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325Y1 - 착탈이 용이한 니들을 구비하는 치과용 주사기 - Google Patents

착탈이 용이한 니들을 구비하는 치과용 주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325Y1
KR200459325Y1 KR2020110008842U KR20110008842U KR200459325Y1 KR 200459325 Y1 KR200459325 Y1 KR 200459325Y1 KR 2020110008842 U KR2020110008842 U KR 2020110008842U KR 20110008842 U KR20110008842 U KR 20110008842U KR 200459325 Y1 KR200459325 Y1 KR 2004593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fastening portion
syringe
syringe body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88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봉익
Original Assignee
조봉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봉익 filed Critical 조봉익
Priority to KR20201100088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3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3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32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61C19/08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combined with anaesthetis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15Pistons; Piston-rods; Guiding, blocking 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rod or piston; Appliances on the rod for facilitating dosing ; Dosing mechanisms
    • A61M5/31511Piston or piston-rod constructions, e.g. connection of piston with piston-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93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needle h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4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 A61M5/347Constructions for connecting the needle, e.g. to syringe nozzle or needle hub rotatable, e.g. bayonet or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06Head
    • A61M2210/0625Mouth
    • A61M2210/0631Gu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esthes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착탈이 용이한 니들을 구비하는 치과용 주사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단에 제 1체결부가 형성되는 주사기 본체와; 상기 주사기 본체의 타단과 결합되는 플런저와; 니들 본체의 하측에 약액이 주입되는 주입 바늘과, 상기 니들 본체의 상측에 주사 바늘이 형성되며, 상기 니들 본체의 내측에 주사기 본체의 제 1체결부에 체결되는 제 2체결부가 형성되는 니들과; 상기 주사기 본체에 수납되는 카트리지;로 이루어지는 치과용 주사기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 본체의 제 1체결부는 외측면에 복수로 제 1볼트탭이 각각 형성되고, 각각의 제 1볼트탭 시작점이 상기 제 1체결부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되, 상호 대칭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니들의 제 2체결부는 상기 주사기 본체의 제 1체결부와 결합되도록 이와 대응되는 형태로 제 2볼트탭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주사기 본체의 체결부의 제 1체결부와 니들 본체의 제 2체결부에 복수의 볼트탭을 형성하고, 볼트탭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줄임으로써 니들과 주사기 본체의 체결 및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 일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반회전 또는 1회전만 회전시켜도 체결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여 의료진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의료진의 부상 및 감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착탈이 용이한 니들을 구비하는 치과용 주사기{DENTAL INJECTOR HAVING DETACHABLE NEEDLE}
본 고안은 착탈이 용이한 니들을 구비하는 치과용 주사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주사기 본체의 체결부의 제 1체결부와 니들 본체의 제 2체결부에 복수의 볼트탭을 형성하고, 볼트탭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줄임으로써 니들과 주사기 본체의 체결 및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 일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반회전 또는 1회전만 회전시켜도 체결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착탈이 용이한 니들을 구비하는 치과용 주사기에 관한 것이다.
치과용 분야의 마취용 주사기는, 플런저의 엄지링에 엄지손가락을 걸고서 플런저를 뒤로 당기고 주사기내의 카트리지를 관찰하고 혈액이 카트리지 안으로 들어갔는지를 판단해 혈관을 건드리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 의사가 주사기를 처음 찌른 뒤 플런저를 후퇴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혈액이 보이면, 의사는 혈관을 통해 혈액에 마취제를 주입하지 않도록 새로운 주사지점을 찾아야만 한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은 두가지이다.
1. 마취제에는 대개 에피네프린(epinephrine)이 함유되어 있는데, 이것은 심장박동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2. 마취제가 혈관을 통해 주사부위에서 멀어지면, 주사부위가 마취되지 않는다.
따라서, 대개 1회용인 일반적인 의료용 주사기와는 달리, 치과용 주사기의 금속본체는 재사용 가능한 것이 일반적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치과용 주사기(1)로서, 주사기 본체(10)는 하기에서 설명할 카트리지(40)를 넣을 수 있도록 중공상으로 형성되고, 일단 외측에 하기에서 설명할 니들(30)이 결합되도록 제 1체결부(11)가 형성되며, 타단에 힌지부(13)가 형성된다. 이때, 힌지부(13)는 외측에 파지용 날개(15)가 형성되고, 내부에 코일 스프링(17)이 구비된다.
