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370Y1 - 높이 조절 책상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 책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370Y1
KR200459370Y1 KR2020100008206U KR20100008206U KR200459370Y1 KR 200459370 Y1 KR200459370 Y1 KR 200459370Y1 KR 2020100008206 U KR2020100008206 U KR 2020100008206U KR 20100008206 U KR20100008206 U KR 20100008206U KR 200459370 Y1 KR200459370 Y1 KR 2004593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k
pedestal
clamp
height
reinforc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82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072U (ko
Inventor
구명화
Original Assignee
구명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명화 filed Critical 구명화
Priority to KR20201000082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370Y1/ko
Publication of KR201200010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0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3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3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7/00Writing-tables
    • A47B17/02Writing-tables with vertically-adjustable part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높이 조절 책상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책상의 높이를 쉽고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테이블과 받침대 사이에 높이 조절용 클램프를 설치하여 테이블과 받침대 간격 조절을 통해 책상 테이블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 책상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책상(10)의 윗면을 구성하는 책상 테이블(11); 상기 책상 테이블(11)의 하부에 위치하여 책상 테이블(11)을 바닥에 지지하고 받쳐 주는 받침대(12); 상기 책상 테이블(11)과 상기 받침대(12)를 결합하기 위해 상기 책상 테이블(11)의 바닥면과 상기 받침대(12) 사이에 체결되는 클램프(13); 상기 클램프(13)에 결합 가능하도록 제작된 보강용 블럭(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클램프(13)는, 상기 보강용 블럭(14)이 끼워지는 포켓(15); 상기 포켓(15)에 결합된 보강용 블럭(14)을 빼내서 책상 테이블(11)과 받침대(12) 사이에 끼워 넣을 수 있도록 받침대(12)의 두께에 대응하는 블럭홈(16)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받침대(12)의 수직 벽면(20)을 따라 결합 되는 체결용 브라켓(17)을 일체형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높이 조절 책상{Height adjustable table}
본 고안은 높이 조절 책상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책상의 높이를 쉽고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테이블과 받침대 사이에 높이 조절용 클램프를 설치하여 테이블과 받침대 간격 조절을 통해 책상 테이블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기 위한 높이 조절 책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책상은 성인용 아동용 등으로 구분되어 사전 제작되어 판매 있다. 이렇게 구매한 책상도 지나치게 높이가 높거나 낮으면 사용하기 불편하기 때문에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또한 유아와 아동기 그리고 성년기 등으로 신체 변화가 생기면 책상 테이블 높이 조절에 대한 필요성이 생긴다. 사용면에서 보면 의자 높낮이를 책상에 맞추어 사용하는 것이 간단하고 편리하지만 이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책상의 높이를 직접 신체에 맞게 조절하기 위해서는 받침대 밑에 높이 조절을 위한 별도의 조절판을 넣어서 테이블의 높이를 위로 높이거나 또는 조절판을 빼내서 더 낮게 낮추어주는 방법으로 책상 테이블의 높이를 사용자에 맞게 조절하게 된다.
또 다른 방법은 받침대 전체를 원하는 높이에 맞는 새것으로 교체하여 책상의 높이를 조절을 하는 방법도 있다.
전자의 방법은 테이블의 높이를 원하는 대로 맞춘다 하여도 받침대를 지면에서 받치고 있는 조절판이 빠져 나가 기울어질 가능성이 크고 또한 정확히 테이블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후자의 방법은 받침대 전체를 교체하는 것이므로 테이블 수평을 정교하게 맞출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받침대 교환에 따른 책상의 분해 및 재조립이 복잡하고 받침대 교체에 따르는 교체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받침대 교체 후 견고성도 처음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책상 테이블과 받침대를 연결하는 클램프를 통해 받침대의 교환이나 교체 없이 책상 테이블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책상 테이블 높이를 조절한 후 테이블의 수평 상태를 바르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 조절 책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높이 조절 책상은,
