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248Y1 - 케이블 크램프 - Google Patents

케이블 크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248Y1
KR200459248Y1 KR2020100009151U KR20100009151U KR200459248Y1 KR 200459248 Y1 KR200459248 Y1 KR 200459248Y1 KR 2020100009151 U KR2020100009151 U KR 2020100009151U KR 20100009151 U KR20100009151 U KR 20100009151U KR 200459248 Y1 KR200459248 Y1 KR 2004592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ck
cable
charging
body portion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91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713U (ko
Inventor
이정균
윤영모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20201000091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248Y1/ko
Publication of KR201200017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7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2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2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12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 H01R11/14End pieces terminating in an eye, hook, or fork the hook being adapted for hanging on overhead or other suspended lines, e.g. hot line clam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Landscapes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케이블 크램프가 개시된다. 케이블 크램프는 크램프 스틱으로 변압기의 컷아웃 스위치의 충전부에 체결되도록 몸체부, 몸체부를 관통하여 변압기의 충전부의 삽입 공간을 마련하는 충전부 삽입홀 및 충전부 삽입홀에 수직한 방향으로 몸체부에 결합되어 크램프 스틱과 체결 및 충전부 삽입홀에 삽입된 충전부를 견고하게 조이는 크램프 스틱 결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케이블 크램프{Cable Clamp}
본 고안은 케이블 크램프에 관한 것이다.
배전용 변압기는 납품 자재 중 점유율이 가장 높은 제품이며, 배전손실의 약 3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변압기는 불순문 침투나 바니시 함침 불량 수분유입 등으로 인한 1차 권선 층간 단락, 오손 지역(해안, 공단 등), 외함 도장 마모에 의한 변압기 외함 부식, 누유, 부싱 파손, 탭 리드 오결선 등 부품 불량 및 제조 공정 상의 문제 그리고 단락 강도 불량에 의한 여러가지 원인으로 고장이 발생한다.
주상변압기 소손(불량)이 발생되었을 경우 배전 운영실에서는 소손(불량) 발생 현장으로 출동하여 변압기를 점검하고 소손 정도를 파악한 후 교체 여부를 결정한다. 이때, 주상 변압기 교체를 수행하는 동안 장시간이 소요되어 고객의 불편 및 민원이 발생한다.
기존 주상 변압기 교체 방법은 3상 주상 변압기인 경우 소손 변압기가 한대인 경우더라도 3상 모두 정전시키거나 3상 이동용 변압기차를 이용하여 무정전 활선 작업을 시행한 후 변압기를 교체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복잡하고 장시간의 교체 시간이 소요된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활선(무정전) 작업을 시행하던 변압기교체 작업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케이블 크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케이블 크램프를 제공한다.
케이블 크램프는 크램프 스틱으로 변압기의 컷아웃 스위치의 충전부에 체결되도록 몸체부, 몸체부를 관통하여 변압기 충전부의 삽입 공간을 마련하는 충전부 삽입홀 및 충전부 삽입홀에 수직한 방향으로 몸체부에 결합되어 크램프 스틱과 체결되는 크램프 스틱 결합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몸체부의 측면에 결합되어 고압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 결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몸체부는 몸체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케이블 결속부의 체결 공간을 마련하는 케이블 결속부 체결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몸체부는 몸체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크램프 스틱 결합부의 체결 공간을 마련하는 적어도 하나의 크램프 스틱 결합부 체결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몸체부를 관통하는 크램프 스틱 결합부 체결홀을 통하여 충전부 삽입홀에 삽입된 컷아웃 스위치의 충전부를 조이는 회전 결합부 및 충전부 고정부가 몸체부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몸체부는 크램프 스틱 결합부 체결홀에 인접하여 몸체부의 내측으로 음각되며, 크램프 스틱의 안착 공간을 마련하는 복수의 크램프 스틱 삽입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몸체부는 충전부 삽입홀이 관통하는 측면이 충전부 삽입홀을 중심으로 경사를 이루는 충전부 삽입 경사부를 포함하되, 충전부 삽입 경사부는 충전부 삽입홀를 향해 오목한 경사를 이룰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몸체부는 충전부 삽입홀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단면이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크램프는 단상 및 3상 주상 변압기 고장시 임시 송전장치 및 무정전 변압기 차량을 이용한 긴급 송전이 가능하도록 위험요소를 제거하여 안전하고 신속한 작업의 수행을 지원하고, 작업 차량 및 작업 소요인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크램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크램프 스틱에 연결된 케이블 크램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케이블 크램프와 크램프 스틱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컷 아웃 스위치에 결합되는 케이블 크램프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케이블 크램프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크램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크램프 스틱에 연결된 케이블 크램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크램프(100)는 몸체부(110), 충전부 삽입홀(120), 케이블 결속부(130) 및 크램프 스틱 결합부(140)를 포함한다.
