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0378B1 - 화분 - Google Patents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0378B1
KR101160378B1 KR1020080122923A KR20080122923A KR101160378B1 KR 101160378 B1 KR101160378 B1 KR 101160378B1 KR 1020080122923 A KR1020080122923 A KR 1020080122923A KR 20080122923 A KR20080122923 A KR 20080122923A KR 101160378 B1 KR101160378 B1 KR 101160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sensor
cover
zipper
oxy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2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4477A (ko
Inventor
한상준
Original Assignee
한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준 filed Critical 한상준
Priority to KR1020080122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0378B1/ko
Publication of KR20100064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4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16Control of watering
    • A01G25/167Control by humidity of the soil itself or of devices simulating soil or of the atmosphere; Soil humidity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06Labels or label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plant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 A47G7/08Covers for flower-pots, e.g. ornamental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2009/003Receptacles consisting of separable sections, e.g. for allowing easy removal of the pla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oi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분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일측 용기몸체와, 상기 일측 용기몸체의 일측에 타측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일측 용기몸체의 타측에 일측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타측 용기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일측 용기몸체와 타측 용기몸체가 분리가능하게 상호결합될 시 내부에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흙이 담겨지는 식재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식재공간에 담겨진 흙에 식재된 식물의 분갈이 작업이 용이해지도록 상기 일측 용기몸체와 타측 용기몸체의 결합상태를 해제할 시 2등분된 상태로 분리되는 용기몸체와; 상기 용기몸체의 외주연을 감싼 상태로 양측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표면에 장식부가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2등분 상태로 분리되는 용기몸체로 인해 상기 용기몸체의 식재공간에 담겨진 응고된 흙이 상기 용기몸체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사용자가 흙에 식재된 식물의 분갈이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상기 용기몸체의 외주연을 감싼 상태로 상기 용기몸체의 외주연에 구비되는 커버로 인해 본 화분의 외관이 보다 미려해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용기몸체, 커버, 분갈이

Description

화분{A FLOWERPOT}
본 발명은 일측 용기몸체와, 상기 일측 용기몸체의 일측에 타측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일측 용기몸체의 타측에 일측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타측 용기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일측 용기몸체와 타측 용기몸체가 분리가능하게 상호결합될 시 내부에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흙이 담겨지는 식재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식재공간에 담겨진 흙에 식재된 식물의 분갈이 작업이 용이해지도록 상기 일측 용기몸체와 타측 용기몸체의 결합상태를 해제할 시 2등분된 상태로 분리되는 용기몸체와; 상기 용기몸체의 외주연을 감싼 상태로 양측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표면에 장식부가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花盆)은 꽃을 심어 가꾸는 분을 의미하며, 꽃 등의 식물을 식재(植栽)하기 위한 식재공간과; 상기 식재공간에 공급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수구가 구비된다.
여기서, 사용자는 상기 식재공간에 흙을 담은 상태에서 식물을 식재하여 물, 비료 등을 주어 관리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상기 식재공간에 식재한 꽃 등의 식물의 뿌리가 썩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일정기간이 경과되면 분갈이를 하여 꽃 등의 식물이 잘자랄 수 있도록 하게 된다.
그러나, 분갈이 작업시 특히, 상기 식재공간에 응고된 흙이 쉽게 분리되지 않아 사용자가 분갈이 작업을 용이하게 행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2등분 상태로 분리되는 용기몸체로 인해 상기 용기몸체의 식재공간에 담겨진 응고된 흙이 상기 용기몸체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사용자가 흙에 식재된 식물의 분갈이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상기 용기몸체의 외주연을 감싼 상태로 상기 용기몸체의 외주연에 구비되는 커버로 인해 본 화분의 외관이 보다 미려해질 수 있게 되는 화분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 용기몸체와, 상기 일측 용기몸체의 일측에 타측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일측 용기몸체의 타측에 일측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타측 용기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일측 용기몸체와 타측 용기몸체가 분리가능하게 상호결합될 시 내부에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흙이 담겨지는 식재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식재공간에 담겨진 흙에 식재된 식물의 분갈이 작업이 용이해지도록 상기 일측 용기몸체와 타측 용기몸체의 결합상태를 해제할 시 2등분된 상태로 분리되는 용기몸체와; 상기 용기몸체의 외주연을 감싼 상태로 양측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표면에 장식부가 형성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일측 용기몸체와 타측 용기몸체의 양측에는 수직으로 지퍼레일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일측 용기몸체와 타측 용기몸체의 일측에 수직으로 형성된 지퍼레일상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일측 용기몸체와 타측 용기몸체의 양측에 수직으로 각각 형성된 상기 지퍼레일을 상호결합시키는 지퍼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의 양측에는 수직으로 지퍼레일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일측에 수직으로 형성된 지퍼레일상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커버의 양측에 수직으로 각각 형성된 상기 지퍼레일을 상호결합시키는 