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6703B1 - 골프 연습 매트용 골프티 - Google Patents

골프 연습 매트용 골프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6703B1
KR101026703B1 KR1020090030541A KR20090030541A KR101026703B1 KR 101026703 B1 KR101026703 B1 KR 101026703B1 KR 1020090030541 A KR1020090030541 A KR 1020090030541A KR 20090030541 A KR20090030541 A KR 20090030541A KR 101026703 B1 KR101026703 B1 KR 101026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practice mat
golf tee
support shaft
t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0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2015A (ko
Inventor
이재웅
Original Assignee
이재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웅 filed Critical 이재웅
Priority to KR1020090030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6703B1/ko
Publication of KR20100112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2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6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6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10Golf tees
    • A63B57/15Golf tees height-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1Mats for golf practice, e.g. mats having a simulated turf, a practice tee or a gree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 수명이 길며 골퍼의 신체 조건에 맞게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휴대보관이 편리한 골프 연습 매트용 골프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상부부재의 절곡 및 원위치로의 복귀를 위한 수단으로 신축성이 있는 탄성부재와 신축성이 없는 강력사를 이어붙여 사용하며, 높이조절구를 구비하여 높이 조정 및 상부부재를 높이조절구와 함께 옆으로 접어 붙여 부피를 최소화 한다.
골프 연습 매트용 골프티, 상하부부재, 탄성부재, 강력사

Description

골프 연습 매트용 골프티{Golf tee for golf mat}
본 발명은 실내 또는 야외에서 매트를 설치하여 이 매트 위에서 골프 연습을 할 때 사용하게 되는 골프 연습매트에의 장착용 골프 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윙 시 골프 티의 중간이 절곡되면서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샷의 충격을 최소화 한 후 원 상태로 복원되어 타격감을 향상토록 하는 골프 연습매트용 골프 티에 관한 것이다.
골프 게임은 일반적으로 야외에서 이루어지나 골프의 대중화와 더불어 실내에서도 골프 연습을 할 수 있는 다양한 시설이 사용되고 있으며, 골프 연습장과 같이 대규모의 시설을 갖추고 연습하는 경우와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실내에서 간단하게 연습할 수 있도록 된 도구들도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골프 연습장이나 실내에서 골프 연습을 할 때에는 통상 바닥면을 보호하고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지면에 골프 연습용 매트를 설치하여 그 위에서 타격 연습을 하게 되며, 이 매트에는 필드의 분위기를 살리기 위하여 윗면에 인조 잔디를 입혀서 보다 사실감을 제공하는 등 야외에서의 실전과 큰 차이가 없는 환경을 조성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골프 경기의 경우 각 홀의 처음 시작에 있어 드라이브 샷을 할 때 골프공이 지면 위에 직접 놓여진 경우에는 우드(wood)의 스윙 궤적이 매우 커 정확히 타격하기가 곤란하므로 좀 더 쉬운 샷(shot)을 위해 소위 골프티(golf tee)라 불리우는 도구의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같은 골프티는 흔히 나무나 플라스틱으로 제작되어 지면(잔디밭)에 꽂아 수직으로 세워 설치하고 그 위에 골프공을 올려 놓음으로써 골프공이 지면에서 일정 높이 만큼 공중으로 부양되어 쉽게 샷을 할 수 있게 도움을 주며, 이 때문에 각 홀의 첫번째 샷을 티샷(tee shot)이라고도 부르고 있다.
