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253Y1 - 용해부가 구성된 테이크 아웃용 컵 - Google Patents

용해부가 구성된 테이크 아웃용 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253Y1
KR200459253Y1 KR2020100001986U KR20100001986U KR200459253Y1 KR 200459253 Y1 KR200459253 Y1 KR 200459253Y1 KR 2020100001986 U KR2020100001986 U KR 2020100001986U KR 20100001986 U KR20100001986 U KR 20100001986U KR 200459253 Y1 KR200459253 Y1 KR 2004592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take
solid
support
soli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19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8461U (ko
Inventor
이호혁
Original Assignee
이호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혁 filed Critical 이호혁
Priority to KR20201000019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253Y1/ko
Publication of KR201100084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4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2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2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6Thin-walled containers, e.g. formed by deep-drawing operations
    • B65D1/265Drinking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해부가 구성된 테이크 아웃용 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패스트푸드점이나 커피전문점에서 사용하는 테이크 아웃용 컵 내부에 용해부를 구성하여 상기 용해부에 특정한 맛이나 향기를 내는 고형물을 삽입하여 컵 내부의 커피나 음료가 유출구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기 전에 용해부에 보관된 고형물을 녹여 커피나 음료 맛에 특정한 맛이나 향기를 가미한 독특한 맛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용해부가 구성된 테이크 아웃용 컵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인 용해부가 구성된 테이크 아웃용 컵은,
음료가 유출되는 유출구(20)가 형성된 컵 커버(10)와;
음료를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컵 커버와 결합되는 본체(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테이크 아웃용 컵에 있어서,
향신료의 분말 또는 추출물로 이루어진 고형물(100)과;
상기 고형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부(205)가 형성된 고형물보관부(210)와,
상기 고형물보관부를 감싸도록 설치 구성되어 고형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그물망(2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용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통해 테이크 아웃용 컵 내부에 용해부를 구성하여 상기 용해부에 특정한 맛이나 향기를 내는 고형물을 삽입하여 컵 내부의 커피나 음료가 유출구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기 전에 용해부에 보관된 고형물을 녹여 커피나 음료 맛에 특정한 맛이나 향기를 가미한 독특한 맛을 동시에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용해부가 구성된 테이크 아웃용 컵{take-out cup with liquefaction room.}
본 고안은 용해부가 구성된 테이크 아웃용 컵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패스트푸드점이나 커피전문점에서 사용하는 테이크 아웃용 컵 내부에 용해부를 구성하여 상기 용해부에 특정한 맛이나 향기를 내는 고형물을 삽입하여 컵 내부의 커피나 음료가 유출구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기 전에 용해부에 보관된 고형물을 녹여 커피나 음료 맛에 특정한 맛이나 향기를 가미한 독특한 맛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용해부가 구성된 테이크 아웃용 컵에 관한 것이다.
현재 패스트푸드점이나 스타벅스 등 커피전문점 등에서는 커피나 콜라 등 음료를 주문하면 컵에 음료를 꽉 채운 후 한쪽 가에 유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커버를 덮은 후 이 유출구에 스트로우를 끼운 후 손님에게 교부하며, 손님들은 이와 같은 컵을 카운터에 가서 받아들고 자기 자리에 돌아가서 마시거나 또는 외부로 들고 나가 마시고 있다.
그러나 상기 패스트푸드점이나 스타벅스에서 제공하는 커피나 콜라는 미리 제조된 맛만을 제공하고 있을 뿐 박하, 체리, 레몬, 카라멜, 초코렛 등과 같은 혼합한 특별한 맛을 내기는 어려웠다.
