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967Y1 - 목재 점검구를 구비하는 가로등주 - Google Patents

목재 점검구를 구비하는 가로등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967Y1
KR200459967Y1 KR2020090005175U KR20090005175U KR200459967Y1 KR 200459967 Y1 KR200459967 Y1 KR 200459967Y1 KR 2020090005175 U KR2020090005175 U KR 2020090005175U KR 20090005175 U KR20090005175 U KR 20090005175U KR 200459967 Y1 KR200459967 Y1 KR 2004599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et lamp
street
wood
inspection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51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0942U (ko
Inventor
신현범
Original Assignee
(주) 닛시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닛시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 닛시트로닉스
Priority to KR20200900051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967Y1/ko
Publication of KR2010001094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94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9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96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5/00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1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F21W2111/02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signalling, marking or indicating,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for roads, path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F21W2131/103Outdoor lighting of streets or r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집성목으로 제작되는 가로등주를 개시한다. 가로등주는 집성목으로 제조되어 강도 및 내구성에 있어서 일반 목재에 비하여 우수하다. 또한, 가로등주의 점검구 및 덮개가 목재로 형성되어 누전시에 감전을 방지할 수 있고, 가로등주 전체의 자연스러움을 유지할 수 있다.
가로등주, 점검구

Description

목재 점검구를 구비하는 가로등주{THE STREET LAMP POLE WITH WOODEN ACCESS DOOR}
본 출원은 도로나 공원 등에 설치되어 야간에 조명을 제공하는 가로등에 대한 기술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은 가로등의 기둥 부분인 가로등주에 대한 발명을 개시하는 것으로서 단순히 조명장치로서 기능하는 가로등의 개념을 넘어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자연친화적이고 안전한 가로등을 제공하고 또한 가로등의 점검구를 통한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가로등을 제공할 수 있는 가로등주를 개시한다.
가로등 (街路燈) 은 야간에, 어두운 도로나 보도 같은 길에서 운전자나 보행자의 시야를 확보하고 이를 통해 사고 및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높이 설치하는 등을 말한다. 종래의 가로등은 이와 같은 가로등의 주요 목적, 즉, 야간에 조명을 제공하는 기능에 충실하여, 가로등 자체의 형상보다는 가로등이 제공하는 조명의 밝기, 조명 영역, 외부환경에 대한 저항력 등에 치중하여 개발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최근 도시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거리마다 설치되어 있는 가로등 역시 인간의 생활에 밀접하게 닿아 있는 환경의 일부분으로 인식하는 관점이 늘고 있다. 다시 말해, 가로등의 고유 목적인 조명 기능 외에도, 가로등의 존재 자체로 인해 형성되는 환경적 요인, 예를 들어, 가로등과 가로등이 설치된 주변 환경과의 조화 등을 중시하는 경향이 늘고 있다.
즉, 환경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갈수록 증가함에 따라 사람들은 보다 자연친화적인 환경을 바라게 되고, 이러한 요구에 따라 인위적이기보다는 가공되지 않은 자연 그대로의 형태의 구조물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가로등은 사람들이 활동하는 곳이라면 항상 존재하는, 사람들과 가장 가깝고 자주 접하게 되는 구조물로서 이러한 가로등의 형태는 보다 자연친화적일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가로등 형태와는 상이한 형태의 가로등이 요구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가로등은 구조체의 강도가 높도록 주로 금속재를 이용하여 제작되었으나, 이러한 형태의 가로등은 그 기능성은 차치하더라도 가로등의 형태가 인위적인 느낌이 강하고 또한 주변 환경과의 조화에 있어서도 자연친화적인 것과는 거리가 멀다.
도 1 은 종래의 가로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가로등 (10) 은 소정 깊이로 매립되는 콘크리트 매립부 (14), 콘크리트 매립부 (14) 에 시공된 앵커 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지지부 (13), 도로 또는 인도 쪽으로 조명하는 전등부 (12), 전등부 (12) 와 지지부 (13) 를 연결하는 가로등주 (11) 로 구성된다. 이때, 가로등주 (11) 는 강도를 위하여 일반적으로 주철이나 스테인리스와 같은 금속재를 사용하게 된다. 주철재 가로등주는 성형이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으나 부식에 의한 녹이 발생한다는 단점이 있고, 스테인리스 가로등주의 경우에는 표면이 매끄럽다는 장점이 있으나 고가라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주철이나 스테인리스를 이용하는 가로등주의 경우 금속 특유의 차갑고 인위적인 느낌과 가로등주의 금속재 몸체를 통해 전류가 흘러 인도를 통행하는 보행자가 감전될 수 있다는 공통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금속재의 가로등을 보완하기 위하여 목재를 이용하여 가로등주를 제작한 가로등이 개발되고 있다.
