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527Y1 - 자석고정형 인형의상 - Google Patents

자석고정형 인형의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527Y1
KR200460527Y1 KR2020100003246U KR20100003246U KR200460527Y1 KR 200460527 Y1 KR200460527 Y1 KR 200460527Y1 KR 2020100003246 U KR2020100003246 U KR 2020100003246U KR 20100003246 U KR20100003246 U KR 20100003246U KR 200460527 Y1 KR200460527 Y1 KR 2004605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magnet
magnetic member
aluminum plate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32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9435U (ko
Inventor
임형환
Original Assignee
임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형환 filed Critical 임형환
Priority to KR20201000032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527Y1/ko
Publication of KR201100094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4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5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5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04Decorative arrangements or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7/00Auxiliary apparatus for artist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200/00Components of garments
    • A41D2200/20Ho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형의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람의 머리에 착용하는 인형 탈 부분인 헤드부와 사람의 몸에 착용하는 의상 부분인 바디부로 이루어진 인형의상의 연결부분이 자석으로 되어있어 착용감과 안정감이 향상되도록 하는 자석고정형 인형의상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특징은 사람의 머리에 착용하는 헤드부와 사람의 몸에 착용하는 바디부로 이루어진 인형의상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와 상기 바디부의 연결부분이 자석으로 연결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석고정형 인형의상{CHARACTER MASCOT COSTUME WITH NEODYMIUM MAGNET}
본 고안은 인형의상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람의 머리에 착용하는 인형 탈 부분인 헤드부와 사람의 몸에 착용하는 의상 부분인 바디부로 이루어진 인형의상의 연결부분이 자석으로 되어 있어 착용감과 안정감이 향상되도록 하는 자석고정형 인형의상에 관한 것이다.
각종 문화행사나 인형극, 홍보 등의 행사에서 시선을 집중시키고 상품의 이미지를 쉽게 각인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캐릭터탈 인형의상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인형의상은 사람의 머리에 헬멧처럼 착용하는 헤드부와 사람의 몸이 들어가 안착되는 바디부로 이루어지는데, 보통 캐릭터의 특징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헤드부의 비율이 일반 인체의 비율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만들어지고 있다.
이렇게 헤드부분이 큰 인형의상을 착용하고 공연을 해야 하므로 헤드부와 바디부가 큰 움직임에도 분리되거나 이탈됨이 없이 서로 잘 연결되도록 하여야 하는데, 일반적으로는 인형의상의 재료와 성격에 맞게 헬멧부착식, 어깨고정식 등의 방법이 사용되어져 왔다.
그러나 헷멧부착식의 방법은 인형의 헤드부에 헬멧을 부착하여 배우가 헬멧을 착용한 후 연기하는 방법으로써, 헬멧으로 인한 머리의 압박감이 있고, 땀이 많이 나며, 경우에 따라 심한 움직임시에 헤드부가 벗겨지거나 흔들려 시야확보가 어려워 공연에 불편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어깨고정식의 방법은 인형의 헤드부에 어깨를 견착하는 부분을 제작 고정하여 배우가 착용하도록 하는 방법으로써, 움직임에 제한이 있으며 장시간 착용시 어깨에 압박감을 느낄 수 있고, 시야확보도 용이하지 않으며, 헤드와 연결된 어깨의 고정끈이 밖으로 노출되는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은 헤드부와 바디부를 자성이 강한 네오디뮴자석으로 연결함으로써 심한 움직임에도 안전하게 고정되어 쉽게 벗겨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헤드부 내부에 불필요한 구조물이 설치되지 않으므로 무게가 가볍고, 장시간 착용시 배우의 머리나 어깨에 압박감을 주지 않으며, 배우의 자유로운 머리회전과 시야확보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네오디뮴자석과 알루미늄판 등으로 헤드부의 하단과 바디부의 상단을 고정하기 때문에 제작이 간편하고 변형 및 파손이 적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머리에 해당하는 헤드부(20)와 몸체에 해당하는 바디부(30)로 이루어진 인형의상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20)에는 복수 개의 자성부재로 되는 헤드자석결합부(40)가 구비되고, 상기 바디부(30)에는 복수 개의 자성부재로 되는 바디자석결합부(50)가 구비되어, 상기 헤드자석결합부(40)의 자성부재와 대응되는 위치로 반대극성을 갖도록 하여 바디자석결합부(50)의 자성부재가 위치되도록 하여, 서로 반대 극성으로 끌어당기는 자력에 의하여 헤드부(20)가 바디부(30)에 결합되고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고정형 인형의상이 제공된다.
