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257Y1 -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257Y1
KR200459257Y1 KR2020090012381U KR20090012381U KR200459257Y1 KR 200459257 Y1 KR200459257 Y1 KR 200459257Y1 KR 2020090012381 U KR2020090012381 U KR 2020090012381U KR 20090012381 U KR20090012381 U KR 20090012381U KR 200459257 Y1 KR200459257 Y1 KR 2004592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cross
blade
cutting material
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23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3098U (ko
Inventor
조남현
Original Assignee
조남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남현 filed Critical 조남현
Priority to KR20200900123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257Y1/ko
Publication of KR201100030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0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2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25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06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12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 B26B13/14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without gripping bows in the handle
    • B26B13/16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without gripping bows in the handle spring loaded, e.g. with provision for locking the blades or the hand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aring Machines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사용 편의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본 고안은 절단재료가 절단되는 공간을 가지도록 교차되어 힌지연결된 한 쌍의 크로스부재; 상기 크로스부재의 각각의 단부로부터 상호 엇갈리는 면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크로스부재의 협지이동에 따라 상기 절단재료를 절단하도록 단면 경사지게 형성된 절단날부; 및 상기 절단날부의 단부 일부에 형성되되, 상기 절단재료의 방사상으로 접촉되는 부위가 증가되도록 라운드지게 함몰형성된 라운드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절단장치, 라운드날부, 연마부재

Description

절단장치{cutting equipment}
본 고안은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 편의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절단장치는 재료를 절단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를 통칭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이러한 절단장치는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이 중에서 두 개의 칼날을 교차시켜 지레의 원리로 재료를 절단하는 가위가 있으며, 이러한 가위 역시 용도에 따라 전지가위, 함석가위 등의 다양한 형태를 가진다.
이 중에서 상기 함석가위는 함석 등의 금속을 절단하는데 주로 사용되므로 종래의 전선케이블 등과 같이 구리 등의 금속이 내장된 케이블 역시 함석가위로 절단하였다.
이러한 함석가위는 절단날을 가지는 두 개의 크로스부재가 교차되게 힌지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크로스부재는 전측 부위에 절단날을 위한 단면 경사부를 가공하고 후측으로 연장된 연결부가 합성수지제로 이루어진 손잡이부와 결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함석가위와 같은 절단장치는 힌지점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두 개의 절단날이 협지(挾持)되면서 재료를 자를 수 있게 구성되는데 이때, 종래의 함석가위의 절단날은 직선형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절단하고자 하는 재료에는 절단력과 함께 재료를 밀어내는 힘이 작용되어 케이블 등과 같이 원형 단면으로 이루어지는 재료는 접촉 부위가 적어 미끄러짐이 쉽게 발생하여 절단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세히,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절단장치의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절단장치의 절단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여기서, 도 1의 (a)는 종래의 절단날이 직선형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도 1의 (b)는 절단날의 어느 일측에 오목부가 형성된 것이다.
먼저, 도 3의 (a)를 참조하면, 종래의 직선형의 절단날은 원형 단면의 절단재료(C)가 파지되면 내측에 공간부(S)가 발생되어 절단재료(C)에 극히 적은 부위만이 접촉되므로 금속 등의 절단재료(C)에 절단력이 가해질 경우에 절단재료(C)가 점선과 같이 밀리게 되어 절단작업이 원활하지 못하며 사용자가 한 손으로는 절단장치(10)를 잡고 다른 손으로는 절단재료(C)를 잡아야 하는 불편 등으로 인해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진다.
또한, 도 3의 (b)를 참조하면, 절단날은 그의 어느 일측에 절단재료의 파지를 위해 오목하게 함몰된 오목부에 원형단면의 절단재료(C)의 외주 일부가 물리게 되어 절단력을 가할 때 밀림은 어느 정도 방지되나 도시된 것처럼 절단재료(C)의 내측에는 공간부(S)가 형성되어 상부는 적은 부위가 접촉되고 하부는 많은 부위가 접촉됨으로써 가해지는 절단력에 의해 점선과 같이 절단재료(C)의 상측 및 하측에 절단되는 길이가 달라져 금속 케이블과 같은 절단재료(C)일 경우에는 절단재료(C)의 상하방향으로 균일한 절단력이 전달되지 못하여 절단면이 고르지 않게 되므로 절단재료(C)의 절단된 면을 다듬어야 하는 불편 등에 의해 작업성이 떨어진다.
