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971Y1 - 방수성을 갖는 전기발열매트 - Google Patents

방수성을 갖는 전기발열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971Y1
KR200458971Y1 KR2020080015796U KR20080015796U KR200458971Y1 KR 200458971 Y1 KR200458971 Y1 KR 200458971Y1 KR 2020080015796 U KR2020080015796 U KR 2020080015796U KR 20080015796 U KR20080015796 U KR 20080015796U KR 200458971 Y1 KR200458971 Y1 KR 2004589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aterproof layer
heat generating
electric heating
water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57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5758U (ko
Inventor
김원준
Original Assignee
김원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준 filed Critical 김원준
Priority to KR20200800157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971Y1/ko
Publication of KR201000057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7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9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9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 F24D13/02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 F24D13/024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in walls, floors, cei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8Electric heat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Floor Finish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전기발열매트는 전기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전기발열층, 상기 전기발열층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전기발열층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 방수층과 하부 방수층, 상기 상부 방수층의 상부에 형성된 제1박리지, 및 상기 하부 방수층의 하부에 형성된 제2박리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상부 방수층과 하부 방수층은 비가황부틸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전기발열매트는 난방을 제공하는 전기열선층의 상부 및 하부에 방수층을 구비함으로써, 물의 사용이 빈번한 화장실, 축사 또는 온실 등의 바닥면이나 벽면(이하, '바탕기재'라 함)에 시공할 경우 상기 전기열선층의 절연효과는 물론 상기 전기발열매트가 시공된 바탕기재에 대한 방수효과도 함께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전기열선, 축사난방, 온실난방, 전기난방, 방수 단열난방시스템