책상의 윗면을 구성하는 책상 테이블;
상기 책상 테이블의 하부에 위치하여 책상 테이블을 바닥에 지지하고 받쳐 주는 받침대;
상기 책상 테이블과 상기 받침대를 결합하기 위해 상기 책상 테이블의 바닥면과 상기 받침대 사이에 체결되는 클램프;
상기 클램프에 결합 가능하도록 제작된 보강용 블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클램프는,
상기 보강용 블럭이 끼워지는 포켓과,
상기 포켓에 결합된 보강용 블럭을 빼내서 책상 테이블과 받침대 사이에 끼워 넣을 수 있도록 받침대의 두께에 대응하는 블럭홈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받침대의 수직 벽면을 따라 결합 되는 체결용 브라켓을 일체형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책상의 높이를 책상 테이블과 받침대를 결합하는 클램프를 통해 받침대의 교체와 교환 없이 쉽고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높이 조절을 마친 후 테이블의 수평 상태를 일정하고 견고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책상 제작 단계에서는 테이블의 높이 조절을 위한 여러 개의 받침대를 제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작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높이 조절 책상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에 의한 테이블과 받침대의 결합 상세도.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높이 조절 책상의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클램프에 의한 테이블과 받침대의 결합 세도 이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높이 조절 책상을 도 1 및 도 2를 참고로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책상(10)의 윗면을 구성하는 책상 테이블(11)과, 상기 책상 테이블(11)의 하부에 위치하여 책상 테이블(11)을 바닥에 지지하고 받쳐 주는 받침대(12)와, 상기 책상 테이블(11)과 상기 받침대(12)를 결합하기 위해 상기 책상 테이블(11)의 바닥면과 상기 받침대(12) 사이에 체결되는 클램프(13)와, 상기 클램프(13)에 결합 가능하도록 제작된 보강용 블럭(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클램프(13)는, 상기 보강용 블럭(14)이 끼워지는 포켓(15)과, 상기 포켓(15)에 결합된 보강용 블럭(14)을 빼내서 책상 테이블(11)과 받침대(12) 사이에 끼워 넣을 수 있도록 받침대(12)의 두께에 대응하는 블럭홈(16)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받침대(12)의 수직 벽면(20)을 따라 결합 되는 체결용 브라켓(17)을 일체형으로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클램프(13)는, 한쪽이 테이블(11)의 저면에 결합 되는 헤드(18)가 있고, 다른 한쪽은 체결용 브라켓(17)을 통해 받침대(12)의 양측 수직 벽면(20)에 결합 되어 테이블(11)과 받침대(12)를 상호 결합시키는 수단이다.
클램프(13)는 금속 철편과 같이 강도를 갖는 소재를 프레스 가공으로 성형 제작하거나 또는 합성수지 소재를 사용하여 성형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클램프(13)의 헤드(18)와 체결용 브라켓(17)에는 상대 구조물이 되는 테이블(11)과 받침대(12)에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를 사용하여 체결하기 위하여 몇 개의 체결구멍(19) 들이 뚫려져 있다.
상기 보강용 블럭(14)은 높이 조절이 필요할 때 체결용 브라켓(17)에 형성되는 블럭홈(16)에 끼워 넣어 받침대(11)의 상부를 보강하기 위한 일종의 보강편으로서, 목재나 금속 및 비금속 재료로 제작이 가능하다.
보강용 블럭(14)은 별개의 단품에 해당하므로 클램프(13)에 보강용 블럭(14)을 직접 끼워 넣어 보관할 수 있도록 포켓(15)을 형성하여 구성되었다. 도면에서 포켓(15)의 위치는 헤드(18)의 양 측면에 위치한다. 보강용 블럭(14)을 포켓(15)에 넣은 상태로 보관하면 분실의 염려가 없고 사용하기도 편리한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높이 조절 책상의 작용 및 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높이 조절 책상은 테이블(11)과 받침대(12)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을 결합하는 클램프(13)를 이용하여 받침대(12)의 결합 위치를 상부쪽으로 올리고 하부쪽으로 내려서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이를 통해 테이블(11)의 높이를 조절한다.
이를 위하여 클램프(13)의 체결용 브라켓(17)에는 몇 개의 체결구멍(19)의 뚫려져 있다. 체결용 브라켓(17) 사이에 받침대(12)를 끼워 넣고 외부에서 체결부재(미도시)를 통해 조여주면 받침대(12)와 클램프(13)가 서로 체결 된다.
이때 클램프(13)의 체결용 브라켓(17)에 형성된 블럭홈(16)에 보강용 블럭(14)을 끼워넣고 조여주면, 체결용 브라켓(17)의 사이 틈을 보강용 블럭(14)이 채워주는 동시에 클램프(13)와 결합된 받침대(12)의 유동을 방지하고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해준다.
도 1 및 도 2의 도면을 기준으로 보강용 블럭(14)은 테이블(11)의 높이를 높혀줄 때 사용한다. 최대로 낮춘다면 체결용 브라켓(17)의 상단과 받침대(12)의 상단이 거의 맞닿는 밀착상태가 되므로 블럭홈(16)은 형성되지 않는다. 또한 보강용 블럭(14)을 사용하지 않아도 일정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굳이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보강용 블럭(14)은 체결용 브라켓(17)에 결합되는 받침대(12)의 위치에 따라 형성되는 틈(블럭홈(16)에 해당)을 보강할 때 사용된다.
