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771Y1 - 척추 보조기 - Google Patents

척추 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771Y1
KR200459771Y1 KR2020090012725U KR20090012725U KR200459771Y1 KR 200459771 Y1 KR200459771 Y1 KR 200459771Y1 KR 2020090012725 U KR2020090012725 U KR 2020090012725U KR 20090012725 U KR20090012725 U KR 20090012725U KR 200459771 Y1 KR200459771 Y1 KR 2004597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
waist
connectors
connector
reinforc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27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3373U (ko
Inventor
설상범
Original Assignee
(주)오케이메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오케이메디텍 filed Critical (주)오케이메디텍
Priority to KR20200900127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771Y1/ko
Publication of KR201100033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3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7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7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4Orthopaedic corsets having pressure pads connected in a frame for reduction or correction of the curvature of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척추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복부지지판과 허리 보호대로 구성되는 척추보조기에 있어 허리 보호대와 면접되는 허리의 전면이 상기 허리 보호대와 밀접하게 밀착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 상기 허리 보호대 전면에 결속되어 연결부재와 연결되어 결속되는 제1, 2지지밴드가 구비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척추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척추, 보조기, 허리, 보호대

Description

척추 보조기{Spinal Orthoses}
본 고안은 척추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복부지지판과 허리 보호대로 구성되는 척추보조기에 있어 허리 보호대와 면접되는 허리의 전면이 상기 허리 보호대와 밀접하게 밀착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진 상기 허리 보호대 전면에 결속되어 연결부재와 연결되어 결속되는 제1, 2지지밴드가 구비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척추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척추는 인체골격의 중추적인 골격으로 인체의 대들보로서, 경추(목뼈)와 흉추(등뼈) 및 요추(허리뼈)로 구분되며, 마치 24개의 벽돌을 천골이라는 주춧돌 위에 블록처럼 쌓아놓은 모양으로 되어 있다.
상기 척추는 뇌로부터 척추뼈 안으로 내려오는 척수를 보호하고 체중을 지탱하며, 곧은 자세나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하고, 우리 신체의 움직임이나 모든 신체활동이 정상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신체와 두뇌간의 생명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기관으로 우리 몸의 질병 중 95%가 척추에서 시작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인체골격 중 중추적인 작용을 하는 척추를 보호하기 위하여 척추보조기 는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며, 일반적으로 착용자의 허리를 보호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허리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로 이루어진 척추보조기로서, 상기 지지부는 안쪽으로 휘어지는 일정한 곡면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곡면을 유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보강대가 수직방향으로 지지부에 내장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에는 벨크로가 부착된 보조밴드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척추보조기를 착용하게 되면 지지부에 내장된 다수의 보강대가 허리의 요추를 정확하게 지지하며, 