Description

방수성을 갖는 전기발열매트{An Waterproof Electric Heating Mat}
본 고안은 방수성을 갖는 전기발열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를 이용하여 발열되는 전기발열층의 상부 및 하부에 방수기능이 우수한 비가황부틸고무 재질의 방수층을 형성하여 수분 침투가 용이한 장소에서도 전기를 이용한 난방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수성을 갖는 전기발열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식물을 사육 또는 생육하기 위한 축사나 온실 등에는 거울철에 가축, 화초 또는 농작물들의 냉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 공간에 대한 난방을 필요로 한다.
이때, 상기 내부 공간의 난방은 주로 석탄, 연탄, 가스 또는 석유와 같은 화석연료들을 사용하는 보일러 또는 열풍기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들 화석연료들은 최근 들어 가격이 급격히 상승되면서 전체적인 난방비의 증가를 야기할 뿐만 아니라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연소과정에서 배출되는 탄소가스로 인하여 대기환경을 크게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청정에너지인 전기를 사용한 난방 방식의 사용이 요구되고 있으나, 이들 장소에서는 청소나 생육을 위한 물의 사용이 자주 발생되기 때문에 누전의 위험으로 인하여 실제적인 적용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기발열층의 상부 및 하부에 비가황부틸고무 재질의 방수층을 구비함으로써 물의 사용이 잦은 화장실, 축사 또는 온실 등의 바닥이나 벽면에서도 누전의 위험이 없이 안전하게 시공이 가능한 방수성을 갖는 전기발열매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축사나 온실과 같은 설치장소의 특성상 무거운 수레나 차량이 전기발열매트가 시공된 시공면을 통과하더라도 상기 시공면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그 상부면에 모르타르나 콘크리트의 시공이 용이한 방수성을 갖는 전기발열매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전기발열매트는 전기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전기발열층, 상기 전기발열층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전기발열층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 방수층과 하부 방수층, 상기 상부 방수층의 상부에 형성된 제1박리지, 및 상기 하부 방수층의 하부에 형성된 제2박리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상부 방수층과 하부 방수층은 비가황부틸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기발열층과 하부 방수층 사이에는, 상기 전기발열층에서 발생된 열이 하부 방수층 방향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열차단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기발열층과 상부 방수층 사이에는, 상기 상부 방수층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하여 상기 전기발열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기발열매트는 난방을 제공하는 전기발열층의 상부 및 하부에 비가황부틸고무 재질의 방수층을 구비함으로써 물의 사용이 빈번한 화장실, 축사 또는 온실 등의 바닥면이나 벽면(이하, '바탕기재'라 함)에 시공하는 경우에도 상기 전기발열층에 대한 절연효과를 얻을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전기발열매트가 시공된 바탕기재에 대한 방수효과도 함께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전기발열매트는 상기 방수층이 어떠한 이종 재질과도 점착성이 우수한 비가황부틸고무로 구성됨으로써, 바탕기재에 간편하게 시공이 될 수 있음은 물론 그 상부면에 모르타르나 콘크리트의 시공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전기발열매트는 전기열선층과 바탕기재에 부착되는 하부 방수층 사이에 열차단층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바탕기재에 열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난방효율을 더욱 제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삭제
삭제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수성을 갖는 전기발열매트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방수성을 갖는 전기발열매트(100)는 전기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전기발열층(40), 상기 전기발열층(4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전기발열층(40)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 비가황부틸고무방수층(20a)과 하부 비가황부틸고무방수층(20b), 상기 상부 비가황부틸고무방수층(20a)의 상부에 형성된 제1박리지(10a), 및 상기 하부 비가황부틸고무방수층(20b)의 하부에 형성된 제2박리지(1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기발열층(40)과 하부 비가황부틸고무방수층(20b)의 사이에는 전기발열층(40)에서 발생된 열이 바탕기재(6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열차단층(3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기발열층(40)과 상부 비가황부틸고무방수층(20a)의 사이에는 전기발열매트(100)가 시공된 바탕기재(60)의 상부에 무거운 차량이나 수레가 통과하는 경우 그 하중에 의하여 전기발열층(4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보호층(50)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전기발열층(40)은 전기열선, 탄소발열체, 전기판넬 또는 발열필름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매트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비가황부틸고무방수층(20a) 및 하부 비가황부틸고무방수층(20b)은 비가황계 부틸고무 18 중량%, 카본 보강제 10 중량%, 가소제 1 중량%, 첨가제 25 중량%, 및 중탄 충전제 46중량%을 혼합하여 균일 도포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충전제는 탈크, 카본블랙, 탄산칼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소제는 디옥틸프탈레이트, 디부틸프탈레이트,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 사이트릭애시드에스테르, 텍사놀/에스테르알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1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첨가제는 로진(송진), 활제로서 스테아린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1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상부 및 하부 비가황부틸고무방수층(20a, 20b)은 온도 변화에 민감하지 않고 내투수성, 내구성 및 내후성이 좋으며 모든 종류의 바탕기재에 대하여 강력한 접착력을 가진다.
또한, 산이나 알카리와 반응하지 않고 탄성 및 신율이 좋기 때문에 바탕기재의 균열에 따라 거동하여 자기 보수성을 지닌다.
따라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비가황부틸고무방수층(20a, 20b)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전기발열층(40)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하는 방수층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특히 하부 비가황부틸고무방수층(20b)은 상술한 접착력으로 인하여 별도의 접착부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바탕기재(60)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부 비가황부틸고무방수층(20a)도 마찬가지로 이종 재질과 강력한 접착력을 가지는 것이기 때문에 그 상부에 모르타르나 콘크리트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전기발열매트(100)가 시공된 바탕기재(60)의 상부를 견고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열차단층(30)은 유리섬유, 발포폼, 열차단필름, 그라파이트 등 일반 시중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는 단열재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일예로서 유리섬유 단열재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보호층(50)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고밀도폴리에틸렌(HDPE),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및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EPDM) 필름, 폴리에틸렌필름(PE), 폴리에스테르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필름, TPO(Olefin계 Thermoplastic Elastomer),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열가소성 가황물(TPV, thermoplatic vulcanizate)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전기발열매트(100)를 바탕기재(60)에 시공하는 경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전기발열매트(100)의 제2박리지(10b)를 제거한 후, 상기 하부 비가황부틸고무방수층(20b)이 축사나 온실 바닥면과 같은 바탕기재(60)를 향하도록 상기 전기발열매트(100)를 바탕기재(60)에 부착시킨다.
이때, 상기 바탕기재(60)와 전기발열매트(100)의 사이에는 바탕기재로부터 습기가 올라오는 것을 방지하는 방습필름(70)이 추가적으로 개재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바탕기재(60)에는 전기발열매트(100)를 부착시키기 이전에 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프라이머(미도시)를 도포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전기발열매트(100)에 포함된 전기발열층(40)에 전선을 연결하고 상기 전기발열층(40)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온도 조절기(미도시) 상기 전기발열매트(100)의 외부에 설치한 후 상기 제1박리지(10a)를 제거하고, 상부 비가황부틸고무방수층(20a)의 상부면에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 미장을 하여 양생시킴으로써 시공이 완성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전기발열매트(100)는 화장실 등의 벽면이나 바닥면에도 시공이 가능한데, 이 경우에도 전기발열매트(100)의 제2박리지(10b)를 제거한 후 하부 비가황부틸고무방수층(20b)이 화장실 벽면이나 바닥면과 같은 바탕기재를 향하도록 하여 상기 전기발열매트(100)를 손이나 수동로울러 등으로 눌러 바탕기재에 부착시킨다.
또한, 이 경우에도 제1박리지(10a)를 제거한 후 상부 비가황부틸고무방수층(20a)의 상부면에 모르타르 미장을 하여 양생시키고, 양생이 완료되면 화장실 벽면타일을 떠붙임공법으로 하여 시공하여 완성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수성을 갖는 전기발열매트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2는 도1에 도시한 전기발열매트가 시공된 바탕기재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a: 제1박리지 10b: 제2박리지
20a: 상부 비가황부틸고무방수층 20b: 하부 비가황부틸고무방수층
30: 열차단층 40: 전기발열층
50: 보호층 60: 바탕기재
70: 방습필름 80: 모르타르
100: 전기발열매트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Claims (4)