지퍼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커버는 스판 또는 고어텍스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커버의 표면에는 자외선과 반응하여 상기 용기몸체의 주변공기를 정화하는 광촉매와 상기 용기몸체의 주위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는 시온잉크가 혼합된 상태로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일측 용기몸체와 타측 용기몸체의 양측에 수직으로 각각 형성된 지퍼레에는 물과 접할 시 색상이 변화하는 수반응잉크가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용기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실내의 산소농도를 측정하는 산소센서와; 상기 산소센서의 출력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음성 또는 영상이 출력부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용기몸체에는 산소발생부가 구비되며, 상기 산소발생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산소센서의 출력신호에 따라 산소를 실내에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용기몸체의 일측에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적외선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외선감지센서의 출력신호에 따라 사람의 주의를 끌 수 있는 음성 및 영상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용기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용기몸체의 주위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와; 흙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센서와; 상기 용기몸체의 주위조도를 감지하는 광센서와; 상기 용기몸체의 주위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와; 상기 용기몸체 주위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는 식물의 생장환경에 관한 정보, 식물의 상태를 나타내는 음성 및 영상정보를 포함한 정보가 더 구축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로부터 출 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정보를 추출하여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2등분 상태로 분리되는 용기몸체로 인해 상기 용기몸체의 식재공간에 담겨진 응고된 흙이 상기 용기몸체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사용자가 흙에 식재된 식물의 분갈이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상기 용기몸체의 외주연을 감싼 상태로 상기 용기몸체의 외주연에 구비되는 커버로 인해 본 화분의 외관이 보다 미려해질 수 있게 됨은 물론 외부의 충격에 의해 상기 용기몸체가 훼손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일측 용기몸체와 타측 용기몸체의 양측에 수직으로 각각 형성된 지퍼레일과, 상기 일측 용기몸체와 상기 타측 용기몸체의 일측에 수직으로 형성된 지퍼레일상에 구비된 지퍼로 인해 사용자가 상기 일측 용기몸체와 타측 용기몸체를 보다 간편하게 상호결합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커버의 양측에 수직으로 각각 형성된 지퍼레일과, 상기 커버의 일측에 수직으로 형성된 지퍼레일상에 구비된 지퍼로 인해 사용자가 상기 커버의 양측을 보다 간편하게 상호결합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가 탄력성이 우수한 스판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커버가 부피가 큰 상기 용기몸체의 외주연 또한 보다 용이하게 감쌀 수 있게 되고, 상 기 커버가 방수성이 우수한 고어텍스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용기몸체의 식재공간에 담겨진 흙에 스며드는 물 또는 외부의 빗방울 등이 상기 커버내로 스며들어 상기 커버가 젖을 우려가 없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커버의 표면에 광촉매와 시온잉크가 혼합된 상태로 코팅될 경우 광촉매를 통해 상기 용기몸체의 주변공기를 정화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용기몸체의 주위온도에 따라 시온잉크의 색상이 변화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주위온도의 높고 낮음을 고려하여 본 화분을 보다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일측 용기몸체와 타측 용기몸체의 양측에 수직으로 각각 형성된 지퍼레일에 수반응잉크가 코팅된 상태에서 상기 수반응잉크가 식재공간에 담겨진 흙에 공급된 물과 접할 시 그 색상이 변화하기 때문에 특히, 상기 식재공간에 담겨진 흙에 물이 공급되지 않아 흙이 건조해져 식물에게 공급될 물이 부족해지게 될 경우 사용자가 이를 보다 용이하게 인지하여 상기 용기몸체의 식재공간에 담겨진 흙에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실내의 산소농도를 측정하는 산소센서와; 상기 산소센서의 출력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음성 또는 영상이 출력부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구비됨으로써, 실내의 산소농도가 낮아진 경우 사용자기 이를 용이하게 인지하여 창문 등을 열어 간편하게 환기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가 적외선감지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사람의 주의를 끌 수 있는 음성 및 영상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정보를 추출하여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함으로써, 본 화분에 관심을 갖지 않고 화분에 접근한 사람이라도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되는 음성 또는 영상에 의하여 화분에 호기심 및 관심을 유발시켜 화분을 정성껏 관리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용기몸체의 일측에 온도감지센서, 습도감지센서, 광센서, 열감지센서, 연기감지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식물의 생장환경에 관한 정보, 식물의 상태를 나타내는 음성 및 영상정보를 포함한 정보가 더 구축됨으로써, 상기 용기몸체에 식재된 식물의 생장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여부 또한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화분(7)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화분(7)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용 기몸체(10)와 커버(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용기몸체(10)는 꽃 등의 식물을 심어 가꾸기 위한 것으로써, 도 2 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일측 용기몸체(110)와; 상기 일측 용기몸체(110)의 일측에 타측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일측 용기몸체(110)의 타측에 일측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타측 용기몸체(1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용기몸체(10)는 예를 들어, 운반이 용이하도록 무게가 가벼운 얇은 두께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식물의 종류, 상기 용기몸체(10)가 놓여지는 곳에 따라 여러 재질로 변형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도 2의 일측 용기몸체(110)와 타측 용기몸체(130)가 상호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상기 일측 용기몸체(110)와 타측 용기몸체(130)가 분리가능하게 상호결합될 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용기몸체(10)의 내부에는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흙이 담겨지는 식재공간(150)이 형성된다.
