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886Y1 - 오버랩 키패드 - Google Patents

오버랩 키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886Y1
KR200458886Y1 KR2020100004653U KR20100004653U KR200458886Y1 KR 200458886 Y1 KR200458886 Y1 KR 200458886Y1 KR 2020100004653 U KR2020100004653 U KR 2020100004653U KR 20100004653 U KR20100004653 U KR 20100004653U KR 200458886 Y1 KR200458886 Y1 KR 2004588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light source
waveguide sheet
waveguide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46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0511U (ko
Inventor
이현진
Original Assignee
이현진
(주)유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진, (주)유스테크 filed Critical 이현진
Priority to KR20201000046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886Y1/ko
Priority to PCT/KR2010/004165 priority patent/WO2011122735A1/ko
Publication of KR201100105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5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8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8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layers, e.g. by their material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3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legends, e.g. Braille, liquid crystal displays, light emitting or optica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2Light condu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4Optical isolation of switch si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2Telephone hands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오버랩 키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나의 키패드가 이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문자 및 숫자 등을 표현할 수 있도록 변환될 수 있는 오버랩 키패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오버랩 키패드는, 하면에 제1패턴이 인쇄된 제1도파로시트와; 상기 제1도파로시트의 측면에 빛을 조사하는 제1광원과; 상기 제1도파로시트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투과시트와; 상기 제1투과시트의 상부에 배치되고, 하면에 제2패턴이 인쇄된 제2도파로시트와; 상기 제2도파로시트의 측면에 빛을 조사하는 제2광원과; 상기 제2도파로시트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투과시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투과시트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상기 제1도파로시트에 형성된 제1패턴에 대응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덮는 마스킹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버랩 키패드 { OVERLAP KEYPAD }
본 고안은 오버랩 키패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나의 키패드가 이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문자 및 숫자 등을 표현할 수 있도록 변환될 수 있는 오버랩 키패드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단말기의 기능이 화상 통화 기능, 인터넷 접속 기능, TV 수신 기능, MP3 플레이어 기능, 카메라 기능, 네비게이션 기능, 휴대형 메모리 기능, 적외선 통신 기능 등으로 다양해졌다.
이와 같이, 여러 기능들이 이동통신단말기에 의해 구현될 수 있게 됨에 따라, 소비자들의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의존도 또는 선호도는 더욱 커졌고, 더욱 많은 기능을 이동통신단말기에 포함시키고자 하는 것이 관련 업계의 주요 기술 경향이 되었다.
이와 같은 경향에 따라, 대표적 이동통신단말기인 스마트 폰의 경우, 휴대폰 고유의 특성, 외형 및 크기를 강조하면서도 개인용 컴퓨터의 기능을 추가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많은 양의 키패드 문자 또는 숫자들이 표시되어야 할 필요가 생겼다.
그러나,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볼 수 있는 키패드는 한정된 크기의 공간에 다수의 문자 및 숫자를 동시에 표시하여야 하므로, 해당 문자 및 숫자의 크기가 작아지고, 키패드 입력상의 혼란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이동통신단말기 키패드 상의 버튼 조작에 있어서 상당한 주의가 필요하게 되었고, 이동통신단말기의 이용자의 눈에 쉽게 피로감이 느껴지도록 하는 단점이 발생했다.
그러한 단점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소형화 경향 때문에 더 심화 되어가고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에 표시되는 문자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시켜, 키패드 입력상의 혼란을 방지하고, 문자가 커지게 되어 이용자의 눈의 피로감을 덜어줄 수 있는 오버랩 키패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오버랩 키패드는, 하면에 제1패턴이 인쇄된 제1도파로시트와; 상기 제1도파로시트의 측면에 빛을 조사하는 제1광원과; 상기 제1도파로시트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투과시트와; 상기 제1투과시트의 상부에 배치되고, 하면에 제2패턴이 인쇄된 제2도파로시트와; 상기 제2도파로시트의 측면에 빛을 조사하는 제2광원과; 상기 제2도파로시트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투과시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투과시트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상기 제1도파로시트에 형성된 제1패턴에 대응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덮는 마스킹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스킹층은 빛이 투과되지 않는 불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도파로시트, 제1투과시트, 제2도파로시트 및 제2투과시트 사이사이에는 각각 투과성이 있는 중간시트가 배치되되, 상기 중간시트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요철(凹凸)이 형성된다.
