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762Y1 - 외관과 기능이 개선된 옥내 소화전 커버 - Google Patents

외관과 기능이 개선된 옥내 소화전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762Y1
KR200458762Y1 KR2020080013524U KR20080013524U KR200458762Y1 KR 200458762 Y1 KR200458762 Y1 KR 200458762Y1 KR 2020080013524 U KR2020080013524 U KR 2020080013524U KR 20080013524 U KR20080013524 U KR 20080013524U KR 200458762 Y1 KR200458762 Y1 KR 2004587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hydrant
lower door
present
recognition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35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4078U (ko
Inventor
이정한
Original Assignee
(주)백양씨엠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백양씨엠피 filed Critical (주)백양씨엠피
Priority to KR20200800135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762Y1/ko
Publication of KR201000040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407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7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7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64Health, life-saving or fire-fighting equipment
    • F21V33/0076Safety or security signalisation, e.g. smoke or burglar alarms, earthquake detectors; Self-defence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2Mechanical actuation of the alarm, e.g. by the breaking of a wi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6Letters, numerals, or other symbols adapted for permanent fixing to a supp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관과 기능이 개선된 옥내 소화전 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이를 위해 상,하부도어(11)(15)의 일측에는 상,하부도어의 전체 세로 길이로 손잡이(16a)(16)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하부도어(15)의 정면 상단에는 요철부로 형성된 인식아이콘부(20)가 하부도어와 일체로 형성되며, 또한 상기 하부도어(15)의 정면 중앙에는 텍스트부를 고정 설치하거나 또는 요철부로 형성된 텍스트부(21)가 하부도어와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상기 하부도어(15)의 정면 하단에는 요철부로 형성된 인식픽토그램부(22)가 하부도어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화재를 신속히 진압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시킴과 아울러 외관도 미려하게 하여 보는 이들로 하여금 보기 좋게 한 것이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손잡이, 인식아이콘부, 텍스트부, 인식픽토그램부, 옥내 소화전.