한편,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 용기몸체(110)와 타측 용기몸체(130)의 양측에는 수직으로 지퍼레일(111, 113, 131, 133)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일측 용기몸체(110)와 타측 용기몸체(130)의 일측에 수직으로 형성된 지퍼레일(111, 131)상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일측 용기몸체(110)와 타측 용기 몸체(130)의 양측에 수직으로 각각 형성된 상기 지퍼레일(111, 113, 131, 133)을 상호결합시키는 지퍼(115, 135)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일측 용기몸체(110)와 타측 용기몸체(130)의 양측에 수직으로 각각 형성된 지퍼레일(111, 113, 131, 133)과; 상기 일측 용기몸체(110)와 상기 타측 용기몸체(130)의 일측에 수직으로 형성된 지퍼레일(111, 131)상에 구비된 지퍼(115, 135)로 인해 사용자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 용기몸체(110)와 타측 용기몸체(130)를 보다 간편하게 상호결합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식재공간(150)에 담겨진 흙에 식재된 식물의 분갈이 작업을 수행하고자 상기 일측 용기와 타측 용기의 결합상태를 해제할 시 상기 용기몸체는 2등분된 상태로 분리된다.
다음으로, 상기 커버(30)는 상기 용기몸체(10)의 외주연을 감싸는 것으로써, 양측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표면에 장식부(310)가 형성된다.
상기 장식부(310)는 예를 들어,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30)의 표면에 꽃 형상등으로 도포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다 다양한 형상으로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식부(310)는 일정색상을 지닌 다수의 조화로 이루어져 상기 커버(30)의 표면에 고정부착될 수도 있는 등 보다 다양한 방법에 의해 상기 커버(30)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30)의 일측에는 후술할 출력부(73)와 입력부(735)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일정크기의 관통구(330)가 형성된다.
도 4 내지 도 6은 커버(30)가 용기의 외주연을 감싸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상기 커버(30)의 양측에는 도 2, 4,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으로 지퍼레일(301, 303)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커버(30)의 일측에 수직으로 형성된 지퍼레일(301)상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커버(30)의 양측에 수직으로 각각 형성된 상기 지퍼레일(301, 303)을 상호결합시키는 지퍼(305)가 구비되는 것이 좋다.
상기 커버(30)의 양측에 수직으로 각각 형성된 지퍼레일(301, 303)과; 상기 커버(30)의 일측에 수직으로 형성된 지퍼레일(301)상에 구비된 지퍼(305)로 인해 사용자가 상기 커버(30)의 양측을 보다 간편하게 상호결합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커버(30)의 양측에는 예를 들어 상호결합되는 공지된 똑딱이 단추 등이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상기 똑딱이 단추 등을 상호결합시켜 상기 커버(30)의 양측을 보다 간편하게 상호결합시킬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커버(30)가 상기 용기몸체(10)의 외주연을 감싸게 되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커버(30)의 상측에는 예를 들어 원형형상의 관통구(350)가 형성되고,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커버(30)의 상측을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용기몸체(10)의 식재공간(150)내로 수용시키게 된다.
상기 커버(30)의 상측에 형성된 상기 관통구(350)를 통해 꽃 등의 식물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관통구(350)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용기몸체(10)의 식재공간(150)에 담겨진 흙으로 물을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용기몸체(10)의 식재공간(150)에 담겨진 흙으로 공급된 물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 용기몸체(110)의 바닥판(117)과 상기 타측 용기몸체(130)의 바닥판에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배수 슬릿(5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도 1, 2, 4, 5,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용기몸체(10)의 하부에는 실내공간에 안착되어 상기 용기몸체(10)의 하부를 지지하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의 예를 들어,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받침판(5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받침판(50)의 상부 내측면과 상기 용기몸체(10)의 하부 외주연이 보다 넓은 면적으로 접촉되어 상기 받침판(50)의 상부가 상기 용기몸체(10)의 하부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받침판(50)의 상부 내측면은 상기 받침판(50)의 내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고, 상기 용기몸체(10)의 하부 외주연에는 상기 용기몸체(10)의 내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경사면(170)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5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530)으로는 상기 배수 슬릿(5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 물이 수용되는데, 이로써 상기 배수 슬릿(51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 물이 실내공간의 바닥으로 유출될 우려가 없어지게 된다.