목재 가로등은 미관상 금속재 가로등에 비하여 미관상 친환경적일뿐만 아니라 내구성도 우수하다. 예를 들어, 철재 가로등이 일반적으로 10 년, 스테인리스 가로등이 30~40 년, 주철 가로등이 30~40 년 정도의 내구성을 갖는 것에 비해 목재 가로등은 40 년 이상의 내구성을 유지한다. 특히, 목재 가로등의 경우 금속재 가로등과 달리 유지보수가 용이하여 그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목재 가로등주에 긁힘이 생긴 경우 나무 충전재를 균열부분에 주입시키고 이를 말린 후 해당 부분에 사포칠을 하고 도장을 하여 보수할 수 있다. 또한, 목재 가로등주에 낙서가 된 경우에는 해당 부분에 물이 스며들게 한 후 이를 문지르고 물로 헹굼으로써 간단하게 낙서를 제거할 수도 있다.
또한, 목재 가로등은 절연체라는 특성상 감전의 위험이 적다는 장점도 갖는다.
다만, 일반적인 목재를 이용한 가로등의 경우 금속재 가로등에 비하여 강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목재의 경우 수축, 비틀림, 할열 등이 생긴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금속재를 그대로 이용하여 강도를 유지하면서, 가로등주의 외부 표면에 목재 표피를 입혀 자연적인 느낌이 들도록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외부 표면만 목재로 하는 경우에는 여전히 가로등주를 통한 감전의 위험성에 노출되어 있고, 또한, 표면에 목재를 덧붙이는 경우에는 그 목재 표피의 강도가 약하여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인 목재를 소재로 하는 가로등주의 경우 미관상 금속재에 비하여 자연친화적이만 그 강성은 금속재에 비하여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목재 가로등주의 질감을 살리기 위해서는 그 표면의 처리에 있어서 실제 나무의 느낌을 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데 종래의 목재 가로등주의 경우 이러한 표면 처리가 부족하다. 또한, 근래에 들어 가로등은 많은 불법광고 전단지 등이 부착되는 대상물이 되고 있는데, 이러한 불법 부착물의 부착을 방지하고, 그 제거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
또한, 가로등의 점검구 부분은 누전이 발생하기 쉬운 부분으로서 점검구에서의 누전에 의한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점검구를 구비하는 가로등주가 요구된다.
본 출원이 개시하는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는, 집성목으로 제조된 가로등주로서, 가로등주의 표면은 가로등주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요철이 형성되어 있고, 가로등주가 집성목으로 제조된 점검구를 포함하는 가로등주이다.
또한, 가로등주의 표면은 춘재와 추재로 이루어져 있고, 그 요철은 춘재가 형성된 부분이 제거되어 형성된 가로등주이다. 이때, 가로등주의 내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점검구는 빈 공간이 노출되는 점검구 홀과 점검구 홀을 덮는 점검구 덮개를 포함한다. 점검구 덮개의 표면은 가로등주의 표면에 형성된 요철과 동일한 형태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어, 가로등주에 대하여 점검구의 존재가 부조화스럽지 않고 일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점검구가 형성되는 가로등주의 일부분은, 작업자가 서서 작업할 수 있을 정도로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위치하여, 작업자가 몸을 구부리지 않고도 점검구를 이용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출원이 개시하는 기술적 사상의 일 실시예는, 집성목으로 제조되고 표면에 가로등주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요철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일부분에 점검구가 형성되어 있는 가로등주, 가로등주를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부 및 조명을 제공하는 전등부를 포함하는 가로등이다.