몸체부(110)는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여 단면이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 중 하나인 입체도형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몸체부(110)는 알루미늄(Al), 구리(Cu) 등의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몸체부(110)는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 중 하나인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충전부 삽입홀(120)은 몸체부(110)를 관통하여 변압기의 컷아웃 스위치(Cut Out Switch: COS)의 충전부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다. 예를 들어, 충전부 삽입홀(120)은 몸체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몸체부(11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충전부 삽입홀(120)은 몸체부(110)의 길이 방향의 상하부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충전부 삽입홀(120)이 형성된 몸체부(110)에는 충전부 삽입 경사부(125)가 형성된다. 충전부 삽입 경사부(125)는 몸체부(110)에서 충전부 삽입홀(120)에 대해 오목하게 경사를 이룬다. 충전부 삽입 경사부(125)는 몸체부(110)의 길이 방향의 상하부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충전부 삽입 경사부(125)는 충전부 삽입홀(120)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충전부를 가이드한다. 케이블 결속부(130)는 몸체부(110)의 측면에 형성된 케이블 결속부 체결홀(170)에 결합되어 고압 케이블(미도시)을 몸체부(110)에 결속시킨다. 케이블 결속부(130)는 몸체부(110)의 케이블 결속부 체결홀(170)에 결합되는 결합 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케이블 결속부 체결홀(170)는 몸체부(110)의 양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크램프 스틱 결합부(140)는 몸체부(110)의 측면에 결합되어 크램프 스틱(200)과 몸체부(110)를 연결하며, 몸체부(110)에 삽입된 충전부를 고정시킨다. 크램프 스틱 결합부(140)는 몸체부(110)의 측면에 결합되는 회전 결합부 및 충전부 고정부(141)와 크램프 스틱(200)과 연결되는 고리부(143)를 포함한다.
회전 결합부 및 충전부 고정부(141)는 나사산과 나사골을 포함하여 몸체부(110)의 크램프 스틱 결합부 체결홀(145)에 나사 결합 방식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크램프 스틱 결합부 체결홀(145)은 회전 결합부 및 충전부 고정부(141)가 결합되도록 몸체부(110)의 측면에서 충전부 삽입홀(120)과 연결되어 복수개가 형성된다.
고리부(143)는 회전 결합부 및 충전부 고정부(141)와 연결되어 고리 형태로 형성되며, 크램프 스틱(200)에 체결되어 크램프 스틱(200)과 몸체부(110)를 연결한다.
여기서 크램프 스틱(200)은 그립올 크램프 스틱이 사용되며, 그립올 크램프 스틱이 당해 기술 분야에 이미 공지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몸체부(110)는 크램프 스틱(200)과의 용이한 결합을 위한 복수의 크램프 스틱 삽입홈(160)을 더 포함한다.
크램프 스틱 삽입홈(160)은 크램프 스틱 결합부 체결홀(145)에 인접하여 몸체부(110)의 내측으로 음각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크램프 스틱 삽입홈(160)은 몸체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길이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크램프 스틱 삽입홈(160)은 몸체부(110)의 길이 방향으로 크램프 스틱(200)의 직경에 상응하는 길이만큼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케이블 크램프와 크램프 스틱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컷 아웃 스위치에 결합되는 케이블 크램프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케이블 크램프(100)는 크램프 스틱(200)에 결합되어 컷아웃 스위치(Cut Out Switch)(250)와 결합한다. 여기서 크램프 스틱(200)의 일단부에 결합된 케이블 크램프(100)는 컷아웃 스위치(250)의 충전부(260)가 삽입되도록 충전부 삽입홀(120)을 조준하여 충전부(260)와 충전부 삽입홀(120)가 결합된다. 이때, 케이블 크램프(100)는 크램프 스틱(200)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 결합부 및 충전부 고정부(141)를 이용하여 컷아웃 스위치(250)의 충전부(260)와 단단히 결합된다.
여기서 컷아웃 스위치(250)의 충전부(260)에 결합된 케이블 크램프(100)는 케이블 결속부(130)에 임시 송전을 위한 케이블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케이블 크램프(100)는 작업이 용이하여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케이블 크램프(100)는 크램프 스틱(200)을 이용하여 컷아웃 스위치(250)의 충전부(260)에 결합됨으로써 충전부(260)의 비접촉에 의한 작업자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크램프는 단상 및 3상 주상 변압기 고장시 임시 송전장치를 이용한 긴급 송전 및 무정전 변압기 교체 작업시 활선 작업으로 인한 위험요소를 제거하여 안전하고 신속한 작업의 수행을 지원하고, 작업 차량 및 작업 소요인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케이블 크램프 110: 몸체부
120: 충전부 삽입홀 125: 충전부 삽입 경사부
130: 케이블 결속부 140: 크램프 스틱 결합부
141: 회전 결합부 및충전부 고정부 143: 고리부
145: 크램프 스틱 결합부 체결홀 160: 크램프 스틱 삽입홈
170: 케이블 결속부 체결홀 200: 크램프 스틱

