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9134Y1 - 순환식 음식물쓰레기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순환식 음식물쓰레기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9134Y1
KR200459134Y1 KR2020090011566U KR20090011566U KR200459134Y1 KR 200459134 Y1 KR200459134 Y1 KR 200459134Y1 KR 2020090011566 U KR2020090011566 U KR 2020090011566U KR 20090011566 U KR20090011566 U KR 20090011566U KR 200459134 Y1 KR200459134 Y1 KR 2004591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extinction
catalyst
space
reaction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15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2444U (ko
Inventor
신동식
Original Assignee
신동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동식 filed Critical 신동식
Priority to KR20200900115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134Y1/ko
Publication of KR201100024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24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1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1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helices or sections of hel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4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with addition of chemic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8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thermal conditioning
    • C02F11/2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thermal conditioning by freez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쓰레기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소멸공간부에 음식물쓰레기와 함께 촉매제를 투입 상기 촉매제를 통해 화학작용으로 완전 분해시켜 처리하고 분해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수증기와 수증기와 반응열을 소멸작동부에 구비된 냉매관을 통해 냉각 재차 소멸공간부에 냉각된 공기를 투입 순환 반복함과 동시에 이에 발생되는 수분은 냉매관 하부로 드레인하여 처리토록 함으로서 음식물쓰레기의 완전 처리 및 외부로의 냄새 유발을 원천적으로 차단 가능하도록 한 순환식 음식물쓰레기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인 순환식 음식물쓰레기 제거장치의 구체적 해결적 수단은, [본체(1) 전반부에는 음식물쓰레기와 촉매제를 투입하여 상기 촉매제의 화학작용에 의해 음식물쓰레기 소멸을 위한 소멸공간부(10)가 구비되고, 상기 소멸공간부(10) 후반부에는 상기 소멸공간부(10)에서 음식물쓰레기와 촉매제의 화학작용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 소멸시 발생되는 수증기와 반응열을 냉각항 재차 상기 소멸공간부(10)로 환원 처리되도록 하는 소멸작동부(11)가 유입구(105)와 연결되며 구획되도록 하고,
상기 소멸공간부(10)는 상면에 개폐 가능한 커버부(10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커버부(100)를 개방하면 내부에 교반기(10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교반기(101)에는 본체(1) 외부에 구비된 모터(102)와 연결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소멸공간부(10) 내부 상측 일면은 상기 소멸작동부(11)내로 수증기와 반응열이 강제 배출 가능하도록 외부에 구비된 모터(103)에 의해 구동되는 흡입팬(104)이 구비되어 있고, 타면에는 소멸작동부(11)에 의해 냉각된 수증기와 반응열이 순환 유입 가능하도록 유입구(105)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소멸작동부(11)는 이단으로 냉매관(11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냉매관(110) 하단에는 상기 수증기와 반응열이 냉각될 때 발생되는 액체가 배출 가능하도록 배출공(11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배출공(111)에는 배출관(112)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액체가 외부로 배출될 때 중화를 위한 중화기(113)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소멸공간부에 음식물쓰레기와 함께 촉매제를 투입 상기 촉매제를 통해 화학작용으로 완전 분해시켜 처리하고 분해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수증기와 반응열을 소멸작동부에 구비된 냉매관을 통해 냉각 재차 소멸공간부에 냉각된 공기를 투입 순환 반복함으로서 외부로 어떠한 기체나 이물질의 배출없이 순환식으로 음식물쓰레기를 완전 소멸 처리 가능하도록 한 것이며 일정기간마다 소멸공간부에 남아 있는 미세한 슬러지만 제거하면 되고 상기 촉매제는 6개월이나 일정기간마다 추가로 투입하면 되는 것으로서 환경오염이나 기타 음식물쓰레기 처리에 효과적인 것이다.
소멸공간부, 소멸작동부, 냉매관, 촉매제.