본 출원이 개시하는 가로등주는, 여러 개의 각재들이 집성되어 이루어지는 집성목을 이용하여 가로등주를 제작하므로 일반 목재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가로등주에 비하여 강도면에서 우수하다. 또한, 춘재와 추재의 강도 차이를 활용하여 나무 표면에 요철을 만듦으로써 CO2 를 가두는 단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어 실질적인 친환경적 구조물이라 할 수 있고, 위와 같은 가로등주 표면의 요철은 나뭇결을 따라 자연스럽게 무늬가 형성되어 시각적, 촉각적으로도 실제 나무와 유사하고, 또한, 불법 부착물의 부착을 방지 및 제거하기 용이하다.
또한, 가로등주의 점검구 및 그 덮개가 목재로 제작되어 있어 점검구 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감전을 방지할 수 있고, 점검구의 위치가 지상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형성되어 있어 누수에 의한 감전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점검구를 통한 작업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출원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주를 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치환, 조정 등이 가능함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집성목의 제조
본 출원이 개시하는 가로등주는 목재, 그 중에서도 집성목을 이용한 가로등주이다. 집성목은 일반 목재와는 그 제조 과정이나 성질 등이 상이한데 이하에서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집성목이란 제재 판재 또는 소각재 등을 목재의 섬유방향을 서로 평행시켜 길이, 너비 및 두께 방향으로 집성 및 접착시킨 목재를 의미한다. 집성목은 목재 원자재의 성질을 그대로 나타내면서, 합판이나 보드류와는 달리 이방성을 적게 하는 것이 아니라, 역으로 세로방향으로 강한 소재의 특성을 강조시킨 목재이다.
또한, 집성목은 목재를 충분히 건조하고 자연적인 결점을 제거하거나 분산시켜 공학적으로 등급 구분된 층재를 적층 및 접착하여 제조하는바, 비틀림이 없고 역학적으로 보다 합리적인 구조를 갖는 구조물을 제조할 수 있는 공학목재이다. 또한, 목재가 가지고 있는 자연적인 아름다움을 구비함과 동시에 천연목재에서는 얻을 수 없었던 성질을 이용하여 단면 치수 및 자유로운 형상의 긴 재료를 얻을 수 있는 재료이다.
집성목과 일반 목재의 차이점을 다음의 표로 정리한다.
구분 집성목 일반 목재
강도 성능 공학적 방법으로 계산, 평가, 보증
품질의 균일화로 높은 구조 신뢰성
일반 목재의 1.5 배의 강도
무 등급재
육안등급으로 인해 강도가 부정확
자연적 결점으로 인한 강도의 저하
치수 안정성 함수율 12%±3% 로 건조
수축, 비틀림, 할열 등이 거의 없음
함수율 30% 이상
수축, 비틀림, 할열 등이 심함
내화 성능 1 시간 내화 구조재로 인정 인정되지 않음
내구성 건조재 사용으로 부후, 충해 및 Creep 현상에 강함 부후, 충해의 피해를 받기 쉬움
설계의 자유성 형상과 길이, 크기에 제한없이 제작 길이, 크기의 제한
도 2 는 집성목을 제조하는 프로세스를 예시적으로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원목제재 (21) 로부터 목재 (22) 를 절단해내고 이를 건조시켜 층재 (23) 를 형성한다. 형성된 층재들은 핑거 조인트 프로세스를 통해 길이방향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그 후, 각 층재들 사이에 접착제를 주입하고 (24) 압력을 가하여 집성목 (25) 을 형성할 수 있다.
도 2 의 프로세스를 통해서 제조된 집성목은 그 후 가공 공정을 거쳐 가로등주에 적합한 형상으로 가공된다. 자세한 형상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출원이 개시하고 있는 가로등주는 단순한 일반 목재를 이용한 것이 아니라 집성목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따라서, 금속재 가로등주에 비하여 시각적 및 정서적으로 자연친화적인 가로등주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 목재 가로등주와 비교하여 1.5 배 이상의 강도, 중량대비 최대 강도가 철의 4 배, 콘크리트의 5 배에 이르는 강도를 갖는 가로등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목재의 자연적 결점인 수축, 비틀림 등이 없고 부후, 충해 등에 대한 내구성이 강하며 화학적 공격, 즉, 산성 및 알칼리성 물질에 대하여 내식성이 강한 가로등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로등주는 스테인 처리를 통해 해충, 곰팡이 등을 억제할 수도 있다.