그리고, 플런저(20)는 샤프트(21)와, 샤프트(21)의 일단에 형성되는 엄지링(23)과, 샤프트(21)의 타단에 결합되어 힌지부(13)의 코일 스프링(17)과 결합되어 주사기 본체(10)의 내부에 삽입 및 이탈되어 힌지부(13)를 회전 및 고정시키는 스토퍼(25) 및 샤프트(21)의 카트리지(40)쪽 단부의 하푼(harpoon)(27)으로 구성된다.
또한, 니들(30)은 니들 본체(31)의 하측에 약액이 주입되는 주입 바늘(33)이 형성되고, 니들 본체(31)의 상측에 주사 바늘(35)이 형성되며, 니들 본체(31)의 내측에는 주사기 본체(10)의 제 1체결부(11)에 체결되는 제 2체결부(37)가 형성된다.
카트리지(40)는 그 형상이 국부 마취제를 담는 원통형으로서, 니들(30)쪽의 일단부는 주입 바늘(33)이 삽입되는 시일(41)로 막혀있고, 플런저(20)쪽의 일단부는 미끄럼 가능한 미끄럼 시일(43)로 막혀있다.
이러한 치과용 주사기는 카트리지(40)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샤프트(21)에 힘을 가하여 빼내면 스토퍼(25)가 주사기 본체(10)에서 배출되어 힌지부(13)가 회전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주사기 본체(10)에 카트리지(40)를 삽입 후 다시 샤프트(21)에 힘을 가하여 스토퍼(25)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힌지부(13)를 원위치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샤프트(21)에 가한 힘을 해제하면 스토퍼(25)가 주사기 본체(1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런 다음, 니들(30)을 케이스(미도시)에서 빼낸 다음, 제 2체결부(37)를 주사기 본체(10)의 제 1체결부(11)에 결합시킨 다음 회전시켜 고정한다. 이때, 니들(30)의 주입 바늘(33)이 카트리지(40)의 시일(41)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마취제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니들(30)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의사가 엄지링(23)에 힘을 가하면 하푼(27)이 미끄럼 시일(43)에 삽입 고정된다.
계속해서 엄지링(23)에 힘을 가하면 약을 주사할 수 있고, 또는 엄지링(23)을 뒤로 당겨 의사가 눈으로 볼 수 있는 카트리지(40)에 혈액을 흡입함으로써 혈관에 대해 주사점이 얼마나 가까운지를 시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치과용 주사기는 니들의 제 2체결부와, 주사기 본체의 제 1체결부가 한 개의 선으로 이루어지는 볼트탭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체결 및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 일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수회 회전시켜야만 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소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치과용 주사기는 의료진이 주사기 본체에서 니들을 분리하여 폐기하는 과정에 손을 가까이 한 채 상당한 힘을 가해야하고, 수회 회전시키야만 하기 때문에 의료진이 니들에 찔릴 경우 찔린 부분이 부상됨은 물론 환자의 병원균이 니들에 묻어 있을 경우 병원균에 감염될 우려가 있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주사기 본체의 체결부의 제 1체결부와 니들 본체의 제 2체결부에 복수의 볼트탭을 형성하고, 볼트탭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줄임으로써 니들과 주사기 본체의 체결 및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 일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반회전 또는 1회전만 회전시켜도 체결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여 의료진에게 편의를 제공하도록 하는 착탈이 용이한 니들을 구비하는 치과용 주사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니들과 주사기 본체의 체결 및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 일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반회전 또는 1회전만 회전시켜도 체결 및 해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의료진의 부상 및 감염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착탈이 용이한 니들을 구비하는 치과용 주사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일단에 제 1체결부가 형성되는 주사기 본체와; 상기 주사기 본체의 타단과 결합되는 플런저와; 니들 본체의 하측에 약액이 주입되는 주입 바늘과, 상기 니들 본체의 상측에 주사 바늘이 형성되며, 상기 니들 본체의 내측에 주사기 본체의 제 1체결부에 체결되는 제 2체결부가 형성되는 니들과; 상기 주사기 본체에 수납되는 카트리지;로 이루어지는 치과용 주사기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 본체의 제 1체결부는 외측면에 복수로 제 1볼트탭이 각각 형성되고, 각각의 제 1볼트탭 시작점이 상기 제 1체결부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되, 상호 대칭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니들의 제 2체결부는 상기 주사기 본체의 제 1체결부와 결합되도록 이와 대응되는 형태로 제 2볼트탭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 1, 2볼트탭은 2줄로 형성되고, 각각의 시작점이 상기 제 1, 2체결부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180°마다 각각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한, 상기 제 1, 2볼트탭은 3줄로 형성되고, 각각의 시작점이 상기 제 1, 2체결부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120°마다 각각 형성된다.