상기 제2광원은 상기 제1광원과 서로 다른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제1광원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1투과시트의 일측면, 제2도파로시트의 일측면 및 제2투과시트의 일측면을 덮어 상기 제1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유입을 차단하는 제1차광부재와; 상기 제2광원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1도파로시트의 타측면 및 제1투과시트의 타측면을 덮어 상기 제2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유입을 차단하는 제2차광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도파로시트에 형성된 제2패턴의 명도(明度)는 상기 제1도파로시트에 형성된 제1패턴의 명도(明度)보다 높고, 상기 제2패턴은 제1패턴보다 투명성이 높으며, 상기 제1광원과 제2광원은 상호 독립적으로 빛을 조사하여, 상기 제1광원에 의해 상기 제1패턴이 상기 제2투과시트의 외부로 표시되고, 상기 제2광원에 의해 상기 제2패턴이 상기 제2투과시트의 외부로 표시된다.
상기 제1투과시트는, 상기 제1도파로시트에서 제2도파로시트 방향으로 발산되는 빛을 투과시키기 위한 투과성과, 상기 제2도파로시트에서 제1도파로시트 방향으로 발산되는 빛을 제2투과시트 방향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성을 가지고 있되, 상기 제1도파로시트에서 상기 제2도파로시트방향으로는 투과율이 반사율보다 높고, 상기 제2도파로시트에서 상기 제1도파로시트방향으로는 반사율이 투과율보다 높다.
상기 제1도파로시트의 두께는 상기 제2도파로시트의 두께보다 두껍다.
상기 제1광원의 빛의 세기는 상기 제2광원의 빛의 세기보다 크다.
상기 제2패턴은 무채색으로 구현되고, 상기 제1패턴은 유채색으로 구현된다.
상기 제2투과시트는 상기 제1투과시트보다 투과율이 낮다.
상기 제1도파로시트는 상기 제1투과시트, 제2투과시트 및 제2도파로시트보다 상기 제1광원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도파로시트는 상기 제1투과시트, 제2투과시트 및 제1도파로시트보다 상기 제2광원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광원과 제2광원은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도파로시트는 상기 제2광원이 위치한 아랫방향으로 휘어지게 배치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오버랩 키패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이동통신단말기의 키패드에 표시되는 문자 등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시켜, 키패드 입력상의 혼란을 방지하고, 문자가 커지게 되어 이용자의 눈의 피로감을 덜어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도파로시트에 형성된 제1패턴과 상기 제2도파로시트에 형성된 제2패턴이 거의 동일한 밝기를 가지면서 외부로 표시되고, 상호 중첩됨이 없이 선명하게 표현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오버랩 키패드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오버랩 키패드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간시트의 형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버랩 키패드의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오버랩 키패드에 정전용량센서가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오버랩 키패드에 메탈돔이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오버랩 키패드에 저항막 패널을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오버랩 키패드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오버랩 키패드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간시트의 형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버랩 키패드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오버랩 키패드는, 제1도파로시트(11)와, 제1광원(13)과, 제1투과시트(14)와, 제2도파로시트(21)와, 제2광원(23)과, 제2투과시트(24)와, 제1차광부재(31)와, 제2차광부재(3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도파로시트(11)는 투과성이 우수한 PC, PU, PET 등의 투명사출판으로 이루어지고, 하면에는 확산형 반사 특정을 갖는 소재로 숫자, 문자 등의 제1패턴(12)이 인쇄되어 있다.