가로등주의 제조
가로등주의 기본적인 형상은 도 1 에 도시된 종래의 가로등주와 유사하다. 즉, 가로등주는 지면에 고정되어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전등부가 고정될 수 있는 형태로 제조된다. 가로등주의 형상은 특정의 형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가로등주의 형상은 원통형, 사각기둥형, 밑변의 원형이 윗변의 원형보다 지름이 큰 테이퍼형이 적용될 수도 있고, 이 외에도 당업자는 여러 가지 형태의 가로등주를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바 가로등주의 형상 자체는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으로서 한정되지 않는다.
도 3 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의 일부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가로등주 (31) 의 하단 부분에는 지면과 부착되기 위한 지지부 (32) 가 부착되어 있고, 지지부 (32) 에는 지면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 (33) 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 부재 (34) 는 결합부 (33) 를 통하여 지지부 (32) 가 지면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부 (32) 및 결합 부재 (34) 는 철 등과 같은 강성이 강한 금속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가로등주 (31) 의 표면에는 나뭇결을 따라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즉, 가로등주 (31) 의 길이방향을 따라 요철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반드시 일정한 직선 형태일 필요는 없으며 나무 표면의 재질 및 형상에 따라 자연스러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가로등주 표면의 요철의 형성에 대해서는 추후 상세히 개시하기로 한다.
도 4 는 도 3 의 가로등주의 평면도이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등주 (41) 는 복수의 목재 각재가 결합되어 있는 구조로서, 가운데는 비어있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목재 각재가 결합된 집성목으로 가로등주 (41) 를 이루는바 일반 목재에 비하여 그 강도 및 내구성 등이 우수하다. 가운데 비어 있는 공간 (44) 은 전등부 (12) 로의 배선을 통과시키기 위한 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나무가 숨을 쉴 수 있도록 하여 목재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도 5 는 도 4 의 일부 영역 (45) 을 확대한 도면으로서 가로등주 표면의 요철 부분을 보다 상세히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목재의 횡단면을 살펴보면 동심원으로 이루어지는 조직들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춘재와 추재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춘재 (春材) 는 수목의 하나의 나이테 중에서 봄철에서 여름철까지 형성된 부분으로서, 온난한 봄철에는 생장도 왕성하므로 생성되는 세포는 막이 얇고 모양이 크다. 또한, 춘재는 추재에 비해 색깔이 엷고 조직은 거칠며 비중이 작고 부드러우며 강도도 낮다.
반면에, 추재 (秋材) 는, 수목의 나이테 중에서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서 형 성된 부분으로서, 일조 (日照), 기온 등의 생활환경이 점점 나빠지는 때에 생성되므로 생장이 저하되고, 생성되는 세포는 막이 두껍고 모양이 작다. 추재는 춘재에 비해 색깔이 짙고 비중이 크며 단단하고 강도도 높다.
도 5 를 살펴보면 춘재 (51) 와 추재 (52) 부분이 구분되어 나타나 있다. 춘재 (51) 는 추재 (52) 에 비하여 면적이 더 넓고 색깔이 옅다. 또한, 춘재 (51) 는 추재 (52) 에 비하여 강도가 약하므로 동일한 충격에 대하여 보다 쉽게 홈이 파일 수 있다. 즉, 가로등주 표면의 요철은 도 5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춘재 (51) 부분에서는 낮고 추재 (52) 부분에서는 높은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요철의 형성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가로등주의 표면에 도 5 와 같은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바, 본 실시예에 따른 가로등은 시각적으로 보다 자연적인 나무와 유사한 느낌을 줄 수 있다. 즉, 나뭇결을 따라 자연스럽게 무늬가 형성되므로 인위적이지 않은 천연 그대로의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그 표면의 촉감 역시 인위적으로 가공된 매끄러운 형태가 아닌 실제 나무와 같은 굴곡의 느낌을 줄 수 있어 보다 자연적인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로등주의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나무 표면의 단면적이 넓어지므로 CO2 를 가둘 수 있는 단면적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단순히 시각적으로 환경친화적인 것을 넘어, 가로등 주변의 공기 중의 CO2 를 가로등이 흡수할 수 있게 되므로 주변 환경의 공기질을 개선할 수 있다는 실질적인 환경 개선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가로등주의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바 광고 전단지 등과 같은 불법 부착물이 쉽게 부착될 수 없고 또한 부착되는 경우라도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도 6 에서와 같이 불법 부착물의 방지를 위하여 가로등의 일정 부분에,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덮개를 입히는 것과 같은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별도의 덮개를 가로등마다 구비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미관상으로도 적절치 않으며 보행자가 부딪히는 경우에 부상을 유발할 수도 있는 등의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와 달리, 본 실시예의 경우 자연스럽게 형성된 요철을 통해 불법 부착물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가로등주의 표면의 요철 형성
가로등주의 표면은 강도가 약한 춘재와 강도가 강한 추재로 이루어져 있다. 본 출원이 개시하는 가로등주는 이와 같은 춘재와 추재의 강도 차이를 이용하여 요철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가로등주의 표면 중 강도가 낮은 춘재 부분에 오목한 홈을 내어 요철을 형성하게 된다. 즉, 가로등주의 표면에 인위적인 형태, 예를 들어, 직선으로 홈을 내는 것이 아니라, 나뭇결을 따라 춘재가 표면에 나타나는 부분에 홈이 파이게 되므로 자연스러운 음각이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형성되는 요철은 인위적인 느낌이 없이 자연스럽다.