Description

순환식 음식물쓰레기 제거장치{Waste disposal equipment}
본 고안은 음식물쓰레기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소멸공간부에 음식물쓰레기와 함께 촉매제를 투입 상기 촉매제를 통해 화학작용으로 완전 분해시켜 처리하고 분해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수증기와 반응열을 소멸작동부에 구비된 냉매관을 통해 냉각 재차 소멸공간부에 냉각된 공기를 투입 순환 반복함과 동시에 이에 발생되는 수분은 냉매관 하부로 드레인하여 처리토록 함으로서 음식물쓰레기의 완전 처리 및 외부로의 냄새 유발을 원천적으로 차단 가능하도록 한 순환식 음식물쓰레기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이 유기물인 음식물쓰레기는 그대로 매립 처리될 경우 매립장을 일종의 화학 반응장소로 만들게 되어 오염물질 농도가 높은 침출수를 배출시키게 될 뿐 아니라 악취와 유해물질로 오염된 매립지가스를 발생시키는 등 심각한 2차 오염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따라서 음식물쓰레기는 감량처리 또는 재활용처리하는 것이 극히 바람직하게 되는 바, 음식물쓰레기를 감량처리, 재활용처리하기 위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쓰레기를 잘게 부수고 물기를 제거하여 건조함으로써 부피 및 무게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분쇄건조장치로부터 적당한 온도와 습도, 그리고 산소공급으로 음식물쓰레기를 발효시켜 퇴비화를 도모하는 발효장치, 그리고 미생물을 통해 음식물쓰레기를 생물화학적으로 분해시켜 소멸시키는 소멸장치의 순서로 발전 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중에서 단순 건조식의 경우는 수분이 차지하는 비중이 약 70%이상인 음식물쓰레기를 90℃이상의 고온을 이용하여 말리는 것으로 감량률이 대략 20%에 이르게 되는 것이지만 처리한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하여 폐기하여야 할 뿐 아니라 건조된 상태에서 다시 수분이 접촉되면 부폐 되어 버리기 때문에 원천적인 처리가 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파쇄 건조식의 경우 파쇄기나 분쇄기를 장착하여 단순건조로 인한 감량률보다 훨씬 높은 감량률을 기대할 수 있게 되는 등 전술한 단순 건조식에 비해 한 단계 발전한 것이기는 하나 단순 건조식과 마찬가지의 단점을 가지고 있어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할 뿐 아니라 병뚜껑, 쇠 젓가락, 조개 껍질, 각종 뼈 등의 단단한 물질을 투입할 경우 파쇄날이 고장 나거나 부러질 우려가 많고, 밀가루 음식 등의 걸죽한 상태의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게 되면 파쇄날에 엉겨붙어 제대로 작동되지 못하게 되는 등 파쇄기 및 분쇄기 장착으로 인한 부작용 및 고장이 잦은 문제가 있으며, 파쇄시 소음이 심하고 잦은 파쇄시에 전기소모량이 증가할 수 있게 된다.
이들 단순건조식 및 파쇄건조식에 비교하여 미생물 소멸식의 경우 소멸조에 투입된 음식물을 생물화학적으로 분해하여 소멸할 수 있게 되므로 주기적으로 처리 용 칩을 교체하여 주기만 하면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한 후 수거하여 폐기할 필요가 없게 되는 잇점이 있지만 분해과정에서 유발되는 악취를 처리하기 위한 탈취수단을 구비하여야 하는 부담이 있다.