또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받침판(50)의 하부면에는 실내공간의 바닥면 등에 흡착고정되는 공지된 흡착부가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착부로 인해 상기 받침판(50)이 외력 등에 의해 너무 쉽게 쓰러지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2등분 상태로 분리되는 상기 용기몸체(10)로 인해 상기 용기몸체(10)의 식재공간(150)에 담겨진 응고된 흙이 상기 용기몸체(10)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사용자가 흙에 식재된 식물의 분갈이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상기 용기몸체(10)의 외주연을 감싼 상태로 상기 용기몸체(10)의 외주연에 구비되는 상기 커버(30)로 인해 본 화분(7)의 외관이 보다 미려해질 수 있게 됨은 물론 외부의 충격에 의해 상기 용기몸체(10)가 훼손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커버(30)는 탄력성이 우수한 스판 또는 방수성이 우수한 고어텍스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상기 커버(30)가 탄력성이 우수한 스판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커버(30)가 부피가 큰 상기 용기몸체(10)의 외주연 또한 보다 용이하게 감쌀 수 있게 되고, 상기 커버(30)가 방수성이 우수한 고어텍스재질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용기몸체(10)의 식재공간(150)에 담겨진 흙에 스며드는 물 또는 외부의 빗방울 등이 상기 커버(30)내로 스며들어 상기 커버(30)가 젖을 우려가 없어지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커버(30)의 표면에는 자외선과 반응하여 상기 용기몸체(10)의 주변공기를 정화하는 공지된 광촉매와 상기 용기몸체(10)의 주위온도에 따라 색 상이 변화하는 공지된 시온잉크가 혼합된 상태로 코팅되는 것이 좋다.
상기 광촉매는 예를 들어, 태양광 또는 공지된 자외선 조사기 등에서 발산되는 자외선과 화학적 반응을 일으켜 상기 용기몸체(10)의 주변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정화시키게 되는데, 이는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자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시온잉크는 예를 들어, 상기 용기몸체(10)의 주위온도의 높낮음에 따라 유색에서 무색 또는 무색에서 유색으로 변화되는데, 이또한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자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커버(30)의 표면에 공지된 광촉매와 시온잉크가 혼합된 상태로 코팅될 경우 광촉매를 통해 상기 용기몸체(10)의 주변공기를 정화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용기몸체(10)의 주위온도에 따라 시온잉크의 색상이 변화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주위온도의 높고 낮음을 고려하여 본 화분(7)을 보다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커버(30)의 표면에는 상기 시온잉크가 코팅된 별도의 라벨지가 부착될 수도 있는데, 이때 상기 라벨지에 코팅된 시온잉크의 색상이 변화됨에 따라 사용자가 주위온도의 높고 낮음을 고려하여 본 화분(7)을 보다 용이하게 관리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일측 용기몸체(110)와 타측 용기몸체(130)의 양측에 수직으로 각각 형성된 지퍼레일(111, 113, 131, 133)에는 물과 접할 시 색상이 변화하는 공지된 수반응잉크가 코팅되는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커버(30)가 분리된 상기 용기몸체(10)를 실내공간에 보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식재공간(150)에 담겨진 흙에 물을 공급하게 될 시 흙에 공급된 물과 상기 수반응잉크가 접하게 된다.
상기 수반응잉크는 상기 식재공간(150)에 담겨진 흙에 공급된 물과 접하게 될 시 예를 들어 유색에서 무색 또는 무색에서 유색으로 변화되는데, 이는 공지된 기술임과 동시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게 이해하여 실시할 수 있는 사항임으로 자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일측 용기몸체(110)와 타측 용기몸체(130)의 양측에 수직으로 각각 형성된 지퍼레일(111, 113, 131, 133)에 상기 수반응잉크가 코팅된 상태에서 상기 수반응잉크가 상기 식재공간(150)에 담겨진 흙에 공급된 물과 접할 시 그 색상이 변화되기 때문에 특히, 상기 식재공간(150)에 담겨진 흙에 물이 공급되지 않아 흙이 건조해져 식물에게 공급될 물이 부족해지게 될 경우 사용자가 이를 보다 용이하게 인지하여 상기 용기몸체(10)의 식재공간(150)에 담겨진 흙에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7은 산소센서(70)의 출력신호에 따른 제어부(90)의 출력부(73)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용기몸체(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실내의 산소농도를 측정하는 산소센서(70)와; 상기 산소센서(70)의 출력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음성 또는 영상이 출력부(73)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9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용기몸체(10)에는 산소발생부(750)가 구비되며, 상기 산소발생부(750)는 전원공급부(90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상기 제어부(9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산소센서(70)의 출력신호에 따라 산소를 실내에 공급하는 것이 좋다.
