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572Y1 - 싱크대의 내공간 활용이 가능한 난방 분배기 - Google Patents

싱크대의 내공간 활용이 가능한 난방 분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572Y1
KR200458572Y1 KR2020080010588U KR20080010588U KR200458572Y1 KR 200458572 Y1 KR200458572 Y1 KR 200458572Y1 KR 2020080010588 U KR2020080010588 U KR 2020080010588U KR 20080010588 U KR20080010588 U KR 20080010588U KR 200458572 Y1 KR200458572 Y1 KR 2004585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floor
distributor
sink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05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1738U (ko
Inventor
홍성화
홍석기
Original Assignee
홍석기
홍성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석기, 홍성화 filed Critical 홍석기
Priority to KR20200800105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572Y1/ko
Publication of KR201000017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7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5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5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 F24D3/1066Distributors for heating liquid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6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the branch pipe comprising fluid cut-off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난방용 분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러한 분배기를 싱크대 내부에 설치할 경우 싱크대의 내공간 활용이 우수하도록 건물의 난방 바닥면에 매립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면서, 매립 설치 시 바닥면에의 수평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바닥면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에도 난방배관의 연결 작업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현재 싱크대의 내부에 설치되는 분배기는 측면직립판의 상,하부에 결합 고정된 급수관과 회수관이 건물의 난방 바닥면에 수평으로 매립되어진 난방배관을 상측으로 구부려 연결할 수 있도록 바닥면에서 충분한 이격 높이를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측면직립판의 높이도 동시에 높게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싱크대 내부에의 설치 시 내공간 활용이 어렵다는 것이다.
따라서 분배기의 하부를 건물의 난방 바닥면에 매립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싱크대 내부에서의 분배기 높이가 낮아지도록 하는 방안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러한 매립형 분배기는 통상 건물의 바닥면 표면이 균일치 못하여 수평 구배가 맞지 않기 때문에 매립 설치가 용이치 않고, 바닥면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 바닥면에 매립된 난방배관과 난방배관이 연결되는 분기관과의 이격 거리가 작업 공간이 없을 정도로 짧을 경우 난방배관의 연결 작업이 용이치 않거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분배기는, 측면직립판의 하측단으로 건물의 바닥면에 매립 되는 매립부를 형성하여 싱크대의 내공간을 차지하는 측면직립판의 높이를 낮게 하여 싱크대의 내공간 활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고, 상기 매립부의 하측단 전, 후방으로는 바닥면의 표면 상태 및 두께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여 바닥면에의 수평 유지 및 바닥면과 분배관과의 이격 거리 조정을 통한 분배기 설치의 용이화 및 난방배관 연결 작업의 용이화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바닥난방, 분배기, 싱크대, 공간활용, 매립, 높이조절