본 실시예서 상기 제1패턴(12)은 숫자로 표시하였고, 이러한 상기 제1패턴(12)은 스크린인쇄, 스크래치, 2차성형(UV,실리콘) 등이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도파로시트(11)의 하부는 위에서 빛이 조사될 때 상기 제2투과시트(24) 방향 즉 상방향으로 반사율이 높도록 후가공 처리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광원(13)은 상기 제1도파로시트(11)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1도파로시트(11)의 측면에 빛을 조사하여 상기 제1패턴(12)이 외부로 표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제1광원(13)은 LED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투과시트(14)는 상기 제1도파로시트(11)의 상부에 배치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광원(13)에 의해 상기 제1패턴(12)이 상방향으로 표시될 수 있을 정도의 투과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제1투과시트(14)의 상면 및/또는 하면에는 상기 제1도파로시트(11)에 형성된 제1패턴(12)에 대응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덮는 마스킹층(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마스킹층(15)은 상기 제1투과시트(14)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한쪽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와 같이 양쪽 모두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투과시트(14)에는 상기 마스킹층(15)에 의해 덮혀 지지 않은 영역이, 상기 제1패턴(12)의 형상과 동일하거나 약간 큰 크기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마스킹층(15)은 빛이 투과되지 않는 불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마스킹층(15)은 상기 제1투과시트(14)에 인쇄, 스프레이, 테이프 등을 통해 형성된다.
위와 같이 상기 제1투과시트(14)의 상면 및/또는 하면에 상기 마스킹층(15)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1광원(13)의 점등시 상기 제1도파로시트(11)에 형성된 상기 제1패턴(12)이 상부에서 명확하게 관찰되도록 할 수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패턴(12)과 상기 제2도파로시트(21)에 형성된 제2패턴(22)의 겹치는 부분의 히든효과 및 각 패턴(12,22)의 선명도를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제2도파로시트(21)는 상기 제1투과시트(14)의 상부에 배치되고, 하면에는 제2패턴(22)이 인쇄되어 있다.
상기 제2도파로시트(21)는 투과성이 우수한 PC, PU, PET 등의 투명사출판으로 이루어지고, 하면에는 확산형 반사 특정을 갖는 소재로 숫자, 문자 등의 상기 제2패턴(22)이 인쇄되어 있다.
본 실시예서 상기 제2패턴(22)은 문자로 표시하였고, 이러한 상기 제2패턴(22)은 스크린인쇄, 스크래치, 2차성형(UV,실리콘) 등이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도파로시트(21)의 하부는 위에서 빛이 조사될 때 상기 제2투과시트(24) 방향 즉 상방향으로 반사율이 높고, 아래에서 빛이 조사될 때에는 투과율이 높도록 후가공 처리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광원(23)은 상기 제2도파로시트(21)의 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2도파로시트(21)의 측면에 빛을 조사하여 상기 제2패턴(22)이 외부로 표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투과시트(24)는 상기 제2도파로시트(21)의 상부에 배치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광원(13)에 의한 상기 제1패턴(12) 및 상기 제2광원(23)에 의한 상기 제2패턴(22)이 상방향으로 표시될 수 있을 정도의 투과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도파로시트(21)에 형성된 상기 제2패턴(22)의 색깔의 명도(明度)는 상기 제1도파로시트(11)에 형성된 제1패턴(12)의 색깔의 명도(明度)보다 높고, 상기 제2패턴(22)은 제1패턴(12)보다 투명성이 높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패턴(12)이 색깔이 진한 빨간색인 경우, 상기 제2패턴(22)은 상기 제1패턴(12)보다 명도가 높으면서 투명성이 높은 연한 빨간색으로 구현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패턴(22)은 명도가 높으며 투명성이 있는 무채색으로 구현되고, 상기 제1패턴(12)은 명도가 낮은 유채색으로 구현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도파로시트(11)의 두께는 상기 제2도파로시트(21)의 두께보다 두껍고, 상기 제1광원(13)의 빛의 세기는 상기 제2광원(23)의 빛의 세기보다 크도록 한다.