상기 산소센서(7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측정되는 산소농도의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증폭기에 의하여 일정 증폭되고,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는 A/D컨버터에 의하여 디지털신호로 변환된다.
변환된 디지틸신호는 제어부(90)에 입력되고, 제어부(90)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산소농도를 계산하여 상기 출력부(73)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출력부(73)는 음성출력부(731)와 영상출력부(733)를 포함한다.
상기 음성출력부(731)는 측정된 산소농도가 일정 기준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90)의 제어에 의하여 미리 저장된 음성정보를 출력한다.
일반적으로 안정된 공기속 산소농도는 21%이고, 평상시 실내의 산소농도는 20%이며, 환기가 잘안되는 아파트 실내 및 요리를 할 때의 주방의 산소농도는 18 ~ 19%이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90)는 미리 음성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903)와, 미리 준비된 프로그램(905)에 의하여 산소센서(70)에 의하여 측정된 산소농도가 20%미만일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903)에 저장된 특정음성정보(예를 들면, '산소 농도가 낮습니다. 환기하세요' 등)를 음성출력부(731)를 통하여 출력한다.
사용자는 이와 같은 음성정보를 청취한 후 실내의 산소농도가 낮아진 상태를 인지하고, 창문 등을 열어 간편하게 환기를 시킬 수 있다.
또한, 영상출력부(733)는 측정된 산소농도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부(90)는 측정된 산소농도를 영상출력부(733)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하거나, 미리 영상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903)에서 해당영상정보를 추출하여 영상출력부(733)를 통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는 용이하게 현재 실내의 산소농도를 인지할 수 있다.
실내의 산소농도를 측정하는 산소센서(70)와; 상기 산소센서(70)의 출력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음성 또는 영상이 출력부(73)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90)가 더 구비됨으로써, 실내의 산소농도가 낮아진 경우 사용자기 이를 용이하게 인지하여 창문 등을 열어 간편하게 환기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산소발생부(750)는 농도 짙은 산소를 배기할 수 있는 장치를 말하는 것으로써,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산소탱크를 이용하여 산소를 배기할 수 있고, 또한 산소를 전기적, 화학적 방법 등에 의하여 산소와 질소 등을 분리하여 산소를 실내에 배기할 수 있다.
도 8은 산소발생부(750)가 구비된 경우 제어부(90)에 의하여 산소발생부(750)를 제어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실내의 산소농도를 산소센서(70)에 의하여 측정하고, 측정된 산소농도가 기준치 이하로 출력되는 경우 제어부(90)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산소발생부(750)를 제어하여 실내에 산소를 분사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산소발생부(750)에 의하여 실내의 산소농도를 안정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켜야하는 번거로움이 없는 이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용기몸체(10)의 일측에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센서(100)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적외선감지센서(100)의 출력신호에 따라 사람의 주의를 끌 수 있는 음성 및 영상정보가 저장된 테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출력부(73)를 통하여 출력하는 것이 좋다.
도 9는 적외선감지센서(100)의 출력신호에 따라 제어부(90)가 출력부(73)를 제어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적외선감지센서(100)가 인체가 접근하는 것을 감지한 경우에 한하여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산소센서(70)로부터 측정된 산소농도를 출력부(73)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상기 용기몸체(10) 주위에 있는 경우에 한하여 출력부(73)가 음성으로 산소센서(70)에 의하여 측정된 산소농도를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상기 용기몸체(10) 주위의 산소농도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어 사용자가 산소농도를 용이하게 인지하여 환기를 시킬 수 있기 때문이 다.
그리고, 상기 데이터베이스(903)에 저장된 사람의 주의를 끌 수 있는 음성 및 영상정보란 '안녕', '하이', '사랑해요', '심심해요', '놀아주세요' 등 사람으로부터 관심을 끌 수 있는 음성관련정보 및 일정한 케릭터가 '미소짓는 영상', '웃는 영상', '제자리에서 깡충깡충 뛰는 영상', '사랑한다는 표현을 나타내는 영상' 등 사람으로부터 관심을 끌 수 있는 영상관련정보를 일컫는다.
