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601Y1 - 집게차량용 무선 전자척시스템 - Google Patents

집게차량용 무선 전자척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601Y1
KR200458601Y1 KR2020110010018U KR20110010018U KR200458601Y1 KR 200458601 Y1 KR200458601 Y1 KR 200458601Y1 KR 2020110010018 U KR2020110010018 U KR 2020110010018U KR 20110010018 U KR20110010018 U KR 20110010018U KR 200458601 Y1 KR200458601 Y1 KR 2004586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ower
chuck
power connection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00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기
Original Assignee
한승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기 filed Critical 한승기
Priority to KR20201100100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6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6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60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04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agnetic means
    • B66C1/06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agnetic means electromagne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40Applications of devices for transmitting control pulses; Applications of remote control devices
    • B66C13/44Electrical transmi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집게차량용 무선 전자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집게차량의 붐(M)에 연결되는 집게부(100); 집게부(100)의 아암(140)들이 결합 또는 분리되는 착탈부(210)와, 착탈부(210)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척몸체(220)와, 척몸체(220)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코일(C)이 권횐된 코어(F)와, 코일(C)의 한선과 척몸체(220)를 연결하는 코일접지선(C1)과, 코일(C)의 다른 선과 연결된 코일전원선(C2)을 포함하는 전자척(200); 집게부(100)의 연결몸체(1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집게차량의 배터리(G) 또는 발전기의 전원선(W2)과 연결되는 제1전원연결부(300); 집게부(100)의 회전몸체(120)에 설치되어 그 회전몸체(120)가 회전되는 동안 제1전원연결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전원연결부(400); 아암(140)들 내측의 연장몸체(13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2전원연결부(400)와 매개전원선(W3)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전원연결부(500); 및 전자척의 착탈부(210)에 설치되어 아암(140)들이 착탈부(210)에 결합할 때 제3전원연결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코일전원선(C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4전원연결부(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집게차량용 무선 전자척시스템{A cableless magnetic chuck for crane car}
본 고안은 집게차량용 무선 전자척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집게 아암이 전자척에 결합될 때, 별도의 전원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고도 전자척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집게차량용 무선 전자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집게차량용 전자척시스템이란, 집게차량의 붐에 연결된 집게부에 결합되어, 철 재질로 이루어진 스크랩을 자력으로 흡착하여 운반하거나, 여러 대상물로부터 스크랩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전자척시스템은, 집게의 아암에 결합되는 척몸체와, 척몸체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코일이 권회된 코어와, 척몸체에 설치되어 코일의 2선이 연결되는 단자와, 단자와 연결되어 + 및 -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케이블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전자척이 집게의 아암에 결합된 상태에서, 집게차량 배터리의 + 극과 - 극을 연결한 케이블을 척몸체에 설치된 2개의 단자에 연결하면 코일로 전원이 인가되어 자기장이 발생되고, 이러한 자기장에 의하여 전자척은 전자석이 되어 스크랩을 흡착시키게 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전자척시스템이 사용되는 환경은 매우 가혹하기 때문에, 전자척이 스크랩을 흡착 및 운반하는 과정에서 전원케이블이 스크랩과의 접촉에 의하여 피복이 벗겨져 합선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많았고, 이에 따라 전자척의 작동이 멈추곤 하였다.
또한 전자척은 전원케이블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집게로 전자척을 회전시킬 경우 케이블이 꼬이면서 파손되었고, 작업시 전원케이블이 꼬이지 않도록 집게를 180 ° 범위내에서만 조심스럽게 회전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흡착된 스크랩의 위치를 180 ° 상 회전시키고자 할 경우, 먼저 전자척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스크랩을 분리시킨 후 전자척을 회전시키고, 이후 전자척에 전원을 다시 인가하여 바닥에 떨어진 스크랩을 흡착하는 등의 번거로운 과정을 반복하여야 하였고, 이에 따라 작업성이 나쁘게 되었다.