현대사회는 갈수록 독특한 맛과 향을 원하는 고객들이 늘어나는 추세이며 커피나 음료 이외에도 다른 맛을 제공할 수 있다면 다양화되고 있는 고객들에게 색다른 맛이나 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테이크 아웃용 컵 내부에 용해부를 구성하여 상기 용해부에 특정한 맛이나 향기를 내는 고형물을 삽입하여 컵 내부의 커피나 음료가 유출구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기 전에 용해부에 보관된 고형물을 녹여 커피나 음료 맛에 특정한 맛이나 향기를 가미한 독특한 맛을 동시에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용해부에 힌지 결합부와 고형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탈착부를 구성하여 용해부에 보관되는 고형물을 수시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용해부에 걸림부를 설치 구성하여 테이크 아웃용 컵에 형성된 유출구에 고정시키도록 함으로써, 손쉽게 용해부가 컵에 탈부착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고안인 용해부가 구성된 테이크 아웃용 컵은,
음료가 유출되는 유출구(20)가 형성된 컵 커버(10)와;
음료를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컵 커버와 결합되는 본체(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테이크 아웃용 컵에 있어서,
향신료의 분말 또는 추출물로 이루어진 고형물(100)과;
상기 고형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부(205)가 형성된 고형물보관부(210)와,
상기 고형물보관부를 감싸도록 설치 구성되어 고형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그물망(250)과,
상기 고형물보관부 상측에 설치 구성되어 유출구에 고정시키는 걸림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용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본 고안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본 고안인 용해부가 구성된 테이크 아웃용 컵은 테이크 아웃용 컵 내부에 용해부를 구성하여 상기 용해부에 특정한 맛이나 향기를 내는 고형물을 삽입하여 컵 내부의 커피나 음료가 유출구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기 전에 용해부에 보관된 고형물을 녹여 커피나 음료 맛에 특정한 맛이나 향기를 가미한 독특한 맛을 동시에 제공하게 된다.
또한, 용해부에 힌지 결합부와 고형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탈착부를 구성하여 용해부에 보관되는 고형물을 수시로 교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용해부에 걸림부를 설치 구성하여 테이크 아웃용 컵에 형성된 유출구에 고정시키도록 함으로써, 손쉽게 용해부가 컵에 탈부착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테이크 아웃용 컵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용해부가 구성된 테이크 아웃용 컵의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용해부가 구성된 테이크 아웃용 컵의 실시예에 따른 절단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용해부가 구성된 테이크 아웃용 컵의 실시예에 따른 고형물이 삽입되는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용해부가 구성된 테이크 아웃용 컵의 실시예에 따른 용해부가 유출구에 삽입되는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인 용해부가 구성된 테이크 아웃용 컵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를 마실 경우의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인 용해부가 구성된 테이크 아웃용 컵의 실시예에 따른 용해부의 구성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고형물
200 : 용해부
205 : 공간부
210 : 고형물보관부
250 : 그물망
260 : 걸림부
300 : 지시선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테이크 아웃용 컵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테이크 아웃용 컵은 음료가 유출되는 유출구(20)가 형성된 컵 커버(10)와;
음료를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컵 커버와 결합되는 본체(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유출구를 통해 컵 내부에 보관되어 있는 음료나 커피를 마실 수 있게 되는 구조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용해부가 구성된 테이크 아웃용 컵의 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용해부가 구성된 테이크 아웃용 컵의 실시예에 따른 절단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용해부가 구성된 테이크 아웃용 컵은,
음료가 유출되는 유출구(20)가 형성된 컵 커버(10)와;
음료를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컵 커버와 결합되는 본체(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테이크 아웃용 컵에 있어서,
향신료의 분말 또는 추출물로 이루어진 고형물(100)과;
상기 고형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부(205)가 형성된 고형물보관부(210)와,
상기 고형물보관부를 감싸도록 설치 구성되어 고형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그물망(2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용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용해부를 컵 커버의 유출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 고정하게 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라 용해부의 상기 고형물보관부 상측에 설치 구성되어 유출구에 고정시키는 걸림부(26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쉽게 용해부를 컵 커버로부터 탈부착시킬 수도 있다.