여기에서 또, 상기 제 1, 2볼트탭은 4줄로 형성되고, 각각의 시작점이 상기 제 1, 2체결부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90°마다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볼트탭은 상기 제 1, 2볼트탭은 상기 니들의 니들 본체의 제 2체결부를 상기 주사기 본체의 제 1체결부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반회전 내지 1회전시킬 시 상기 제 1체결부와 상기 제 2체결부가 상호 완전 체결되는 경사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인 착탈이 용이한 니들을 구비하는 치과용 주사기에 따르면, 주사기 본체의 체결부의 제 1체결부와 니들 본체의 제 2체결부에 복수의 볼트탭을 형성하고, 볼트탭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줄임으로써 니들과 주사기 본체의 체결 및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 일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반회전 또는 1회전만 회전시켜도 체결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여 의료진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니들과 주사기 본체의 체결 및 해제하고자 하는 경우 일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반회전 또는 1회전만 회전시켜도 체결 및 해제가 가능하기 때문에 의료진의 부상 및 감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치과용 주사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치과용 주사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착탈이 용이한 니들을 구비하는 치과용 주사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고안에 따른 착탈이 용이한 니들을 구비하는 치과용 주사기중 제 1체결부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고안에 따른 착탈이 용이한 니들을 구비하는 치과용 주사기중 제 2체결부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착탈이 용이한 니들을 구비하는 치과용 주사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착탈이 용이한 니들을 구비하는 치과용 주사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고안에 따른 착탈이 용이한 니들을 구비하는 치과용 주사기중 제 1체결부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며,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고안에 따른 착탈이 용이한 니들을 구비하는 치과용 주사기중 제 2체결부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에 있어서 종래와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도 3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착탈이 용이한 니들을 구비하는 치과용 주사기(100)는, 주사기 본체(10)와, 플런저(20)와, 니들(30)과, 카트리지(40)로 구성된다.
먼저, 주사기 본체(10)는 하기에서 설명할 카트리지(40)를 넣을 수 있도록 중공상으로 형성되고, 일단 외측에 하기에서 설명할 니들(30)이 결합되도록 제 1체결부(110)가 형성되며, 타단에 힌지부(13)가 형성된다. 이때, 힌지부(13)는 외측에 파지용 날개(15)가 형성되고, 내부에 코일 스프링(17)이 구비된다.
한편, 제 1체결부(110)의 제 1볼트탭(BT1)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줄로 형성되고, 각각의 시작점(S1)이 중심점(C1)을 기준으로 180°마다 각각 형성된다. 또한, 제 1체결부(110)의 제 1볼트탭(BT1)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줄로 형성되고, 각각의 시작점(S1)이 중심점(C1)을 기준으로 120°마다 각각 형성되거나, 또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4줄로 형성되고, 각각의 시작점(S1)이 중심점(C1)을 기준으로 90°마다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볼트탭(BT1)을 선택에 따라 5줄 이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1볼트탭(BT1)은 니들(30)의 니들 본체(31)의 제 2체결부(120)를 제 1체결부(110)에 결합한 상태에서 반회전 내지 1회전시킬 시 제 1체결부(110)와 제 2체결부(120)가 상호 완전 체결되는 경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플런저(20)는 샤프트(21)와, 샤프트(21)의 일단에 형성되는 엄지링(23)과, 샤프트(21)의 타단에 결합되어 힌지부(13)의 코일 스프링(17)과 결합되어 주사기 본체(10)의 내부에 삽입 및 이탈되어 힌지부(13)를 회전 및 고정시키는 스토퍼(25) 및 샤프트(21)의 카트리지(40)쪽 단부의 하푼(harpoon)(27)으로 구성된다.