또한 전자척을 전원케이블로 연결하는 과정이나, 사용이 완료된 후 전원케이블을 분리하는 과정이 번거로웠다. 특히, 겨울에 전원케이블을 전자척에 감은 상태로 외부에 보관할 때, 차가운 기온에 의하여 딱딱해진 전원케이블을 펼쳐서 전자척과 연결하는 과정에서 전원케이블이 손상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별도의 전원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고 전자척이 집게의 아암에 결합될 때 될 자동으로 전원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어 전원케이블을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생략할 수 있고, 스크랩을 흡착한 전자척을 360°이상 회전시킬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집게차량용 무선 전자척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기존 집게차량의 집게부 및 전자척을 간단히 개조하여 구현할 수 있는 집게차량용 무선 전자척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집게차량용 무선 전자척시스템은, 집게차량의 붐(M)에 연결되는 연결몸체(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인가되는 유압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몸체(120)와, 상기 회전몸체(120)의 하부로 연장되는 연장몸체(130)와, 상기 연장몸체(130)에 방사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인가되는 유압에 의하여 벌어지거나 오무려지는 다수의 아암(140)을 포함하는 집게부(100); 상기 아암(140)들이 결합 또는 분리되는 착탈부(210)와, 상기 착탈부(210)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척몸체(220)와, 상기 척몸체(220)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코일(C)이 권횐된 코어(F)와, 상기 코일(C)의 한선과 상기 척몸체(220)를 연결하는 코일접지선(C1)과, 상기 코일(C)의 다른 선과 연결된 코일전원선(C2)을 포함하는 전자척(200); 상기 연결몸체(1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집게차량의 배터리(G) 또는 발전기의 전원선(W2)과 연결되는 제1전원연결부(300); 상기 회전몸체(120)에 설치되어 그 회전몸체(120)가 회전되는 동안 상기 제1전원연결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전원연결부(400); 상기 아암(140)들 내측의 상기 연장몸체(13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전원연결부(400)와 매개전원선(W3)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전원연결부(500); 및 상기 전자척의 착탈부(210)에 설치되어 상기 아암(140)들이 상기 착탈부(210)에 결합할 때 상기 제3전원연결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코일전원선(C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4전원연결부(600);를 포함하고;
상기 제3전원연결부(500)는, 상기 연장몸체(130) 바닥에 용접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으로서 일측에 관통공(515)이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링형태를 가지는 고정링플레이트(510)와, 상기 고정링플레이트(510)의 하부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4전원연결부(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링플레이트(520)와, 상기 고정링플레이트(510)와 전극링플레이트(520)를 부착함과 동시에 절연시키는 절연링플레이트(530)와, 상기 전극링플레이트(520)에 연결되어 상기 관통공(515)과 접촉되지 않게 상기 고정링플레이트(510)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전극단(540)과, 상기 고정링플레이트(510)에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전극단(540)을 외부에서 보호하기 위한 보호관(550)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연결부(300)는, 상기 연결몸체(110)에 고정되는 브라켓(310)과, 상기 전원선(W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전극봉(320)과, 상기 전극봉(320)과 브라켓(310) 사이를 절연하는 전극봉절연부(330)와, 상기 전극봉(320)을 하방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34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전원연결부(300)는, 상기 전극봉절연부(330)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전극봉(320)의 단부만 노출시키도록 상기 제2전원연결부(400)까지 연장된 서브전극봉절연부(331)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전극봉(320)은 상기 제2전원연결부(400)의 슬라이드단자(400a)에서 움직일 때 스파크가 발생되지 않도록 탄소전극으로 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2전원연결부(400)는, 상기 회전몸체(120)의 주위를 감싸는 절연링(410)과, 상기 절연링(41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결합시 링형태가 되는 제1,2반링(420)(430)과, 상기 제1반링(420)의 양단에 형성된 제1결합단(425)과, 상기 제2반링(430)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단(425)에 결합되는 제2결합단(435)을 포함하며; 상기 제1,2반링(420)(430)이 결합될 때 상부면에 상기 제1전원연결부의 전극봉(320)이 밀착되는 편편한 슬라이드단자(400a)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2반링(420)(430)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힘에도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단면이 사각형 형태로 구현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제4전원연결부(600)는, 상기 척몸체(220) 상부측에 고정되는 플랜지(615)가 형성된 지지브라켓(610)과, 상기 코일전원선(C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샤프트(620)와, 상기 샤프트(620)와 지지브라켓(610) 사이를 절연하는 샤프트절연부(630)와, 상기 샤프트(620)를 제3전원연결부(500)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640)과, 상기 샤프트(620)에 설치되어 전극링플레이트(520)에 접촉되는 단자(65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단자(650)는 상기 샤프트(620)에 착탈된다.