Description

외관과 기능이 개선된 옥내 소화전 커버{A outward and function improvement inside fire hydrant cover}
본 고안은 외관과 기능이 개선된 옥내 소화전 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를 신속히 진압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시킴과 아울러 외관도 미려하게 하여 보는 이들로 하여금 보기 좋게 한 것이고,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소화전(消火栓; fire hydrant)은 소화 호스를 장치하기 위하여 상수도의 급수관에 설치하는 시설이고 특히 옥내 소화전은 건물 안에 설치한 소화전을 말하는 것으로, 화재 초기에 소방대상물의 거주자가 소화전에 비치되어 있는 호스 및 노즐을 이용하여 소화작업을 하는 설비이다.
상기한 종래의 옥내 소화전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으로, 몸체(1)의 내부 상,하단에 각각 상부도어(2)와 하부도어(8)가 구비되고, 상기 상, 하부도어(2)(8)의 일측에는 각각 손잡이(4)(4a)가 형성됨은 물론 이 손잡이(4)(4a)에는 푸쉬버튼(3)(3a)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도어(2)에는 경보버튼(5)과 표시등(6) 그리고 경보음홀(7)이 형성됨은 물론 상기 하부도어(8)에는 '소화전'이라는 텍스트(9) 글자가 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옥내 소화전의 설비요건은 다음과 같다.
즉, 상기 옥내 소화전의 설비 요건중 옥내 소화전의 배치는 소방 대상물의 층마다 설치하되 층의 각 부분으로부터 1개의 호스 접결구까지의 수평거리가 25m를 초과할 수 없다.
또한 옥내 소화전 개폐밸브의 설치위치는 바닥으로부터 높이 1.5m 이하인 곳에 설치하여야 한다.
그리고 수원의 수량은 옥내 소화전의 설치개수가 가장 많은 층의 설치개수에 2.6m 3을 곱하여 얻은 양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아울러 방수압력 및 방수량은 어느 층에서나 각 층의 모든 옥내 소화전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 노즐 끝의 방수압력이 1.7kg/cm이고 방수량이 130ℓ/min 이상이어야 한다.
더하여 옥내 소화전함에는 그 표면에 '소화전'이라고 표시하고 상부에 적색등화를 설치하되 그 불빛이 부착면과 15°이하의 각도로 반사하여 10m 거리에서 쉽게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배관은 전용배관을 사용하고 가압송수장치의 분출면에서 가장 가까운 부분의 배관에는 체크밸브를 설치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옥내 소화전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종래의 옥내 소화전은 푸쉬버튼(3)(3a)를 누른 후 손잡이(4)(4a)를 잡고 당겨야만 상,하부도어(2)(8)를 오픈시킬 수 있다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예를 들어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신속하게 상,하부도어(2)(8)를 열고 앵글밸브를 오픈시킨 후 호스를 꺼내 화재를 진압하여야 하나, 상기 종래의 기술은 푸쉬버튼(3)(3a)을 눌러야만 상,하부도어(2)(8)를 오픈시킬 수 있게 되어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할 수 없다는 커다란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기술은 손잡이(4)(4a)의 크기가 너무 작다는 문제점 즉,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당황하게 되는데, 빨리 손잡이(4)(4a)를 잡고 상,하부도어(2)(8)를 열어야 하나 당황한 나머지 작은 손잡이(4)(4a)에 손을 넣어 오픈시키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그리고 상기 종래의 기술은 하부도어(8)에 회재시 위급상황에 대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글이 적혀진 스티커를 부착하였으나, 스티커가 떨어질 경우에는 볼 수 없다는 문제점과 아울러 긴급 상황에서 글을 제대로 보고 소방호스를 꺼내 화재를 원활히 진압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발생 되었다.
아울러 상기 종래의 기술은 소화전 글자의 텍스트가 고전적 이미지이기 때문에 일견 한 눈에 떠오르지 않음은 물론 한글만 부착되어 있어 외국인이 긴급히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발생 되었다.
더하여 상기 종래의 기술은 소화전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는 이미지가 없기 때문에 인식률 저하에 따른 긴급한 화재 상황시 신속히 화재를 진압할 수 없다는 커다란 문제점도 발생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상,하부도어에 경사면이 형성된 손잡이가 형성되고, 하부도어에는 요철부로 형성된 인식아이콘부와 텍스트부 그리고 인식픽토그램부가 일체로 형성됨을 제1목적으로 한 것이고, 제2목적은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해 화재를 신속히 진압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제3목적은 아울러 외관도 미려하게 하여 보는 이들로 하여금 보기 좋게 한 것이고, 제4목적은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외관과 기능이 개선된 옥내 소화전 커버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고안은 몸체의 내부 상,하단에 각각 상부도어와 하부도어가 구비되고, 상기 상,하부도어의 일측에는 각각 일부분에 작게 손잡이가 형성됨은 물론 이 손잡이에는 푸쉬버튼이 설치되며, 상기 상부도어에는 경보버튼과 표시등 그리고 경보음홀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하부도어에는 '소화전'이라는 텍스트 글자가 가 설치되어 구성된 옥내 소화전 커버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도어의 일측에는 상,하부도어의 전체 세로 길이로 손잡이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외관과 기능이 개선된 옥내 소화전 커버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하부도어에 경사면이 형성된 손잡이가 형성되고, 하부도어에는 요철부로 형성된 인식아이콘부와 텍스트부 그리고 인식픽토그램부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기술적 구성에 의해 화재를 신속히 진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아울러 외관도 미려하게 하여 보는 이들로 하여금 보기 좋게 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인식아이콘부인 이미지화를 통하여 위급시 빠른 이해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은 국내 외국인 증가에 따라 한글은 물론 한문과 영문 등을 조합한 텍스트를 제공함과 아울러 텍스트는 인식이 빠른 가로 고딕체로 이루어게 한 것이다.