또한, 니들(30)은 니들 본체(31)의 하측에 약액이 주입되는 주입 바늘(33)이 형성되고, 니들 본체(31)의 상측에 주사 바늘(35)이 형성되며, 니들 본체(31)의 내측에는 주사기 본체(10)의 제 1체결부(110)에 체결되는 제 2체결부(120)가 형성된다.
한편, 제 2체결부(120)의 제 2볼트탭(BT2)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줄로 형성되고, 각각의 시작점(S2)이 중심점(C2)을 기준으로 180°마다 각각 형성된다. 또한, 제 2체결부(120)의 제 2볼트탭(BT2)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줄로 형성되고, 각각의 시작점(S2)이 중심점(C2)을 기준으로 120°마다 각각 형성되거나, 또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4줄로 형성되고, 각각의 시작점(S2)이 중심점(C2)을 기준으로 90°마다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제 2볼트탭(BT2)을 선택에 따라 5줄 이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2볼트탭(BT2)은 제 1볼트탭(BT1)과 동일한 경사를 가도록 형성되어 니들(30)의 니들 본체(31)의 제 2체결부(120)를 제 1체결부(110)에 결합한 상태에서 반회전 내지 1회전시킬 시 상호 완전 체결되도록 한다.
한편, 카트리지(40)는 그 형상이 국부 마취제를 담는 원통형으로서, 니들(30)쪽의 일단부는 주입 바늘(33)이 삽입되는 시일(41)로 막혀있고, 플런저(20)쪽의 일단부는 미끄럼 가능한 미끄럼 시일(43)로 막혀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착탈이 용이한 니들을 구비하는 치과용 주사기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카트리지(40)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샤프트(21)에 힘을 가하여 빼내면 스토퍼(25)가 주사기 본체(10)에서 배출되어 힌지부(13)가 회전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주사기 본체(10)에 카트리지(40)를 삽입 후 다시 샤프트(21)에 힘을 가하여 스토퍼(25)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힌지부(13)를 원위치로 회전시킨 상태에서 샤프트(21)에 가한 힘을 해제하면 스토퍼(25)가 주사기 본체(1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런 다음, 니들(30)을 케이스(미도시)에서 빼낸 다음, 제 2체결부(120)를 주사기 본체(10)의 제 1체결부(110)에 결합시킨다.
이때, 제 1체결부(110)에 형성된 제 1볼트탭(BT1)과 제 2체결부(120)에 에 형성된 제 2볼트탭(BT2)에 복수의 시작점(S1, S2)이 구비되기 때문에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계속해서, 니들(30)의 니들 본체(31)를 반회전 내지 1회전만 회전시키면 제 1체결부(110)와 제 2체결부(120)가 상호 용이하게 체결된다. 이때, 니들(30)의 주입 바늘(33)이 카트리지(40)의 시일(41)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마취제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니들(30)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의사가 엄지링(23)에 힘을 가하면 하푼(27)이 미끄럼 시일(43)에 삽입 고정된다.
계속해서 엄지링(23)에 힘을 가하면 약을 주사할 수 있고, 또는 엄지링(23)을 뒤로 당겨 의사가 눈으로 볼 수 있는 카트리지(40)에 혈액을 흡입함으로써 혈관에 대해 주사점이 얼마나 가까운지를 시험할 수 있다.
반대로, 니들(30)과 주사기 본체(10)를 분리하기 위해서 니들 본체(31)를 반대 방향으로 반회전 내지 1회전만 회전시키면 제 1체결부(110)와 제 2체결부(120)가 상호 용이하게 분리된다.