삭제
본 고안에 따르면, 집게부의 아암이 전자척의 착탈부에 결합할 때, 배터리 또는 발전기의 전원이 전자척에 자동으로 연결되어, 별도의 전원케이블을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생략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별도의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서 전자척을 360°이상 회전시킬 수 있어 스크랩의 청소작업뿐만 아니라, 철제물의 운반 및 적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시판되고 있는 규격화된 집게부 및 전자척을 간단히 개조하여 구현할 수 있어 적용이 매우 용이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무선 전자척시스템이 집게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무선 전자척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2의 제1전원연결부 및 제2전원연결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2의 제2전연연결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제1,2전극링의 측면도,
도 6은 도 2의 제3전원연결부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VII-VII' 선을 따른 단면도,
도 8은 도 2의 제4전원연결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집게차량용 무선 전자척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무선 전자척시스템이 집게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무선 전자척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의 제1전원연결부 및 제2전원연결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 도 4는 도 2의 제2전연연결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제1,2전극링의 측면도이며, 도 6은 도 2의 제3전원연결부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VII-VII' 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2의 제4전원연결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고안은 기존의 집게차량용 집게부와 전자척을 간단히 개조함으로써, 집게부의 아암이 전자척에 결합될 때 자동으로 전자척으로 전원을 인가할 수 있는 집제차용 무선 전자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다른 집게차량용 무선 전자척시스템은, 집게차량의 붐(M)에 연결되는 집게부(100)와, 집게부(100)에 착탈되는 전자척(200)과, 집게부(100)에 전자척(200)이 결합될 때 전자척(200)으로 전원을 자동으로 인가하는 전원연결구조를 포함한다.
집게부(100)는, 집게차량의 붐(M)에 연결되는 연결몸체(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인가되는 유압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몸체(120)와, 회전몸체(120)의 하부로 연장되는 연장몸체(130)와, 연장몸체(130)에 방사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인가되는 유압에 의하여 벌어지거나 오무려지는 다수의 아암(140)을 포함한다.
연결몸체(110)는 붐(M)의 단부에 연결되고, 회전몸체(120)는 인가되는 유압에 의하여 연결몸체(110)에 대하여 360° 회전된다. 또 아암(140)은 연장몸체(130)와 연결되는 유압실린더(145)에 의하여 오무려지거나 벌어지게 된다. 이때 아암(140)들이 상호 오무려질 때 아암(140)들은 후술할 전자척(200)의 착탈부(210)에 결합되고, 벌어지면 착탈부(210)로부터 분리된다. 이러한 연결몸체(110), 회전몸체(120), 연장몸체(130), 아암(140) 및 유압실린더(145)는 집게에 채용되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차척(200)은, 아암(140)들이 결합 또는 분리되는 착탈부(210)와, 착탈부(210)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척몸체(220)와, 척몸체(220)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코일(C)이 권횐된 코어(F)와, 코일(C)의 한선과 척몸체(220)를 연결하는 코일접지선(C1)과, 코일(C)의 다른 선과 연결된 코일전원선(C2)을 포함한다.
여기서, 집게차량의 배터리(G) 또는 발전기와 연결되는 전원선중 한선은 집게차량의 차체에 접지된 접지선(W1)으로 정의하고, 배터리(G) 또는 발전기와 연결되는 전원선중 다른 한선은 후술할 제1전원연결부(300)와 연결되는 전원선(W2)으로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용이한 설명을 위하여, 접지선(W1) 및 전원선(W2)은 배터리(G)와 연결된 것으로 설명하나, 발전기와도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원연결구조는, 연결몸체(1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집게차량의 배터리(G) 또는 발전기의 전원선(W2)과 연결되는 제1전원연결부(300)와; 회전몸체(120)에 설치되어 그 회전몸체(120)가 회전되는 동안 제1전원연결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전원연결부(400)와; 아암(140)들 내측의 연장몸체(13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2전원연결부(400)와 매개전원선(W3)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전원연결부(500)와; 전자척의 착탈부(210)에 설치되어 아암(140)들이 착탈부(210)에 결합할 때 제3전원연결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코일전원선(C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4전원연결부(600);를 포함한다.