이를 위하여 가정 또는 식당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 입자화 시킨 상태에서 촉매제를 통해 화학작용으로 완전 분해시켜 처리하고 이에 따른 분진 및 수분을 함유한 기화열을 재차 히팅기로 가열하여 태워줌으로써 음식물 찌꺼기뿐만 아니라 수분까지도 수거가 없을 정도로 소멸시킬 수 있도록 하는 쓰레기 분해장치가 국내실용신안등록 제 20-0397155호로 개발되었으나, 이는 분진 및 수분 성분을 태워 없애는 방식이어서 2차 오염의 우려가 있고 완전 연소도 어려워 실제 사용하기에는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특허등록 제 10-0763401호로 등록된 음식물쓰레기 소멸기는 본채 내에 소멸조와 광촉매필터를 통하여 소멸 및 배기하고, 배기 공기는 활성탄 필터체가 내장된 할성탄 필터를 통하여 배출함으로써 냄새를 제거시킨 방식의 소멸기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역시 인위적으로 냄새를 제거토록 하는 방식이어서 필터를 수시로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멸공간부에 음식물쓰레기와 함께 촉매제를 투입 상기 촉매제를 통해 화학작용으로 완전 분해시켜 처리하고 분해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수증기와 반응열을 소멸작동부에 구비된 냉매관을 통해 냉각 재차 소멸공간부에 냉각된 공기를 투입 순환 반복함과 동시에 이에 발생되는 수분은 냉매관 하부로 드레인하여 처리토록 함으로서 음식물쓰레기의 완전 처리 및 외부로의 냄새 유발을 원천적으로 차단 가능하도록 한 음식물쓰레기 제거장치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본체(1) 전반부에는 음식물쓰레기와 촉매제를 투입하여 상기 촉매제의 화학작용에 의해 음식물쓰레기 소멸을 위한 소멸공간부(10)가 구비되고, 상기 소멸공간부(10) 후반부에는 상기 소멸공간부(10)에서 음식물쓰레기와 촉매제의 화학작용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 소멸시 발생되는 수증기와 반응열을 냉각항 재차 상기 소멸공간부(10)로 환원 처리되도록 하는 소멸작동부(11)가 유입구(105)와 연결되며 구획되도록 하고,
상기 소멸공간부(10)는 상면에 개폐 가능한 커버부(10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커버부(100)를 개방하면 내부에 교반기(10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교반기(101)에는 본체(1) 외부에 구비된 모터(102)와 연결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소멸공간부(10) 내부 상측 일면은 상기 소멸작동부(11)내로 수증기와 반응열이 강제 배출 가능하도록 외부에 구비된 모터(103)에 의해 구동되는 흡입팬(104)이 구비되어 있고, 타면에는 소멸작동부(11)에 의해 냉각된 수증기와 반응열이 순환 유입 가능하도록 유입구(105)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소멸작동부(11)는 이단으로 냉매관(11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냉매관(110) 하단에는 상기 수증기와 반응열이 냉각될 때 발생되는 액체가 배출 가능하도록 배출공(11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배출공(111)에는 배출관(112)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액체가 외부로 배출될 때 중화를 위한 중화기(113)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소멸공간부에 음식물쓰레기와 함께 촉매제를 투입 상기 촉매제를 통해 화학작용으로 완전 분해시켜 처리하고 분해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수증기와 반응열을 소멸작동부에 구비된 냉매관을 통해 냉각 재차 소멸공간부에 냉각된 공기를 투입 순환 반복함으로서 외부로 어떠한 기체나 이물질의 배출없이 순환식으로 음식물쓰레기를 완전 소멸 처리 가능하도록 한 것이며 일정기간마다 소멸공간부에 남아 있는 미세한 슬러지만 제거하면 되고 상기 촉매제는 6개월이나 일정기간마다 추가로 투입하면 되는 것으로서 환경오염이나 기타 음식물쓰레기 처리에 효과적인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인 순환식 음식물쓰레기 제거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인 설명을 도면과 함께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순환식 음식물쓰레기 제거장치의 사시도로서 주요부의 내부를 볼수 있도록 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고안인 순환식 음식물쓰레기 제거장치에 있어서 작동 상태를 볼 수 있도록 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인 순환식 음식물쓰레기 제거장치에 있어서 배면을 나타내는 내부도이다.
본 고안은,
대략 직사각형상의 본체(1)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본체(1)는 크게 소멸공간 부(10)와 소멸작동부(11)로 나누어진다.