이에 상기 헤드자석결합부(40)에는 헤드본체(43)의 외측으로 알루미늄판이 구비되고 내측으로 복수 개의 네오디뮴자석이 구비되며, 상기 바디자석결합부(50)에는 바디본체(53)의 외측으로 복수 개의 네오디뮴자석이 구비되고, 내측으로 알루미늄판이 구비되며, 상기 헤드부(20)가 바디부(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자석결합부(40)의 네오디뮴자석과 바디자석결합부(50)의 네오디뮴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로 구비되고 서로 반대의 극성에 의해 당겨지도록 하는 자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자석결합부(40)는 외측으로부터 안쪽방향으로 헤드외부원단(41), 헤드알루미늄판(42), 헤드본체(43), 헤드자성부재(44), 헤드내부원단(45)의 순서로 구비되고, 상기 헤드자성부재(44)는 폴리망사원단(441)으로 씌워져 헤드자석고정구(46)가 연결되며, 헤드알루미늄판(42)의 헤드자석고정홈(421)에 헤드자석고정구(46)가 끼워져 묶여지도록 하여 헤드알루미늄판(42) 및 헤드본체(43)에 헤드자성부재(44)가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헤드내부원단(45)은 열발산원단으로 이루어져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바디자석결합부(50)는 외측으로부터 안쪽방향으로 바디외부원단(55), 바디자성부재(54), 바디본체(53), 바디알루미늄판(52), 바디내부원단(51)의 순서로 구비되고, 상기 바디자성부재(54)는 폴리망사원단(541)으로 씌워져 바디자석고정구(56)가 연결되며, 바디알루미늄판(52)의 바디자석고정홈(521)에 바디자석고정구(56)가 끼워져 묶여지도록 하여 바디알루미늄판(52) 및 바디본체(53)에 바디자성부재(54)가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바디내부원단(51)은 열발산원단으로 이루어져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헤드부와 바디부를 자성이 강한 네오디뮴자석으로 연결함으로써 심한 움직임에도 안전하게 고정되어 쉽게 벗겨지지 않도록 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헤드부 내부에 불필요한 구조물이 설치되지 않으므로 무게가 가볍고, 장시간 착용시 배우의 머리나 어깨에 압박감을 주지 않으며, 배우의 자유로운 머리회전과 시야확보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네오디뮴자석과 알루미늄판 등으로 헤드부의 하단과 바디부의 상단을 고정하기 때문에 제작이 간편하고 변형 및 파손이 적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석고정형 인형의상의 착용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석고정형 인형의상의 착용상태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석고정형 인형의상의 헤드자석결합부의 수평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석고정형 인형의상의 헤드자석결합부 A-A부분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석고정형 인형의상의 헤드자석결합부 A-A부분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자석고정형 인형의상의 바디자석결합부의 수평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자석고정형 인형의상의 바디자석결합부 B-B부분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자석고정형 인형의상의 바디자석결합부 B-B부분의 단면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자석고정형 인형의상(10)(CHARACTER MASCOT COSTUME WITH NEODYMIUM MAGNET)은 도 1 내지 도 8 등에서와 같이 행사나 공연 등에 사용되는 인형의상은 배우가 올인원을 입듯이 바디부(30)를 착용한 후 헤드부(20)를 헬맷처럼 머리부분에 착용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에 캐릭터의 특징을 강조하고자 하는 인형의상(CHARACTER MASCOT COSTUME)의 특성상 보통은 헤드부(20)가 일반 인체의 비율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동작이 큰 움직임에도 헤드부(20)가 바디부(30)로부터 쉽게 분리되거나 중심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장시간의 착용에도 배우에게 큰 압박이 가지 않게끔 잘 연결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도 2에서와 같이 헤드부(20)의 하단에 헤드자석결합부(40)가 구비되고, 바디부(30)의 상단에 바디자석결합부(50)가 구비되도록 하여 헤드부(20)와 바디부(30)가 자석에 의하여 쉽고 강하게 연결되도록 하였다.
본 고안의 헤드자석결합부(40)와 바디자석결합부(50)를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부(20)의 하단에 설치되는 헤드자석결합부(40)는 강한 자성을 띄는 네오디뮴자석으로 되는 헤드자성부재(44)와 알루미늄판으로 되는 헤드알루미늄판(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헤드부(20)의 외측으로부터 안쪽방향으로 헤드외부원단(41), 헤드알루미늄판(42), 헤드본체(43), 네오디뮴자석으로 된 헤드자성부재(44), 헤드내부원단(45)의 순서로 결합된다.