또한, 요철의 형성은 표면에 춘재가 나타난 부분을 의도적으로 구별하여 홈을 형성할 수도 있지만, 춘재와 추재의 구분없이 표면 전체에 춘재의 강도와 추재 의 강도의 중간 정도의 강도로 압력을 가함으로써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춘재의 강도와 추재의 강도 사이의 압력이 가로등주 표면에 가해지는 경우, 가해지는 압력보다 강도가 낮은 춘재는 마모되고 가해지는 압력보다 강도가 강한 추재는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춘재와 추재를 구별하여 홈을 형성하지 않고 가로등주의 표면에 전체적으로 가공처리를 수행함을 통해서 요철을 형성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 는 요철을 형성하는 가공처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 는 사각의 가로등주를 가공하는 경우, 도 7b 는 원형의 가로등주를 가공하는 경우를 각각 나타낸다.
도 7b 를 통해 가로등주 표면의 요철 처리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가로등주 (74) 의 처리 대상 표면상에 높낮이가 조절되는 다이 (72) 가 배치된다. 다이 (72) 는 그 높낮이를 조절하여 가로등주 표면에 형성되는 요철의 깊이를 설정할 수 있다. 핸드 그라인더 (73) 에는 철제 브러쉬 (71) 가 부착되어 있다.
가공 프로세스가 시작되면 가로등주의 높이 방향을 따라서 가공을 진행한다. 철제 브러쉬 (71) 는 가로등주 표면을 그 브러쉬의 영역에서 전체적으로 그라인딩하게 된다. 이때 해당 영역 중에서 추재 부분은 강도가 강하여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지만 춘재 부분은 강도가 약하여 깎여 나가게 된다. 이와 같이 가로등주의 높이 방향을 따라 위에서 아래로 또는 아래에서 위로 철제 브러쉬로 가공함으로써 기계적으로 강도가 낮은 춘재 영역만을 긁어낼 수 있고, 따라서 춘재 영역은 오목하게 패이고 추재 부분은 볼록하게 나오는 요철 형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가로등주의 표면 처리는 고압의 모래분사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고압의 분사 장치를 이용하여 가로등주의 표면에 모래를 분사하여 강도가 약한 춘재 부분만을 깎아낼 수 있다. 이 경우, 분사되는 모래의 압력은 춘재 영역의 강도보다는 강하고 추재 부분의 강도 보다는 약한 정도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춘재와 추재의 강도 차이를 이용하는 가공 처리를 통해 요철을 형성하므로 나뭇결에 따라 자연스러운 형태의 요철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요철 형성 공정에 있어서 춘재 부분과 추재 부분을 의도적으로 구분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가로등주의 점검구
도 8a 및 8b 는 본 출원이 개시하는 가로등주에 형성되는 점검구의 일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점검구는 가로등주 (81) 에 형성되는 점검구 홀 (82) 과 점검구 홀 (82) 을 덮는 점검구 덮개 (83) 로 구성된다. 점검구 홀 (82) 과 점검구 덮개 (83) 는 가로등주 (81) 의 형상에 따라 그 형상이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로등주가 사각기둥인 경우에는 점검구 홀 및 점검구 덮개 역시 평평한 형태로 제작되어 점검구 덮개가 점검구 홀을 덮었을 때에 점검구 부분과 점검구 이외의 가로등주 부분이 일체감을 유지하도록 한다. 또한, 가로등주가 원기둥의 형태인 경우에는 이에 따라 점검구 홀 및 점검구 덮개는 일정한 굴곡을 갖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
점검구 홀 (82) 은 가로등주의 내부의 빈 공간을 노출시킬 수 있도록 뚫려 있다. 즉, 점검구 홀 (82) 을 통해 작업자는 가로등주 내부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케이블 등에 접근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작업을 할 수 있다. 