한편, 집게부(100)는 그 내부에 오일이 순한되는 복잡한 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여러개의 실(seal)에 의하여 실링처리되며, 용접 및 볼트등에 의하여 복잡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집게부(100)는 전문 생산업체 외에는 분해가 불가능하다. 본 고안에 있어, 제1,2,3전원연결부(300)(400)(500)는 집게부(100)를 분해하지 않고 집게부(100)에 설치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특수한 구조를 가진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전원연결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몸체(110)에 용접에 의하여 고정되는 브라켓(310)과, 집게차량의 배터리(G) 또는 발전기의 전원선(W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전극봉(320)과, 전극봉(320)과 브라켓(310) 사이를 절연하는 전극봉절연부(330)와, 전극봉(320)을 하방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340)을 포함한다.
이때 전극봉절연부(330)에는, 후술할 제2전원연결부(400)의 제1,2반링(420)(430)에 근접한 위치까지 연장되어 전극봉(320)의 단부만 노출시키는 서브전극봉절연부(331)가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본원의 전자척시스템을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많은 쇳가루가 날리는데, 스크랩을 청소하는 과정이나, 철제물을 운반 및 분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쇳가루가 전극봉(320)과 연결몸체(120) 사이에 쌓이거나 끼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전기적인 쇼트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쇼트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전원연결부(300)는 전극봉(320)의 단부만 돌출시킴으로써, 전극봉(320)과 연결몸체(110) 사이를 완전히 절연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서브전극봉절연부(331)를 채용하는 것이다.
또한 전자척에는 60~70 암페어 이상의 고전류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전극봉(320)은 후술할 제2전원연결부(400)의 슬라이드단자(400a)에서 움직이는 동안에 스파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파크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극봉은 탄소전극으로 구현된다.
제2전원연결부(400)는 회전몸체(120)에 설치되어 그 회전몸체(120)가 회전되는 동안 제1전원연결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제2전원연결부(400)가 회전몸체(120)에 설치되기 위하여,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몸체(120)의 주위를 감싸는 절연링(410)과, 절연링(41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결합시 링형태가 되는 제1,2반링(420)(430)과, 제1반링(420)의 양단에 형성된 제1결합단(425)과, 제2반링(430)의 양단에 형성되어 제1결합단(425)과 결합되는 제2결합단(435)을 포함한다. 이때 절연링(410)은 합성수지계열의 재질의 띠부재를 회전몸체(120)의 주변을 감아서 구현되고, 제1,2결합단(425)(535)에는 관통공(425a)(435a)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제1,2반링(420)(430)은 전류가 잘 흐를 수 있도록 저항이 낮은 금속재질로 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절연링(410) 외주면에 제1,2반링(420)(430)을 밀착시킨 후 제1,2결합단(425)(435)을의 관통공(425a)(435a)을 관통하는 볼트 및 너트로 체결하면, 제1,2반링(420)(430)은 회전몸체(120)와 절연된 상태에서 링형태를 이루며 절연링(120)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것이다.
제1,2반링(420)(430)이 결합되었을 그 상부면에 전극봉(320)이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도록 편편한 슬라이드단자(400a)가 형성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제1,2반링(420)(430)이 결합된 부분을 그라인딩 처리하여 단차가 형성되지 않게 한다. 이러한 슬라이드단자(400a)에 제1전원연결부(300)의 전극봉(320)이 밀착되며, 전극봉(320)이 슬라이드단자(400a)에서 슬라이딩되게 움직이면서 항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한편 제1,2반링(420)(430)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힘에도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단면이 사각형 형태로 구현된다. 이는 기술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붐대(M)에 연결된 집게부(100)의 무게는 수백Kg 에 달하는데, 집게부(100)는 평소에 붐대(M)에서 분리된 후 바닥에 놓여져 방치된다. 이때 집게부(100)는 전체적으로 구형 형태이기 때문에 바닥에, 붐대(M)로부터 집게부(100)를 분리하는 순간 바닥에서 구르는 일이 빈번하다. 이 과정에서 제1,2반링(420)(430)이 바닥에 닿게 되면 수백 Kg의 무게가 인가되고, 이때 제1,2반링(420)(430)이 파손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1,2반링(420)(430)은 단면이 사각형 구조가 되어야 하는 것이다. 또한 단면이 사각형 구조가 됨으로써, 제1,2반링(420)(430)이 결합할 때 그 상부면에 편편한 슬라이드단자(400a)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제3전원연결부(500)는, 도 2,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몸체(130) 바닥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일측에 관통공(515)이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링형태를 가지는 고정링플레이트(510)와, 고정링플레이트(510)의 하부측에 위치되며 제4전원연결부(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링플레이트(520)와, 고정링플레이트(510)와 전극링플레이트(520)를 부착함과 동시에 절연시키는 절연링플레이트(530)와, 전극링플레이트(520)에서 연결되어 관통공(515)과 접촉되지 않게 고정링플레이트(510)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전극단(540)과, 고정링플레이트(510)에서 돌출되게 설치되어 전극단(540)을 외부에서 보호하기 위한 보호관(550)과, 보호관(550)과 전극단(540) 사이를 절연시키는 절연체(560)를 포함한다.