Description

싱크대의 내공간 활용이 가능한 난방 분배기{a heating dispensor}
본 고안은 각방의 난방을 위하여 설치되는 분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러한 분배기를 싱크대 내부에 설치할 경우 싱크대의 내공간 활용이 우수하도록 건물의 난방 바닥면에 매립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면서, 매립 설치 시 바닥면에의 수평 유지가 가능하도록 하여 바닥면이 균일하지 못할 경우에도 설치의 용이성을 갖도록 하는 한편 바닥면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에도 난방배관의 연결 작업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현재 싱크대의 내부에 설치되는 난방 분배기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100)의 양측으로 일정한 폭을 갖도록 측면직립판(200)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직립판(200)의 상,하로는 다수개의 분기관(301)(401)을 갖는 급수관(300)과 회수관(400)의 양단이 결합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때 상기 측면직립판(200)의 상.하로 결합고정된 급수관(300)과 회수관(400)은 난방을 요하는 건물의 바닥면에 수평으로 매립되어진 난방배관을 상측으로 구부려 연결할 수 있도록 바닥면에서 충분한 이격 높이를 유지하도록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측면직립판(200)도 동시에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높게 설치되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분배기가 싱크대 내부에 설치될 경우 내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여분 공간이 거의 없었던 것이다.
특히 난방의 자동 온도 조절을 위하여 분기관에 자동온도조절기를 장착시킬 경우에는 싱크대의 내공간 활용이 거의 불가능한 것이었다.
따라서 분배기의 하부를 건물의 난방 바닥면에 매립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싱크대 내부를 차지하게 되는 분배기의 높이를 낮아지도록 하는 방안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매립형 분배기는 매립부의 형성을 위하여 측면직립판의 하측단 폭을 길게 연장시켜야 하기 때문에 건물 바닥면의 전,후방으로 분배기가 고정되도록 하여야 하는데 반하여, 건물의 바닥면은 통상 시멘트나 콘크리트로 시공되어 바닥면의 표면이 균일치 못하기 때문에 바닥면에의 설치 시 수평 구배가 어려워 분배기의 설치가 용이치 않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바닥면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 바닥면에 매립된 난방배관과 난방배관이 연결되는 분기관과의 이격 거리가 난방배관의 연결을 위한 작업 공간이 없을 정도로 짧을 경우 난방배관의 연결 작업 또한 용이치 않거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분배기를 건물의 바닥면에 매립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싱크대의 내공간을 차지하는 높이를 종래보다 낮게 함으로써 싱크대의 내공간 활용이 우수하도록 하고, 바닥면에의 매립 설치를 위한 바닥면에의 고정 시 바닥면의 수평 구배에 따라 전,후방의 높이를 조절하여 수평 유지가 가능하고 바닥면의 두께에 따라 바닥면과의 이격 거리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분배기 설치의 용이화 및 난방배관 연결 작업의 용이화가 가능한 난방 분배기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의 난방 분배기는, 측면직립판의 하측단에 건물 바닥면에 매립된 난방배관을 수평으로 인입시켜 연결할 수 있도록 전방으로 수평되게 절곡된 매립부를 형성하고, 상기 매립부의 하측단 전, 후방으로는 높이조절수단을 형성시킨 것이며 낮은 위치에서도 배관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분기관이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서 배관연결작업의 용이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난방 분배기는, 건물의 난방 바닥면에 매립되게 설치할 수 있어 매립된 만큼 싱크대의 내공간을 차지하게 되는 분배기의 높이가 낮아지게 됨으로써 싱크대에 분배기가 설치된 상태에서도 활용 가능한 내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다양한 수납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건물 난방 바닥면에의 분배기 설치 시, 바닥면이 균일치 못할 경우에도 하여 높이조절수단을 이용하여 분배기의 전,후방 높이를 바닥면의 표면 상태에 따라 조절하여 수평 구배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설치가 용이한 것이다.
또한 바닥면의 두께가 두꺼워 난방배관과의 연결 작업 공간이 협소할 경우, 높이조절수단을 이용하여 바닥면에 고정되는 분배기의 높이를 높게 함은 물론 분기관이 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서 난방배관과 분배기에 형성된 분기관과의 이격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난방배관의 용이한 연결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난방 분배기는, 지지부(10)의 양측으로 일정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측면직립판(11)의 상,하로는 다수 개의 분기관(21)(31)이 각각 형성된 급수관(20)과 회수관(30)이 전,후 단차를 갖도록 장착되고, 상기 급수관의 분기관(21)은 전방으로 하향되게 경사지게 형성되며, 측면직립판(11)의 하측단으로는, 건물의 바닥면에 매립된 난방배관(40)을 수평으로 인입시켜 상기 분기관(21)(31)에 각각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이격 공간(1)의 확보를 위하여, 전방으로 수평되게 절곡되어 돌출된 부분(2)을 형성하고, 상기 돌출된 부분(2)을 포함한 측면지지판(11)의 하단은 바닥면에 매립토록 되는 매립부(12)가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돌출된 부분(2)의 선단으로는 상기 난방배관(40)의 수평연결을 위한 코일배관 관통구(51)를 갖는 마감판(50)이 형성되어 매립 설치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기 매립부(12)의 하측단에는 바닥면에의 결합 고정을 위하여 외측으로 절곡되어진 결합면(12a)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면(12a)의 전,후방으로는 전,후방의 수평 구배를 위한 높이조절수단(60)이 형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수단(60)은 볼트(61)와 너트(62)로 구성되고, 상기 매립부(12)의 결합면(12a) 전,후방으로는 결합홀(12b)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홀(12b)을 통하여 상기 볼트(61)가 결합면(12a)의 상측에서 하측으로 관통되어 너트(62)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상기 너트(62)는 결합면(12a)의 상측으로 상기 결합홀(12b)과 동일 연장선상으로 용접 등 다양한 공지의 방식을 이용하여 형성시키거나, 본 고안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결합홀(12b) 내측에 나사선을 형성시키면 결합홀(12b) 자체가 너트(62)의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높이조절수단(60)은 분배기를 매립 설치하고자 하는 바닥면(1) 저면에 놓은 상태에서 매립부(12)의 결합면(12a) 상측에서 하측으로 볼트(61)를 결합홀(12b)을 통하여 삽입시켜 너트(62)에 의한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때 결합홀(12b)을 통하여 삽입되는 볼트(61)의 깊이에 따라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분배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A)의 저면 상태가 균일치 않아 전,후방의 수평 구배가 맞지 않을 경우, 전,후방으로 삽입되는 볼트(61)의 깊이를 각각 조절하면 수평 구배를 용이하게 맞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급수관(20)과 회수관(30)이 장착되는 지지부(10)의 상,하로는 단차를 갖는 절곡부(11a)(11b)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하 절곡부(11a)(11b)에 의한 직립판(10)의 상하높이가 축소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싱크대 내공간의 활용이 더욱 우수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는 것이고, 절곡부(11b)에 의하여 형성되는 돌출된 부분(2)에 의한 이격공간(1)은 난방배관이 수평결합이 가능토록 하면서 급수관(20)의 분기관(21)은 전방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됨으로 난방배관(40)의 연결이 낮은 위치에서도 결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마감판(50)에 형성된 난방배관 관통구(51)는 상기 분기관(21)(31)각각에 연결되는 난방배관(40) 모두가 하나의 구멍을 통하여 일렬로 관통되도록 양측으로 벌어진 구멍 형태로 형성토록 하여도 가능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구멍 형태로 형성시켜 분기관(21)(31)에 연결되는 난방배관(40) 각각이 정해진 위치를 통하여 관통되어 균일하게 정렬 배치가 가능하도록 하여도 가능하고, 확장된 개구부의 형태로 형성시켜 난방배관(40)의 자유로운 배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코일배관 관통구(51)를 다수개의 구멍 형태로 형성시킬 경우, 마감판(50)의 상,하단으로 2단 배치토록 하여 측면직립판(11)의 전,후방에 장착되는 급수관(20)과 회수관(30)의 장착 위치에 따라 상,하로 연결토록 함으로써 난방배관(40)들이 꼬임 없이 정렬 배치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관 관통구(51)가 개구부(52)의 형태로 형성될 경우에는, 본 고안의 분배기 설치를 위한 바닥면에의 매립 시공 시 개구부(52)를 통한 매립부(12)로의 바닥면 타설물의 인입 방지를 위하여 시공 시 설치되고 시공 후 제거토록 되는 장치가 마련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때에도 급수관(20)의 분기관(21)이 전방으로 하향경지지게 형성됨으로서 낮은 위치에서도 연결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분배기의 경우, 자동온도조절기(70)를 추가 장착시켜 건물의 난방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경우에도, 싱크대의 내공간에 전혀 변함이 없기 때문에 싱크대의 내공간 활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난방 분배기는,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600)가 설치되는 건물의 난방 바닥면(700)의 저면으로 지지부(10)의 매립부(12)와 마감판(50)이 매립되어 건물의 바닥면(700) 상측으로는 지지부(10)의 측면직립부(11)만이 노출되게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설치는, 난방을 위하여 건물의 바닥면(700)에 매립 설치된 난 방배관(40)들을 마감판(50)의 코일배관 관통구(51)를 통하여 매립부(12)의 내측으로 수평되게 인입시켜 각 분배관(21)(31)에 연결시킬 수 있게 되어 코일배관(40)과의 연결 작업이 매립부(12)의 내공간 내에서만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종래에 코일배관(40)의 연결 작업을 위하여 요구되었던 이격 높이만큼이 불필요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분배기에 비하여, 싱크대(600) 내부에 설치되는 난방 분배기의 높이가 그만큼 낮아지게 됨으로써 싱크내 내부를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이 남게 되어 활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코일배관(40)들의 복잡한 연결 상태가 매립부(12)에 의하여 싱크대 내부로 노출되지 않게 됨으로써 싱크대의 개구 시에도 외관의 깔끔함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난방배관이 연결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정면도
도 4는 높이조절수단에 의하여 바닥면에 수평 구배가 이루어진 상태도.
도 5는 또 다른 형태의 마감판이 형성된 본 고안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이 싱크대의 내공간에 설치된 정면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이 싱크대의 내공간에 설치된 측면 상태도.
도 8은 종래의 분배기가 싱크대의 내공간에 설치된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지지부 11: 측면직립판
11a, 1b: 절곡부 12: 매립부
20: 회수관 21: 분기관
30: 급수관 31: 분기관
40: 난방배관 50: 마감판 51: 코일배관 관통구 60: 높이조절수단
61: 볼트 62: 너트

