1 KR 200460835Y1 KR 2020110006511 U KR2020110006511 U KR 2020110006511U KR 20110006511 U KR20110006511 U KR 20110006511U KR 200460835 Y1 KR200460835 Y1 KR 2004608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upport
golf
fixing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5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리 아브라함
이한석
Original Assignee
리 아브라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 아브라함 filed Critical 리 아브라함
Priority to KR20201100065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8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8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8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10Golf tees
    • A63B57/12Golf tees attached to strap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하면, 하단부가 지중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하부몸체; 골프공을 올려놓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지지대를 포함하는 상부몸체; 및 상기 상부몸체가 회동 가능하게 상기 하부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골프티가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골프티에 의하면, 드라이버의 스윙 방향으로 접혀지게 되므로 저항이 감소되어 사용자는 힘을 들이지 않고 원할 한 드라이버 샷이 가능하며, 또한 볼(Ball)을 멀리 칠 수 있다. 게다가 드라이버 샷시 제자리에서 접혀지고, 또한 바로 원위치 되도록 복귀할 수 있으므로 분실 및 파손을 방지하며, 나아가 휴대가 간편하고 파손이 없어 재 구입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골프티{Golf tee}
본 고안은 골프티(Bending golf tee)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골프공이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하여 드라이버 샷(Driver shot)이 용이하도록 구비되는 골프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는 클럽(club)으로 공을 쳐서 필드에 마련된 홀에 차례대로 넣어 가는 경기로서, 통상적인 골프코스는 18홀로 이루어지며, 타수가 가장 적은 사람이 승리를 하는 경기이다. 이러한 골프는 각 홀의 제1타를 치는 장소인 티 그라운드에서 출발하여 퍼팅 그린에 설치된 홀 컵에 공을 넣는 홀 아웃으로 1홀의 플레이가 끝나게 되며, 이러한 과정이 끝나면 다음 홀로 이동하여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는 것으로 18홀을 돌아 한 라운드를 끝내게 된다.
상기의 티 그라운드에서 제1타를 치는 티 샷(tee shot)을 하려면, 골프공을 그라운드에서 소정의 위치로 올려놓은 상태로 지지하는 골프티가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골프 티는, 끝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어 그라운드에 꽂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고정부와, 이 고정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면서 골프공이 놓여지는 받침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골프티에 공을 올려놓고 원하는 방향으로 드라이버 샷을 하게 된다.
그러나 골프채의 헤드가 골프티의 노출된 부위를 가격하게 되면, 그 충격으로 인해 부러지게 되어 재사용할 수 없게 되며, 부러지지 않는다 하더라도 지면에서 뽑혀 멀리 튀어나가 분실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골프게임의 흥미를 반감시킨다. 게다가 골프티의 추가 구입에 따른 비용손실이 생기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고안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2001-0244784호(2001.08.20)에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드라이버샷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드라이버의 스윙방향으로 티가 전도되어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상기 골프티의 분실과 손상을 방지하여 사용자들의 비용부담을 줄이면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골프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하단부가 지중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하부몸체; 골프공을 올려놓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지지대를 포함하는 상부몸체; 및 상기 상부몸체가 회동 가능하게 상기 하부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골프티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은, 구형(求刑)의 제1연결구와, 일단이 상기 지지대의 하단과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제1연결구의 중앙에 결합하는 제1연결핀과, 상기 고정핀의 상단부로부터 연장 결합되고, 상기 제1연결구가 회동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상기 제1연결구에 대응하는 제1안착홈이 형성된 제1안착부와, 상기 제1안착부의 상단에 결합하여 상기 제1연결구의 상부 외주면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원주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열되는 제1체결편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체결편은, 상기 제1연결구를 탄성 지지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른 고정수단은, 구형의 제2연결구와, 상기 고정핀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연결구가 제1방향으로만 회동 가능하게 삽입된 채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제2안착홈 형성된 제2안착부와, 상기 상부몸체의 하단부로부터 연장 결합되고, 상기 