더욱이, 종래의 함석가위와 같이 금속을 주로 절단하는 절단장치는 절단날이 케이블 등에 내장된 원형 단면의 금속에 빈번하게 접촉됨에 따라 절단날이 무디어져 절단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금속이 내장되는 케이블 등과 같은 재료의 원형 단면에 대응되는 라운드날부를 형성하고 내장되는 연마부재을 구비함으로써, 재료의 절단이 원활하고 라운드날부의 연마가 용이하여 사용 편의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절단재료가 절단되는 공간을 가지도록 교차되어 힌지연결된 한 쌍의 크로스부재; 상기 크로스부재의 각각의 단부로부터 상호 엇갈리는 면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크로스부재의 협지이동에 따라 상기 절단재료를 절단하도록 단면 경사지게 형성된 절단날부; 및 상기 절단날부의 단부 일부에 형성되되, 상기 절단재료의 방사상으로 접촉되는 부위가 증가되도록 라운드지게 함몰형성된 라운드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절단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라운드날부는 상기 한 쌍의 크로스부재의 교차선상을 따라 라운드지게 연결되도록 상기 절단날부 각각의 내측에 상호 대응되며 대향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라운드날부는 상기 절단재료의 최외곽부가 걸림되는 라운드진 단턱을 형성하도록 중앙부의 곡률반경보다 양측 외곽부의 곡률반경이 더 작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한 쌍의 크로스부재에는 그립을 위한 손잡이부가 각각 구비되되, 상기 손잡이부들의 사이에는 상기 크로스부재의 협지이동을 복원시키도록 연결된 탄성부재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절단날부 및 상기 라운드날부를 연마시키도록 하단으로부터 탈착가능한 연마부재가 내장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고안은 절단재료가 원형 단면을 가질 경우에 방사상으로 접촉되는 부위를 증가시켜 파지기능을 겸하는 라운드날부가 구비됨으로써, 크로스부재의 협지이동에 따라 절단재료가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되어 신속하고 원활하게 절단재료를 절단할 수 있으므로 절단장치의 사용 편의성과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라운드날부는 절단날부 각각의 내측에 상호 대응되며 대향되게 형성됨으로써, 한 쌍의 크로스부재의 교차선상을 따라 라운드지게 연결되므로 절단재료의 외주가 라운드날부의 교차 부위에 넓은 부위로 접촉될 수 있다.
셋째, 라운드날부는 중앙부의 곡률반경보다 양측 외곽부의 곡률반경이 더 작게 구비됨으로써, 절단재료의 최외곽부가 걸림되는 라운드진 단턱을 형성하므로 절단재료의 내측 또는 외측의 외주가 라운드진 단턱에 걸림되어 파지될 수 있다.
넷째, 손잡이부의 하단으로부터 탈착가능한 연마부재가 내장됨으로써, 필요시 절단날부 및 상기 라운드날부를 용이하게 연마시킬 수 있으므로 절단장치의 주요 부위인 날의 보수가 편리하다.
다섯째, 본 고안의 절단장치는 라운드날부가 절단날부의 내측 일부에 형성됨으로써, 금속판과 같이 미끄러지지 않는 판재의 절단재료는 전측의 절단날부의 직 선 부위를 이용하여 절단하고 금속 케이블과 같이 쉽게 미끄러지는 원형 단면의 절단재료는 후측의 라운드날부를 이용하여 절단할 수 있으므로 절단장치의 효용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단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단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운드날부의 부분확대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단장치의 사용예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단장치의 절단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단장치(10)는 크로스부재(1), 힌지축(2), 손잡이부(3), 탄성부재(4), 연결고리(5) 및 연마부재(6)의 구성을 포함한 함석가위 형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크로스부재(1)에는 절단재료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날부(101)가 형성되되, 상기 절단날부(101)의 일부는 원형 단면의 절단재료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는 라운드날부(102)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크로스부재(1)는 한 쌍이 절단재료가 절단되는 공간을 가지도록 교차되어 힌지연결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힌지축(2)이 구비된다. 즉, 상기 크로스부재(1)는 금속 등의 절단재료를 절단할 수 있는 금속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되는 한 쌍으로 가공되어 교차 배치된 후 상기 힌지축(2)으로 교차 부위를 연결하여 힌지축(2)을 중심으로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한 쌍의 크로스부재(1)는 지레의 원리를 이용하도록 상측으로 치우치게 교차되어 힌지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크로스부재(1)는 교차되면서 상측에 절단재료가 배치되어 절단이 이루어지는 절단공간부(A)가 형성되고 하측에 상기 절단공간부(A)에 절단력을 제공하도록 협지이동되는 확장공간부(B)가 형성된다. 상기 협지이동은 한 쌍의 크로스부재(1)가 힌지축(2)을 중심으로 상호 간에 접하도록 이동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절단장치(10)는 사용자가 한 손으로 상기 확장공간부(B)를 이루는 상기 크로스부재(1)의 테두리를 잡고 협지이동시키면 상기 절단공간부(A)가 축소되면서 절단력이 제공되므로 상기 한 쌍의 크로스부재(1)에는 그립을 위한 손잡이부(3)가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부(3)의 외측면에는 절단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크로스부재(1)를 협지이동시킬 때 사용자의 그립으로 인한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상기 손잡이부(3)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의 홈이 요철 형상으로 이루어진 슬립방지부(301)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3)들의 사이 즉, 상기 확장공간부(B)에는 상기 크로스부재(1)의 협지이동을 복원시키도록 연결된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4)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재(4)는 도시된 바와 같이 교차되는 한 쌍의 크로스부재(1)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부(3)에 의해 덮여진다.