이에 따라 골프 연습장에서도 실제 그린과 동일한 조건에서 연습하기 위하여 골프티를 사용하게 되는 데, 골프연습장의 경우 바닦에 연습용 매트가 깔려 있는 경우 통상의 골프티를 박아 사용하기가 곤란하므로 연습용 매트를 감안하여 제작한 골프 연습 매트용 골프티를 사용하게 되며, 이를 위해 골프 연습 매트에 고정구멍을 형성하고 이 고정구멍을 통해 골프 티를 꽂도록 하되 골프티가 지면에 박아 고정할 수 없으므로 연습 매트가 골프티의 지지체가 될 수 있게 골프티가 고안되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 일반적인 골프 연습 매트용 골프 티(이하, 단순히 '골프 티'라 고도 한다)는 하단에 원판 형상의 받침대가 구비되어 있고, 이 받침대의 상면 중앙에 지지축이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그 지지축의 상단이 외측으로 벌어지 면서 둥근 공을 지지하기 용이하게 오목하게 들어간 골프공안치부가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져, 원판 형상의 받침대가 골프 연습 매트 밑에 위치하여 연습매트의 자중에 의해 눌려져 고정되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골프 연습 매트용 골프티는 나무나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단일 몸체로 제작하므로써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관계로 골프채를 스윙시켜 골프공을 타격하는 순간, 골프채의 클럽 헤드에 의해 골프티의 막대 부분이 강한 충격을 받게 되고, 이로인해 골프 티가 쉽게 부러져 소모량이 많았으며, 또한 골프티는 골프공의 진로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골프공이 타격되는 순간 골프공과 골프티 상면과의 마찰에 의한 저항과, 골프티가 부러지게 되는 경우 부러지는 형태나 방향에 따라서도 골프공의 진로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원하는 방향으로 정확하게 공을 날려 보내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따라 골프 연습 매트용 골프티를 유연성 재질인 고무로 형성하여 타격시 몸체가 탄성적으로 절곡이 이루어지면서 골프공과의 마찰을 일부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골프 티 역시 골프공과의 마찰을 현저하게 줄이기는 어려운 구성으로서, 강도가 약한 고무재의 특성상 수직으로 공을 지지하기 위하여 입설된 지지축의 직경이 커질 수밖에 없는 중공의 관(管) 형태로 되어 있어서 골프공의 하단 주연부를 지지축이 폭 넓게 감싸게 됨으로써 오히려 골프 공이 진행하는 것이 방해되어 정상적인 타격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고, 또 그의 외관이 불량하고 잦은 타격에 의해 고무관이 쉽게 파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5-0118805에 다른 유형의 골프 연습 매트용 골프티가 제안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상기한 선특허는 공 받이대(11)와 매트에 고정시키는 지지대(12)가 분리 형성되어 탄성 연결핀(18)에 의해 연결되고, 공 받이대(11) 및 지지대(12)의 내부에 압축스프링(S)이 내장됨으로써 골프 공의 타격시 공 받이대(11)가 골프 공의 진행 방향으로 절곡되어 골프 공과 골프 티와의 마찰 저항을 최소화하여 경쾌한 타격이 이루어질 수 있어서 보다 안정적인 골프의 타격 연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특허는 좁은 공간 내에 금속재의 스프링을 수용하여야 하는 등 공간적 제약과 부품상의 문제로 인하여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20-0410187호에서는 도 9에 도시하는 것처럼 골프공이 위치되는 안착부가 상부에 형성되는 골프공 안내부재(10)와; 상기 골프공 안내부재(10)의 하측에 결합홈을 통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하단부에 넓게 펼쳐진 받침부를 형성하여 지면에 안착되는 받침부재(20)와; 상기 지지부재(10)의 삽입홈에 상부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받침부재(20)와 결합되는 고무재질의 위치복원부재(30);로 골프티를 구성하여 안내부재가 타격되어 절곡되더라도 위치복원부재의 인장력에 의해서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여 골프티의 분실이 방지되게 하였으며, 상기 골프티의 분실이 방지됨에 따라 골프티의 구입 비용이 저감되게 됨으로써 앞선 선특허 보다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비용이 저감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모든 선행 기술들은 골프공을 지지하는 상측의 부재가 골프헤드의 스윙에 의한 타격력에 의해 하측의 지지부재에 대해 절곡될 때 상하부재 사이를 연결해주는 고무재질의 탄성부재가 늘어났다 복원 탄성력을 발휘하여 다시 상 부부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동작을 통해 충격력을 분산시키고 마찰을 감소시켜 주는 과정에 절곡되는 부위가 탄성부재의 옆구리에 심한 충격 및 마찰력을 가하게 됨으로써 탄성부재에 흠집이 발생해, 반복 사용 시 쉽게 절단되어 버리고 마는 현상이 나타나 골프티의 사용수명이 너무 짧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는 종래 기술에서 사용하고 있는 모든 탄성부재가 어느 