즉, 본체(1) 전반부에는 음식물쓰레기와 촉매제를 투입하여 상기 촉매제의 화학작용에 의해 음식물쓰레기를 소멸을 위한 소멸공간부(10)가 후반부에는 상기 소멸공간부(11)에서 음식물쓰레기와 촉매제의 화학작용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 소멸시 발생되는 수증기와 반응열을 냉각하여 재차 상기 소멸공간부(10)로 환원처리하는 소멸작동부(11)로 구획된 상태로서,
상기 소멸공간부(1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소멸공간부(10)는 상면에 개폐 가능한 커버부(10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커버부(100)를 개방하면 내부에 교반기(10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교반기(101)는 본체(1) 외부에 구비된 모터(102)와 연결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소멸공간부(10) 내부 상측 일면은 상기 소멸작동부(11)내로 수증기와 반응열이 강제 배출가능하도록 외부에 구비된 모터(103)에 의해 구동되는 흡입팬(104)이 구비되어 있고 타면에는 소멸작동부(11)에 의해 냉각된 수증기와 반응열이 순환 유입가능하도록 유입구(105)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다음, 소멸작동부(11)의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소멸작동부(11)는 이단으로 냉매관(11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냉매관(110) 하단에는 상기 수증기와 반응열이 냉각될때 발생되는 액체가 배출 가능하도록 배출공(11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배출공(111)에는 배출관(112)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액체가 외부로 배출될때 중화를 위한 중화기(113)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미설명부호 K는 본체(1)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호차를 지시하는 것이며, 미설명부호 W는 물탱크를 지시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커버부(100)를 개방한 상태에서 음식물쓰레기와 촉매제 즉, 화학반응을 일으켜 음식물쓰레기를 소멸가능하도록 한 촉매제를 음식물쓰레기와 함께 소멸공간부(10)에 수납한 상태에서 사익 커버부(100)를 닫은 다음,
전원을 공급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02)가 구동하고 모터(102)의 구동에 의해 벨트(B)와 연결된 교반기(101)가 구동하면서 음식물쓰레기와 촉매제가 교반되면서 상기 촉매제의 화학반응에 의해 수증기와 반응열이 발생되면서 음식물쓰레기가 소멸되며, 이과정에서 상기 수증기와 반응열의 냉각을 위해 상기 모터(103)가 구동하면서 흡입팬(104)이 구동하여 상기 소명공간부(10)내에서 발생되는 수증기와 반응열을 소멸작동부(11)로 흡입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소멸작동부(11)에 흡입된 수증기와 반응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응축부(A)와 컴푸레샤(C) 및 냉각팬(F) 등에 의해 냉매가 상기 냉매관(110)을 통해 유입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소멸작동부(11)에 흡입된 수증기와 반응열이 냉각되며 이때 발생되는 액체는 배출공(111) 및 배출관(112)으로 배출되며 이때 상기 액체를 중화하기 위한 중화기(113)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냉각된 수증기와 반응열은 차거운 공기 즉, 기체화되어 상기 흡입팬(104)의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유입구(105)를 통해 재차 소멸공간부(10)로 유입되고 이와 같이 유입된 공기가 다시 상기 음식물쓰레기와 촉매제가 교반기(101)에 교반됨에 따라 발생되는 수증기와 반응열로 되면서 상기와 같은 작동과정이 순환적으로 반복됨으로서 결국 외부로 음식물쓰레기나 기타 이물질 및 기화된 공기가 유출되지 아니하고 완전히 음식물쓰레기를 소멸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물론, 상기 촉매제는 일정기간 예를들면 6개월이나 기타 일정기간마다 소멸공간부(10)에 투입하여야 하고 상기 음식물쓰레기가 소멸되더라도 약간의 슬러지는 일정기간마다 소멸공간부(10)를 개방하여 슬러지를 제거 폐기처분해야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함으로서 최소화된 슬러지를 제외하고 음식물쓰레기를 완전 소멸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외부 환경의 오염등을 방지할 수 있어 도심 근교나 기타 어떠한 장소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인 순환식 음식물쓰레기 제거장치의 사시도로서 주요부의 내부를 볼수 있도록 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인 순환식 음식물쓰레기 제거장치에 있어서 작동 상태를 볼 수 있도록 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인 순환식 음식물쓰레기 제거장치에 있어서 배면을 나타내는 내부도이다.
※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본체 10; 소멸공간부
11; 소멸작동부 100; 커버부
101; 교반기 102; 모터
103; 모터 104; 흡입팬
105; 유입구 110; 냉매관
111; 배출공 112; 배출관
113; 중화기 A; 응축부
B; 벨트 C; 컴푸레샤
F; 냉각팬 K; 호차
W; 물탱크

Claims (1)

  1. 본체(1) 전반부에는 음식물쓰레기와 촉매제를 투입하여 상기 촉매제의 화학작용에 의해 음식물쓰레기 소멸을 위한 소멸공간부(10)가 구비되고, 상기 소멸공간부(10) 후반부에는 상기 소멸공간부(10)에서 음식물쓰레기와 촉매제의 화학작용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 소멸시 발생되는 수증기와 반응열을 냉각항 재차 상기 소멸공간부(10)로 환원 처리되도록 하는 소멸작동부(11)가 유입구(105)와 연결되며 구획되도록 하고,
    상기 소멸공간부(10)는 상면에 개폐 가능한 커버부(100)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커버부(100)를 개방하면 내부에 교반기(10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교반기(101)에는 본체(1) 외부에 구비된 모터(102)와 연결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소멸공간부(10) 내부 상측 일면은 상기 소멸작동부(11)내로 수증기와 반응열이 강제 배출 가능하도록 외부에 구비된 모터(103)에 의해 구동되는 흡입팬(104)이 구비되어 있고, 타면에는 소멸작동부(11)에 의해 냉각된 수증기와 반응열이 순환 유입 가능하도록 유입구(105)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소멸작동부(11)는 이단으로 냉매관(11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냉매관(110) 하단에는 상기 수증기와 반응열이 냉각될 때 발생되는 액체가 배출 가능하도록 배출공(11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배출공(111)에는 배출관(112)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액체가 외부로 배출될 때 중화를 위한 중화기(113)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환식 음식물쓰레기 제거장치.