더욱이, 상기 손잡이부(3)의 어느 일측에는 평상시의 안전한 보관을 위해서 크로스부재(1)가 협지된 상태로 상기 탄성부재(4)의 탄성력을 상쇄시켜 고정시키는 연결고리(5)가 구비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연결고리(5)는 일측의 손잡이부(3)에 고리 형상으로 구비되어 크로스부재(1)가 협지된 상태에서 타측의 손잡이부(3)에 형성된 홈 형상의 부위에 걸림된다.
한편, 상기 크로스부재(1)의 각각의 단부로부터 상호 엇갈리는 면상으로 형성되는 절단날부(101)가 형성되는데, 상기 절단날부(101)는 상기 크로스부재(1)의 협지이동에 따라 상기 절단재료를 절단하도록 단면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절단날부(101)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한 쌍의 크로스부재(1)의 대향되는 단부가 협지이동에 따라 절단될 수 있도록 상기 절단공간부(A)에 접하는 상기 크로스부재(1)의 단부로부터 상기 크로스부재(1)의 면상으로 경사지게 연장되어 단면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칼날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절단날부(101)의 단부 일부에는 라운드날부(102)가 형성되는데, 상기 라운드날부(102)는 상기 절단재료의 방사상으로 접촉되는 부위가 증가되도록 라운드지게 함몰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라운드날부(102)는 상기 한 쌍의 크로스부재(1)의 교차선상을 따라 라운드지게 연결되도록 상기 절단날부(101) 각각의 내측에 상호 대응되며 대향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라운드날부(102)는 한 쌍의 상기 절단날부(101)에 각각 형성되므로 2 개소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라운드날부(102)는 상기 절단재료의 최외곽부가 걸림되는 라운드진 단턱을 형성하도록 중앙부(102a)의 곡률반경보다 양측 외곽부(102b, 102c)의 곡률반경이 더 작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본 고안은 크기가 다른 절단재료가 모두 미끄러지지 않은 파지기능을 할 수 있도록 양측에 라운드진 단턱을 형성하는 것이다.
상세히, 원형 단면의 절단재료를 절단시에 사용자는 절단재료가 미끄러짐을 예상하여 크로스부재(1)의 교차 부위에 가까운 측에 절단재료를 끼우고 절단하는 것에 보편적이다.
이에 착안하여 본 고안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단면의 절단재료가 라운드날부(102)에 접촉되는 부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라운드날부(102) 내측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외곽부(102b)를 상호 라운드지게 연결시켜 절단재료를 라운드날부(102)의 교차선상에 접촉시키되, 특히 상기 외곽부(102b)의 곡률반경을 중앙부(102a)의 곡률반경보다 작게하여 형성되는 라운드진 단턱에 의해 원형 단면의 절단재료가 라운드날부(102)의 굴곡에 파지되게 한 것이다.
또한, 외측에 배치된 외곽부(102c)는 직경이 큰 절단재료나 다수 개의 절단재료를 절단할 때 직경이 큰 절단재료의 외측부를 파지하거나 다수 개의 절단재료 중 외측에 배치된 절단재료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파지할 수 있다. 더욱이, 도 4에서 처럼 크기가 다른 원형 단면의 금속 케이블 등과 같은 절단재료(C1, C2)가 크로스부재(1)의 벌리는 정도에 따라 라운드날부(102)의 교차선상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한 쌍의 라운드날부(102)가 형성된 절단날부(101)를 설명한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절단날부(101)에 한 쌍의 라운드날부(102)가 라운드지게 연결되어 형성된 것이다.