이상의 강도를 유지토록 비교적 굵게 성형된 한 가닥의 고무선재를 아무런 보호 수단 없이 그 상태 그대로 사용한 데 따른 것인 데, 유연성 재질인 고무는 인장강도 자체는 별 문제가 없어도 특히 늘어나는 도중에 무엇인가 다른 물체, 예를 들면 물체의 모서리 등과 간섭되면서 고무 조직에 약간의 흠집이라도 발생되면 크랙이 순식간에 전체 조직으로 확산되어 의외로 너무 쉽게 절단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특징이 있으며, 이 때문에 상기 선발명들은 사용수명이 너무 짧아 실용화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 골퍼의 신체 조건에 따라 골프티의 높이를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도 그동안 종래 골프티들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는 데, 상기 실용신안의 경우 골프티를 리프트 시키기 위한 별도의 장치를 구비토록 하고 그 리프팅 장치에 볼트를 사용하여 골프티를 착탈하는 방법으로 높이 조절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별도 장치를 구비하여야 하며, 공간의 제약상 연습용 매트 밑에 리프팅 장치를 설치하기도 어렵고 매번 사용시마다 골프티의 조립과 분해를 반복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어 그다지 실용적이라 할 수 없다.
한편, 골프 연습 매트용 골프티의 경우 매트 밑에 지지되도록 넓은 원판으로 된 받침부를 가지고 있는 데, 이 원판의 받침부에 지지축이 수직으로 입설됨으로써 전체 부피가 커져 휴대 및 보관이 불편하다는 문제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들의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제안한 것으로서, 사용 수명이 길며 골퍼의 신체 조건에 맞게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휴대보관이 편리한 골프 연습 매트용 골프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골프 연습 매트용 골프티는, 내부에 상하로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중공부와, 상단에 골프공을 지지하는 골프공안치면과, 상기 중공부의 상측과 하측에 각기 형성되는 상부 및 하부단턱을 구비한 상부부재와; 지면에 의해 지지되는 원판부와, 그 원판부의 중앙에 상부로 입설되도록 돌출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을 상하로 연통하게 형성되는 센터구멍 및 상기 센터구멍의 하측에 형성되는 지지단턱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부재를 지지하는 하부부재와; 상기 상부단턱에 걸려 지지되는 상부걸림부와, 상기 중공부를 통해 삽입되어 최대 인장시에 상기 하부단턱에 걸려 지지되는 하부걸림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하부걸림부가 하부단턱으로부터 이동허용공간을 사이에 두도록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허용공간의 범위 내에서 탄력적인 신축이 허용되며, 그리고 인장력이 부여된 상태로 설치되는 탄성부재: 및 상단이 상기 하부걸림부에 함께 결속되고, 하단은 상기 탄성부재에 인장력을 부여하는 형태로 잡아당겨 상기 하부부재의 센터구멍을 통해 하부로 인출하여 상기 지지단턱에 걸려 지지되게 고정하되, 신축성이 없는 고강도 재질로 형성되는 강력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탄성부재는 복수 가닥의 고무줄을 합쳐 형성하고, 그들의 외주를 탄성이 없는 합성사로 직조한 원통보호체로 감싸 보호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강력사는 나일론줄, 금속선, 금속체인줄, 낚시줄, 인공 및 합성섬유사 및 아라미드사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지지축 상부에 높이조절구가 나사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지지축은 상단에서 하측을 향해 절개된 슬릿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상부부재의 하단에는 하부부재 측에의 접촉표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테프론 재질의 마찰저항감소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골프 연습 매트용 골프티는, 내부에 상하로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중공부와, 상단에 골프공을 지지하는 골프공안치면과, 상기 중공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부단턱을 구비한 상부부재와; 지면에 의해 지지되는 원판부와, 그 원판부의 중앙에 상부로 입설되도록 돌출되는 지지축과, 상 기 지지축을 상하로 연통하게 형성되는 센터구멍 및 상기 센터구멍의 하측에 형성되는 지지단턱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부재를 지지하는 하부부재와; 상기 상부단턱에 걸려 지지되는 상부걸림부와, 상기 중공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하부부재의 지지단턱에 걸려 지지되는 하부걸림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상부부재가 절곡될 때 탄력적인 신축이 허용되며, 그리고 인장력이 부여된 상태로 설치하되 복수개의 고무줄을 합하여 그들의 