따라서, 니들을 주사기 본체에서 반회전 또는 1회전만 회전시키면 체결 및 해제가 가능하고, 체결 및 해제가 용이하여 의료진의 부상 및 감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고안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주사기 본체 20 : 플런저
30 : 니들 40 : 카트리지
110, 120 : 제 1, 2체결부 BT1, BT2 : 제 1, 2볼트탭

Claims (5)

  1. 삭제
  2. 일단에 제 1체결부가 형성되는 주사기 본체와; 상기 주사기 본체의 타단과 결합되는 플런저와; 니들 본체의 하측에 약액이 주입되는 주입 바늘과, 상기 니들 본체의 상측에 주사 바늘이 형성되며, 상기 니들 본체의 내측에 주사기 본체의 제 1체결부에 체결되는 제 2체결부가 형성되는 니들과; 상기 주사기 본체에 수납되는 카트리지;로 이루어지는 치과용 주사기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 본체의 제 1체결부는,
    외측면에 복수로 제 1볼트탭이 2줄로 형성되고, 각각의 제 1볼트탭 시작점이 상기 제 1체결부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180°마다 각각 형성되고,
    상기 니들의 제 2체결부는,
    상기 주사기 본체의 제 1체결부와 결합되도록 이와 대응되는 형태로 제 2볼트탭이 2줄로 형성되고, 각각의 제 2볼트탭 시작점이 상기 제 2체결부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180°마다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용이한 니들을 구비하는 치과용 주사기.
  3. 일단에 제 1체결부가 형성되는 주사기 본체와; 상기 주사기 본체의 타단과 결합되는 플런저와; 니들 본체의 하측에 약액이 주입되는 주입 바늘과, 상기 니들 본체의 상측에 주사 바늘이 형성되며, 상기 니들 본체의 내측에 주사기 본체의 제 1체결부에 체결되는 제 2체결부가 형성되는 니들과; 상기 주사기 본체에 수납되는 카트리지;로 이루어지는 치과용 주사기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 본체의 제 1체결부는,
    외측면에 복수로 제 1볼트탭이 3줄로 형성되고, 각각의 제 1볼트탭 시작점이 상기 제 1체결부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120°마다 각각 형성되고,
    상기 니들의 제 2체결부는,
    상기 주사기 본체의 제 1체결부와 결합되도록 이와 대응되는 형태로 제 2볼트탭이 3줄로 형성되고, 각각의 제 2볼트탭 시작점이 상기 제 2체결부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120°마다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용이한 니들을 구비하는 치과용 주사기.
  4. 일단에 제 1체결부가 형성되는 주사기 본체와; 상기 주사기 본체의 타단과 결합되는 플런저와; 니들 본체의 하측에 약액이 주입되는 주입 바늘과, 상기 니들 본체의 상측에 주사 바늘이 형성되며, 상기 니들 본체의 내측에 주사기 본체의 제 1체결부에 체결되는 제 2체결부가 형성되는 니들과; 상기 주사기 본체에 수납되는 카트리지;로 이루어지는 치과용 주사기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 본체의 제 1체결부는,
    외측면에 복수로 제 1볼트탭이 4줄로 형성되고, 각각의 제 1볼트탭 시작점이 상기 제 1체결부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90°마다 각각 형성되고,
    상기 니들의 제 2체결부는,
    상기 주사기 본체의 제 1체결부와 결합되도록 이와 대응되는 형태로 제 2볼트탭이 4줄로 형성되고, 각각의 제 2볼트탭 시작점이 상기 제 2체결부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90°마다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용이한 니들을 구비하는 치과용 주사기.
  5. 제 2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볼트탭은,
    상기 니들의 니들 본체의 제 2체결부를 상기 주사기 본체의 제 1체결부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반회전 내지 1회전시킬 시 상기 제 1체결부와 상기 제 2체결부가 상호 완전 체결되는 경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탈이 용이한 니들을 구비하는 치과용 주사기.