고정부에 부착되어 있는 보조밴드의 벨크로를 잡아당겨 대향하는 보조밴드의 벨크로에 부착함으로서, 고정부와 보조밴드에 의해 이중으로 견고하게 고정되어 착용자가 움직이거나 활동할 때 척추보조기가 흘러내리지 않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척추보조기의 체결구조인 고정부와 보조밴드에 의해 의존하여 척추의 일부분, 예를 들어 견갑골 및 경추와 흉추 요추 및 선추로 이루어진 척추의 구성부분에서 요추만을 대상으로 한 척추보조기를 제공됨으로 척추 중 다른 부분 예를 들어 견갑골이나 경추나 흉추를 지지하고자 할 경우에는 별도의 보조기를 착용해야 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척추 보조기의 허리 보호대가 환자의 견갑골 및 경추뿐만 아니라 흉추 요추까지도 견고히 밀착/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척추 전체를 교정 보호할 수 있도록 한 척추 보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양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절곡되며, 중앙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경질의 보강대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대 후면 전부를 커버하고 양측으로 연장되며 양측 끝단부에 각각 암/수 벨크로 테이프형태의 주연결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대 양측 끝단에 각각 제1, 2좌측연결구와 제1, 2우측연결구가 형성되어, 상기 제1, 2좌측연결구와 제1, 2우측연결구에 각각 연결되어 좌우측 수평으로 결속되도록 각각의 끝단에 암/수 벨크로 테이프형태를 가진 제1, 2좌측보조연결부재와 제1, 2우측보조연결부재로 구성되는 허리 보호대와;,
복부에 위치하며, 상기 허리 보호대의 제1, 2연결부재 후방에 설치되는 복부지지판;으로 이루어지는 척주 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보강대 전면의 상단 중앙에 결속되어 제1좌측연결구를 통해 제1좌측보조연결부재에 결속/교차되어 제2우측연결구를 통해 제2우측보조연결부재와 결속/교차되어 상기 보강대 전면의 하단 중앙에 결속되는 일체의 제1지지밴드와,
상기 보강대 전면의 상단 중앙에 결속되어 제1우측연결구를 통해 제1우측보조연결 부재와 결속/교차되어 제2좌측연결구를 통해 제2좌측보조연결부재와 결속/교차되어 상기 보강대 전면의 하단 중앙에 결속되는 제2지지밴드로 구성되는 척추 보조기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견갑골 및 경추와 흉추 및 요추로 이루어진 척추 전체를 지지할 수 있는 허리 보호대와 상기 허리 보호대에 장착되는 복부 지지판의 연결 및 상기 허리 보호대의 연결부재와, 상기 제1, 2지지밴드의 결속으로 인해 더욱 안정된 상태로 착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반신의 체중이 요추부위에 무리하게 가해지는 현상을 방지하여 허리의 통증을 완화시키며 또한 척추의 견갑골 및 경추 흉추부위를 좌우방향으로 움직이게 하여 척추를 보호하면서도 상반신의 좌우방향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착용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양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절곡되며, 중앙에 다수의 통공(211)이 형성된 경질의 보강대(210)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대(210) 후면 전부를 커버하고 양측으로 연장되며 양측 끝단부에 각각 암/수 벨크로 테이프형태의 주연결부재(300)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대(210) 양측 끝단에 각각 제1, 2좌측연결구(211a, 211b)와 제1, 2우측연결구(211c, 211d)가 형성되어, 상기 제1, 2좌측연결구(211a, 211b)와 제1, 2우측연결구(211c, 211d)에 각각 연결되어 좌우측 수평으로 결속되도록 각각의 끝단에 암/수 벨크로 테이프형태를 가진 제1, 2좌측보조연결부재(400a, 400b)와 제1, 2우측보조연결부재(400c, 400d)로 구성되는 허리 보호대(200)와;,
복부에 위치하며, 상기 허리 보호대(200)의 주연결부재(300) 후방에 설치되는 복부지지판(600);으로 이루어지는 척주 보조기(100)에 있어서,
상기 보강대(210) 전면의 상단 중앙에 결속되어 제1좌측연결구(211a)를 통해 제1좌측보조연결부재(400a)의 일단에 결속된 연결핀(220)에 결속/교차되어 제2우측연결구(211d)를 통해 제2우측보조연결부재(400d)의 일단에 결속된 연결핀(220)와 결속/교차되어 상기 보강대(210) 전면의 하단 중앙에 결속되는 일체의 제1지지밴드(500a)와,
상기 보강대(210) 전면의 상단 중앙에 결속되어 제1우측연결구(211c)를 통해 제1우측보조연결부재(400c)의 일단에 결속된 연결핀(220)과 결속/교차되어 제2좌측연결구(211b)를 통해 제2좌측보조연결부재(400b)의 일단에 결속된 연결핀(220)과 결속/교차되어 상기 보강대(210) 전면의 하단 중앙에 결속되는 제2지지밴드(500b)로 구성되는 척추 보조기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허리 보호대(200)의 외피를 이루는 직물구조와 허리 보호대(200)를 연결/결속 하는 주연결부재(300)의 결속구조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공지된 기술을 바탕으로 하며, 그 기술 및 원리를 기반으로 수행되는 것임은 자명하다는 것으로 기술적 구조 및 사상에 대해서는 생략하도록 한다.