이는, 상기 제1도파로시트(11)가 상기 제2도파로시트(21)보다 아래에 위치하고 있어서, 상기 제1패턴(12)에 반사된 빛이 상기 제2투과시트(24)의 외부로 표시되기 위해서는 상기 제2패턴(22)에 반사된 빛보다 더 많은 물체를 투과하여야 하는바, 상기 제2투과시트(24)를 통과할 때의 상기 제1패턴(12)과 제2패턴(22)의 밝기를 동일하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패턴(12)에 조사되는 빛을 상기 제2패턴(22)에 조사되는 빛보다 더 세게 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 제1도파로시트(11)의 두께를 상기 제2도파로시트(21)보다 두껍게 하거나 또는 상기 제1광원(13)의 빛의 세기를 상기 제2광원(23)의 빛의 세기보다 크게 하면, 상기 제1도파로시트(11)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제1패턴(12)에 반사되는 빛이 상기 제2도파로시트(21)의 하부에 형성된 제2패턴(22)에 반사되는 빛보다 세게 되어, 가장 상부에 있는 상기 제2투과시트(24)를 통과할 때에 상기 제1패턴(12)과 제2패턴(22)의 밝기가 거의 동일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1광원(13)과 제2광원(23)은 상호 독립적으로 빛을 조사하여, 상기 제1광원(13)에 의해 상기 제1패턴(12)이 상기 제2투과시트(24)의 외부로 표시되고, 상기 제2광원(23)에 의해 상기 제2패턴(22)이 상기 제2투과시트(24)의 외부로 표시된다.
이러한 상기 제1광원(13)과 제2광원(23)은 서로 다른 방향에 배치되며, 상호 동일한 높이에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광원(13)과 제2광원(23)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배치하였으나, 90도로 배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도파로시트(11)는 상기 제1투과시트(14), 제2투과시트(24) 및 제2도파로시트(21)보다 상기 제1광원(13)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도파로시트(21)는 상기 제1투과시트(14), 제2투과시트(24) 및 제1도파로시트(11)보다 상기 제2광원(23)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도파로시트(21)는 상기 제2광원(23)이 위치한 아랫방향으로 휘어지게 배치된다.
위와 같이, 상기 제1도파로시트(11)와 제2도파로시트(21)를 각각 상기 제1광원(13)과 제2광원(23) 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하여 구동하는 영역(외부에서 실제 보이는 부분)보다 크게 설계함으로써, 상기 제1광원(13)과 제2광원(23)의 점등시 비발광되어야 하는 도파로시트로 빛의 유입이 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발광되는 도파로시트에 균일한 빛의 분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제1도파로시트(11)와 제2도파로시트(21)를 상기 제1광원(13)과 제2광원(23)으로 길게 형성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제1광원(13)과 제2광원(23)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이 골고루 분포될 수 있는 거리가 그만큼 짧아져 상기 제1패턴(12) 및 제2패턴(22) 중 일부 문자 또는 숫자는 외부로 잘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빛이 유입되지 않아야 할 도파로시트의 차광도 어렵게 된다.
상기 제1투과시트(14)는, 상기 제1도파로시트(11)에서 제2도파로시트(21) 방향으로 발산되는 빛을 투과시키기 위한 투과성과, 상기 제2도파로시트(21)에서 제1도파로시트(11) 방향으로 발산되는 빛을 제2투과시트(24) 방향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상기 제1투과시트(14)는, 상기 제1도파로시트(11)에서 상기 제2도파로시트(21)방향으로는 투과율이 반사율보다 높고, 상기 제2도파로시트(21)에서 상기 제1도파로시트(11)방향으로는 반사율이 투과율보다 높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2투과시트(24)는 상기 제1투과시트(14)보다 투과율이 낮아, 상기 제1광원(13) 및 제2광원(23)에서 빛을 조사하지 않았을 때에는 상기 제1패턴(12)과 제2패턴(22)이 외부로 표시되지 않도록 한다.
위와 같은 상기 제1도파로시트(11), 제1투과시트(14), 제2도파로시트(21), 제2투과시트(24)는 단순히 적층하여 외부에서 이를 결합시키도록 할 수도 있고, 각각의 사이에 양면테이프 등을 삽입 배치하여 상호 결합시킬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조립의 편의성 등을 위해 특정케이스에 상기 제1도파로시트(11), 제1투과시트(14), 제2도파로시트(21), 제2투과시트(24)는 단순히 적층하여 결합시키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도파로시트(11), 제1투과시트(14), 제2도파로시트(21) 및 제2투과시트(24) 사이사이에는 각각 투과성이 있는 중간시트(40)가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중간시트(40)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상의 요철(凹凸)이 형성되어 있도록 한다.