외주를 비탄성 사로 직조한 원통형보호체로 감싸 보호시킨 탄성부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지지축의 상부에는 높이조절구가 나사 체결되며, 상기 높이조절구에 접하는 지지축의 벽면에는 상부에서 하측으로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골프 연습 매트용 골프티의 상부부재가 골프헤드의 타격에 의해 절곡될 때 탄성부재가 강성부재인 상부부재 하단 모서리에 직접 접촉되지 않고 강도가 큰 강력사가 대신 접촉되도록 하거나 또는 복수 가닥의 고무줄의 외주를 감싼 원통보호체에 의해 고무줄에의 직접 접촉 및 마찰 접촉을 차단하며 또 탄성부재의 과도한 신장을 제한하여 탄성부재의 끊어짐을 방지함으로써 골프티의 사용수명을 현저하게 늘릴 수 있으며, 이로써 골프티의 구입비용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나사 체결된 높이조절구를 통해 골퍼의 신체 조건에 맞게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부피가 커서 휴대 보관이 불편하였던 골프 연습 매트용 골프티를 접을 수 있게 되어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해진 효과가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골프 연습 매트용 골프티의 정단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탄성부재와 강력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하부부재의 지지축의 요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골프헤드의 타격시 본 발명의 상부부재가 절곡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골프 연습 매트용 골프티의 작동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골프 연습 매트용 골프티의 휴대 및 보관시 납작하게 접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골프 연습 매트용 골프티의 정단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전체를 부호 61로 나타내는 본 발명의 골프 연습 매트용 골프티는 내부에 상하로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중공부(62)와 상단에 골프공(63)을 지지하는 골프공안치면(64)과 상기 중공부(62)의 상측과 하측에 각기 형성되는 상부 및 하부단턱(65)(66)을 구비한 상부부재(67)와; 지면(68)에 의해 지지되는 원판부(69)와 그 원판부(69)의 중앙에 상부로 입설되도록 돌출되는 지지축(70)과 상기 지지축(70)을 상하로 연통하게 형성되는 센터구멍(71) 및 상기 센터구멍(71)의 하측에 형성되는 지지단턱(72)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부재(67)를 지지하는 하부부재(73)와; 상기 상부단턱(65)에 걸려 지지되는 상부걸림부(74)와 상기 중공부(62)를 통해 삽입되어 최대 인장시에 상기 하부단턱(66)에 걸려 지지되는 하부걸림부(75)를 구 비하고 있으며, 상기 하부걸림부(75)가 하부단턱(66)으로부터 이동허용공간(76, 이 공간은 중공부의 일부이다)을 사이에 두도록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허용공간(76)의 범위 내에서 탄력적인 신축이 허용되며, 그리고 일정한 초기 인장력이 부여된 상태로 설치되는 탄성부재(77); 및 상단이 상기 하부걸림부(66)에 함께 결속되고, 하단은 상기 탄성부재(77)에 인장력을 부여하는 형태로 잡아당겨 상기 하부부재(73)의 센터구멍(71)을 통해 하부로 인출하여 매듭부(75A)가 상기 지지단턱(72)에 걸려 지지되게 고정하되, 신축성이 없는 재질로 형성되는 강력사(7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1실시예의 경우 상기 탄성부재(77)가 절곡되는 상부부재(67)의 모서리 등에 직접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비교적 굵은 한가닥의 고무줄로 형성하여도 가능하나 바람직하기는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복수개의 가는 고무줄(79)들을 합쳐, 더 바람직하기는 꼬아서 그들의 외주를 탄성이 없는 실, 예를 들면 나일론이나 아라미드실 등의 인장강도와 내마모성이 높은 합성사로 직조한 원통형보호체(80)로 감싸 보호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으며, 이와 같이 하면 굵은 한 가닥 보다 가는 굵기의 여러 가닥을 뭉친 것, 특히 꼬아서 형성한 것의 강도가 크게 높아지고 한두 가닥에 문제가 있어도 기능을 유지할 수 있으며, 더우기 그것의 외주를 강인한 보호 직물이 감싸 보호하기 때문에 강성부재가 탄성부재와 직접 마찰 접촉하는 일이 차단되어 충격에 의한 끊어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하부걸림부(74)(75)들은 선을 묶어 형성한 매듭이거나 또는 금속클립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강력사(78)는 신축성의 탄성부재와는 달리 늘어남이 없는 비탄성 재질로서 인장강도와 내충격성 및 내마모성이 매우 커서 잘 끊어지지 않는 질긴 재질, 예를 들면 나일론줄, 금속선, 금속체인줄, 낚시줄, 인공 및 합성섬유사 및 아라미드사등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데, 이 역시 도 2의 단면 구조와 같이 복수 가닥으로 형성하거나 그의 외주를 동일한 보호직물로 감싸면 더욱 좋다.