KR2020090011566U 2009-09-03 2009-09-03 순환식 음식물쓰레기 제거장치 KR2004591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566U KR200459134Y1 (ko) 2009-09-03 2009-09-03 순환식 음식물쓰레기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1566U KR200459134Y1 (ko) 2009-09-03 2009-09-03 순환식 음식물쓰레기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444U KR20110002444U (ko) 2011-03-09
KR200459134Y1 true KR200459134Y1 (ko) 2012-03-19

Family

ID=44207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1566U KR200459134Y1 (ko) 2009-09-03 2009-09-03 순환식 음식물쓰레기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13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862B1 (ko) * 2011-09-02 2012-06-12 이종실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022548B1 (ko) * 2018-07-13 2019-09-19 (주) 지엘플러스 응축수 유출 방지기능을 갖는 뚜껑이 구비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8293B1 (ko) 1998-08-05 2001-11-30 박종일 유기성폐기물을이용한발효,건조방법및장치
JP2002086116A (ja) 2000-09-20 2002-03-26 Hitachi Ltd 有機廃棄物処理装置
KR20060026222A (ko) * 2004-09-20 2006-03-23 주식회사 월드코아 배기가스 내부 순환방식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776311B1 (ko) 2006-06-15 2007-11-15 이주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8293B1 (ko) 1998-08-05 2001-11-30 박종일 유기성폐기물을이용한발효,건조방법및장치
JP2002086116A (ja) 2000-09-20 2002-03-26 Hitachi Ltd 有機廃棄物処理装置
KR20060026222A (ko) * 2004-09-20 2006-03-23 주식회사 월드코아 배기가스 내부 순환방식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776311B1 (ko) 2006-06-15 2007-11-15 이주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2444U (ko) 2011-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824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JP2010155231A6 (ja) 処理物の低温分解処理方法及び装置
KR200459134Y1 (ko) 순환식 음식물쓰레기 제거장치
KR10086100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및 그의 처리방법
KR101532945B1 (ko) 악취 및 먼지와 유해가스 제거기능을 갖춘 마이크로파 방식의 동물사체 처리장치
KR20210102536A (ko) 사이클론이 포함된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KR100763401B1 (ko) 음식물쓰레기 소멸기
KR10085997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의 살균 및 소취장치
KR2010010681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방법 및 장치
JPH07313951A (ja) 生ゴミ,紙オムツ等の水分を含むか又は悪臭を放つ廃棄物の処理方法
KR101968679B1 (ko)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
KR100343786B1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소멸식 처리장치
KR101318008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40096109A (ko) 음식물 쓰레기 소멸기
KR100838459B1 (ko) 음식물 소멸방법
JP2013010088A (ja) 有機物の磁気分解処理装置
JP3622184B2 (ja) 生ゴミ発酵処理装置における脱臭分解方法
KR101176373B1 (ko) 탈취 냉각탑 및 이를 구비한 슬러지 건조 장치
KR102565792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를 위한 에너지 절감형 악취저감시스템
KR100673996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악취분해장치
KR102551334B1 (ko) 음식물쓰레기 건조탄화장치 및 건조탄화장치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건조탄화방법
KR200396113Y1 (ko) 음식물쓰레기 소멸기
KR101896244B1 (ko)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
KR200321936Y1 (ko) 음식물 쓰레기 소멸기
KR102537371B1 (ko) 열 효율성을 향상시킨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의 탈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