제2연결구의 상기 제1방향으로의 회동을 구속하지 않도록 상기 제2연결구의 양 측부에 결합하며, 상부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고정수단은, 구형(求刑)의 제3연결구와, 일단이 상기 지지대의 하단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제3연결구의 중앙에 결합하는 제2연결핀과, 상기 고정핀의 상단부로부터 연장 결합되고, 상기 제3연결구가 회동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상기 제3연결구에 대응하는 제3안착홈이 형성된 제3안착부와, 상기 제3연결구의 상부 외주면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원주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열되는 제2체결편과, 상기 제3안착부의 상부와 상기 제2체결편의 하부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결합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착탈결합수단은, 상기 제2체결편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3연결구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스커트와, 상기 스커트의 하단 내주면에 돌출된 걸림돌기와, 상기 제3안착부의 상단 외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돌기가 대응하여 삽입될 수 있는 걸림홈이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골프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는 드라이버의 스윙 방향으로 접혀지게 되므로 저항이 감소되어 사용자는 힘을 들이지 않고 원할 한 드라이버가 가능하며, 또한 볼(Ball)을 멀리 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둘째, 드라이버 샷시 제자리에서 접혀지고, 또한 바로 원위치 되도록 복귀할 수 있으므로 분실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기존에 골프티는 부서진 조각들로 인하여 문제되던 환경오염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를 사용하게 됨으로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기존에는 복수의 골프티를 휴대하였던 것을, 한 개의 골프티 만으로도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휴대가 용이하고 복수의 골프티를 구입하기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다섯째, 골프티의 분실 및 파손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서, 원활한 골프게임 진행을 유도할 수 있다.
여섯째, 골프티의 파손이 없어져서 재 구입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골프티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골프티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의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4에 나탄낸 골프티의 결합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의 분리사시도,
도 7은 도 6에 나타낸 골프티의 결합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골프티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나타낸 골프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100)는, 하부몸체(110)와, 상부몸체(120)와, 고정수단(130)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몸체(110)는, 고정핀(111)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핀(111)은, 하단이 지면을 향하여 뾰족하게 쐐기의 형상을 가지며, 지중에 용이하게 꽂을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한다. 게다가 상기 고정핀(111)은, 상기 하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는 원형의 바(Bar) 타입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일 뿐, 상기 고정핀(111)이 지중에 꽂을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각 또는 삼각의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상부몸체(120)는, 받침대(121)와, 지지대(12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받침대(121)는, 골프공이 안착될 수 있도록 가운데가 오목하게 구비된다. 게다가 상기 지지대(122)는, 상기 받침대(12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122)는, 하단으로 연장되는 원형의 바(Bar) 타입으로 형성되나, 이는 예시적일 뿐,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각 또는 삼각의 형상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지지대(122)는, 나무 또는 합성수지재 등의 소재를 사용하나, 이는 예시적일 뿐, 상기 지지대(122)가 드라이버시 골프채의 헤드부(미도시)로부터 발생되는 충격에 견딜 수 있다면 그 소재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금속재일 수 있다.
상기 고정수단(130)은, 제1연결핀(131)과, 제1연결구(132)와, 제1안착부(133)와, 제1체결편(134)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연결핀(131)은, 일측이 상기 지지대(122)의 하단부에 삽입 고정되며, 하방으로 연장 돌출된다. 게다가 하방 돌출된 타측은 후술(後術)할 제1연결구(132)의 상단 중앙에 삽입 고정 된다. 이러한 제1연결핀(131)은, 상기 지지대(122)와 제1연결구(132)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더욱이 상기 제1연결핀(131)은, 드라이버시 상기 지지대(122) 및 제1연결구(132)와 함께 회전하며, 후술할 제1체결편(134)들 사이에서 가이드 되어 회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제1연결핀(131)은, 금속재질을 사용하지만, 이는 예시적일 뿐, 상기 지지대(122)와 제1연결구(132)를 견고하게 고정하는 기능을 갖는다면, 그 재료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연결구(132)는, 구형(求刑)으로 형성되며, 후술할 제1안착부(133)에 회동 가능하게 안착된다. 여기서 상기 제1연결구(132)는, 상단 중앙으로 상기 제1연결핀(131)의 타 측이 일부 삽입 고정된다.