이때 고정링플레이트(5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몸체(130)의 바닥에 용접되어 고정된다. 또 전극링플레이트(520)는 후술할 제4전원연결부(600)의 샤프트(620)의 단자(650)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도통상태가 되게 한다. 그리고 절연링플레이트(530)는 고정링플레이트(510)와 전극링플레이트(520) 사이를 절연시킴과 동시에 상호 부착시키며,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절연링플레이트(530)는 합성고무 재질, 예를 들면 우레탄 고무로 된다.
제4전원연결부(600)는, 도 2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몸체(220) 상부측 착탈부(210)에 고정되는 플랜지(615)가 형성된 지지브라켓(610)과, 코일전원선(C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지지브라켓(610)으로부터 돌출되는 샤프트(620)와, 샤프트(620)와 지지브라켓(610) 사이를 절연하는 샤프트절연부(630)와, 샤프트(620)를 제3전원연결부(500)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640)과, 샤프트(620)에 설치되어 전극링플레이트(520)에 접촉되는 단자(650)를 포함한다.
이때 단자(650)는 샤프트(620)에 착타 가능하며,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샤프트(620)에 나사홈(620a)이 형성되고, 단자(650)의 하단에 나사홈(620a)에 나사결합되는 볼트부(650a)가 형성된다. 이러한 단자(650)는 구리에 아연을 혼합하여 구현된 전기전도율이 높은 신주(copper) 재질로 된다.
또한 단자(650) 내부에는 자석(660)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자석(660)의 자력은 단자(650)를 전극링플레이트(520)에 더욱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전자척(200)에는 코일전원선(C2)과 연결되는 보조전원연결부(700)가 설치될 수 있다. 보조전원연결부(700)는 제1,2,3,4전원연결부(300)(400)(500)(600)에 고장이 발생될 경우, 배터리(G)와 연결된 전원선(W2)을 별도의 전원케이블(미도시)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보조전원연결부(700)는 척몸체(2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절연브라켓(710)과, 절연브라켓(7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코일전원선(C2)과 연결되는 보조전극(720)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별도의 전원케이블(미도시)을 이용하여 전원선(W2)과 보조전극(720)을 연결하면, 제1,2,3,4전원연결부(300)(400)(500)(600)에 고장이 발생하더라도 전자척(200)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원의 집게차량용 무선 전자척시스템에 따르면, 집게부(100)의 아암(140)이 전자척(200)의 착탈부(210)에 결합되는 것에 의하여 전자척(200)은 차량의 배터리(G) 또는 발전기와 자연스럽게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또한 아암(140)들이 착탈부(210)로부터 분리되는 것에 의하여 배터리(G) 또는 발전기와 자연스럽게 전기적으로 분리된다. 따라서 전자척(200)을 구동하기 위하여 별도의 전원케이블을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전자척(200)을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전원케이블의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전자척(360)을 360°이상 회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전자척과 같이 스크랩 또는 철제물과 같은 흡착대상물의 위치를 360°이상 회전시키기 위하여, 흡착대상물을 전자척으로부터 분리시키고 다시 흡착하는 번거로운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결국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기존에 현재 시판되고 있는 규격화된 집게부 및 전자척을 간단히 개조하여 구현할 수 있으므로 적용이 매우 용이하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0 ... 집게부 110 ... 연결몸체
120 ... 회전몸체 130 ... 연장몸체
140 ... 아암 145 ... 유압실린더
200 ... 전자척 210 ... 착탈부
220 ... 척몸체 300 ... 제1전원연결부
310 ... 브라켓 320 ... 전극봉
330 ... 전극봉절연부 331 ... 서브전극봉절연부
340 ... 스프링 400 ... 제2전원연결부
400a ... 슬라이드단자 410 ... 절연링
420, 430 ... 제1,2반링 425, 435 ... 제1,2결합단
500 ... 제3전원연결부 510 ... 고정링플레이트
515 ... 관통공 520 ... 전극링플레이트
530 ... 절연링플레이트 540 ... 전극단
550 ... 보호관 560 ... 절연체
600 ... 제4전원연결부 610 ... 지지브라켓
615 ... 플랜지 620 ... 샤프트
630 ... 샤프트절연부 640 ... 스프링
650 ... 단자 700 ... 보조전원연결부