그리고 상기 지지축(70)에는 높이조절구(81)가 나사(82)로 체결되어 있어 높이조절구(81)의 회전 조정에 의해 골프티(61)의 전체 높이 조절이 가능하며, 그 나사(82)에 대응되는 지지축(70)의 벽면을 상부에서 하측으로 절개하여 형성한 슬릿(83)을 구비하고 있고, 이 슬릿(83)은 상기 강력사(78)가 끼워질 수 있는 폭을 가지도록 절개된다.
도 4는 골프 연습 매트용으로서의 구조를 가진 골프티(61)의 사용시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우드의 스윙으로 헤드가 골프공(63)을 타격하면 이 때의 타격력에 의해 상부부재(67)가 전방으로 절곡되면서 충격력을 흡수하고 공과의 마찰을 감소시켜주게 되는 데, 이때 탄성부재(77)가 늘어나면서 상부부재(67)의 달아남을 방지하였다가 내부에 축적된 탄성력에 의해 상부부재(67)를 잡아당겨 원위치(기립된 상태)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부부재(67)의 절곡부위는 강인한 기계적 성질을 가지는 강력사(78)에만 접촉할 뿐 탄성부재(77)에는 전혀 간섭되지 아니하며, 더우기 하부단턱(66)까지만 늘어남이 제한됨으로 탄성부재(77)가 절단될 염려가 없다.
도 5는 골프티(61)의 휴대 및 보관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골프티(61)의 높이 조정에 사용하는 높이조절구(81)를 지지축(70)으로부터 분해하여 상측으로 잡 아당기는 상태에서 강력사(78)를 슬릿(83)에 일치시켜 상부부재(67)를 일측으로 젖히게 되면 강력사(78)가 슬릿(83)에 깊숙히 수용되면서 높이조절구(81)와 상부부재(67)는 지지축(70)의 측벽면에 수평으로 위치되어 접어지게 됨으로써 전체 부피가 최소화된다. 다시 골프티(61)를 사용시에는 호주머니등에서 꺼내어 높이조절구(81)를 약간 잡아당겨 수직 위치로 밀면 상부부재가 수직상태로 복귀하게 되며, 이때 높이 조절구(81)를 나사 조임 방향으로 회전시켜 지지축(70)에 조립하면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골프 연습 매트용 골프티(91)의 정단면도로서, 도 1실시예의 경우 상부부재(67)와 하부부재(73)를 연결하는 수단으로 탄성부재(77)와 강력사(78)를 함께 사용하고 있는 반면, 동 실시예는 탄성부재(77)만을 사용한다는 점에 차이가 있을 뿐 나머지 모든 구성은 동일하다. 동 실시예는 탄성부재(77)의 상부걸림부(74)가 상부단턱(65)에 걸린 상태에서 하측으로 인장되어 중공부(62)와 센터구멍(71)을 관통한 후 하부걸림부(75)가 지지단턱(72)에 걸려 지지되도록 한 것으로, 동 실시예에 있어 탄성부재(77)로서는 반드시 도 2실시예에 의한 것, 즉 복수 가닥의 고무줄(79)과 원통보호체(80)로 된 것을 사용하게 되는 데, 이는 같은 굵기일 경우 복수 가닥의 강도가 훨씬 클 뿐 아니라, 복수 가닥의 잇점은 한 두 가닥에 상처가 생겨도 전체가 끊어지는 일이 없으며, 더우기 아라미드나 나일론사 등의 강인한 합성사로 직조된 원통보호체(80)가 고무줄을 피복하여 보호하고 있어, 상부부재(67)가 절곡되면서 그의 단부가 탄성부재(77)에 접촉하여 타격을 가하거나 마찰 접촉하더라도 원통보호체(80)가 마찰 접촉 및 충격에 매우 약한 내부의 고무줄(79)들을 안전하게 보호해주므로 끊어지는 일이 없어 종래 한 가닥의 굵은 고무줄을 노출된 상태로 사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사용 수명이 크게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앞선 실시예들과 기본적 구성은 동일하고, 상부부재(67) 하단에 마찰저항감소부재(67A)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마찰저항감소부재(67A)는 플라스틱 중에서도 마찰계수가 작아 미끄러운 표면 특성을 가진 테프론으로 형성되며, 또 하부부재(73) 측에의 접촉표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타격시 표면마찰저항을 크게 줄여 상부부재(67)의 절곡이 원할하게 일어남으로써 충격력의 분산효과가 매우 높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골프 연습 매트용 골프티의 정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탄성부재와 