도 1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척추 보조기(100)를 구성하는 허리 보호대(200)에 있어, 양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절곡되며, 중앙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경질의 보강대(210)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대(210) 후면 전부를 커버하고 양측으로 연장되며 양측 끝단부에 각각 암/수 벨크로 테이프형태의 주연결부재(300)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대(210) 양측 끝단에 각각 제1, 2좌측연결구(211a, 211b)와 제1, 2우측연결구(211c, 211d)가 형성되어, 상기 제1, 2좌측연결구(211a, 211b)와 제1, 2우측연결구(211c, 211d)에 각각 연결되어 좌우측 수평으로 결속되도록 각각의 끝단에 암/수 벨크로 테이프형태를 가진 제1, 2좌측보조연결부재(400a, 400b)와 제1, 2우측보조연결부재(400c, 400d)로 구성된다.
기존의 척추 보조기는 보강대 양측 끝단에 각각 제1, 2좌측연결구와 제1, 2우측연결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 2좌측연결구와 제1, 2우측연결구에 각각 연결되어 좌우측 수평으로 결속되도록 각각의 끝단에 암/수 벨크로 테이프형태를 가진 제1, 2좌측보조연결부재와 제1, 2우측보조연결부재가 형성되어 상기 제1, 2좌측보조연결부재와 제1, 2우측보조연결부재가 서로 수평으로 결속되어 척추 보조기가 체결된다.
그러나, 도 2에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보강대(210) 전면의 상단 중앙에 결속되어 제1좌측연결구(211a)를 통해 제1좌측보조연결부재(400a)의 일단에 결속된 연결핀(220)에 결속/교차되어 제2우측연결구(211d)를 통해 제2우측보조연결부재(400d)의 일단에 결속된 연결핀(220)과 결속/교차되어 상기 보강대(210) 전면의 하단 중앙에 결속되는 일체의 제1지지밴드(500a)와, 상기 보강대(210) 전면의 상단 중앙에 결속되어 제1우측연결구(211c)를 통해 제1우측보조연결부재(400c)의 일단에 결속된 연결핀(220)과 결속/교차되어 제2좌측연결구(211b)를 통해 제2좌측보조연결부재(400b)의 일단에 결속된 연결핀(220)과 결속/교차되어 상기 보강대(210) 전면의 하단 중앙에 결속되는 제2지지밴드(500b)가 구성됨으로서, 상기 제1, 2좌측보조연결부재(400a, 400b)와 제1, 2우측보조연결부재(400c, 400d)가 서로 수평으로 결속되도록 잡아당길 때 동시에 상기 제1, 2지지밴드(500a, 500b)가 조여주면서 허리 보호대(200)의 전면을 허리 부착면에 밀착시켜 주는 원리로 작용하게 된다.
이때 도 9와 같이 허리 보호대(200)는 허리 부착면에 더욱 밀착시켜 허리 부착면과 허리 보호대(200) 후방면과의 들뜬 상태가 전혀 없는 견고한 밀착구조의 척추 보조기(100)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척추 보조기는 다양하게 설계변경하여 제작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그 원리를 본 고안의 구성으로 한정하여 제작하되 그 원리를 통한 기구에 있어서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설계변 경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것을 밝힌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척추 보조기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척추 보조기의 허리 보호대 정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본 고안에 따른 척추 보조기의 허리 보호대 “A”부위의 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척추 보조기의 허리 보호대에서 제1, 2좌/우측보조연결부재가 결속된 제1, 2지지밴드복부를 분리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척추 보조기의 허리 보호대 후면 일부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본 고안에 따른 척추 보조기의 허리 보호대 “B”부위의 확대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척추 보조기의 허리 보호대 배면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본 고안에 따른 척추 보조기의 허리 보호대 “C”부위의 확대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척추 보조기를 착용한 후/측면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척추 보조기 100 허리 보호대 200 보강대 210 제1, 2좌측연결구 211a, 211b 제1, 2우측연결구 211c, 211d 통공 211 연결핀 220 주연결부재 300 제1, 2좌측보조연결부재 400a, 400b 제1, 2우측보조연결부재 400c, 400d 제1, 2지지밴드 500a, 500b 복부지지판 600