먼저 헤드알루미늄판(42)과 헤드본체(43) 및 네오디뮴자석으로 된 헤드자성부재(44) 등을 결합한다. 그리고 헤드자성부재(44) 및 후술되는 바디자성부재(54) 등은 강력한 자석으로 이루어지되,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고, 또한 서로 반대의 극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서로 끌어당기는 힘에 의하여, 헤드부(20)가 바디부(3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반면 사용자는 헤드장성부재(44)와 바디자성부재(54) 등에 의한 자력을 극복하는 힘만으로도 간단하게 바디부(30)로부터 헤드부(20)를 분리시킬 수 있어, 입고 벗는 것이 편리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헤드자성부재(44)와 후술되는 바디자성부재(54) 등은 서로 당기는 힘이 강력한 것으로 됨으로써, 잘 벗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특히 네오디뮴자석과 같이 강력한 자석으로 마련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헤드자성부재(44)와 후술되는 바디자성부재(54) 등이 네오디뮴자석으로 하여 실시됨을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하며, 이러한 네오디뮴을 비롯하여 강력한 자력을 갖는 자성부재로 이용이 응용되어 실시될 수도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이에 네오디뮴자석으로 된 헤드자성부재(44)는 헤드폴리망사원단(441)으로 씌워지고, 상기 헤드알루미늄판(42)에는 상기 네오디뮴자석으로 된 헤드자성부재(44)와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개의 헤드자석고정홈(421)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헤드자석고정홈(421)을 통해 네오디뮴자석으로 된 헤드자성부재(44)를 둘러쌓고 있는 헤드폴리망사원단(441)에 자석고정구(46)를 사용하여 묶어 고정시킨다(도 5의 '묶는부분' 참조).
상기 자석고정구(46)는 실, 낚시줄 또는 얇은 철사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자석고정구(46)는 잘 끊어지지 않으면서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져, 견고하게 네오디뮴자석 및 폴리망사원단 등을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 다음에 헤드알루미늄판(42)의 외측에는 헤드외부원단(41)을 덮어 마무리되도록 하여 미관이 양호하도록 하고, 네오디뮴자석으로 된 헤드자성부재(44)의 내측으로 헤드내부원단(45)을 덮어 자석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마무리하여, 외관이 양호하도록 하면서 사용자가 다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헤드알루미늄판(42)은 두께 0.1cm, 폭 4cm 정도의 알루미늄판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길이는 인형의상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헤드알루미늄판(42)은 탈부착이 자주 일어나는 상황에 있어서 네오디뮴자석으로 된 헤드자성부재(44)의 강력한 자성으로 인하여 헤드본체(43)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네오디뮴자석으로 된 헤드자성부재(44)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헤드본체(43)의 소재는 폴리우레탄 스폰지, PE FORM, 우레탄 성형, EVA등의 가벼운 소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헤드외부원단(41)은 인형의상의 캐릭터 특징을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인형 머리의 외형의 캐릭터를 잘 살리면서 자석이나 알루미늄 등의 체결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관상 양호하도록 하고, 또한 사용중 사용자가 다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헤드내부원단(45)은 배우의 착용감과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열발산원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체온을 보호하고, 땀과 같은 수분이 잘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더운 열기나 습기에 의한 불쾌감이 덜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바디부(30)의 상단에 설치되는 바디자석결합부(50)는 강한 자성을 띄는 네오디뮴자석으로 된 바디자성부재(54)와 바디알루미늄판(5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바디부(30)의 외측으로부터 안쪽방향으로 바디외부원단(55), 네오디뮴자석으로 된 바디자성부재(54), 바디본체(53), 바디알루미늄판(52), 바디내부원단(51)의 순서로 결합된다.
상기 헤드자석결합부(40)와 마찬가지로 먼저 바디알루미늄판(52)과 바디본체(53) 및 네오디뮴자석으로 된 바디자성부재(54)를 결합한다.
이 때, 네오디뮴자석으로 된 바디자성부재(54)는 바디폴리망사원단(541)으로 씌워지고, 상기 바디알루미늄판(52)에는 상기 네오디뮴자석으로 된 바디자성부재(54)와 대응하는 위치에 다수개의 바디자석고정홈(521)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바디자석고정홈(521)을 통해 네오디뮴자석으로 된 바디자성부재(54)를 둘러쌓고 있는 바디폴리망사원단(541)에 자석고정구(56)를 사용하여 묶어 고정시킨다(도 8의 '묶는부분' 참조).