이러한 요철은 프레스, 스크래치, 인쇄, 열경화, 조사 등의 방식으로 상기 중간시트의 표면을 처리하여 도 4(a)와 같이 양각 또는 도 4(b)와 같이 음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제1도파로시트(11), 제1투과시트(14), 제2도파로시트(21), 제2투과시트(24)는 단순히 적층하여 제품을 구현할 경우, 시트간(11,14,21,24)의 접착 모아레 및 정전기가 발생하여 제품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이 각각의 시트(11,14,21,24) 사이사이에 표면에 요철이 형성된 상기 중간시트(40)를 배치함으로써, 서로 다른 시트(11,14,21,24)간의 접착면적을 최소화시켜 모아레 및 정전기 등을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차광부재(31)는 상기 제1광원(13)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1투과시트(14)의 일측면, 제2도파로시트(21)의 일측면 및 제2투과시트(24)의 일측면을 덮어 상기 제1광원(13)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유입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차광부재(32)는 상기 제2광원(23)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1도파로시트(11)의 타측면 및 제1투과시트(14)의 타측면은 제2차광부재(32)에 의해 덮어 상기 제2광원(23)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유입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만일, 상기 제1차광부재(31)와 제2차광부재(32)가 없다면, 상기 제1광원(13)이 상기 제1도파로시트(11)에 빛을 조사하고 상기 제2광원(23)이 상기 제2도파로시트(21)에 빛을 조사할 때, 상기 제1광원(13)의 빛이 상기 제2도파로시트(21)에 유입되거나 상기 제2광원(23)의 빛이 상기 제1도파로시트(11)에 유입되어 상기 제1패턴(12) 및 제2패턴(22)이 선명하게 보이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차광부재(31) 및 제2차광부재(32)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제1광원(13) 또는 제2광원(23)에 의해 빛이 조사될 때, 비점등 도파로시트에 빛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제1패턴(12) 또는 제2패턴(22) 중 어느 하나만 선명하게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1차광부재(31) 및 제2차광부재(3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도파로시트(11), 제1투과시트(14), 제2도파로시트(21) 및 제2투과시트(24)를 조립한 후 측면에 결합할 수도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전 제1도파로시트(11) 및 제2도파로시트(12)의 측면에 개개의 제1차광부재(31) 및 제2차광부재(32)를 결합한 후 적층하여 조립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차광부재(31) 및 제2차광부재(32)는 테이프, 스프레이, 잉크 등 차광을 할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차광부재(31)와 제2차광부재(32)가 차광테이프 이루어진 것을 도시하였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차광부재(31)는 상기 제1투과시트(14), 제2도파로시트(21) 및 제2투과시트(24)의 측면을 감싸면서, 일단이 상기 제2투과시트(24)의 상면에 부착되고 타단이 상기 제1도파로시트(11)의 돌출된 부위의 상면에 부착되었다.
그리고, 상기 제2차광부재(32)는 상기 제1도파로시트(11)와 제1투과시트(14)의 측면을 감싸면서, 일단이 상기 제1투과시트(14)의 측면에 부착되고 타단이 상기 제1도파로시트(11)의 하면에 부착되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도파로시트(11)의 측면에만 상기 제2차광부재(32)를 부착하고, 상기 제2도파로시트(21)의 측면에만 상기 제1차광부재(31)을 부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제1도파로시트(11)의 위에 상기 중간시트(40)와 제1투과시트(14)를 올리고, 상기 제1투과시트(14)의 위에 새로운 중간시트(40)와 상기 제2도파로시트(21)를 올리며, 그 위에 다시 새로운 중간시트(40)와 상기 제2투과시트(24)를 적층시킨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오버랩 키패드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구성과 결합되어 작동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오버랩 키패드에 정전용량센서(45)가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의 오버랩 키패드에 메탈돔(47)이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의 오버랩 키패드에 저항막 패널(60)을 결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오버랩 키패드가 정전용량센서(45)를 구비한 피씨비(41)에 결합된 것을 도시한 것으로써, 오버랩 키패드의 저면에는 상기 피씨비(41)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피씨비(41)에는 상기 제1광원(13) 및 제2광원(13)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상기 피씨비(41)에는 상기 제1패턴(12) 및 제2패턴(22)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개의 정전용량센서(45)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정전용량센서(45)는 사용자의 손가락에서 발생되는 정전기를 감지하여 동작하는 센서이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사용자가 본 발명의 오버랩 키패드에 형성된 제1패턴(12) 또는 제2패턴(22)을 누르면, 사용자의 손가락에서 발생되는 정전기를 상기 제1패턴(12) 및 제2패턴(22)이 위치하고 있는 곳에 위치한 상기 정전용량센서(45)가 감지하여, 이를 다른 구성에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오버랩 키패드가 메탈돔(47)이 구비된 피씨비(41)에 결합된 것을 도시한 것으로써, 오버랩 키패드의 저면에는 피씨비(41)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피씨비(41)에는 상기 제1광원(13) 및 제2광원(13)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상기 피씨비(41)에는 상기 제1패턴(12) 및 제2패턴(22)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오버랩 키패드 방향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메탈돔(47)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메탈돔(47)의 상부에는 부드러운 재질의 수지로 된 보호시트(50)가 덮어져 있다.