KR2020110008842U 2011-10-04 2011-10-04 착탈이 용이한 니들을 구비하는 치과용 주사기 KR2004593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842U KR200459325Y1 (ko) 2011-10-04 2011-10-04 착탈이 용이한 니들을 구비하는 치과용 주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842U KR200459325Y1 (ko) 2011-10-04 2011-10-04 착탈이 용이한 니들을 구비하는 치과용 주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9325Y1 true KR200459325Y1 (ko) 2012-03-22

Family

ID=47625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8842U KR200459325Y1 (ko) 2011-10-04 2011-10-04 착탈이 용이한 니들을 구비하는 치과용 주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32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8177A (ko) * 2015-02-19 2017-10-24 알렉산더 리 치과용 카트리지 주사기 장치와 그 사용방법
KR102292079B1 (ko) * 2020-11-30 2021-08-25 주식회사 덴탈스튜디오 주사바늘의 탈착이 용이한 주사기용 바늘고정구
WO2021225215A1 (ko) * 2020-05-07 2021-11-1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팁 형태 변환이 용이한 주사기
KR20230018628A (ko) * 2021-07-30 2023-02-0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용 약액 주사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090U (ko) * 1999-04-28 2000-11-25 이상헌 1회용 안전주사기
WO2004004812A1 (en) 2002-07-03 2004-01-15 Novo Nordisk A/S A needle mounting system and a method for mounting a needle assembly
JP2004016772A (ja) 2002-06-13 2004-01-22 Terumo Corp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用注射器および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KR20040065558A (ko) * 2001-11-13 2004-07-22 알렉산더 리 치과용 주사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0090U (ko) * 1999-04-28 2000-11-25 이상헌 1회용 안전주사기
KR20040065558A (ko) * 2001-11-13 2004-07-22 알렉산더 리 치과용 주사기
JP2004016772A (ja) 2002-06-13 2004-01-22 Terumo Corp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用注射器および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WO2004004812A1 (en) 2002-07-03 2004-01-15 Novo Nordisk A/S A needle mounting system and a method for mounting a needle assembly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18177A (ko) * 2015-02-19 2017-10-24 알렉산더 리 치과용 카트리지 주사기 장치와 그 사용방법
KR102517053B1 (ko) 2015-02-19 2023-03-31 알렉산더 리 치과용 카트리지 주사기 장치와 그 사용방법
WO2021225215A1 (ko) * 2020-05-07 2021-11-11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팁 형태 변환이 용이한 주사기
KR102292079B1 (ko) * 2020-11-30 2021-08-25 주식회사 덴탈스튜디오 주사바늘의 탈착이 용이한 주사기용 바늘고정구
KR20220076259A (ko) * 2020-11-30 2022-06-08 주식회사 덴탈스튜디오 주사바늘의 탈착이 용이한 주사기용 바늘고정구
KR102418262B1 (ko) 2020-11-30 2022-07-07 주식회사 덴탈스튜디오 주사바늘의 탈착이 용이한 주사기용 바늘고정구
KR20230018628A (ko) * 2021-07-30 2023-02-0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용 약액 주사기
KR102587896B1 (ko) * 2021-07-30 2023-10-1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용 약액 주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70598B2 (en) Outer cover of a pen needle for a drug delivery pen
US10799650B2 (en) Disposable pen needle with re-use prevention features
US8313470B2 (en) Autoinjector
US20110202035A1 (en) Syringe Assemblies Having Detachable Needle Assemblies and Low Dead Space
JP2016179281A (ja) ペンニードル外カバー用リバーシブルキャップ
CA2097329A1 (en) Device for destruction and storage of cannulas
JP2014076362A (ja) 安全装置を備えた注入セット
KR200459325Y1 (ko) 착탈이 용이한 니들을 구비하는 치과용 주사기
US20120022459A1 (en) Pen needle to facilitate manipulation by users having physical or visual impairment
JP2010536441A (ja) プランジャロック手段を具える安全注射器
US20130079715A1 (en) Single use syringe with locking needle safety cover
KR101228585B1 (ko) 일회용 주사기
KR101575165B1 (ko) 안전캡이 포함되는 시술용 침.
EP2311512A2 (en) Syringe assemblies having detachable needle assemblies and low dead space
US20130079714A1 (en) Single use syringe
JP6511863B2 (ja) 留置針組立体
JP3122933U (ja) 注射針ユニットの改良構造
TWM310003U (en) Safety syringe with retractable needle
TW201304832A (zh) 具有活塞臂安全蓋之一次性注射器
TWM383416U (en) Safety dual-sleeve device for need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