상기 자석고정구(56)는 실, 낚시줄 또는 얇은 철사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자석고정구(46)는 잘 끊어지지 않으면서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져, 견고하게 네오디뮴자석 및 폴리망사원단 등을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 다음에 바디알루미늄판(52)의 내측에는 바디내부원단(51)을 덮어 마무리되도록 하여, 바디알루미늄판(52) 등의 결합부재가 바디내부원단(51)에 가려져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외관이 양호하도록 하면서 사용자가 다치지 않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네오디뮴자석으로 된 바디자성부재(54)의 외측으로 바디외부원단(55)을 덮어 자석이 노출되지 않도록 마무리되도록 하여, 외관이 양호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바디알루미늄판(52) 또한 두께 0.1cm, 폭 4cm 정도의 알루미늄판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길이는 인형의상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바디알루미늄판(52)은 탈부착이 자주 일어나는 상황에 있어서 네오디뮴자석으로 된 바디자성부재(54)의 강력한 자성으로 인하여 바디본체(53)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네오디뮴자석으로 된 바디자성부재(54)를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바디본체(53)의 소재는 폴리우레탄 스폰지, PE FORM, 우레탄 성형, EVA 등의 가벼운 소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바디외부원단(55)은 인형의상의 캐릭터 특징을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 인형외형의 캐릭터를 잘 살리면서 자석 및 체결부재 등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미관이 양호하도록 하고, 사용중 사용자가 다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바디내부원단(51)은 배우의 착용감과 작업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열발산원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체온이 보호되도록 하며, 땀과 같은 수분흡수가 잘되어 사용중 불쾌감이 덜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설명에서와 같이 헤드자석결합부(40)와 바디자석결합부(50)가 구비됨으로써, 배우가 바디부(30)를 착용한 후 헤드부(20)를 머리에 썼을 때, 바디자석결합부(50)의 외측에 위치한 네오디뮴자석으로 된 바디자성부재(54)와 헤드자석결합부(40)의 내측에 위치한 네오디뮴자석으로 된 바디자성부재(44)가 강한 자력으로 연결됨으로써 심한 움직임에도 헤드부(20)가 바디부(30)에 안전하게 고정되어 쉽게 벗겨지지 않는 것이다. 이에 헤드부와 바디부의 자석은 서로 반대 극으로 하고 위치가 대응되는 위치로 구성됨으로써,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작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복잡하고 거대한 구조물의 설치가 필요없이 인형의상의 원단 내에 설치되는 헤드알루미늄판(42), 바디알루미늄판(52) 및 네오디뮴자석으로 된 헤드자성부재(44), 바디자성부재(54)의 부피와 무게가 비교적 적게 나가므로 장시간 착용시에도 배우의 신체에 무리를 주지 않아 착용감과 효율성이 높아지도록 하며, 헤드부(20) 내에서의 배우의 머리회전과 시야확보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설계와 제작이 간편하여 제작비용 및 제작기간을 단축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 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10 : 자석고정형 인형의상 20 : 헤드부
30 : 바디부 40 : 헤드자석결합부
41 : 헤드외부원단 42 : 헤드알루미늄판
43 : 헤드본체 44 : 헤드자성부재
45 : 헤드내부원단 50 : 바디자석결합부
51 : 바디내부원단 52 : 바디알루미늄판
53 : 바디본체 54 : 바디자성부재
55 : 바디외부원단

Claims (4)

  1. 머리에 해당하는 헤드부(20)와 몸체에 해당하는 바디부(30)가 구비되며,
    상기 헤드부(20)에는 복수 개의 자성부재로 되는 헤드자석결합부(40)가 구비되고,
    상기 바디부(30)에는 복수 개의 자성부재로 되는 바디자석결합부(50)가 구비되어,
    상기 헤드자석결합부(40)의 자성부재와 대응되는 위치로 하여 바디자석결합부(50)의 자성부재가 위치되도록 하여, 헤드부(20)와 바디부(30)가 서로 자력에 의하여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인형의상에 있어서,
    상기 헤드자석결합부(40)는 외측으로부터 안쪽방향으로 헤드외부원단(41), 헤드알루미늄판(42), 헤드본체(43), 헤드자성부재(44), 헤드내부원단(45)가 구비되고,
    상기 헤드자성부재(44)와 연결된 헤드자석고정구(46)는 헤드알루미늄판(42)의 헤드자석고정홈(421)에 끼워져 고정되어 헤드알루미늄판(42) 및 헤드본체(43)에 헤드자성부재(44)가 고정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고정형 인형의상.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자석결합부(40)에는 헤드본체(43)의 외측으로 알루미늄판이 구비되고 내측으로 복수 개의 네오디뮴자석이 구비되며,