보강용 블럭(14)은 외부에서 체결부재(미도시)를 이용하여 클램프(13)의 체결용 브라켓(17)에 체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테이블(11)의 높이 조절이 필요할 때 테이블(11)과 연결된 받침대(12)를 분해하고 클램프(13)를 중심으로 받침대(12)의 체결 위치를 높이 조절 기준에 따라 정하여 다시 조립하고 필요에 따라 보강용 블럭(14)을 사용하여 다시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간편하면서도 정확한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도면 및 명세서를 통하여 고안의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예시이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가 가능하다.
10:책상 11:책상테이블
12:받침대 13:클램프
14:보강용블럭 15:포켓
16:블럭홈 17:체결용브라켓

Claims (1)

  1. 책상(10)의 윗면을 구성하는 책상 테이블(11);
    상기 책상 테이블(11)의 하부에 위치하여 책상 테이블(11)을 바닥에 지지하고 받쳐 주는 받침대(12);
    상기 책상 테이블(11)과 상기 받침대(12)를 결합하기 위해 상기 책상 테이블(11)의 바닥면과 상기 받침대(12) 사이에 체결되는 클램프(13);
    상기 클램프(13)에 결합 가능하도록 제작된 보강용 블럭(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클램프(13)는, 상기 보강용 블럭(14)이 끼워지는 포켓(15);
    상기 포켓(15)에 결합된 보강용 블럭(14)을 빼내서 책상 테이블(11)과 받침대(12) 사이에 끼워 넣을 수 있도록 받침대(12)의 두께에 대응하는 블럭홈(16)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받침대(12)의 수직 벽면(20)을 따라 결합 되는 체결용 브라켓(17)을 일체형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 책상.
KR2020100008206U 2010-08-05 2010-08-05 높이 조절 책상 KR2004593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206U KR200459370Y1 (ko) 2010-08-05 2010-08-05 높이 조절 책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206U KR200459370Y1 (ko) 2010-08-05 2010-08-05 높이 조절 책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072U KR20120001072U (ko) 2012-02-15
KR200459370Y1 true KR200459370Y1 (ko) 2012-03-23

Family

ID=45843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8206U KR200459370Y1 (ko) 2010-08-05 2010-08-05 높이 조절 책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370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5943A (ja) 1998-10-26 2000-05-09 Okamura Corp 天板の高さ調整装置
KR20080004080U (ko) * 2007-03-20 2008-09-24 지수용 각 다리별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테이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5943A (ja) 1998-10-26 2000-05-09 Okamura Corp 天板の高さ調整装置
KR20080004080U (ko) * 2007-03-20 2008-09-24 지수용 각 다리별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조립식 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072U (ko) 2012-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310974B (zh) 抽屉的抽拉导向装置和带有这种抽拉导向装置的抽屉
US10028873B2 (en) Adjustable bed foundation with rotating head section
PL2219495T3 (pl) Ukryty i regulowany wspornik do mocowania do ściany wiszącego elementu meblowego
KR102127797B1 (ko) 조립식 소파 프레임
CN208192652U (zh) 便于组装的拼装沙发及沙发组件
WO2002035965A3 (en) Support and related shelf
CN208578294U (zh) 一种防静电地板支撑框架支腿支撑结构
CN109103785A (zh) 一种具有高度调节功能的电子产品生产用配电柜
US11083310B2 (en) Reassemblable crib
KR200459370Y1 (ko) 높이 조절 책상
JP3166791U (ja) 引き出しの高さを調整する装置
CN201810968U (zh) 一种机顶盒支架
JP6248264B1 (ja) 立ち仕事兼用椅子
KR100856576B1 (ko) 골반 보호용 의자
JP2011056229A (ja) スライドラック
KR200475787Y1 (ko) 조립식 가구용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가구
ATE474489T1 (de) Kaffeemaschine
CN219331109U (zh) 层板支撑结构及柜体
KR20100110009A (ko) 발받침대
CN220442337U (zh) 一种床护栏
CN215532614U (zh) 课桌椅高度调节结构
CN212182877U (zh) 一种综合配电箱
CN220089004U (zh) 一种可拆装式多功能组合软体沙发
CN217538443U (zh) 一种可灵活调节的角码组件
CN219558606U (zh) 一种可调高度摸高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