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734Y1 - 안경용 코받침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안경용 코받침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734Y1
KR200459734Y1 KR2020100009851U KR20100009851U KR200459734Y1 KR 200459734 Y1 KR200459734 Y1 KR 200459734Y1 KR 2020100009851 U KR2020100009851 U KR 2020100009851U KR 20100009851 U KR20100009851 U KR 20100009851U KR 200459734 Y1 KR200459734 Y1 KR 2004597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se support
slot
nose
indentation
connect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98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2268U (ko
Inventor
장용찬
정명하
Original Assignee
정명하
장용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명하, 장용찬 filed Critical 정명하
Priority to KR20201000098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734Y1/ko
Publication of KR201200022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2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7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7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경의 프론트를 안면에 소정 높이로 지지하는 코받침을 프론트에 간편하게 설치하는 안경용 코받침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상기 프론트에 하부가 개방된 슬롯이 상향 요입되게 형성하고, 이 슬롯에 코받침의 연결편을 상향 진입시켜 고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슬롯의 내벽과 이와 대향하는 연결편의 외벽에는 압입홈과 압입돌기가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슬롯에 상향 진입된 코받침의 연결편이 압입홈과 압입돌기에 의한 견착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경용 코받침 설치구조{Combination structure of nose supports on glasses}
본 고안은 안경용 코받침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경의 프론트를 착용자의 안면에 소정 높이로 이격되게 지지하는 코받침을 프론트에 간편하게 설치하는 안경용 코받침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력이 좋지 않아 시력을 보완하기 위해 사용하는 안경은, 렌즈의 고정을 도모하는 프론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프론트에는 코받침이 형성되어 코받침을 통한 코와의 지지를 통해 착용자의 안면에 이격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안경의 프론트에 코받침의 설치구조로는 프론트의 배면에 코받침을 밀착시킨 다음, 볼팅을 통해 코받침을 프론트의 배면에 고정하는 형태가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상기 코받침의 설치구조는 볼팅을 통해 프론트와 코받침을 연결하고 있는 관계로, 조립을 통한 번거로움과 볼팅을 통한 조립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지적되었고, 이에 최근에는 볼팅을 통하지 아니하는 다양한 코받침 설치구조가 제안된 바 있다.
대표적으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 20-341081호에서는, 프론트의 내측면에 단부에 걸림턱을 구비한 삽입홈을 형성하고, 고리부가 형성된 코받침부를 형성하여 고리부가 걸림턱에 걸림하여 고정되도록 한 안경의 코다리 장착구조를 제안하고 있으며, 이러한 장착구조에 의해 나사나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도 코받침을 프론트에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 코다리 장착구조는 한 쌍의 코받침부가 각각 따라 제작되어 프론트에 장착되므로, 제작 및 조립에 따른 번거로움이 발생되고, 특히 고리부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관계로 코받침이 쉽게 휘거나 부러지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그 밖에, 프론트에 고정홈이나 고정돌기를 형성하고 이 코받침을 프론트의 배면방향으로 고정홈 및 고정돌기에 압입시켜 고정하도록 한 다양한 코받침 설치구조들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들 모두는 지지방향과 직교하는 배면방향으로 코받침을 진입시켜 프론트에 고정하는 관계로, 프론트의 하중에 따른 모멘트에 의해 코받침과 프론트의 연결부위가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안경의 프론트를 안면에 이격되게 지지하는 코받침을 프론트에 간편하게 설치함에 있어, 프론트에 코받침을 상향 진입시켜 프론트를 수직으로 지지하는 프론트와 코받침의 연결부위가 수직선상에 위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연결부위의 손상을 방지하여 착용과정에 프론트에 설치된 코받침의 뒤틀림이 억제되도록 한 안경용 코받침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고안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안경용 코받침 설치구조는,