더하여 본 고안은 인식픽토그램부를 통해 인식률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효과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켜 소비자로 하여금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효과 달성을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적용된 외관과 기능이 개선된 옥내 소화전 커버는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것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먼저, 본 고안은 종래와 같이 몸체의 내부 상,하단에 각각 상부도어와 하부도어가 구비되고, 상기 상,하부도어의 일측에는 각각 일부분에 작게 손잡이가 형성됨은 물론 이 손잡이에는 푸쉬버튼이 설치되며, 상기 상부도어에는 경보버튼과 표시등 그리고 경보음홀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하부도어에는 '소화전'이라는 텍스트 글자가 가 설치되어 구성된 옥내 소화전 커버에 있어서 이하의 기술적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2(a)(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부도어(11)(15)의 일측에는 상,하부도어(11)(15)의 전체 세로 길이로 손잡이(16a)(16)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손잡이(16a)(16)는 손이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입구가 경사면(17)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에 적용된 상기 하부도어(15)의 정면 상단에는 이미지화를 통하여 위급시 빠른 이해가 가능하도록 요철부로 형성된 인식아이콘부(20)가 하부도어와 일체로 형성된다.
아울러 본 고안에 적용된 상기 하부도어(15)의 정면 중앙에는 고딕체인 텍스트부(한글과 한문 그리고 영문이 포함)를 가로 방향으로 고정 설치하거나 또는 요철부로 형성된 고딕체인 텍스트부(한글과 한문 그리고 영문이 포함)(21)가 하부도어와 일체로 형성된다.
더하여 본 고안에 적용된 상기 하부도어(15)의 정면 하단에는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이 빠르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요철부로 형성된 인식픽토그램부(pictogram)(22)가 하부도어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요철부중 돌출된 '∩'부분과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에는 각각 다른 색상이 도포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는 도 3 과 같이 손잡이(16a)(16)를 상,하부도어(11)(15) 전체가 아니라도 길게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16a)(16)를 상,하부도어(11)(15)의 측면에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의 구성부를 적용함에 있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고안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외관과 기능이 개선된 옥내 소화전 커버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고안은 상,하부도어(11)(15)의 전체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손잡이(16)에 의해 화재를 신속히 진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종래의 소화전에 설치된 손잡이는 작게 형성되기 때문에 긴급 상황시 빨리 손잡이를 잡고 열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고안은 손잡이(16)(16a)가 상,하부도어(11)(15)의 전체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긴급한 상황에서도 손잡이(16)(16a)를 손쉽게 잡고 상,하부도어(11)(15)를 쉽게 오픈시킬 수 있기 때문에 화재를 신속히 진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때 본 고안은 상기 손잡이(16)(16a)의 진입부에 경사면(17)을 형성하여 손이 손쉽게 손잡이(16)(16a)로 삽입되면서 파지할 수 있도록 하여 더욱 손쉽게 손잡이(16)(16a)를 오픈시킬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하부도어(15)에 형성된 인식아이콘부(20)인 이미지화를 통하여 위급시 빠른 이해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즉, 종래에는 하부도어(15)에 위급상황의 글을 스티커로 부착하였으나, 긴급 상황에서 글을 신속히 읽고 판단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므로 본 고안과 같이 인식 아이콘부(20)만을 보고 신속히 위급상황을 파악하여 빠르게 행동으로 옮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본 고안은 하부도어(15)에 국내 외국인 증가에 따라 한글은 물론 한문과 영문 등을 조합한 텍스트부(21)를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텍스트부(21)는 인식이 빠른 가로 고딕체로 이루어게 한 것이다.
더하여 본 고안에 적용된 하부도어(15)의 정면 하단에는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이 빠르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요철부로 형성된 인식픽토그램부(22)를 통해 인식률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은 기존의 종래 옥내 소화전과 전혀 다른 미관을 제공하므로 외관도 미려하게 하여 보는 이들로 하여금 보기 좋게 한 것이다.
본 고안 외관과 기능이 개선된 옥내 소화전 커버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고안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도 1 은 종래 옥내 소화전의 사시도.
도 2 의 (a)는 본 고안에 적용된 옥내 소화전의 사시도이고,
(b)는 본 고안에 적용된 옥내 소화전의 정면도이며,
(c)는 본 고안에 적용된 상,하부도어의 평면도이다.
도 3 은 본 고안에 적용된 옥내 소화전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적용된 옥내 소화전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몸체 11, 15: 상,하부도어
16, 16a: 손잡이 17: 경사면
20: 인식아이콘부 21: 텍스트부
22: 인식픽토그램부