710 ... 절연브라켓 720 ... 보조전극
C ... 코일 C1 ... 코일접지선
C2 ... 코일전원선 W1 ... 접지선
W2 ... 전원선

Claims (9)

  1. 집게차량의 붐(M)에 연결되는 연결몸체(1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인가되는 유압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몸체(120)와, 상기 회전몸체(120)의 하부로 연장되는 연장몸체(130)와, 상기 연장몸체(130)에 방사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인가되는 유압에 의하여 벌어지거나 오무려지는 다수의 아암(140)을 포함하는 집게부(100);
    상기 아암(140)들이 결합 또는 분리되는 착탈부(210)와, 상기 착탈부(210)의 하부측에 설치되는 척몸체(220)와, 상기 척몸체(220)에 내장되는 것으로서 코일(C)이 권횐된 코어(F)와, 상기 코일(C)의 한선과 상기 척몸체(220)를 연결하는 코일접지선(C1)과, 상기 코일(C)의 다른 선과 연결된 코일전원선(C2)을 포함하는 전자척(200);
    상기 연결몸체(1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집게차량의 배터리(G) 또는 발전기의 전원선(W2)과 연결되는 제1전원연결부(300);
    상기 회전몸체(120)에 설치되어 그 회전몸체(120)가 회전되는 동안 상기 제1전원연결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전원연결부(400);
    상기 아암(140)들 내측의 상기 연장몸체(13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2전원연결부(400)와 매개전원선(W3)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3전원연결부(500); 및
    상기 전자척의 착탈부(210)에 설치되어 상기 아암(140)들이 상기 착탈부(210)에 결합할 때 상기 제3전원연결부(5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코일전원선(C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4전원연결부(600);를 포함하고;
    상기 제3전원연결부(500)는, 상기 연장몸체(130) 바닥에 용접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으로서 일측에 관통공(515)이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링형태를 가지는 고정링플레이트(510)와, 상기 고정링플레이트(510)의 하부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4전원연결부(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극링플레이트(520)와, 상기 고정링플레이트(510)와 전극링플레이트(520)를 부착함과 동시에 절연시키는 절연링플레이트(530)와, 상기 전극링플레이트(520)에 연결되어 상기 관통공(515)과 접촉되지 않게 상기 고정링플레이트(510)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전극단(540)과, 상기 고정링플레이트(510)에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전극단(540)을 외부에서 보호하기 위한 보호관(5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차량용 무선 전자척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연결부(300)는,
    상기 연결몸체(110)에 고정되는 브라켓(310)과, 상기 전원선(W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전극봉(320)과, 상기 전극봉(320)과 브라켓(310) 사이를 절연하는 전극봉절연부(330)와, 상기 전극봉(320)을 하방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3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차량용 무선 전자척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연결부(300)는,
    상기 전극봉절연부(330)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전극봉(320)의 단부만 노출시키도록 상기 제2전원연결부(400)까지 연장된 서브전극봉절연부(33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차량용 무선 전자척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봉(320)은 상기 제2전원연결부(400)의 슬라이드단자(400a)에서 움직일 때 스파크가 발생되지 않도록 탄소전극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차량용 무선 전자척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원연결부(400)는,
    상기 회전몸체(120)의 주위를 감싸는 절연링(410)과, 상기 절연링(410)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결합시 링형태가 되는 제1,2반링(420)(430)과, 상기 제1반링(420)의 양단에 형성된 제1결합단(425)과, 상기 제2반링(430)의 양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결합단(425)에 결합되는 제2결합단(435)을 포함하며;