Claims (8)

  1. 크램프 스틱으로 변압기의 컷아웃 스위치의 충전부에 체결되는 케이블 크램프에 있어서,
    몸체부;
    상기 몸체부를 상하로 관통하여 상기 변압기의 충전부의 삽입 공간을 마련하는 충전부 삽입홀; 및
    상기 충전부 삽입홀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상기 크램프 스틱과 체결되는 크램프 스틱 결합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크램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 결합되어 고압 케이블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 결속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크램프.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양쪽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 결속부의 체결 공간을 마련하는 케이블 결속부 체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크램프.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크램프 스틱 결합부의 체결 공간을 마련하는 적어도 하나의 크램프 스틱 결합부 체결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크램프.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는 상기 크램프 스틱 결합부 체결홀을 통하여 상기 충전부 삽입홀에 삽입된 상기 컷아웃 스위치의 충전부를 조이는 회전 결합부 및 충전부 고정부가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크램프.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크램프 스틱 결합부 체결홀에 인접하여 상기 몸체부의 내측으로 음각되며, 상기 크램프 스틱의 안착 공간을 마련하는 적어도 하나의 크램프 스틱 삽입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크램프.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충전부 삽입홀이 관통하는 측면이 상기 충전부 삽입홀을 중심으로 경사를 이루는 충전부 삽입 경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충전부 삽입 경사부는 상기 충전부 삽입홀를 향해 오목한 경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크램프.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충전부 삽입홀에 수직한 방향으로의 단면이 원형, 타원형 및 다각형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크램프.
KR2020100009151U 2010-08-31 2010-08-31 케이블 크램프 KR2004592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151U KR200459248Y1 (ko) 2010-08-31 2010-08-31 케이블 크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9151U KR200459248Y1 (ko) 2010-08-31 2010-08-31 케이블 크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713U KR20120001713U (ko) 2012-03-08
KR200459248Y1 true KR200459248Y1 (ko) 2012-03-23

Family

ID=46606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9151U KR200459248Y1 (ko) 2010-08-31 2010-08-31 케이블 크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24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2574B1 (ko) * 2021-06-01 2023-11-16 한국전력공사 피뢰기의 접지선 연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0968A (en) 1983-05-07 1985-09-10 Ngk Insulators, Ltd. Open fuse cutout
KR960008267Y1 (ko) * 1993-04-20 1996-09-25 상동전기 주식회사 특 고압 컷 아웃 스위치(cut out switch)
KR200218876Y1 (ko) 2000-10-25 2001-04-02 한국전력공사 주상변압기의 컷아웃스위치 안전 및 편리성 구조
US6922132B2 (en) 2002-04-26 2005-07-26 S & C Electric Co. Fuse cutout with improved dropout performan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0968A (en) 1983-05-07 1985-09-10 Ngk Insulators, Ltd. Open fuse cutout
KR960008267Y1 (ko) * 1993-04-20 1996-09-25 상동전기 주식회사 특 고압 컷 아웃 스위치(cut out switch)
KR200218876Y1 (ko) 2000-10-25 2001-04-02 한국전력공사 주상변압기의 컷아웃스위치 안전 및 편리성 구조
US6922132B2 (en) 2002-04-26 2005-07-26 S & C Electric Co. Fuse cutout with improved dropout perform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713U (ko) 2012-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1856B2 (en) System for servicing cable
KR200454764Y1 (ko) 케이블 포설 장치
KR20130024565A (ko) 전선 이선 장치
CN206490196U (zh) 一种开关柜内电缆头专用接地线
KR200459248Y1 (ko) 케이블 크램프
KR102631021B1 (ko) 선로 작업 방법
JP5897927B2 (ja) 電線切断・接続補助工具
CN103681142A (zh) 一种令克绝缘隔板
CN108899801A (zh) 基于配电线路维护的旁路作业方法及其配套作业装置
CN201233972Y (zh) 多功能接电头
CN102723678A (zh) 用于带电电缆的连接工具
KR20130058443A (ko) 케이블 연결장치
US6062917A (en) Versatile cable connector system for medium voltage underground electrical transmission distribution and the like
CN108574149A (zh) 一种开关柜内电缆头专用接地线
CN101295857B (zh) 用于低压开关柜旁路跨接的钩型工具及其制造工艺
US20180336978A1 (en) High-voltag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5417046B2 (ja) 移動ケーブル接続用アダプタ
CN201061093Y (zh) 用于低压开关柜旁路跨接的钩型工具
CN104897931A (zh) 伸缩式高空试验接线器
KR102565258B1 (ko) 무정전 지상 변압기 교체용 어댑터
CN109991449A (zh) 一种避雷器高压试验平台
CN203161743U (zh) 一种伸缩管快速锁紧装置
CN104167699B (zh) 10kv带电作业电缆终端头临时固定器
KR102563998B1 (ko) 지중 저압케이블 접속장치에 대한 무정전 바이패스 장치, 이의 설치 및 철거 방법
KR20230019676A (ko) 컷아웃 스위치 체결용 튜브 전극 및 이를 이용한 활선 바이패스 케이블 설치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