인체가 화분(7)주위에 접근하는 경우 상기 적외선감지세서는 이를 감지하고 제어부(90)에 신호를 출력하고, 제어부(90)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미리 프로그래밍된 프로그램(905)에 의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903)의 정보 중 해당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음성출력부(731) 및/또는 영상출력부(733)를 통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어부(90)가 적외선감지센서(10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사람의 주의를 끌 수 있는 음성 및 영상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903)로부터 해당정보를 추출하여 출력부(73)를 통하여 출력함으로써, 본 화분(7)에 관심을 갖지 않고 화분(7)에 접근한 사람이라도 출력부(73)를 통하여 출력되는 음성 또는 영상에 의하여 화분(7)에 호기심 및 관심을 유발시켜 화분(7)을 정성껏 관리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나아가, 출입문 주위에 본 화분(7)을 놓을 경우 방문객이 출입문을 통하여 출입하게 되면 '어서 오세요',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좋은 아침입니다' 등의 인사말을 출력부(73)를 통하여 출력함으로써 방문객을 반갑게 반겨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방법용으로 이용할 수 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용기몸체(10)의 일측에는 상기 용기몸체(10)의 주위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101)와; 흙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센서(103)와; 상기 용기몸체(10)의 주위조도를 감지하는 광센서(105)와; 상기 용기몸체(10)의 주위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107)와; 상기 용기몸체(10) 주위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센서(109)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903)에는 식물의 생장환경에 관한 정보, 식물의 생태를 나타내는 음성 및 영상정보를 포함한 정보가 더 구축되며,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903)로부터 해당정보를 추출하여 출력부(73)를 통하여 출력하는 것이 좋다.
도 10은 온도감지센서(101), 습도감지센서(103), 광센서(105), 열감지센서(107), 연기감지센서(109)의 출력신호에 따라 제어부(90)가 출력부(73)를 제어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용기몸체(10)의 일측에 온도감지센서(101), 습도감지센서(103), 광센서(105), 열감지센서(107), 연기감지센서(109)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903)에 식물의 생장환경에 관한 정보, 식물의 상태를 나타내는 음성 및 영상정보를 포함한 정보가 더 구축됨으로써, 상기 용기몸체(10)에 식재된 식물의 생장상태를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재여부 또한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903)에 저장되는 식물의 생장환경에 관한 정보는 식물의 종에 따른 최적의 온도, 습도, 조도, 일조량 등에 관한 정보를 말하여, 식물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란 상기 식재공간(150)에 식재된 식물의 상태를 음성 또는 영상으로 표현되는 정보를 말한다.
여기서 일컫는 식물의 상태를 나타내는 음성 또는 영상정보란 온도가 낮은 경우, 최적인 경우, 높은 경우 이를 각 음성 또는 영상으로 표현하는 정보, 그리고 습도가 낮은 경우, 최적인 경우, 높은 경우 이를 각 음성 또는 영상으로 표현하는 정보, 또한 조도가 낮은 경우, 최적인 경우, 높은 경우 이를 각 음성 또는 영상으로 표현하는 정보, 그리고 꽃을 피우기 위한 일조량이 적은 경우, 최적인 경우, 많은 경우 이를 각 음성 또는 영상으로 표현하는 정보 등을 말한다.
먼저, 사용자는 먼저 푸쉬버튼 등의 입력부(735)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903)에 저장된 식물의 종 중 상기 식재공간(150)에 식재된 식물의 종을 선택한다.
이때, 현재의 날짜 및 시간을 미리 설정해 놓거나 설정해 놓지 않은 경우에는 설정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상기 식재공간(150)에 식재된 식물의 종, 현재의 날짜 및 시간을 설정한 경우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온도감지센서(101), 습도감지센서(103), 광센서(105), 열감지센서(107), 연기감지센서(109) 등의 출력신호에 따라 해당되는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903)로부터 추출하여 특정의 음성 및/또는 영상을 음성출력부(731) 및/또는 영상출력부(733)를 통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용기몸체(10) 주위온도가 높은 경우 상기 온도감지센서(101)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90)에 신호를 출력하고 제어부(90)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903)에 저장된 정보 중 '온도가 높은 상태를 나타내는 음성 및 영상정보' 즉 '더워요', '뜨거워요' 등의 음성 및 케릭터가 땀을 흘리고 있는 영상 등의 덥거나 뜨거운 상태를 나타내는 영상을 추출하여 상기 음성출력부(731) 또는/및 영상출력부(733)를 통하여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식재공간(150)에 담겨진 흙의 습도가 낮은 경우 상기 습도감지센서(103)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90)에 신호를 출력하고, 제어부(90)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습도가 낮은 상태를 나타내는 음성 및 영상정보' 즉 '목이 말라요', '물주세요', '배고파요' 등의 음성 및 케릭터가 목마른 상태를 나타내는 영상 등이 물이 부족한 상태를 나타내는 영상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903)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음성출력부(731) 또는/및 영상출력부(733)를 통하여 출력한다.