이러한 상기 메탈돔(47)은 사용자가 상기 오버랩 키패드를 누를 때 클릭감을 준다.
또한, 상기 메탈돔(47)의 안쪽 하부에는 상기 피씨비(41)에 장착되는 센서(4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메탈돔(47)의 상부에는 상기 누름돌기(5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사용자가 본 발명의 오버랩 키패드에 형성된 제1패턴(12) 또는 제2패턴(22)을 누르면, 상기 제1패턴(12) 및 제2패턴(22)이 위치하고 있는 곳에 위치한 상기 메탈돔(47)이 상기 누름돌기(52)에 의해 눌리면서 상기 센서(42)와 접촉하고, 상기 센서(42)에서 발생된 신호는 다른 구성에 전송되게 된다.
도 8은 오버랩 키패드의 상부에 저항막 패널(60)이 결합된 것을 도시한 것으로써, 상기 저항막 패널(60)은 사용자의 누름을 감지한다.
이러한 상기 저항막 패널(60)은 두장의 시트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누를 때 서로 밀착되어 동작하는 센서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제1패턴(12) 또는 제2패턴(22)을 누르면, 그 전에 상기 저항막 패널(60)이 먼저 눌리면서 상기 제1패턴(12) 및 제2패턴(22)이 위치한 곳의 신호를 다른 구성에 전송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상기 제1패턴(12)을 외부로 표시하고자 할 때에는 이용자가 상기 제1광원(13)을 통해 상기 제1도파로시트(11)의 측면에 빛을 조사한다.
상기 제1도파로시트(11)의 측면에 조사된 빛은 상기 제1도파로시트(11)의 내부를 통해 이동하다가 하부에 인쇄된 상기 제1패턴(12)에 반사되어 상기 제1투과시트(14), 제2도파로시트(21) 및 제2투과시트(24)를 투과하여 외부로 발산됨으로써 상기 제1패턴(12)을 상기 제2투과시트(24)의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1투과시트(11)에는 상기 제1패턴(12)에 대응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빛이 투과되지 않는 불투과성 재질로 덮는 상기 마스킹층(15)이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제1패턴(12)에 반사된 빛은 상기 마스킹층(15)에 의해 상기 제1패턴(12) 형상에 대응되는 영역의 빛만 상기 제1투과시트(14)를 투과하고 나머지 영역의 빛은 상기 제1투과시트(14)를 투과하지 못한다.
이로 인해, 상기 제1패턴(12)에 반사된 빛의 산발적인 확산 등을 막게 되어, 외부에서는 상기 제1패턴(12)의 형상이 더욱 명확하고 선명하게 관찰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투과시트(14)는 상기 제1도파로시트(11)에서 상기 제2도파로시트(21) 방향으로 투과율이 반사율보다 높기 때문에, 상기 제1패턴(12)에 반사된 빛은 제1투과시트(14)를 잘 투과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2도파로시트(21)에 형성된 제2패턴(22)은 상기 제1패턴(12)보다 명도가 높고 투명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명도가 낮은 상기 제2패턴(22)은 상기 제2패턴(22)을 투과하여 상기 제2투과시트(24)의 외부로 잘 표현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광원(13)에서 발생된 빛은 상기 제1차광부재(31)에 의해 상기 제2도파로시트(21)의 측면으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어, 상기 제2도파로시트(21)가 발광되어 상기 제2패턴(22)이 외부로 표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패턴(22)을 외부로 표시하고자 할 때에는, 이용자가 상기 제2광원(23)을 통해 상기 제2도파로시트(21)의 측면에 빛을 조사한다.