연결편의 양단에 지지편이 일체로 형성된 코받침을 안경의 프론트에 설치하는 안경용 코받침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에 하부가 개방된 슬롯을 상향 요입되게 형성하여, 이 슬롯에 코받침의 연결편을 상향 진입시켜 고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슬롯의 내벽과 이와 대향하는 연결편의 외벽에는 압입홈과 압입돌기가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슬롯에 상향 진입된 코받침의 연결편이 압입홈과 압입돌기에 의한 견착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롯의 내벽에는 복수의 압입홈이 상하 이격되게 형성되고 코받침의 연결편 외벽에는 압입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코받침 연결편의 상향 진입 깊이에 따라 압입돌기가 슬롯의 내벽에 형성된 압입홈들에 순차적으로 견착되도록 구성되어서, 프론트에 하향 돌출되는 코받침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받침의 연결편이 진입된 슬롯의 내측편 양편에는 절개홈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슬롯에 코받침의 연결편을 진입시키면 연결편의 양단에 형성된 각 지지편은 절개홈에 진입하여 양편이 지지되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코받침 설치구조는, 프론트에 형성된 하부 개방된 슬롯에, 코받침의 연결편을 상향 진입시켜 코받침을 프론트에 간편하게 조립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설치구조로 코받침을 프론트에 설치하면, 코받침의 진입방향과 코받침을 통한 프론트의 지지방향이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수직선상에 위치된 프론트에서 코받침이 이탈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고, 또 프론트에 설치된 코받침 연결편의 외부 노출이 방지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코받침 연결편의 상향 진입 깊이에 따라 압입돌기가 슬롯의 내벽에 형성된 압입홈들에 순차적으로 견착되므로, 이를 통해 사용자는 코받침의 진입 깊이를 조절하여 자신의 체형에 적합한 높이를 갖는 코받침을 프론트에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코받침 설치구조가 채택된 안경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및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코받침 설치구조를 통한 프론트와 코받침의 조립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단면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코받침 설치구조를 통해 프론트에 조립된 코받침의 해체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안경의 코받침 설치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코받침 설치구조가 채택된 안경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및 절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코받침 설치구조를 통한 프론트와 코받침의 조립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단면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코받침 설치구조를 통해 프론트에 조립된 코받침의 해체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안경용 코받침 설치구조는, 도 1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안경 프론트(10)의 렌즈 설치부 사이에 코받침(20)을 고정하는 것으로, 상기 코받침(20)은 프론트(10)와 코 사이를 상향 지지하여 프론트(10)가 자중이나 외력에 의해 하부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코받침(20)은, 연결편(21)의 양단에 지지편(22)이 일체로 형성된 플라스틱 사출성형물로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코받침(20)의 연결편(21)을 프론트(10)에 상향 진입시켜 고정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론트(10)에 하부가 개방된 슬롯(11)을 상향 요입되게 형성하고 있으며, 이 슬롯(11)에 코받침(20)의 연결편(21)을 상향 진입시켜 고정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프론트(10)에 상향 요입된 슬롯(11)을 형성하고, 이 슬롯(11)에 코받침(20)의 연결편(21)을 상향 진입시켜 고정하면, 코받침(20)에 형성된 연결편(21)은 하부면을 제외한 상부면과 4측면이 슬롯(11)의 내벽에 각각 감싸져 안정되게 고정되므로, 요동과 외부 노출이 억제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프론트(10)와 이를 수직으로 지지하는 코받침(20)은 수직 선상에 놓이게 되므로, 착용과정에 프론트(10)가 전방으로 편향져서 코받침(20)과 프론트(10)의 연결부위가 손상되거나 코받침(20)이 뒤틀리는 현상이 억제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슬롯(11)의 내부편(11c) 양편에 절개홈(11c-a)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슬롯(11)에 연결편(21)을 진입시킨 코받침(20)의 지지편(22)이 절개홈(11c-a)에 각각 진입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코받침(20)의 지지편(22)은 절개홈(11c-a)의 내벽에 각각 지지되므로, 안경의 착용과정에 외력에 의해 쉽게 비틀리거나 휘어지는 현상이 예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론트(10)의 슬롯(11)에 진입된 코받침(20)은 압입홈(11a)과 압입돌기(21a)를 통한 견착에 안정된 고정상태를 형성하며, 본 고안에서는 일 예로 상기 슬롯(11)의 내벽에 압입홈(11a)을 형성하고 이와 대향하는 연결편(21)의 외벽에 압입돌기(21a)를 대응되게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10)의 슬롯(11)에 코받침(20)의 연결편(21)을 상향 진입시키면, 연결편(21)에 형성된 압입돌기(21a)는 슬롯(11)의 내벽에 형성된 압입홈(11a)에 견착되고, 이를 통해 코받침(20)은 프론트(10)에 안정되게 고정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 2를 보면, 상기 슬롯(11)의 내벽에는 한 쌍의 압입홈(11a)이 상하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코받침(20) 연결편(21)의 상향 진입 깊이에 따라 압입돌기(21a)가 슬롯(11)의 내벽에 형성된 압입홈(11a)들에 순차적으로 견착되어 고정되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코받침의 진입 깊이를 조절하여 자신의 체형에 적합한 높이의 코받침을 갖는 프론트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론트(10)의 슬롯(11)에 상향 진입되어 견착을 통해 고정된 코받침(20)의 분리과정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슬롯(11)의 내벽을 형성하는 양측편(11b)을 탄력적으로 벌리게 되면 압입돌기(21a)와 압입홈(11a)과의 견착상태가 해체되고, 이 상태에서 코받침(20)을 하부로 빼게 되면 코받침(20)과 프론트(10)의 조립상태가 해체되므로, 이를 통해 코받침(20)을 간편하게 분리 및 교체할 수도 있다.