Claims (6)

  1. 삭제
  2. 몸체의 내부 상,하단에 각각 상부도어와 하부도어가 구비되고, 상기 상,하부도어의 일측에는 각각 일부분에 작게 손잡이가 형성됨은 물론 이 손잡이에는 푸쉬버튼이 설치되며, 상기 상부도어에는 경보버튼과 표시등 그리고 경보음홀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하부도어에는 '소화전'이라는 텍스트 글자가 설치되어 구성된 옥내 소화전 커버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도어(11)(15)의 일측에는 세로길이 방향으로 전체면에 손잡이(16a)(16)가 형성되고, 손이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입구가 경사면(17)으로 형성되며, 하부도어의 정면 하단에 요철부로 형성된 인식픽토그램부(22)가 하부도어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요철부 중 돌출된 '∩'부분과 오목하게 들어간 '∪'부분에는 각각 다른 색상이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관과 기능이 개선된 옥내 소화전 커버.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080013524U 2008-10-09 2008-10-09 외관과 기능이 개선된 옥내 소화전 커버 KR2004587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524U KR200458762Y1 (ko) 2008-10-09 2008-10-09 외관과 기능이 개선된 옥내 소화전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524U KR200458762Y1 (ko) 2008-10-09 2008-10-09 외관과 기능이 개선된 옥내 소화전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078U KR20100004078U (ko) 2010-04-19
KR200458762Y1 true KR200458762Y1 (ko) 2012-03-07

Family

ID=44450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3524U KR200458762Y1 (ko) 2008-10-09 2008-10-09 외관과 기능이 개선된 옥내 소화전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76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66925A (zh) * 2016-11-18 2018-05-25 天津津赫深科技发展有限公司 消防技术服务消火栓箱
CN110478838A (zh) * 2019-09-19 2019-11-22 江苏泰华消防电气设备有限公司 一种能迅速开门的消火栓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8012A (ja) * 1999-06-18 2001-03-06 Hochiki Corp 消火栓装置
JP2001170199A (ja) * 1999-12-17 2001-06-26 Nohmi Bosai Ltd 消火栓装置
KR200371791Y1 (ko) * 2004-10-07 2005-01-15 다우전자통신 주식회사 식별이 용이한 소화기 위치 표시 장치
KR200419174Y1 (ko) * 2006-03-18 2006-06-16 연규문 외관과 기능이 개선된 옥내소화전 커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8012A (ja) * 1999-06-18 2001-03-06 Hochiki Corp 消火栓装置
JP2001170199A (ja) * 1999-12-17 2001-06-26 Nohmi Bosai Ltd 消火栓装置
KR200371791Y1 (ko) * 2004-10-07 2005-01-15 다우전자통신 주식회사 식별이 용이한 소화기 위치 표시 장치
KR200419174Y1 (ko) * 2006-03-18 2006-06-16 연규문 외관과 기능이 개선된 옥내소화전 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4078U (ko) 2010-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70027B2 (en) Structurally-installed access device for accepting connection by a fire hose nozzle to introduce firefighting fluid into an enclosed space of a structure
WO2010042956A3 (en) Apparatus for reducing the incidence of tampering with automatic fire sprinkler assemblies
US20070261312A1 (en) Smoke proof door jamb
KR200458762Y1 (ko) 외관과 기능이 개선된 옥내 소화전 커버
ITPE20120002A1 (it) Rubinetto elettronico con sensore ad infrarossi
AU307525S (en) A grey respiratory mask having black lines of demarcation
CN207420384U (zh) 一种智能防火卷帘门
CN104847224A (zh) 一种平开型内开式安全门
KR200419174Y1 (ko) 외관과 기능이 개선된 옥내소화전 커버
KR20120007271U (ko) 야간식별기능을 갖는 맨홀
FR2977619B1 (fr) Dispositif de verrouillage et de deverrouillage d&#39;au moins un element de recouvrement sur un cadre de support de cet element
CN204663306U (zh) 一种平开型内开式安全门
CN106229851A (zh) 防水配电柜
KR200432993Y1 (ko) 안전 창문 구조
US20170074419A1 (en) Gas Fixture Safety Cover
CN202689277U (zh) 一种应用于幕墙的隐藏式开窗通风结构
CN206477752U (zh) 一种暗装新型消防栓安装结构
CN213175384U (zh) 一种防火型铝合金门窗
CN210431673U (zh) 一种具有安防报警功能的楼宇对讲装置
CN204745404U (zh) 一种盲人逃生指引装置
GR20100100445A (el) Τεντα τυπου περγκολα με κρυφο μηχανισμο αυτοματης ασφαλισης και απασφαλισης
GR1008729B (el) Κυτιο ασφαλειας προσωρινης φυλαξης τιμαλφων με ηλεκτρονικη κλειδαρια
CN207813384U (zh) 屏蔽门整体式装饰结构
CN207470044U (zh) 一种防火警报门
CN208089947U (zh) 一种全通径陶瓷暗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B701 Decision to gr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0

Year of fee payment: 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