상기 고형물은 향신료의 분말 또는 추출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예를 들어 박하, 체리, 레몬, 카라멜, 초코렛 등과 같은 특수한 맛을 내는 고형물일 수도 있으며, 박하향, 체리향, 레몬향, 카라멜향, 초코렛향 등과 같은 특수한 향을 내는 고형물일 수도 있으며, 상기 고형물을 제조하는 기술은 이미 당업자들에게 널리 알려진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상기 용해부(200)는 고형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부(205)를 형성하기 위한 뼈대를 이루는 고형물보관부(210)가 있으며, 상기 그물망(250)이 고형물보관부를 감싸도록 설치 구성되어 고형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그물망은 공간부에 보관된 고형물에 음료나 커피가 닿을 경우에 쉽게 녹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녹은 혼합물이 유출구를 통해 음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용해부에 특정한 맛이나 향기를 내는 고형물을 삽입하여 컵 내부의 커피나 음료가 유출구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기 전에 용해부에 보관된 고형물을 녹여 커피나 음료 맛에 특정한 맛이나 향기를 가미한 독특한 맛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걸림부(260)는 고형물보관부 상측에 설치 구성되어 유출구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는 용해부에 걸림부를 설치 구성하여 테이크 아웃용 컵에 형성된 유출구에 고정시키도록 함으로써, 손쉽게 용해부가 컵에 탈부착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즉, 컵에 용해부를 구성할 수도 있으며, 구성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탈부착할 수 있는 걸림부를 구성한 것이다.
또한, 용해부를 아예 컵에 고정시켜 제조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고형물보관부의 형상은 삼각형, 사각형, 원형, 타원형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고안의 예는 삼각형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사각형, 원형, 타원형, 마름모형 등 기타 고형물을 담을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상관은 없다.
본 고안에서는 일회용으로 고형물을 고형물보관부에 아예 삽입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하기의 구성을 가지게 되면 고형물을 수시로 교체할 수 있게 된다.
즉, 고형물을 수시로 교체하기 위하여 상기 고형물보관부는,
고형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부(205)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에 고형물을 삽입할 수 있도록 어느 일측이 덮개부와 힌지 결합되는 본체(부호 미기재)와,
상기 본체와 힌지 결합되어 고형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부(부호 미기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이때, 상기 덮개부는 어느 일측에 탈착부(부호 미기재)를 구성하여 본체와 탈부착되도록 구성하게 된다.
한편, 컵 내부에 보관된 음료나 커피의 높이가 용해부의 밑부분에 먼저 닿으면 마시기 전에 미리 다 녹아버릴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테이크 아웃용 컵의 본체 내부에 지시선(300)을 형성하게 된다.
이는 커피나 음료를 담는 작업자가 눈으로 미리 보고 적당한 높이를 계산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용해부가 구성된 테이크 아웃용 컵의 실시예에 따른 고형물이 삽입되는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인 용해부가 구성된 테이크 아웃용 컵의 실시예에 따른 용해부의 구성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7에 도시한 용해부가 구성된 테이크 아웃용 컵의 실시예에 따른 용해부는 삼각형상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용해부의 삼각형 고형물보관부(210)는, 상부지지대부(215), 제2측면지지대부(220), 제1측면지지대부(230)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지지대부(215)는 고형물보관부의 상부 뼈대를 구성하게 되며, 그 구성은 걸림부의 어느 일측이 결합되는 걸림부지지대(211)와,
상기 걸림부지지대의 양 끝단이 결합되는 상부측면지지대(212)와,
상기 상부측면지지대의 어느 일측 양 끝단에 형성되며, 제2측면지지대부의 힌지결합부가 결합되는 상부힌지결합지지대(213)와,
상기 상부측면지지대의 타측 양 끝단이 결합되는 상부수평지지대(2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걸림부지지대(211)는 걸림부의 어느 일측을 결합하게 되며, 두 개로 구성하게 된다.
상기 상부측면지지대(212)는 상기 걸림부지지대의 양 끝단이 결합되며, 상부힌지결합지지대(213)는 상부측면지지대의 어느 일측 양 끝단에 형성되며, 제2측면지지대부의 힌지결합부가 결합되어 진다.
또한, 상부수평지지대(214)가 상부측면지지대의 타측 양 끝단이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제2측면지지대부(220)는 힌지 결합되어 탈부착되도록 구성하게 되며, 그 구성은 상기 상부힌지결합지지대와 힌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힌지결합부(216)와,
상기 힌지결합부의 양 끝단에 결합되는 제2측면지지대(217)와,
상기 제2측면지지대의 어느 일측 양 끝단에 형성되며, 제1측면지지대부의 어느 일측에 탈부착되는 탈착부(2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힌지결합부(216)는 상부힌지결합지지대와 힌지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측면지지대(217)는 상기 힌지결합부의 양 끝단에 결합되도록 두 개가 형성되어 진다.