상기 제1안착부(133)는, 상기 하부몸체(110)의 고정핀(111)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형성 된다. 게다가 내부에는 상기 제1연결구(132)에 대응하여 제1안착홈(133a)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안착홈(133a)에는, 상기 제1연결구(132)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제1체결편(134)은, 상기 제1안착부(133)의 상단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체결편(134)은, 상기 제1안착부(133)의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일정간격을 갖고 이격되게 배열된다. 그리고 제1연결구(132)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도록 상단으로 굴곡진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제1체결편(13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몸체(120)가 상기 드라이버 샷의 방향으로 젖혀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연결핀(131)은, 회동되는 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제1체결편(134)들 사이에서 가이드 되어 젖혀지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체결편(134)은, 상기 제1연결구(132)를 일부 감싸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이는 드라이버 샷을 하게 될 경우를 말하는 것이며, 상기 제1연결구(132)를 교체 시에는, 상기 제1체결편(134)들의 단부들 사이에서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다. 부연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버시에는 상기 상부몸체(120)가 회전방향으로 젖혀지게 되어, 상기 제1체결편(134)들에 의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하지만 교체 시에는, 상기 제1연결구(132)를 중심으로 상기 상부몸체(120)를 수직하게 세우고, 상기 체결편(134)의 단부사이에서 상단을 향해 잡아당기게 되면 탈락하게 된다. 이러한 제1체결편(134)은, 탄성을 갖는 금속 소재들로 형성되지만, 이는 예시적일 뿐, 상기 제1연결구(132)를 착탈 가능하게 삽입한다면 다양한 소재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Flexible)하게 형성된 합성수지 등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나탄낸 골프티의 결합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하는 동일부재이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200)는, 고정수단(23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수단(230)은, 2연결구(232)와, 제2안착부(233)와, 상부연결부(23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연결구(232)는, 구형(求刑)으로 형성되며 상기 받침대(121)로부터 하방 연장된 상기 지지대(122)의 단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제2연결구(232)에는 양 측으로 후술할 상부연결부(235)가 각각 고정 결합된다.
상기 제2안착부(233)는, 상기 하부몸체(110)의 고정핀(111)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연결구(232)를 안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제2안착부(233)는, 상기 제2연결구(232)의 외주면 일부와 대응 형성된 제2연결홈(233a)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2연결홈(233a)에는, 상기 제2연결구(232)가 1방향으로만 회동가능하게 삽입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상부연결부(235)는, 상기 지지대(122)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연결구(232)의 양 측부를 결합하도록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연결부(235)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연결구(232)가 상기 제1방향으로의 회동을 구속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하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나타낸 골프티의 결합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낸 참조부호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하는 동일부재이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골프티(300)는, 고정수단(330)과, 착탈결합수단(34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수단(330)은, 제3연결구(332)와, 제2연결핀(331)과, 제3안착부(333)와, 제2체결편(334)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3연결구(332)는, 구형(求刑)으로 형성되며, 후술할 제3안착부(333)에 회동 가능하게 안착된다. 여기서 상기 제3연결구(332)는, 상단 중앙으로 후술할 제2연결핀(331)이 일부 삽입 고정된다.
상기 제2연결핀(331)은, 일단이 상기 제3연결구(332)의 중앙에 고정 결합된다. 게다가 타단은 상기 지지대(122)의 하단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은, 상기 제2연결핀(331)의 타단 외주부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122)의 단부 내측과 나사결합 된다.
상기 제3안착부(333)는, 상기 하부몸체(110)의 고정핀(111)으로부터 연장형성 된다. 게다가 내부에는 상기 제3연결구(332)에 대응하여 제3안착홈(333a)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3안착홈(333a)에는, 상기 제3연결구(332)가 회동 가능하게 안착된다.
상기 제2체결편(334)은, 후술할 스커트(341)에 연장되어 원주방향으로 복수 개가 일정 간격을 갖고 이격되게 배열된다. 게다가 상기 제3연결구(332)의 외주면을 일부 감싸도록 상단으로 굴곡진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제2체결편(334)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버시 상기 상부몸체(120)가 상기 드라이브 방향으로 젖혀지게 되고, 이때 상기 제2연결핀(331)이 회동되는 방향의 상기 제2체결편(334)들 사이에서 가이드 되며 젖혀지게 된다.