상세히, 본 고안의 한 쌍의 라운드날부(102)는 원형 단면의 절단재료(C)에 방사상으로 접촉되는데 이때, 한 쌍의 라운드날부(102)가 상호 라운드지게 연결되므로 절단재료(C)의 내측부가 라운드날부(102)의 교차선상에 접촉됨과 동시에 외곽부(102b)에 의해 라운드진 단턱으로 인한 라운드날부(102)의 굴곡으로 절단재료(C)를 파지하여 점선과 같이 절단력이 작용할 때 절단재료(C)는 거의 밀리지 않게 되어 원활한 절단작업이 가능하며, 더욱이 라운드날부(102)가 미끄러지지 않는 절단재료(C)의 상부 및 하부에 넓은 부위가 균일한 길이로 접촉되는 것에 의해 금속 케이블과 같은 절단재료(C)의 상측 및 하측에 절단되는 길이가 균일하여 절단재료(C)의 상하방향으로 절단력이 고르게 작용되므로 절단재료의 절단면이 고르게 절단된다.
따라서, 라운드날부(102)들은 크로스부재(1)들이 벌려진 경우에 상호 라운드지게 연결됨으로써, 절단재료(C)의 외주가 라운드날부(102)의 교차 부위에 넓은 부위로 접촉될 수 있다.
또한, 라운드날부(102)는 절단공간부(A)에 배치된 절단재료(C)가 걸림지지되도록 중앙부(102a)의 곡률반경보다 내측 외곽부(102b)의 곡률반경이 더 작게 구비됨으로써, 절단재료(C)가 라운드날부(102)의 내측 굴곡에 물림되어 원활한 절단을 위한 지지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라운드날부(102)는 상기 절단날부(101)의 전체 길이의 적어도 1/2 이하로 가공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절단날부(101)는 금속 판재나 원형 단면의 금속케이블을 모두 절단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절단장치(10)는 크로스부재(1)가 강철 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날카로운 단부가 금속 등의 강체에 계속적으로 접촉되면서 날이 쉽게 무디어져 작업성을 떨어뜨리고 사용성을 저하시키는 것을 보완하기 위해 칼날을 갈 수 있는 연마부재(6)를 포함한다. 물론, 크로스부재가 가볍고 고강도인 티타늄 등의 신소재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신소재가 고가이므로 제작 단가를 상승시킨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연마부재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마부재가 내장된 절단장치의 예시도이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손잡이부(3)에는 상기 절단날부(101) 및 라운드날부(102)를 연마시키도록 하단으로부터 탈착가능한 연마부재(6)가 내장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연마부재(6)는 상기 손잡이부(3)의 어느 일측에 내장되기 위해서 상기 손잡이부(3)의 단부 일부를 절단하여 절단된 손잡이부(3)의 단부에는 홈 형상의 내장홈(302)을 형성하고 상기 내장홈(302)의 테두리에는 홈 형상의 결합단턱홈(미도시)을 형성하며 손잡이부(3)의 절단된 단부 일부에는 숯돌 등의 연마재(602)를 부착하며 상기 결합단턱홈(미도시)에 끼움가능한 결합단턱(미도시)을 형성하는 것이다. 즉, 손잡이부(3)의 절단된 단부 일부가 연마손잡이부(601)가 된다.
따라서, 연마부재(6)는 연마재(602)와 연마손잡이부(601)로 구성되어 상기 내장홈(302)에 탈착가능하게 끼움결합됨으로써 상기 손잡이부(3)에 내장된다.
이를 통하여, 원형 단면의 금속 재료를 절단하는 작업 시 칼날이 무디어지는 것을 쉽게 보수할 수 있으므로 절단장치(10)의 주요 부위인 날의 보수가 편리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절단재료가 원형 단면을 가질 경우에 방사상으로 접촉되는 부위를 증가시켜 파지기능을 겸하는 라운드날부(102)가 구비됨으로써, 크로스부재(1)의 협지이동에 따라 절단재료가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되어 신속하고 원활하게 절단재료를 절단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사용 편의성과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고안의 절단장치(10)는 라운드날부(102)가 절단날부(101)의 내측 일부에 형성됨으로써, 금속판과 같이 미끄러지지 않는 판재의 절단재료는 전측의 절단날부(101)의 직선 부위를 이용하여 절단하고 금속 케이블과 같이 쉽게 미끄러지는 원형 단면의 절단재료는 후측의 라운드날부(102)를 이용하여 절단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효용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한다.