점검구 홀 (82) 과 점검구 덮개 (83) 는 공지의 결합 수단을 이용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볼트를 이용하여 점검구 덮개 (83) 를 점검구 홀 (82) 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또한, 특정의 작업자만이 점검구에 접근할 수 있도록 잠금장치가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점검구의 일면에 힌지부를 형성하여 점검구 덮개를 여닫을 수 있게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점검구의 형상은 특정의 형상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점검구를 통하여 가로등주 내부에 접근할 수 있고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이라면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점검구 덮개의 표면은 가로등주의 다른 부분과 일체감을 갖도록 표면 처리가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점검구 덮개의 표면에는 춘재와 추재의 영역에 따라 가로등주의 길이방향을 따라 요철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나무 무늬와 흡사한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점검구 덮개와 가로등주 사이의 경계선은 주변의 요철와 비슷하여 더욱 눈에 띄지 않고 따라서 점검구와 가로등주의 일체감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즉, 가로등주에 형성되는 인위적인 구조의 점검구가 쉽게 눈에 띄지 않으므로 가로등주는 보다 자연친화적이고 시각적으로 우수하다.
도 9 는 가로등주의 일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점검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점검구 홀의 형성은 공지의 방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 지의 목재 가공 수단을 이용하여 가로등주의 일면을 일정 깊이로 파내고, 그 중 일부분을 더 파내어 가로등주의 내부가 노출되도록 가공할 수도 있다.
점검구 덮개는 점검구 홀을 형성하기 위해 파낸 부분을 이용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점검구 홀의 형성을 위해 제거된 가로등주의 부분을 점검구 덮개로 활용함으로써, 점검구 덮개를 점검구 홀에 장착하였을 때 가로등주의 다른 부분들과 일체감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0 는 가로등주에 설치된 점검구를 통하여 작업을 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점검구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즉 작업자가 서 있는 상태로 작업하기 용이한 일반적인 높이에 형성되므로 작업자는 점검구를 통한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작업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 점검구를 통해 작업할 수 있을 정보의 높이, 예를 들어 지면으로부터 1m 떨어진 높이에 형성된다.
종래의 점검구는 일반적으로 가로등주의 하단부, 지면에 근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점검구의 위치는 종래 가로등주의 경우 점검구와 가로등주가 일체감이 없어 점검구를 가능한 눈에 띄지 않는 위치에 형성하고자 함에 따라 채용된 것일 수 있다. 점검구의 위치가 낮은 경우, 비가 많이 오거나 눈이 쌓여 점검구 내부로 물이 침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누전 및 감전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작업자는 허리를 구부리거나 쪼그리고 앉아 작업을 하게 되므로 작업에 집중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출원의 점검구는 지면으로부터 대략 1m 떨어진 높이에 형성되므로 작업자가 편하게 서 있는 상태에서 작업을 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비나 눈이 많이 오는 경우라도 점검구의 위치가 높아 물의 침입이 어렵고 따라서 이에 따른 누전이나 감전사고를 방지할 수도 있다.
특히, 본 출원의 점검구는 종래 가로등과는 달리 가로등주와 점검구가 일체감을 갖는 형태이므로 점검구가 눈에 띄는 높이에 형성되더라도 시각적으로 우수하다. 따라서, 점검구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떨어진 위치에 형성하는 것에 대한 거부감이 없다.
도 1 은 종래의 가로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 는 집성목의 예시적인 제조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 은 본 출원이 개시하는 가로등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 는 본 출원이 개시하는 가로등의 일 실시예의 평면도.
도 5 는 도 4 의 도면 부호 45 를 확대한 도면.