상기 탈착부(218)는 제2측면지지대의 어느 일측 양 끝단에 형성되며, 제1측면지지대부의 어느 일측에 탈부착되는 것이다.
상기 제1측면지지대부(230)는 상부지지대부와 수직으로 연결되는 뼈대를 이루도록 구성하게 되며, 그 구성은 제2측면지지대부의 탈착부가 안착되는 안착부(221)와,
상기 안착부의 양 끝단에 어느 일측이 결합되며, 타측이 상부지지대부의 상부수평지지대에 결합되는 제1측면지지대(2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안착부는 제2측면지지대부의 탈착부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며, 제1측면지지대(222)가 상기 안착부의 양 끝단에 어느 일측이 결합되며, 타측이 상부지지대부의 상부수평지지대에 결합되게 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해부가 구성된 테이크 아웃용 컵의 용해부 내부에 고형물이 삽입되는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탈착부를 안착부로부터 이격시킨 후 공간부에 고형물을 삽입하게 되며, 고형물이 삽입된 후 탈착부를 안착부에 결합시켜 고정시키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인 용해부가 구성된 테이크 아웃용 컵의 실시예에 따른 용해부가 유출구에 삽입되는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해부의 상측에 구성된 걸림부(260)를 유출구의 측면에 삽입시켜 걸림부의 구부러진 끝단이 유출구의 외면에 안착시켜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인 용해부가 구성된 테이크 아웃용 컵의 실시예에 따른 음료를 마실 경우의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컵 내부에 담겨진 커피나 음료를 마시고자 컵을 기울이게 되면 해당 커피나 음료가 용해부에 삽입된 고형물을 녹이게 되며, 녹아진 혼합물이 유출구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어 음용자가 음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테이크 아웃용 컵 내부에 용해부를 구성하여 상기 용해부에 특정한 맛이나 향기를 내는 고형물을 삽입하여 컵 내부의 커피나 음료가 유출구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기 전에 용해부에 보관된 고형물을 녹여 커피나 음료 맛에 특정한 맛이나 향기를 가미한 독특한 맛을 동시에 제공하게 된다.
또한, 용해부에 힌지 결합부와 고형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탈착부를 구성하여 용해부에 보관되는 고형물을 수시로 교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용해부에 걸림부를 설치 구성하여 테이크 아웃용 컵에 형성된 유출구에 고정시키도록 함으로써, 손쉽게 용해부가 컵에 탈부착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음료가 유출되는 유출구(20)가 형성된 컵 커버(10)와;
    음료를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컵 커버와 결합되는 본체(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테이크 아웃용 컵에 있어서,
    향신료의 분말 또는 추출물로 이루어진 고형물(100)과;
    상기 고형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부(205)가 형성된 고형물보관부(210)와,
    상기 고형물보관부를 감싸도록 설치 구성되어 고형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그물망(2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용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고형물보관부(210)는,
    걸림부의 어느 일측이 결합되는 걸림부지지대(211)와,
    상기 걸림부지지대의 양 끝단이 결합되는 상부측면지지대(212)와,
    상기 상부측면지지대의 어느 일측 양 끝단에 형성되며, 제2측면지지대부의 힌지결합부가 결합되는 상부힌지결합지지대(213)와,
    상기 상부측면지지대의 타측 양 끝단이 결합되는 상부수평지지대(2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부지지대부(215)와;
    상기 상부힌지결합지지대와 힌지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힌지결합부(216)와,
    상기 힌지결합부의 양 끝단에 결합되는 제2측면지지대(217)와,
    상기 제2측면지지대의 어느 일측 양 끝단에 형성되며, 제1측면지지대부의 어느 일측에 탈부착되는 탈착부(218)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2측면지지대부(220)와;
    상기 제2측면지지대부의 탈착부가 안착되는 안착부(221)와,
    상기 안착부의 양 끝단에 어느 일측이 결합되며, 타측이 상부지지대부의 상부수평지지대에 결합되는 제1측면지지대(2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측면지지대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해부가 구성된 테이크 아웃용 컵.