상기 착탈결합수단(340)은, 스커트(341)와, 결합부(34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커트(341)는, 상기 제2체결편(334)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3연결구(332)의 외주면을 일부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스커트(341)는 내부면에 걸림돌기(341a)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돌기(341a)는, 후술할 결합부(342)의 걸림홈(342a)에 대응하여 삽입되도록 돌출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342)는, 상기 제3안착부(333)의 상단 외주면에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342)는 걸림홈(342a)을 포함한다. 이러한 걸림홈(342a)에는 상기 걸림돌기(341a)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대응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스커트(341)와, 상기 결합부(342)는 분리 가능하게 체결되므로, 상기 제3연결구(332)를 교체 시 상하 분리하여 교체한다. 하지만 대안적으로, 상기 제3연결구(332)는 제2체결편(334)의 단부들 사이에서도 교체가 가능하다.
부연하면, 상기 제2체결편(334)은, 상기 제3연결구(332)를 일부 감싸며 이탈을 방지하지만, 이는 드라이버 샷을 하게 될 경우를 말하는 것이며, 상기 제3연결구(332)를 교체할 때는, 상기 제2체결편(334)의 단부들 사이에서 용이하게 착탈된다. 즉, 회전방향으로 젖혀지게 될 때는 상기 제2체결편(334)들에 의해 상기 제3연결구(332)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지만, 상기 제3연결구(332)를 교체할 때에는, 상기 제2체결편(334)의 단부들 사이에서 상단으로 탈락이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제2체결편(334)은, 탄성을 갖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지만, 이는 예시적일 뿐, 상기 제3연결구(332)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한다면, 플렉서블(Flexible)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합성수지 등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상기 골프티(100)(200)(300)는, 드라이버의 스윙 방향으로 접혀지게 되므로 저항이 감소되어 사용자는 힘을 들이지 않고 원할 한 드라이버가 가능하며, 또한 볼(Ball)을 멀리 칠 수 있다. 게다가 드라이버 샷시 제자리에서 접혀지고, 또한 바로 원위치 되도록 복귀할 수 있으므로 분실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 골프티는 부서진 조각들로 인하여 문제되던 환경오염이, 접히는 골프티를 사용하게 됨으로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기존에는 복수의 골프티를 휴대하였던 것을, 한 개의 접히는 골프티 만으로도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휴대가 용이하고 복수의 골프티를 구입하기 위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더욱이 접히는 골프티의 분실 및 파손을 미연에 방지함으로서, 원활한 골프게임 진행을 유도할 수 있으며, 나아가 파손이 없어 재 구입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200, 300: 골프티 110: 하부몸체
111: 고정핀 120: 상부몸체
121: 받침대 122: 지지대
130, 230, 330: 고정수단 131, 331: 제1연결핀, 제2연결핀
132, 232, 332: 제1연결구, 제2연결구, 제3연결구
133, 233, 333: 제1안착부, 제2안착부, 제3안착부,
133a, 233a, 333a, : 제1안착홈, 제2안착홈, 제3안착홈 134, 334: 제1체결편, 제2체결편 235: 상부연결부
340: 착탈결합수단 341: 스커트
341a: 걸림돌기 342: 결합부
342a: 걸림홈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하단부가 지중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하부몸체;
    골프공을 올려놓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지지대를 포함하는 상부몸체; 및
    상기 상부몸체가 회동 가능하게 상기 하부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구형의 제2연결구와,
    상기 고정핀의 상단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연결구가 제1방향으로만 회동 가능하게 삽입된 채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제2안착홈이 형성된 제2안착부와,
    상기 상부몸체의 하단부로부터 연장 결합되고, 상기 제2연결구의 상기 제1방향으로의 회동을 구속하지 않도록 상기 제2연결구의 양 측부에 결합하며, 상부연결부를 포함하는 골프티.