도 6 은 종래 가로등에 사용되는 불법 부착물 방지 수단의 예시적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7a 는 요철을 형성하는 가공처리 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b 는 요철을 형성하는 가공처리 방법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a 는 점검구 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b 는 점검구 덮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9 는 가로등주에 형성된 점검구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 는 점검구를 통하여 작업을 진행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
* 도면 부호 *
10: 가로등 11, 31, 41, 74, 81: 가로등주
12: 전등부 13, 32: 지지부
33, 43: 결합부 34: 결합부재
44: 빈 공간 51: 춘재
52: 추재 71: 브러쉬
72: 다이 73: 핸드 그라인더
82: 점검구 홀 83: 점검구 덮개

Claims (5)

  1. 집성목으로 제조된 가로등주로서,
    상기 가로등주의 내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로등주는 집성목으로 제조된 점검구를 포함하고,
    상기 점검구는 상기 빈 공간이 노출되는 점검구 홀과 상기 점검구 홀을 덮는 점검구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등주의 표면은 상기 가로등주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요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로등주의 표면은 춘재와 추재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요철은 상기 춘재가 형성된 부분이 제거되어 형성된, 가로등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구 덮개의 표면에는 상기 가로등주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요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점검구 덮개의 표면은 춘재와 추재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요철은 상기 춘재가 형성된 부분이 제거되어 형성된, 가로등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구가 형성되는 가로등주의 일부분은, 작업자가 서서 작업할 수 있 을 정도로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위치하는, 가로등주.
  5.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로등주를 포함하고,
    상기 가로등주를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부와 조명을 제공하는 전등부를 포함하는, 가로등.
KR2020090005175U 2009-04-29 2009-04-29 목재 점검구를 구비하는 가로등주 KR2004599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175U KR200459967Y1 (ko) 2009-04-29 2009-04-29 목재 점검구를 구비하는 가로등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5175U KR200459967Y1 (ko) 2009-04-29 2009-04-29 목재 점검구를 구비하는 가로등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942U KR20100010942U (ko) 2010-11-08
KR200459967Y1 true KR200459967Y1 (ko) 2012-04-25

Family

ID=44203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5175U KR200459967Y1 (ko) 2009-04-29 2009-04-29 목재 점검구를 구비하는 가로등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967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2504A (ja) * 1995-02-28 1996-09-10 Ooderitsuku Kk 人工埋木外装照明柱
KR100887720B1 (ko) * 2008-10-16 2009-03-11 (주)엔에스코리아 가로등 지주의 점검구 덮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32504A (ja) * 1995-02-28 1996-09-10 Ooderitsuku Kk 人工埋木外装照明柱
KR100887720B1 (ko) * 2008-10-16 2009-03-11 (주)엔에스코리아 가로등 지주의 점검구 덮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942U (ko) 2010-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132948Y (zh) 公路护栏板
KR200459967Y1 (ko) 목재 점검구를 구비하는 가로등주
KR101121054B1 (ko) 심재 보강 원주목
CN206784110U (zh) 一种新型多功能路沿石
KR101105674B1 (ko) 목재 가로등주
CN203080438U (zh) 全封闭隧道式道路声屏障
KR200423891Y1 (ko) 천연나무커버를 갖는 가로등주
CN105200886A (zh) 一种自发光彩色路面及施工方法
CN2764855Y (zh) 耐磨复合实木地板
KR20080088280A (ko) 천연나무소재의 가로등지주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18121A (ko) 친환경 토사유출억제와 다양한 질감의 방초매트 구조체
CN204023446U (zh) 一种用于塑格拼接地板的发光组合标识条
KR100924764B1 (ko) 슬라이딩 결합식 나무커버를 갖는 가로등주
EP1947383A1 (de) Mineralisches Bauelement mit integriertem Leuchtmittel,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Leuchtmittel
DE102004056169A1 (de) Anordnung zur Integration von lichtemittierenden Dioden in Bauwerksflächen
CN203708944U (zh) 上凸立体造型仿生态树穴遮护盖
CN115075170B (zh) 一种吸声防撞护栏
CN215164337U (zh) 一种高压成型夜光透水混凝土砖块
CN107711145A (zh) 一种环保防尘市政道路用盆栽
CN221167283U (zh) 一种人行道树池盖板
CN200940417Y (zh) 楼体窗口组合防盗装置
CN207794126U (zh) 一种智能调控庭院灯的基础
KR20080093194A (ko) 인조석 커버가 씌워진 가로등 지주
CN202925460U (zh) 桥梁附属结构
CN2594304Y (zh) 道路标线用基坐标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