    상기 바디자석결합부(50)에는 바디본체(53)의 외측으로 복수 개의 네오디뮴자석이 구비되고, 내측으로 알루미늄판이 구비되며,
    상기 헤드부(20)가 바디부(3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자석결합부(40)의 네오디뮴자석과 바디자석결합부(50)의 네오디뮴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로 구비되고 서로 반대의 극성에 의해 당겨지도록 하는 자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고정형 인형의상.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자성부재(44)는 폴리망사원단(441)으로 씌워져 헤드자석고정구(46)가 연결되고, 상기 헤드내부원단(45)은 열발산원단으로 이루어져 구비되며,
    상기 바디자석결합부(50)는 외측으로부터 안쪽방향으로 바디외부원단(55), 바디자성부재(54), 바디본체(53), 바디알루미늄판(52), 바디내부원단(51)의 순서로 구비되고,
    상기 바디자성부재(54)는 폴리망사원단(541)으로 씌워져 바디자석고정구(56)가 연결되며, 바디알루미늄판(52)의 바디자석고정홈(521)에 바디자석고정구(56)가 끼워져 묶여지도록 하여 바디알루미늄판(52) 및 바디본체(53)에 바디자성부재(54)가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바디내부원단(51)은 열발산원단으로 이루어져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고정형 인형의상.
KR2020100003246U 2010-03-30 2010-03-30 자석고정형 인형의상 KR2004605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246U KR200460527Y1 (ko) 2010-03-30 2010-03-30 자석고정형 인형의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3246U KR200460527Y1 (ko) 2010-03-30 2010-03-30 자석고정형 인형의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435U KR20110009435U (ko) 2011-10-06
KR200460527Y1 true KR200460527Y1 (ko) 2012-05-25

Family

ID=45597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3246U KR200460527Y1 (ko) 2010-03-30 2010-03-30 자석고정형 인형의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52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7161B1 (ko) * 2020-07-10 2021-02-17 조윤섭 인형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213Y1 (ko) 2005-06-27 2005-09-21 장현 칼라 및 커프스 분리형 와이셔츠
KR200405039Y1 (ko) * 2005-10-12 2006-01-11 조광제 자석을 이용한 팔찌
KR200425424Y1 (ko) * 2006-06-23 2006-09-05 김남규 다기능 봉제 인형
KR20100032760A (ko) * 2008-09-18 2010-03-26 이상정 공기 주입식 인형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213Y1 (ko) 2005-06-27 2005-09-21 장현 칼라 및 커프스 분리형 와이셔츠
KR200405039Y1 (ko) * 2005-10-12 2006-01-11 조광제 자석을 이용한 팔찌
KR200425424Y1 (ko) * 2006-06-23 2006-09-05 김남규 다기능 봉제 인형
KR20100032760A (ko) * 2008-09-18 2010-03-26 이상정 공기 주입식 인형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435U (ko) 201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34920B2 (ja) 磁気マスク
US20190082763A1 (en) Malleable protective insert for headgear
JP2006161214A (ja) 頭被覆体およびゴーグル
KR200460527Y1 (ko) 자석고정형 인형의상
US20160120254A1 (en) Waterproof swim cap
USD557478S1 (en) Visor
KR200472872Y1 (ko) 마스크가 부착된 차양모자
KR200462392Y1 (ko) 마스크 탈부착형 모자
KR200437354Y1 (ko) 수영모자
EP2989916B1 (en) Clothing accessory that protects from the cold
JP3107912U (ja) マスク用ゴム掛けピン並びに該ピンを取付けた頭部着用物
KR200474023Y1 (ko) 다용도 보온부재
CN211631840U (zh) 一款多功能性防风挡雨遮阳外套
KR20140058462A (ko) 모자 결합형 수건
KR101626963B1 (ko) 모자 결합형 타월
CN202286404U (zh) 多功能保暖护膝
KR200462391Y1 (ko) 마스크 탈부착형 모자
CN211048466U (zh) 儿童防护垫
JP3092046U (ja) 保護帽子
JP3635297B1 (ja) 頭部装着物脱落防止用ストラップおよび帽子
KR200488491Y1 (ko) 착탈형 차양이 구비된 모자
KR200260777Y1 (ko) 모자
KR200467079Y1 (ko) 골프용 방한모
KR20210125246A (ko) 착탈식 보호패드를 구비한 안전 수영모
KR101482953B1 (ko) 이격된 내피를 가지는 후드가 부착된 의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