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5178B1 - 키패드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키패드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5178B1
KR100895178B1 KR1020070045467A KR20070045467A KR100895178B1 KR 100895178 B1 KR100895178 B1 KR 100895178B1 KR 1020070045467 A KR1020070045467 A KR 1020070045467A KR 20070045467 A KR20070045467 A KR 20070045467A KR 100895178 B1 KR100895178 B1 KR 100895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uide plate
light emitting
light guide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5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9651A (ko
Inventor
공병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45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5178B1/ko
Publication of KR20080099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9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5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5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패드 어셈블리에 있어서, 일면에 발광 소자가 돌출된 상태로 장착된 회로 기판; 및 일면이 상기 회로 기판에 부착되고 타면에는 키들이 부착된 도광판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도광판 패드의 일면에는 상기 발광 소자를 수용하는 홈(recess)이 형성되는 키패드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아울러, 발광 소자로부터 발생된 빛의 불필요한 유출을 방지하고, 키들을 조명하는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키패드 어셈블리는 차광 코팅층을 형성하거나, 차광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키패드 어셈블리는 발광 소자로부터 발생된 빛을 효과적으로 도광판 패드로 입사시키고, 도광판 패드 내에서 도파, 확산되도록 유도함으로써, 키패드 어셈블리 전반에 균일하고 효율적인 조명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키패드, 도광판, 발광 소자, 차광

Description

키패드 어셈블리{KEY PAD ASSEMBLY}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키패드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에 대한 설명>
101 : 도광판 패드 111: 차광 코팅층
119 : 홈(recess) 102 : 회로 기판
121 : 돔 스위치 123 : 발광 소자
131 : 홀(hole)
본 발명의 가정용 전자 기기의 원격 조정기, 휴대용 단말기, 유선 전화기, 가전제품/승용차 등의 컨트롤 패널 등에 장착되는 키패드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키패드 어셈블리의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키패드라 함은 각종 전자 제품의 조작이나, 정보 통신 기기에 데 이터를 입력하기 위해 이용되는 입력 장치로서, 다수의 키들로 구성되고 각각의 키에는 서로 다른 신호 값이 할당되어 있다. 사용자는 키패드에 설치된 키들을 조작함으로써, 해당 전자 제품을 작동시키거나, 원하는 정보를 정보 통신 기기에 입력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키패드는 텔레비젼, 에어컨 등 가전 제품의 원격 조정기나, 유선 전화기, 휴대용 단말기, 전자 수첩 등 정보 통신 기기의 입력 장치와 같이 일상 생활에 이용되는 일반적인 전자 제품뿐만 아니라, 각종 운송 장비나 생산 설비에도 설치되어 해당 장비 및 설비의 설정, 조작에 이용되고 있다.
한편, 이동통신 서비스가 보편화되면서, 휴대용 단말기는 남녀노소를 구분하지 않고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된 키패드는 어두운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키패드와 디스플레이 장치에 조명 장치가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되는 키패드 어셈블리의 구조가 국내 공개특허 제2002-88180호(2002. 11. 27.) 등을 통해 다양하게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공개특허에 개시되는 키패드 어셈블리는 다수의 키들을 조명하기 위해 각각의 키들 사이에 발광 소자들을 설치하거나, 각각의 키들을 전부 조명할 수 있도록 몇 개의 발광 소자들을 설치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에 제공된 키패드 조명 장치는 각 키버튼들의 수에 따라 그에 상당하는 수의 발광 소자를 설치하여 키패드 전반에 충분한 조명을 확보하게 되는데, 이는 발광 소자 조립의 번거로움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 다. 예를 들어, 일반적인 3×4 배열의 숫자 키를 조명하기 위해 설치되는 발광 소자의 수는 16개에 이르고 있다. 이와 같이 다수의 발광 소자를 인쇄회로기판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인쇄회로 패턴이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발광 소자 설치를 위한 공정이 추가로 요구되어 제작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키패드 전반에 균일한 조명이 어렵기 때문에 다수의 발광 소자가 요구되며, 다수의 발광 소자를 설치하더라도 발생된 빛이 불필요하게 유출되어 키패드를 효율적으로 조명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광 소자의 수를 줄이더라도 키패드 전반에 균일한 조명을 확보할 수 있는 키패드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광 소자로부터 발생된 빛의 유출을 방지함으로써 적은 수의 발광 소자를 사용하더라도 충분한 조명을 확보할 수 있는 키패드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발명은 키패드 어셈블리에 있어서,