1. 안경
10. 프론트 11. 슬롯
11a. 압입홈 11b. 양측편
11c. 내부편 11c-a. 절개홈
20. 코받침 21. 연결편
21a. 압입돌기 22. 지지편

Claims (3)

  1. 연결편의 양단에 지지편이 일체로 형성된 코받침을 안경의 프론트에 설치하는 안경용 코받침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에 하부가 개방된 슬롯을 상향 요입되게 형성하여, 이 슬롯에 코받침의 연결편을 상향 진입시켜 고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슬롯의 내벽과 이와 대향하는 연결편의 외벽에는 압입홈과 압입돌기가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슬롯에 상향 진입된 코받침의 연결편이 압입홈과 압입돌기에 의한 견착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용 코받침 설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의 내벽에는 복수의 압입홈이 상하 이격되게 형성되고, 코받침의 연결편 외벽에는 압입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코받침 연결편의 상향 진입 깊이에 따라 압입돌기가 슬롯의 내벽에 형성된 압입홈들에 순차적으로 견착되도록 구성되어서, 프론트에 하향 돌출되는 코받침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용 코받침 설치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받침의 연결편이 진입된 슬롯의 내측편 양편에는 절개홈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슬롯에 코받침의 연결편을 진입시키면 연결편의 양단에 형성된 각 지지편은 절개홈에 진입하여 양편이 지지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용 코받침 설치구조.
KR2020100009851U 2010-09-20 2010-09-20 안경용 코받침 설치구조 KR2004597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851U KR200459734Y1 (ko) 2010-09-20 2010-09-20 안경용 코받침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851U KR200459734Y1 (ko) 2010-09-20 2010-09-20 안경용 코받침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268U KR20120002268U (ko) 2012-03-28
KR200459734Y1 true KR200459734Y1 (ko) 2012-04-19

Family

ID=46179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9851U KR200459734Y1 (ko) 2010-09-20 2010-09-20 안경용 코받침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73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826B1 (ko) * 2012-09-25 2014-06-03 김현기 코받침 일체형의 안경 프론트 성형방법
KR102240002B1 (ko) 2019-11-27 2021-04-14 주식회사 이노 (Inno) 일체형 코받침부를 갖는 안경 프론트용 사출 금형장치, 및 이를 통해 성형된 일체형 코받침부를 갖는 안경 프론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37620A2 (en) * 1983-08-17 1985-04-17 AT&T Corp.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integrated circuits
WO1992010778A1 (fr) 1990-12-12 1992-06-25 Societe D'application Des Matieres Plastiques Samp Lunettes dotees d'un element d'appui nasal amovible et/ou reglable en position
KR200263601Y1 (ko) * 1998-11-20 2002-09-17 손중배 안경코가변형안경
KR200289986Y1 (ko) * 2002-06-18 2002-09-19 주식회사 뉴스타광학 안경의 코받침부재 높이조절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37620A2 (en) * 1983-08-17 1985-04-17 AT&T Corp.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integrated circuits
WO1992010778A1 (fr) 1990-12-12 1992-06-25 Societe D'application Des Matieres Plastiques Samp Lunettes dotees d'un element d'appui nasal amovible et/ou reglable en position
KR200263601Y1 (ko) * 1998-11-20 2002-09-17 손중배 안경코가변형안경
KR200289986Y1 (ko) * 2002-06-18 2002-09-19 주식회사 뉴스타광학 안경의 코받침부재 높이조절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268U (ko) 2012-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6124B1 (en) Positioning structure for auxiliary eyeglasses
US9341865B2 (en) Eyewear having magnetic clip-on lenses
EP3243555B1 (en) Spring enclosed trampoline
US20170319886A1 (en) Spring Enclosed Trampoline
US8366267B2 (en) Spectacle structure
KR200459734Y1 (ko) 안경용 코받침 설치구조
US10610717B2 (en) Trampoline enclosure connector
KR101145225B1 (ko) 외장패널 조립용 프레임
WO2014112708A1 (ko) 고글 렌즈를 이용한 클립안경
KR20130002363U (ko) 코걸이 착탈이 용이한 안경테
WO2015073063A1 (en) Lens carrier
KR200416684Y1 (ko) 안경의 코받침 결합구조
KR101696512B1 (ko) 각도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경용 코받침대 및 그 코받침대가 구성된 안경
KR101525451B1 (ko) 조립형 안경
KR200474792Y1 (ko) 자석을 이용한 착탈식 보조안경 체결구조
KR20120001203U (ko) 합성수지제 안경테
KR200472916Y1 (ko) 간소화된 코받침대 설치구조를 갖는 안경테
KR101568931B1 (ko) 안경테의 결합구조체
KR20130098482A (ko) 휴대단말기용 보호케이스
KR200473287Y1 (ko) 수지안경과 보조안경의 결합장치
KR102164745B1 (ko) 조립식 안경
KR101618829B1 (ko) 선택적으로 끼움 및 분리가 가능한 안경테와 코기둥 및 그 결합구조체
KR20090007457U (ko) 건조대의 걸이봉 결합구
KR200165511Y1 (ko) 높이 조절가능한 모니터용 보안경 및 그 설치구조
KR102006540B1 (ko) 기능성 꽃대 삽입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