상기 제2도파로시트(21)의 측면에 조사된 빛은 상기 제2도파로시트(21)의 내부를 통해 이동하다가 하부에 인쇄된 상기 제2패턴(22)에 반사되어 상기 제2투과시트(24)를 투과하여 외부로 발산됨으로써 상기 제2패턴(22)을 상기 제2투과시트(24)의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2도파로시트(21)의 내부를 이동하는 빛은 하부에 배치된 상기 제1투과시트(14) 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는데, 상기 제1투과시트(14)는 상기 제2도파로시트(21)에서 상기 제1도파로시트(11) 방향으로 반사율이 투과율보다 높기 때문에, 상기 제2도파로시트(21)의 하부로 이동한 빛은 상기 제1투과시트(14)에 반사되어 상기 제2투과시트(24)의 외부로 발산된다.
또한, 상기 제1투과시트(14)에는 불투과성 재질의 마스킹층(15)이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제1투과시트(14) 방향으로 이동한 빛은 상기 제1투과시트(14)를 거의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광원(23)에서 발생된 빛은 상기 제2차광부재(32)에 의해 상기 제1도파로시트(11)의 측면으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어, 상기 제1도파로시트(11)가 발광되어 상기 제1패턴(12)이 외부로 표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제1도파로시트(11)에 형성된 제1패턴(12)과 상기 제2도파로시트(21)에 형성된 제2패턴(22)이 거의 동일한 밝기를 가지면서 외부로 표시되고, 상호 중첩됨이 없이 선명하게 표현될 수 있다.
본 고안인 오버랩 키패드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1 : 제1도파로시트, 12 : 제1패턴, 13 : 제1광원, 14 : 제1투과시트, 15 : 마스킹층,
21: 제2도파로시트, 22 : 제2패턴, 23 : 제2광원, 24 : 제2투과시트,
31 : 제1차광부재, 32 : 제2차광부재,
40 : 중간시트,
41 : 피씨비, 42 : 센서, 45 : 정전용량센서, 47 : 메탈돔,
50 : 보호시트, 52 : 누름돌기,
60 : 저항막 패널

Claims (11)

  1. 하면에 제1패턴이 인쇄된 제1도파로시트와;
    상기 제1도파로시트의 측면에 빛을 조사하는 제1광원과;
    상기 제1도파로시트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투과시트와;
    상기 제1투과시트의 상부에 배치되고, 하면에 제2패턴이 인쇄된 제2도파로시트와;
    상기 제2도파로시트의 측면에 빛을 조사하는 제2광원과;
    상기 제2도파로시트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투과시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투과시트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상기 제1도파로시트에 형성된 제1패턴에 대응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덮는 마스킹층이 형성되고,
    상기 마스킹층은 빛이 투과되지 않는 불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랩 키패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파로시트, 제1투과시트, 제2도파로시트 및 제2투과시트 사이사이에는 각각 투과성이 있는 중간시트가 배치되되,
    상기 중간시트의 상면 또는 하면에는 요철(凹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랩 키패드.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광원은 상기 제1광원과 서로 다른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제1광원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1투과시트의 일측면, 제2도파로시트의 일측면 및 제2투과시트의 일측면을 덮어 상기 제1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유입을 차단하는 제1차광부재와;
    상기 제2광원 방향으로 배치되는 상기 제1도파로시트의 타측면 및 제1투과시트의 타측면을 덮어 상기 제2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유입을 차단하는 제2차광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랩 키패드.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파로시트에 형성된 제2패턴의 명도(明度)는 상기 제1도파로시트에 형성된 제1패턴의 명도(明度)보다 높고, 상기 제2패턴은 제1패턴보다 투명성이 높으며,
    상기 제1광원과 제2광원은 상호 독립적으로 빛을 조사하여, 상기 제1광원에 의해 상기 제1패턴이 상기 제2투과시트의 외부로 표시되고, 상기 제2광원에 의해 상기 제2패턴이 상기 제2투과시트의 외부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랩 키패드.