  4. 삭제
  5. 음료가 유출되는 유출구(20)가 형성된 컵 커버(10)와;
    음료를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컵 커버와 결합되는 본체(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테이크 아웃용 컵에 있어서,
    향신료의 분말 또는 추출물로 이루어진 고형물(100)과;
    상기 고형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부(205)가 형성된 고형물보관부(210)와,
    상기 고형물보관부를 감싸도록 설치 구성되어 고형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그물망(2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용해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고형물보관부는,
    고형물을 담을 수 있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에 고형물을 삽입할 수 있도록 어느 일측이 덮개부와 힌지 결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힌지 결합되어 고형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해부가 구성된 테이크 아웃용 컵.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어느 일측에 탈착부를 구성하여 본체와 탈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해부가 구성된 테이크 아웃용 컵.
  7. 삭제
KR2020100001986U 2010-02-24 2010-02-24 용해부가 구성된 테이크 아웃용 컵 KR2004592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986U KR200459253Y1 (ko) 2010-02-24 2010-02-24 용해부가 구성된 테이크 아웃용 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1986U KR200459253Y1 (ko) 2010-02-24 2010-02-24 용해부가 구성된 테이크 아웃용 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461U KR20110008461U (ko) 2011-08-31
KR200459253Y1 true KR200459253Y1 (ko) 2012-03-23

Family

ID=45597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1986U KR200459253Y1 (ko) 2010-02-24 2010-02-24 용해부가 구성된 테이크 아웃용 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25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189Y1 (ko) 2018-03-05 2019-04-05 김규정 테이크아웃용 이중컵
KR20190003085U (ko) 2018-06-05 2019-12-13 김규정 테이크아웃용 컵 뚜껑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5777A (ja) 1998-09-16 2000-03-28 Yasukiyo Katou 匂いを発するボトルの口元とキャップ
KR100665495B1 (ko) * 2005-10-20 2007-01-10 문찬식 티백을 내장한 주류용기용 건강마개
KR200441874Y1 (ko) * 2007-03-16 2008-09-1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라면용기
KR20090002402A (ko) * 2007-06-28 2009-01-09 황광선 뚜껑이 구비된 접철식 일회용 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5777A (ja) 1998-09-16 2000-03-28 Yasukiyo Katou 匂いを発するボトルの口元とキャップ
KR100665495B1 (ko) * 2005-10-20 2007-01-10 문찬식 티백을 내장한 주류용기용 건강마개
KR200441874Y1 (ko) * 2007-03-16 2008-09-1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라면용기
KR20090002402A (ko) * 2007-06-28 2009-01-09 황광선 뚜껑이 구비된 접철식 일회용 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461U (ko) 201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98945B (zh) 饮料分配器
CN104053385B (zh) 用于矮杯和高杯的饮料机
US8539876B2 (en) Brew basket with integrated separate cavity for water bypass or additives
CN103002783A (zh) 用于饮料机的稳固杯支承件
US6354190B1 (en) Beverage making apparatus
US20050109689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iltering
US8225711B1 (en) Self-contained single-serve beverage brewing system
KR200459253Y1 (ko) 용해부가 구성된 테이크 아웃용 컵
CA2616716C (en) Beverage brewing devices having moveable reservoirs
US20140287116A1 (en) Single-serve container brewer and coffeemaker
US20190315550A1 (en) Insta-mix cup
WO2019106356A1 (en) Beverage making assembly
KR200488189Y1 (ko) 테이크아웃용 이중컵
KR200482067Y1 (ko) 멀티형 핸드 커피드립기
JP6564400B2 (ja) 補充可能な複数回用貯蔵コンテナを備えた飲料調製マシン
GB2453182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he preparation of beverages
KR20130000940U (ko) 두 가지 음료를 담는 컵
EP3245910B1 (fr) Service a boisson comprenant un accessoire d'identification de boisson et procédé d'identification de boisson afférent
KR20190003085U (ko) 테이크아웃용 컵 뚜껑
CN218967642U (zh) 一种放置方便的茶饮袋
JPS5811251Y2 (ja) 水割りセツト
KR200442796Y1 (ko) 차용기
JP2006248610A (ja) 飲用容器
TWM521429U (zh) 冰滴咖啡裝置及其承座
CN208941815U (zh) 便利式手冲滤泡组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