  1. 전기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전기발열층(40);
    상기 전기발열층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전기발열층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 방수층(20a)과 하부 방수층(20b);
    상기 상부 방수층의 상부에 형성된 제1박리지(10a); 및
    상기 하부 방수층의 하부에 형성된 제2박리지(10b)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상부 방수층과 하부 방수층은 비가황부틸고무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을 갖는 전기발열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발열층과 하부 방수층 사이에는, 상기 전기발열층에서 발생된 열이 하부 방수층 방향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열차단층(30)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을 갖는 전기발열매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발열층과 상부 방수층 사이에는, 상기 상부 방수층에 작용하는 외력에 의하여 상기 전기발열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층(50)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성을 갖는 전기발열매트.
  4. 삭제
KR2020080015796U 2008-11-27 2008-11-27 방수성을 갖는 전기발열매트 KR2004589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796U KR200458971Y1 (ko) 2008-11-27 2008-11-27 방수성을 갖는 전기발열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796U KR200458971Y1 (ko) 2008-11-27 2008-11-27 방수성을 갖는 전기발열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758U KR20100005758U (ko) 2010-06-07
KR200458971Y1 true KR200458971Y1 (ko) 2012-03-21

Family

ID=44451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5796U KR200458971Y1 (ko) 2008-11-27 2008-11-27 방수성을 갖는 전기발열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97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3692B1 (ko) * 2022-02-22 2022-10-11 김태원 온열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4041B1 (ko) * 2011-10-24 2011-11-16 김이태 난방매트 및 난방매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0469U (ko) * 2007-04-02 2007-04-20 김동일 바닥용 방음보드
KR20080001971U (ko) * 2006-12-15 2008-06-19 안병권 바닥타일 작업예정인 바닥의 평평도 자동측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1971U (ko) * 2006-12-15 2008-06-19 안병권 바닥타일 작업예정인 바닥의 평평도 자동측정장치
KR20070000469U (ko) * 2007-04-02 2007-04-20 김동일 바닥용 방음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3692B1 (ko) * 2022-02-22 2022-10-11 김태원 온열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758U (ko) 2010-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71359B (zh) 用于固定刚性板件的成型件
AU752906B2 (en) Solar cell module, enclosure with solar cells, enclosure installation method, and solar cell system
KR101498268B1 (ko) 친환경 합성목재를 이용한 조립식 울타리 및 이를 이용한 데크로드 시스템
KR100804677B1 (ko)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옥상 방수층 및 방수방법
US20060266406A1 (en) Devulcanized photovoltaic roofing tiles
KR100796019B1 (ko) 자착식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지하 외벽의 방수방법
US8458967B2 (en) Roofing and siding products having receptor zones and photovoltaic roofing and siding elements and systems using them
KR100971254B1 (ko) 자착식 단열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법
CN104145421B (zh) 用于光伏覆层与标准覆层的交接系统和方法
JP6572228B2 (ja) モジュール型屋根葺基本構造体、モジュール型屋根葺及び屋根
US10138631B2 (en) Roofing systems and methods
WO2012148292A2 (en) An improved roof tile
KR100975534B1 (ko) 멀티방수시트와 이를 이용한 우레탄 방수시공방법
KR200458971Y1 (ko) 방수성을 갖는 전기발열매트
CA2764511A1 (en) Pan tile/roofing tile/facade element with integrated solar module
US20190085564A1 (en) Shingle clip system and method
JP2004353194A (ja) 太陽電池パネル及び外断熱構造
US20140000676A1 (en) Photovoltaic building sheathing element with anti-slide features
CN204506022U (zh) 一种屋面防水卷材
AU2017345370B2 (en) A roofing, cladding or siding module or apparatus
JP3718067B2 (ja) 太陽電池一体型屋根材
CN213418248U (zh) 一种屋面防水构造
JP3729152B2 (ja) 防水工法、防水シート
CN204781373U (zh) 一种室内用多层复合式防水卷材
JP2004052432A (ja) 瓦状太陽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