Claims (1)

  1. 양측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절곡되며, 중앙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경질의 보강대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대 후면 전부를 커버하고 양측으로 연장되며 양측 끝단부에 각각 암/수 벨크로 테이프형태의 주연결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보강대 양측 끝단에 각각 제1, 2좌측연결구와 제1, 2우측연결구가 형성되어, 상기 제1, 2좌측연결구와 제1, 2우측연결구에 각각 연결되어 좌우측 수평으로 결속되도록 각각의 끝단에 암/수 벨크로 테이프형태를 가진 제1, 2좌측보조연결부재와 제1, 2우측보조연결부재로 구성되는 허리 보호대와;,
    복부에 위치하며, 상기 허리 보호대의 제1, 2연결부재 후방에 설치되는 복부지지판;으로 이루어지는 척주 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보강대 전면의 상단 중앙에 결속되어 제1좌측연결구를 통해 제1좌측보조연결부재의 일단에 결속된 연결핀과 결속/교차되어 제2우측연결구를 통해 제2우측보조연결부재의 일단에 결속된 연결핀과 결속/교차되어 상기 보강대 전면의 하단 중앙에 결속되는 일체의 제1지지밴드와;,
    상기 보강대 전면의 상단 중앙에 결속되어 제1우측연결구를 통해 제1우측보조연결부재의 일단에 결속된 연결핀과 결속/교차되어 제2좌측연결구를 통해 제2좌측보조연결부재의 일단에 결속된 연결핀과 결속/교차되어 상기 보강대 전면의 하단 중앙에 결속되는 제2지지밴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보조기.
KR2020090012725U 2009-09-28 2009-09-28 척추 보조기 KR2004597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725U KR200459771Y1 (ko) 2009-09-28 2009-09-28 척추 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725U KR200459771Y1 (ko) 2009-09-28 2009-09-28 척추 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373U KR20110003373U (ko) 2011-04-05
KR200459771Y1 true KR200459771Y1 (ko) 2012-04-13

Family

ID=44208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2725U KR200459771Y1 (ko) 2009-09-28 2009-09-28 척추 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771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3890B1 (ko) 2001-06-08 2003-11-05 박기상 척추 보조기
KR200434837Y1 (ko) 2006-08-22 2006-12-28 류실근 허리 보호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3890B1 (ko) 2001-06-08 2003-11-05 박기상 척추 보조기
KR200434837Y1 (ko) 2006-08-22 2006-12-28 류실근 허리 보호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373U (ko) 2011-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62121B2 (en) Spinal orthotic devices
US8336124B2 (en) Upper body protective garment
AU765141B2 (en) Improvement in tramper&#39;s pack
US5537690A (en) Body support garment
JP4848260B2 (ja) 妊婦帯
US20190343673A1 (en) Recoil and spinal armor support system
EP2491896A1 (en) Frame for an orthopedic brace having a truss structure and an associated strapping system
JP6407392B1 (ja) 腰用サポーター
KR20190090819A (ko) 체간 서포터 및 그것을 구비한 웨어
KR101371166B1 (ko) 경추 보조기
RU2670700C2 (ru) Ортез для туловища
JP5858392B2 (ja) 仙腸関節保護ベルト
US11413181B2 (en) Modular device for dorsal protection
KR200459771Y1 (ko) 척추 보조기
JP6116289B2 (ja) 妊婦帯
WO2012168883A1 (en) Strap support device for the correction and prevention of an incorrect shoulder posture
US10744023B2 (en) Postural support apparatus and ventilation system
KR102514948B1 (ko) 척추측만증 보조기
KR200249325Y1 (ko) 척추 보조기
JP3102742U (ja) 骨盤矯正サポートガードル
KR200454555Y1 (ko) 척추 보조기
JP2015139605A (ja) 腰用サポータ
JP2870691B1 (ja) コルセットベルト
KR101212934B1 (ko) 요추 보호기
JP2010115303A (ja) 骨盤矯正ベル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