강력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하부부재의 지지축의 요부 형상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골프헤드의 타격시 본 발명의 상부부재가 절곡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골프 연습 매트용 골프티의 작동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골프 연습 매트용 골프티의 휴대 및 보관시 납작하게 접은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를 나타낸 골프 연습 매트용 골프티의 정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변형된 일실시예를 나타낸 골프 연습 매트용 골프티의 정단면도
도 8 및 도 9는 종래기술이다.
[도면 부호의 설명]
61,91 : 골프티 62 : 중공부
63 : 골프공 64 : 안치면
65 : 상부단턱 66 : 하부단턱
67 : 상부부재 68 : 지면
69 : 원판부 70 : 지지축
71 : 센터구멍 72 : 지지단턱
73 : 하부부재 74 : 상부걸림부
75 : 하부걸림부 76 : 이동허용공간
77 : 탄성부재 78 : 강력사
79 : 가는고무줄 80 : 원통형보호체
81 : 높이조절구 82 : 나사
83 : 슬릿

Claims (9)

  1. 내부에 상하로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중공부와 상단에 골프공을 지지하는 골프공안치면과 상기 중공부의 상측과 하측에 각기 형성되는 상부 및 하부단턱을 구비한 상부부재와; 지면에 의해 지지되는 원판부와 그 원판부의 중앙에 상부로 입설되도록 돌출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을 상하로 연통하게 형성되는 센터구멍 및 상기 센터구멍의 하측에 형성되는 지지단턱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부재를 지지하는 하부부재와; 상기 상부단턱에 걸려 지지되는 상부걸림부와 상기 중공부를 통해 삽입되어 최대 인장시에 상기 하부단턱에 걸려 지지되는 하부걸림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하부걸림부가 하부단턱으로부터 이동허용공간을 사이에 두도록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이동허용공간의 범위 내에서 탄력적인 신축이 허용되며, 그리고 인장력이 부여된 상태로 설치되는 탄성부재; 및 상단이 상기 하부걸림부에 함께 결속되고, 하단은 상기 탄성부재에 인장력을 부여하는 형태로 잡아당겨 상기 하부부재의 센터구멍을 통해 하부로 인출하여 상기 지지단턱에 걸려 지지되게 고정하되, 신축성이 없는 고강도 재질로 형성되는 강력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연습 매트용 골프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복수 가닥의 고무줄을 합쳐 형성하고, 그 들의 외주를 탄성이 없는 합성사로 직조한 원통보호체로 감싸 보호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연습 매트용 골프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력사는 나일론줄, 금속선, 금속체인줄, 낚시줄, 인공 및 합성섬유사 및 아라미드사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연습 매트용 골프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 상부에 높이조절구가 나사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연습 매트용 골프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은 상단에서 하측을 향해 절개된 슬릿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연습 매트용 골프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재의 하단에는 하부부재 측에의 접촉표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테프론 재질의 마찰저항감소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연습 매트용 골프티.