일면에 발광 소자가 돌출된 상태로 장착된 회로 기판; 및
일면이 상기 회로 기판에 부착되고 타면에는 키들이 부착된 도광판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도광판 패드의 일면에는 상기 발광 소자를 수용하는 홈(recess)이 형성 되는 키패드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아울러, 발광 소자로부터 발생된 빛의 불필요한 유출을 방지하고, 키들을 조명하는 방향으로 유도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은 키패드 어셈블리는 차광 코팅층을 형성하거나, 차광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 어셈블리(100)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키패드 어셈블리(100)를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키패드 어셈블리(100)는 회로 기판(102)에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123),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발광 소자(123)들을 설치하고, 키들(113)이 부착된 도광판 패드(101)에 홈(recess)(119)을 형성하여, 상기 발광 소자(123)들의 일부분이 상기 도광판 패드(101)의 홈(119)에 수용되는 구성이다. 상기 발광 소자(123)에서 발생된 빛은 상기 도광판 패드(101)를 통해 확산되어 상기 키들(113)을 조명하게 되며, 확산되는 빛이 불필요하게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키패드 어셈블리(100)는 반 사 필름(103), 차광 코팅층(111), 차광 부재(139)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회로 기판(102)은 그 일면에 다수의 돔 스위치(121)들, 바람직하게는 상기 키들(113)의 수에 상응하는 수의 돔 스위치(121)들이 배열되어 있으며, 한 쌍의 상기 발광 소자(123)들이 상기 회로 기판(102)의 일면에 돌출된 상태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발광 소자(123)들은 상기 회로 기판(102)의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102)은 일반적인 강성회로 기판을 사용할 수 있으나, 휴대용 단말기와 같이 소형화된 기기에 적용되는 경우, 메인 보드를 강성회로 기판으로 제작하고, 상기 키패드 어셈블리(100)에는 가요성 인쇄회로 기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키패드 어셈블리(100)가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된다면, 상기 회로 기판(102)의 일측에는 마이크 장치(12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102)의 일면에는 반사 필름(103)이 부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첨부된 도면에는 상기 반사 필름(103)의 두께가 표현되어 있으나, 실제 제품에 적용함에 있어서는 육안으로 그 두께를 측정할 수 없을 정도로 얇게 제작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반사 필름(103)을 상기 회로 기판(102)에 부착함에 있어서, 그 일단에는 한 쌍의 홀(131)들이 형성되어 상기 발광 소자(123)들을 수용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발광 소자(123)들은 상기 회로 기판(102)의 일면에 돌출된 상태이며, 상기 반사 필름(103)이 부착되더라도 상기 홀(131)들을 통해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반사 필름(103)은 상기 발광 소자(123)로부터 발생된 빛이 상기 회로 기판(102)의 타면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도광판 패드(101) 방향으로 유도하게 된다.
상기 회로 기판(102)에 상기 반사 필름(103)이 부착되면, 상기 반사 필름(103) 및 회로 기판(102)의 가장자리를 차광 부재(139)로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차광 부재(139)는 빛을 투과시키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사 필름(103) 및 회로 기판(102)의 가장자리에 부착되는 면에 반사 코팅을 실시하여 다시 한 번 상기 발광 소자(123)들로부터 발생된 빛을 상기 도광판 패드(101) 방향으로 유도하게 된다. 결국, 상기 차광 부재(139)는 상기 반사 필름(103) 및 회로 기판(102)의 가장자리를 감싸게 부착, 고정되어 상기 반사 필름(103)과 회로 기판(102)을 견고하게 부착시킴과 아울러, 불필요한 빛의 유출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도광판 패드(101)는 빛을 도파, 확산시킬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되는데, 이러한 재질로는 실리콘이나 우레탄 재질이 있다. 상기 회로 기판(102)과 대면하는 상기 도광판 패드(101)의 일면에는 상기 홀(131)이 형성되어 상기 발광 소자(123)들 각각의 일부분을 수용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발광 소자(123)들로부터 발생된 빛의 대부분은 상기 도광판 패드(101)로 직접 입사되며, 상기 도광판 패드(101) 전반으로 도파, 확산된다.