또한, 상기 용기몸체(10)의 주위조도가 높은 경우 상기 광센서(105)는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90)에 신호를 출력하고, 이를 입력받은 제어부(90)는 '조도가 높은 상태를 나타내는 음성 및 영상정보'인 '눈 부셔요' 등의 음성 및 '눈이 부신 상태를 나타내는 영상'을 상기 데이터베이스(903)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음성출력부(731) 또는/및 영상출력부(733)를 통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이 식물의 생장상태를 음성 및 영상으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식물에 대한 호기심을 유발하여 애정을 갖고 본 화분(7)을 돌볼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90)는 하루의 일조량을 상기 광센서(105)를 이용하여 측정함으로써, 꽃을 피우기 위한 일조량 조건에 비하여 일조량이 많거나 적은 경우를 파악하여 이를 음성 및 영상으로 음성출력부(731) 및 영상출력부(733)를 통하여 출력함으로써, 일조량이 많다고 출력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본 화분(7) 주위에 빛이 들지 않도록 하고, 일조량이 적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화분(7) 주위에 빛이 들도록 조정함으로써, 상기 식재공간(150)에 식재된 식물이 꽃을 피울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화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측 용기몸체와 타측 용기몸체가 상호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커버가 용기의 외주연을 감싸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산소센서의 출력신호에 따른 제어부의 출력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8은 산소발생부가 구비된 경우 제어부에 의하여 산소발생부를 제어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9는 적외선감지센서의 출력신호에 따라 제어부가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0은 온도감지센서, 습도감지센서, 광센서, 열감지센서, 연기감지센서의 출력신호에 따라 제어부가 출력부를 제어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화분, 10; 용기몸체,
110; 일측 용기몸체, 111, 113, 131, 133, 301, 303; 지퍼레일,
115, 135, 305; 지퍼, 130; 타측 용기몸체,
150; 식재공간, 170; 경사면,
30; 커버, 310; 장식부,
330, 350; 관통구, 50; 받침판,
510; 배수슬릿, 530; 수용공간,
70; 산소센서, 73; 출력부,
731; 음성출력부, 733; 영상출력부,
735; 입력부, 750; 산소발생부,
90; 제어부, 901; 전원공급부,
903; 데이터베이스, 905; 프로그램,
100; 적외선감지센서, 101; 온도감지센서,
103; 습도감지센서, 105; 광센서,
107; 열감지센서, 109; 연기감지센서.

Claims (9)

  1. 일측 용기몸체(110)와, 상기 일측 용기몸체(110)의 일측에 타측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일측 용기몸체(110)의 타측에 일측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타측 용기몸체(130)로 이루어지고, 상기 일측 용기몸체(110)와 타측 용기몸체(130)가 분리가능하게 상호결합될 시 내부에 식물을 식재하기 위한 흙이 담겨지는 식재공간(150)이 형성되며, 상기 식재공간(150)에 담겨진 흙에 식재된 식물의 분갈이 작업이 용이해지도록 상기 일측 용기몸체(110)와 타측 용기몸체(130)의 결합상태를 해제할 시 2등분된 상태로 분리되는 용기몸체(10)와;
    상기 용기몸체(10)의 외주연을 감싼 상태로 양측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일측 용기몸체(110)와 타측 용기몸체(130)의 양측에는 수직으로 지퍼레일(111, 113, 131, 133)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일측 용기몸체(110)와 타측 용기몸체(130)의 일측에 수직으로 형성된 지퍼레일(111, 131)상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일측 용기몸체(110)와 타측 용기몸체(130)의 양측에 수직으로 각각 형성된 상기 지퍼레일(111, 113, 131, 133)을 상호결합시키는 지퍼(115, 13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30)의 표면에 장식부(3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30)의 양측에는 수직으로 지퍼레일(301, 303)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커버(30)의 일측에 수직으로 형성된 지퍼레일(301)상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커버(30)의 양측에 수직으로 각각 형성된 상기 지퍼레일(301, 303)을 상호결합시키는 지퍼(30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30)는 스판 또는 고어텍스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30)의 표면에는 자외선과 반응하여 상기 용기몸체(10)의 주변공기를 정화하는 광촉매와 상기 용기몸체의 주위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는 시온잉크가 혼합된 상태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용기몸체(110)와 타측 용기몸체(130)의 양측에 수직으로 각각 형성된 지퍼레일(111, 113, 131, 133)에는 물과 접할 시 색상이 변화하는 수반응잉크가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몸체(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실내의 산소농도를 측정하는 산소센서(70)와; 상기 산소센서(70)의 출력신호에 따라 미리 설정된 음성 또는 영상이 출력부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9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용기몸체(10)에는 산소발생부(750)가 구비되며, 상기 산소발생부(750)는 상기 제어부(9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산소센서(70)의 