  7. 내부에 상하로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중공부와, 상단에 골프공을 지지하는 골프공안치면과 상기 중공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상부단턱을 구비한 상부부재와; 지면에 의해 지지되는 원판부와, 그 원판부의 중앙에 상부로 입설되도록 돌출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을 상하로 연통하게 형성되는 센터구멍 및 상기 센터구멍의 하측에 형성되는 지지단턱으로 구성되어 상기 상부부재를 지지하는 하부부재와; 상기 상부단턱에 걸려 지지되는 상부걸림부와 상기 중공부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하부부재의 지지단턱에 걸려 지지되는 하부걸림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상부부재가 절곡될 때 탄력적인 신축이 허용되며, 그리고 인장력이 부여된 상태로 설치하되 복수개의 고무줄을 합하여 그들의 외주를 비탄성 사로 직조한 원통형보호체로 감싸 보호시킨 탄성부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연습 매트용 골프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의 상부에는 높이조절구가 나사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연습 매트용 골프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구에 접하는 지지축의 벽면에는 상부에서 하측으로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 연습 매트용 골프티.
KR1020090030541A 2009-04-08 2009-04-08 골프 연습 매트용 골프티 KR101026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541A KR101026703B1 (ko) 2009-04-08 2009-04-08 골프 연습 매트용 골프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0541A KR101026703B1 (ko) 2009-04-08 2009-04-08 골프 연습 매트용 골프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2015A KR20100112015A (ko) 2010-10-18
KR101026703B1 true KR101026703B1 (ko) 2011-04-08

Family

ID=43132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0541A KR101026703B1 (ko) 2009-04-08 2009-04-08 골프 연습 매트용 골프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67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835Y1 (ko) 2011-07-18 2012-06-11 리 아브라함 골프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984B1 (ko) * 2009-04-08 2011-04-28 이재웅 골프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4460B1 (ko) 2004-06-15 2006-05-25 주식회사 코비스 스포츠 골프 연습매트용 골프 티
KR20070047632A (ko) * 2005-11-02 2007-05-07 김태옥 분할식 골프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4460B1 (ko) 2004-06-15 2006-05-25 주식회사 코비스 스포츠 골프 연습매트용 골프 티
KR20070047632A (ko) * 2005-11-02 2007-05-07 김태옥 분할식 골프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835Y1 (ko) 2011-07-18 2012-06-11 리 아브라함 골프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2015A (ko) 2010-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11539A (en) Pole sport court
US9089755B2 (en) Golf practice mat
WO2005070068A2 (en) Extended-use ball striking training device
US5460380A (en) Tethered ball golf swing practice mat
US20170296898A1 (en) Portable Golf Mat
US2615715A (en) Tennis net
KR101026703B1 (ko) 골프 연습 매트용 골프티
US10792550B2 (en) Practice device
US6322460B1 (en) Batting practice device
US20090291779A1 (en) Field hockey practice tethered assembly
US11219809B2 (en) Practice device
KR101030984B1 (ko) 골프티
EP2243522A1 (en) Training device for tennis players
KR100577053B1 (ko) 골프 티
US7014577B2 (en) Ball game apparatus
EP1444020B1 (en) Tetherball-type game apparatus
KR102258680B1 (ko) 스트레이트 구질을 유도하는 골프티
US8795105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retaining tennis balls hit into tennis nets
AU2011331897B2 (en) Sports training device
GB2546112A (en) Batting training aid
US20040185951A1 (en) Tethers and sports practice devices and activities
US20180065013A1 (en) Lacrosse shot training goal
US20230079271A1 (en) Golf Training Device
KR101358657B1 (ko) 골프티
EP0142243A1 (en) Practice or toy golf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