상기 도광판 패드(101)의 둘레와 타면에는 차광 코팅층(111)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도광판 패드(101)의 일면을 제외한 다른 표면에 모두 상기 차광 코팅층(111)이 형성된 것이다. 도 1에서, 상기 도광판 패드(101)의 타면 일부분은 함몰된 형상으로서, 이는 상기 키들(113)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함몰된 부분 또한 차광 코팅층(111)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지 만, 상기 도광판 패드(101)의 함몰된 부분에 형성된 상기 차광 코팅층(111)의 일부분의 제거되어야 함에 유의한다. 이는 상기 도광판 패드(101)를 통해 도파, 확산되는 빛의 일부를 유출시켜 상기 키들(113)을 조명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도광판 패드(101) 전반으로 도파, 확산되는 빛은 상기 도광판 패드(101)의 임의의 표면으로 유출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회로 기판(102) 방향으로 유출되는 빛은 상기 반사 필름(103)에 의해 다시 상기 도광판 패드(101)로 입사된다. 또한, 상기 도광판 패드(101)의 일면을 제외한 다른 방향으로 유출되려는 빛은 상기 차광 코팅층(111)에 의해 차단되어 다시 상기 도광판 패드(101) 내에서 도파, 확산된다. 상기 도광판 패드(101) 내에서 도파, 확산되는 빛은 결국 상기 키들(113)이 설치된 면으로 유출되며, 이는 상기 도광판 패드(101)의 함몰된 부분에서 상기 차광 코팅층(111)의 일부분을 제거함으로써 가능한 것이다.
상기 키들(113)은 각각 합성 수지 또는 금속성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도광판 패드(101)의 함몰된 부분에 부착된다. 이때, 상기 도광판 패드(101)에 부착되는 상기 키들(113)의 일면이 그 자체로서 차광층의 역할을 할 수 있다면, 상기 도광판 패드(101)의 함몰된 부분에는 상기 차광 코팅층(111)을 형성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상기 키들(113)에는 각각에 할당된 신호 값이 인쇄되어 있으며, 상기 도광판 패드(101)로부터 유출되는 빛은 상기 키들(113)에 인쇄된 문자 등을 조명하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어두운 환경에서도 각각의 키가 어떠한 입력에 이용되는지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키들(113)과 상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도광판 패드(101)의 타면에는 각각 접촉 돌기(139)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키들(113)이 조작되면, 상기 도광판 패드(101)는 탄성 변형되며, 상기 접촉 돌기(139)들이 상기 돔 스위치(121)들을 가압하여 각각에 할당된 값의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즉, 상기 키들(113) 중 하나가 조작되면, 상기 접촉 돌기(139)들 중 그에 상응하는 위치의 접촉 돌기(139)가 상기 돔 스위치(121)들 중 하나를 조작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키패드 어셈블리는 키들이 부착된 도광판 패드 홈을 형성하여 회로 기판에 돌출된 상태로 장착된 발광 소자를 수용함으로써 발광 소자로부터 발생된 빛을 효과적으로 도광판 패드로 입사시킬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회로 기판에 반사 필름을 부착함과 아울러 그 둘레에 차광 부재를 부착하고, 도광판 패드 또한 키들로 빛을 유출시키기 위한 부분을 제외한 부분에 차광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불필요한 빛의 유출을 방지하고, 도광판 패드 내에서 도파, 확산되도록 유도함으로써, 키패드 어셈블리 전반에 균일하고 효율적인 조명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9)

  1. 키패드 어셈블리에 있어서,
    일면에 발광 소자가 돌출된 상태로 장착된 회로 기판;
    일면이 상기 회로 기판에 부착되고, 타면의 일부분이 함몰된 형상을 가지는 도광판 패드;
    상기 도광판 패드의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발광 소자를 수용하는 홈(recess);
    상기 도광판 패드의 둘레와 타면에 형성되는 차광 코팅층; 및
    상기 차광 코팅층 상에 부착되는 키들을 포함하고,
    상기 도광판 패드의 함몰된 부분에 상기 키들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어셈블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의 일면에는 상기 키들의 수에 상응하는 수의 돔 스위치들이 설치되고, 상기 돔 스위치들 사이에 상기 발광 소자가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어셈블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는 적어도 한 쌍이 서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어셈블리.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 패드의 일면에 돌출된 접촉 돌기들을 더 구비 하고,
    상기 키들 중 하나가 조작되면 그에 상응하는 상기 접촉 돌기가 상기 돔 스위치들 중 하나를 가압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어셈블리.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는 적어도 한 쌍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회로 기판의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어셈블리.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기판의 일면에 부착되는 반사 필름; 및
    상기 반사 필름에 형성된 홀(hole)을 더 구비하고,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홀을 통해 돌출되어 상기 홈에 수용됨을 특징으로 하 는 키패드 어셈블리.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필름 및 회로 기판의 가장자리를 감싸게 부착되는 차광 부재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어셈블리.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 패드의 함몰된 부분에 형성된 상기 차광 코팅층의 일부분이 제거되어 빛의 일부를 유출시킴으로써, 상기 키들을 조명함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 어셈블리.