    상기 제1,2반링(420)(430)이 결합될 때 상부면에 상기 제1전원연결부의 전극봉(320)이 밀착되는 편편한 슬라이드단자(400a)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차량용 무선 전자척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반링(420)(430)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힘에도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단면이 사각형 형태로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차량용 무선 전자척시스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전원연결부(600)는,
    상기 척몸체(220) 상부측에 고정되는 플랜지(615)가 형성된 지지브라켓(610)과, 상기 코일전원선(C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샤프트(620)와, 상기 샤프트(620)와 지지브라켓(610) 사이를 절연하는 샤프트절연부(630)와, 상기 샤프트(620)를 제3전원연결부(500)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스프링(640)과, 상기 샤프트(620)에 설치되어 전극링플레이트(520)에 접촉되는 단자(6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차량용 무선 전자척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650)는 상기 샤프트(620)에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게차량용 무선 전자척시스템.
KR2020110010018U 2011-11-11 2011-11-11 집게차량용 무선 전자척시스템 KR2004586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018U KR200458601Y1 (ko) 2011-11-11 2011-11-11 집게차량용 무선 전자척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0018U KR200458601Y1 (ko) 2011-11-11 2011-11-11 집게차량용 무선 전자척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8601Y1 true KR200458601Y1 (ko) 2012-03-05

Family

ID=53676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0018U KR200458601Y1 (ko) 2011-11-11 2011-11-11 집게차량용 무선 전자척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6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3607B1 (ko) * 2016-04-29 2017-12-29 (주)진우산업기계 집게차량용 전자척 구동을 위한 무한회전형 전력중계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127Y1 (ko) 1999-09-04 2000-04-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크레인용 강판코일 리프터의 전원 공급장치
KR101052267B1 (ko) * 2011-01-21 2011-07-27 한승기 집게장착식 전자척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127Y1 (ko) 1999-09-04 2000-04-15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크레인용 강판코일 리프터의 전원 공급장치
KR101052267B1 (ko) * 2011-01-21 2011-07-27 한승기 집게장착식 전자척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3607B1 (ko) * 2016-04-29 2017-12-29 (주)진우산업기계 집게차량용 전자척 구동을 위한 무한회전형 전력중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849737Y (zh) 高压抽能供电的送电线路微风振动监测装置
KR200458601Y1 (ko) 집게차량용 무선 전자척시스템
KR101052267B1 (ko) 집게장착식 전자척시스템
CN202816779U (zh) 固体绝缘极柱
CN202523948U (zh) 电焊设备的可移动式接地保护装置
KR101194892B1 (ko) 집게차량용 전자척의 전원공급장치
CN104051874A (zh) 一种旋转式接地线夹
CN2847249Y (zh) 一种高压抽能供电的送电线路温度监测装置
CN207925831U (zh) 一种gis避雷器的隔离断口组件
CN204205093U (zh) 验电接地环
CN203983530U (zh) 一种旋转式接地线夹
CN202661488U (zh) 一种在线监测专用末屏引出结构
CN201576903U (zh) 带电作业高压引流遮蔽罩
CN204190345U (zh) 110kV及以上带漏电检测型交叉互联保护接地箱
CN203377426U (zh) 一种防爆插销
CN110620000A (zh) 电压互感器及其屏蔽罩
CN210517718U (zh) 一种适用10kV及以下架空导线防护套管
CN204760567U (zh) 绝缘导线l型连接端子
CN104103337A (zh) 一种扁体连接的石墨电缆
CN205248485U (zh) 电焊机二次线跨接接头
CN201812601U (zh) 防雷支柱复合绝缘子
CN201477971U (zh) 大电流导体锥面密封水冷电缆
CN111463595A (zh) 一种多功能引流接地装置
CN107919640B (zh) 一种高压同轴电缆对接可切换的连接箱
CN211790396U (zh) Gis用小型化接地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