  5. 하단부가 지중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하부몸체;
    골프공을 올려놓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지지대를 포함하는 상부몸체; 및
    상기 상부몸체가 회동 가능하게 상기 하부몸체에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구형(求刑)의 제3연결구와,
    일단이 상기 지지대의 하단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제3연결구의 중앙에 결합하는 제2연결핀과,
    상기 고정핀의 상단부로부터 연장 결합되고, 상기 제3연결구가 회동 가능하게 안착되도록, 상기 제3연결구에 대응하는 제3안착홈이 형성된 제3안착부와,
    상기 제3연결구의 상부 외주면을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원주방향으로 복수 개가 배열되는 제2체결편과,
    상기 제3안착부의 상부와 상기 제2체결편의 하부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착탈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골프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착탈결합수단은,
    상기 제2체결편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3연결구의 외주면 일부를 감싸는 스커트와,
    상기 스커트의 하단 내주면에 돌출된 걸림돌기와,
    상기 제3안착부의 상단 외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돌기가 대응하여 삽입될 수 있는 걸림홈이 형성된 결합부를 포함하는 골프티.
KR2020110006511U 2011-07-18 2011-07-18 골프티 KR2004608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511U KR200460835Y1 (ko) 2011-07-18 2011-07-18 골프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511U KR200460835Y1 (ko) 2011-07-18 2011-07-18 골프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0835Y1 true KR200460835Y1 (ko) 2012-06-11

Family

ID=46607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511U KR200460835Y1 (ko) 2011-07-18 2011-07-18 골프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83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36521B2 (en) * 2013-06-24 2015-01-20 Abraham C. Lee Foldable golf tee
KR101845207B1 (ko) * 2017-11-14 2018-04-03 김현우 수직 보정이 용이한 골프티
KR101894480B1 (ko) 2018-05-03 2018-09-04 박정주 각도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KR102354853B1 (ko) * 2021-01-28 2022-02-08 이호기 골프 보조 기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004Y1 (ko) 2003-09-29 2004-01-16 주식회사 선프라텍 골프티
KR100701333B1 (ko) 2006-03-17 2007-04-03 유병현 골프티
KR101026703B1 (ko) 2009-04-08 2011-04-08 이재웅 골프 연습 매트용 골프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9004Y1 (ko) 2003-09-29 2004-01-16 주식회사 선프라텍 골프티
KR100701333B1 (ko) 2006-03-17 2007-04-03 유병현 골프티
KR101026703B1 (ko) 2009-04-08 2011-04-08 이재웅 골프 연습 매트용 골프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36521B2 (en) * 2013-06-24 2015-01-20 Abraham C. Lee Foldable golf tee
KR101845207B1 (ko) * 2017-11-14 2018-04-03 김현우 수직 보정이 용이한 골프티
WO2019098645A1 (ko) * 2017-11-14 2019-05-23 김현우 수직 보정이 용이한 골프티
KR101894480B1 (ko) 2018-05-03 2018-09-04 박정주 각도 조절이 가능한 골프티
KR102354853B1 (ko) * 2021-01-28 2022-02-08 이호기 골프 보조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0835Y1 (ko) 골프티
US9339706B2 (en) Golf teeing device
US8512163B2 (en) Divot caddy
US6344003B1 (en) Golf tee
JP2007521040A (ja) ゴルフティー
US8936521B2 (en) Foldable golf tee
US8968118B2 (en) Golf teeing device
KR101171965B1 (ko) 골프티
KR20180002433U (ko) 골프티
KR101140813B1 (ko) 고정핀 부착형 골프티
KR200412023Y1 (ko) 방향 지시형 골프티
KR100538741B1 (ko) 파손 및 분실방지 골프티
KR20130000321U (ko) 골프티
KR100838827B1 (ko) 회전가능한 골프공 안착부를 구비한 골프티
KR200260610Y1 (ko) 골프 티
KR102606393B1 (ko) 골프티
KR102253570B1 (ko) Ob 방지용 골프티
JP6038931B2 (ja) ゴルフクラブ支持具
KR100421086B1 (ko) 골프 티
KR20100124162A (ko) 골프경기용 볼마커
JP3185260U (ja) ゴルフティー
KR200410211Y1 (ko)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골프티
JP2005065945A (ja) ゴルフティー
KR200339004Y1 (ko) 골프티
KR100634115B1 (ko) 골프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