도 1은 종래의 절단장치의 절단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단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라운드날부의 부분확대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단장치의 사용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단장치의 절단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마부재가 내장된 절단장치의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절단장치 1: 크로스부재
A: 절단공간부 B: 확장공간부
101: 절단날부 102: 라운드날부
102a: 중앙부 102b, 102c: 외곽부
2: 힌지축 3: 손잡이부
301: 슬립방지부 302: 내장홈
4: 탄성부재 5: 연결고리
6: 연마부재 601: 연마손잡이부
602: 연마재 C, C1, C2: 절단재료

Claims (5)

  1. 절단재료가 절단되는 공간을 가지도록 교차되어 힌지연결된 한 쌍의 크로스부재;
    상기 크로스부재의 각각의 단부로부터 상호 엇갈리는 면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크로스부재의 협지이동에 따라 상기 절단재료를 절단하도록 단면 경사지게 형성된 절단날부; 및
    상기 절단날부의 단부 일부에 형성되되, 상기 절단재료의 방사상으로 접촉되는 부위가 증가되도록 라운드지게 함몰형성된 라운드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라운드날부는 상기 한 쌍의 크로스 부재의 교차선상을 따라 라운드지게 연결되도록 상기 절단날부 각각의 내측에 상호 대응되며 대향되게 형성되며, 상기 절단재료의 최외곽부가 걸림되는 라운드진 단턱을 형성하도록 중앙부의 곡률반경보다 양측 외곽부의 곡률반경이 더 작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크로스부재에는 그립을 위한 손잡이부가 각각 구비되되, 상기 손잡이부들의 사이에는 상기 크로스부재의 협지이동을 복원시키도록 연결된 탄성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는 상기 절단날부 및 상기 라운드날부를 연마시키도록 하단으로부터 탈착가능한 연마부재가 내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장치.
KR2020090012381U 2009-09-21 2009-09-21 절단장치 KR2004592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381U KR200459257Y1 (ko) 2009-09-21 2009-09-21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381U KR200459257Y1 (ko) 2009-09-21 2009-09-21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098U KR20110003098U (ko) 2011-03-29
KR200459257Y1 true KR200459257Y1 (ko) 2012-03-23

Family

ID=44208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2381U KR200459257Y1 (ko) 2009-09-21 2009-09-21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25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4223B1 (ko) * 2023-03-22 2023-09-06 주식회사 나우건설산업 보조풀리유닛을 갖는 와이어 쏘 절단장치의 방향전환지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085U (ko) * 2016-10-11 2018-04-19 정구왕 케이블 커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7425A (ja) * 1997-09-02 1999-03-23 Toho Koki Kk 線材カッター
KR200177013Y1 (ko) * 1999-10-07 2000-04-15 홍은혜 철선절단용 날을 갖는 가위
KR200273710Y1 (ko) * 2002-01-25 2002-04-27 박용섭 칼갈이가 부착된 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7425A (ja) * 1997-09-02 1999-03-23 Toho Koki Kk 線材カッター
KR200177013Y1 (ko) * 1999-10-07 2000-04-15 홍은혜 철선절단용 날을 갖는 가위
KR200273710Y1 (ko) * 2002-01-25 2002-04-27 박용섭 칼갈이가 부착된 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4223B1 (ko) * 2023-03-22 2023-09-06 주식회사 나우건설산업 보조풀리유닛을 갖는 와이어 쏘 절단장치의 방향전환지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098U (ko) 2011-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06393B2 (en) Handle extension for a shaver or applicator pad
EP1353783B1 (en) Utility cutting tool having toggle link mechanism
KR200459257Y1 (ko) 절단장치
JP5960924B2 (ja) 保護手段を備えた刃物及びはさみ
US3521510A (en) Spring opened pliers
US2300087A (en) Electric marine cable stripper
US3952619A (en) Tube assembly tool
US20180169818A1 (en) Handhold Sharpening Tool
EP3945777B1 (en) Lopper having improved cutting performance
EP3529017B1 (en) An hair cutting device
US3107424A (en) Cable gripping and sheath cutting tool
CN207495556U (zh) 一种高强度夹钢刀具
CA2815661C (en) Handle assembly for hand-operated tool
CN205799596U (zh) 一种胶板切割刀具
US20230347540A1 (en) Cutting tool
CA1178426A (en) Tubecutter
CN210189695U (zh) 刀柄及厨用刀具
CN221213246U (zh) 一种雕刻刀
CN214604506U (zh) 一种便于掌控的剃毛器
US20090126199A1 (en) Knife apparatus
JP6059550B2 (ja) 小型切断具及びその載置台
JP6519375B2 (ja) 電線表面の磨き工具、及び電線表面の研磨方法
JP3180711U (ja) 倍力滑り止めハサミ
US20120202410A1 (en) Sharpening Tool
JP4674878B1 (ja) 甘皮切り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