  6.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투과시트는, 상기 제1도파로시트에서 제2도파로시트 방향으로 발산되는 빛을 투과시키기 위한 투과성과, 상기 제2도파로시트에서 제1도파로시트 방향으로 발산되는 빛을 제2투과시트 방향으로 반사시키기 위한 반사성을 가지고 있되,
    상기 제1도파로시트에서 상기 제2도파로시트방향으로는 투과율이 반사율보다 높고, 상기 제2도파로시트에서 상기 제1도파로시트방향으로는 반사율이 투과율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랩 키패드.
  7.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파로시트의 두께는 상기 제2도파로시트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랩 키패드.
  8.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원의 빛의 세기는 상기 제2광원의 빛의 세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랩 키패드.
  9.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패턴은 무채색으로 구현되고, 상기 제1패턴은 유채색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랩 키패드.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투과시트는 상기 제1투과시트보다 투과율이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랩 키패드.
  11.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파로시트는 상기 제1투과시트, 제2투과시트 및 제2도파로시트보다 상기 제1광원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2도파로시트는 상기 제1투과시트, 제2투과시트 및 제1도파로시트보다 상기 제2광원방향으로 길게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광원과 제2광원은 동일한 높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도파로시트는 상기 제2광원이 위치한 아랫방향으로 휘어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랩 키패드.
KR2020100004653U 2010-04-01 2010-05-03 오버랩 키패드 KR2004588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653U KR200458886Y1 (ko) 2010-05-03 2010-05-03 오버랩 키패드
PCT/KR2010/004165 WO2011122735A1 (ko) 2010-04-01 2010-06-25 오버랩 키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653U KR200458886Y1 (ko) 2010-05-03 2010-05-03 오버랩 키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511U KR20110010511U (ko) 2011-11-09
KR200458886Y1 true KR200458886Y1 (ko) 2012-03-21

Family

ID=47625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4653U KR200458886Y1 (ko) 2010-04-01 2010-05-03 오버랩 키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886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178B1 (ko) * 2007-05-10 2009-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키패드 어셈블리
KR20090102202A (ko) * 2008-03-25 2009-09-30 (주) 디지로그 디스플레이 키패드 패키지 제조방법,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키패드 패키지 및 그 키패드 패키지를 이용한 휴대폰용키패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5178B1 (ko) * 2007-05-10 2009-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키패드 어셈블리
KR20090102202A (ko) * 2008-03-25 2009-09-30 (주) 디지로그 디스플레이 키패드 패키지 제조방법,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키패드 패키지 및 그 키패드 패키지를 이용한 휴대폰용키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511U (ko) 201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73039B1 (en) Sensor assembly and terminal
US9203942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9239591B2 (en) Case for a hand held device
JP7054808B2 (ja) 突板を用いた表示装置
TWI466542B (zh) 顯示裝置
JP6002932B2 (ja) タッチスライダーユニット、及びタッチスライダーユニット付き電子レンジ
KR101600803B1 (ko) 터치형 키입력바
KR100976975B1 (ko) 오버랩 키패드
KR101330937B1 (ko) 이동단말기의 백라이팅 구조물 제조방법, 이동단말기의백라이팅 구조물 및 백라이팅 구조물 구비 이동단말기
KR200458886Y1 (ko) 오버랩 키패드
US20190130153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JPWO2008072666A1 (ja) 照光式入力装置
KR101345664B1 (ko) 휴대 단말기
KR100995923B1 (ko) 오버랩 키패드
KR200460797Y1 (ko) 중첩된 자판을 가지는 키패드 장치
KR101267166B1 (ko) 도광 시트, 접점 스프링 부착 시트 및 스위치 장치
KR101231375B1 (ko) 도광 시트, 접점 스프링 부착 시트 및 스위치 장치
KR200451672Y1 (ko) 측면에 발광 패널을 가지는 휴대용 전자기기
KR101931942B1 (ko) 이동 단말기
KR100990972B1 (ko) 변환형 키패드 패키지
CN101267620B (zh) 移动通信设备
KR20160010726A (ko) 모바일 기기의 터치키 어셈블리
TWM569489U (zh) 發光鍵帽結構
KR101042920B1 (ko) 휴대폰용 키패드 조립체 및 그 제작방법
KR20120117035A (ko) 인풋-아웃풋 디바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