KR1020070045467A 2007-05-10 2007-05-10 키패드 어셈블리 KR100895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467A KR100895178B1 (ko) 2007-05-10 2007-05-10 키패드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5467A KR100895178B1 (ko) 2007-05-10 2007-05-10 키패드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651A KR20080099651A (ko) 2008-11-13
KR100895178B1 true KR100895178B1 (ko) 2009-05-04

Family

ID=40286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5467A KR100895178B1 (ko) 2007-05-10 2007-05-10 키패드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517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975B1 (ko) * 2010-04-01 2010-08-23 주식회사 유스테크 오버랩 키패드
KR100990972B1 (ko) * 2010-06-10 2010-11-01 주식회사 에스엘 변환형 키패드 패키지
KR100995923B1 (ko) * 2010-05-26 2010-11-25 이현진 오버랩 키패드
WO2011122735A1 (ko) * 2010-04-01 2011-10-06 (주)유스테크 오버랩 키패드
KR200458886Y1 (ko) * 2010-05-03 2012-03-21 이현진 오버랩 키패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378B1 (ko) * 2008-12-05 2012-06-26 한상준 화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9202A (ko) * 2002-08-27 2004-03-05 하철근 도광판 일체형 라이트가이드 바
KR100651417B1 (ko) * 2005-07-15 200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명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9202A (ko) * 2002-08-27 2004-03-05 하철근 도광판 일체형 라이트가이드 바
KR100651417B1 (ko) * 2005-07-15 200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명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6975B1 (ko) * 2010-04-01 2010-08-23 주식회사 유스테크 오버랩 키패드
WO2011122735A1 (ko) * 2010-04-01 2011-10-06 (주)유스테크 오버랩 키패드
KR200458886Y1 (ko) * 2010-05-03 2012-03-21 이현진 오버랩 키패드
KR100995923B1 (ko) * 2010-05-26 2010-11-25 이현진 오버랩 키패드
KR100990972B1 (ko) * 2010-06-10 2010-11-01 주식회사 에스엘 변환형 키패드 패키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9651A (ko) 2008-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141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키패드 조명 장치
EP1724800B1 (en) Key pad and keypad assembly
JP4308831B2 (ja) 導光層を有するキーパッド、キーパッドアセンブリ及び携帯端末
KR101228452B1 (ko) 키패드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EP1962314B1 (en) Light guide sheet and movable contact unit and switch using the same
US7186935B2 (en) Keypad assembly for a portable terminal
US8049728B2 (en) Touch key assembly for a mobile terminal
US7982718B2 (en) Mobile terminal with back-lighted directional keys
KR100895178B1 (ko) 키패드 어셈블리
US8142036B2 (en) Keypad device with light source and reflector
US8403508B2 (en) Keypad with a light guide pad
US8388157B2 (en) Light guide sheet and movable contact assembly including the same
US8097821B2 (en) Movable contact unit with light-guiding function and lighted panel switch using the same
KR101231042B1 (ko) 키조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0695017B1 (ko) 발광 키패드
WO2007145423A1 (en) Light emitting keypad
KR100649475B1 (ko) 발광 키패드
KR200441448Y1 (ko) 가압 돌기를 구비한 도광판 시트 및 그 도광판 시트를구비한 키패드 조립체
KR100766337B1 (ko) 발광 키패드
KR200446649Y1 (ko) 도광판 시트 및 그 도광판 시트를 구비한 키패드 조립체
KR100749118B1 (ko) 발광 키패드
CN101540793B (zh) 输入设备以及具有该输入设备的移动通信终端
KR20100040355A (ko) 키패드 어셈블리의 백라이팅 장치
KR20060035458A (ko) 백라이트 장치를 갖는 키패드
KR20070095571A (ko) 키 패드 및 그를 이용한 키 패드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