출력신호에 따라 산소를 실내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몸체(10)의 일측에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적외선감지센서(100)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적외선감지센서(100)의 출력신호에 따라 사람의 주의를 끌 수 있는 음성 및 영상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903)로부터 해당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출력부(73)를 통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몸체(10)의 일측에는 상기 용기몸체(10)의 주위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101)와; 흙의 습도를 감지하는 습도감지센서(103)와; 상기 용기몸체(10)의 주위조도를 감지하는 광센서(105)와; 상기 용기몸체(10)의 주위 열을 감지하는 열감지센서(107)와; 상기 용기몸체(10) 주위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센서 (109)중 어느 하나 이상의 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903)에는 식물의 생장환경에 관한 정보, 식물의 상태를 나타내는 음성 및 영상정보를 포함한 정보가 더 구축되며,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데이터베이스(903)로부터 해당정보를 추출하여 출력부(73)를 통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KR1020080122923A 2008-12-05 2008-12-05 화분 KR101160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923A KR101160378B1 (ko) 2008-12-05 2008-12-05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923A KR101160378B1 (ko) 2008-12-05 2008-12-05 화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4477A KR20100064477A (ko) 2010-06-15
KR101160378B1 true KR101160378B1 (ko) 2012-06-26

Family

ID=423640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2923A KR101160378B1 (ko) 2008-12-05 2008-12-05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03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920B1 (ko) * 2011-05-13 2014-10-06 장의형 다기능 화분장치
KR102260518B1 (ko) * 2021-03-22 2021-06-02 차영선 화분커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006Y1 (ko) * 2002-11-18 2003-02-19 김기성 시온잉크를 이용한 전구커버
KR200344780Y1 (ko) * 2003-12-02 2004-03-11 주식회사 남진농기 육묘장치
KR200390125Y1 (ko) * 2005-03-02 2005-07-19 전선희 관상용 식물 배양의 장식용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관상용식물 배양용기
KR20080099651A (ko) * 2007-05-10 2008-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키패드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006Y1 (ko) * 2002-11-18 2003-02-19 김기성 시온잉크를 이용한 전구커버
KR200344780Y1 (ko) * 2003-12-02 2004-03-11 주식회사 남진농기 육묘장치
KR200390125Y1 (ko) * 2005-03-02 2005-07-19 전선희 관상용 식물 배양의 장식용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관상용식물 배양용기
KR20080099651A (ko) * 2007-05-10 2008-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키패드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4477A (ko) 2010-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5812B1 (ko) 식물을 재배하는 다단형 학습용 식물재배장치
CN104898747B (zh) 微型智能温室
US10729080B2 (en) Vertical aeroponic growing apparatus
KR20120000837A (ko) 화분의 수분 조절장치
KR100827773B1 (ko) 다단분리형 인테리어 화분 겸 가습기
CN206641099U (zh) 一种城市公寓智能植物绿色种植系统
KR100481162B1 (ko) 성장환경 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화분
KR102327884B1 (ko) 식물의 생육조건에 따라 자동으로 생육환경으로 조성하는 스마트 화분
KR20120014305A (ko) 엘이디 수경재배 다단형 식물 냉장고
WO2017165935A1 (pt) Vaso eletroeletrônico modular com sistema automatizado de controles e monitoramento digital, utilizado para o aero cultivo de plantas em ambientes internos e externos
KR101160378B1 (ko) 화분
KR100742704B1 (ko) 화분
CN108961909A (zh) 一种用以教学的智能化微型农场及其管理系统
CN205756011U (zh) 物联网式日光温室
KR101146895B1 (ko) 실내 공기정화를 위한 식물정화 장치
KR20120065202A (ko) 온실의 자동 식물생육 장치와 제어 시스템
CN204291874U (zh) 一种植物栽植盆
CN203523409U (zh) 一种植物栽培装置
KR101914766B1 (ko) 장식용 화분 장착형 실내 마감장치
CN202275329U (zh) 室内种植花卉光强温湿度自动调节装置
CN201025796Y (zh) 一种智能管理花盆
KR100566583B1 (ko) 화분에 장착되는 음성출력장치
CN109413995A (zh) 用于植物在内部和外部环境中的气培法生长的具有自动式数字控制和监测系统的模块化电子瓶
CN209676928U (zh) 一种智能盆栽容器
KR20180044102A (ko) 인삼 수경 재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