Claims (4)

  1. 지지대(10) 양측의 측면직립판(11) 상,하로는 다수 개의 분기관(21)(31)이 각각 형성된 급수관(20)과 회수관(30)이 전,후 단차를 갖도록 장착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측면직립판(11)의 상,하로는 단차를 갖는 절곡부(11a)(11b)가 형성되어 절곡부(11b)의 전방으로는 돌출되어 지는 돌출된 부분(2)에 의하여 이격공간(1)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된 부분(2)의 전방으로는 관통구(51)를 갖는 마감판(50)이 형성되어 난방배관이 이격공간에 의하여 수평연결이 가능토록 되면서 연결의 용이성을 위하여 급수관(20)의 분기관(21)은 전방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된 부분(2)이 형성된 측면지지판(11)의 하단으로는 매립부(12)가 형성되고,
    상기 매립부(12)의 하측단에는 바닥면에의 결합 고정을 위하여 외측으로 절곡되어진 결합면(12a)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면(12a)의 전,후방으로는 수평 구배를 위한 높이조절수단(60)이 형성되어 싱크대의 내공간 활용이 가능한 난방 분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60)은 너트(62)가 매립부(12)의 외측으로 벌어진 결합홀(12b)이 형성된 결합면(12a)의 상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볼트(61)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결합되면서 높낮이가 조절되어지는 싱크대의 내공간 활용이 가능하도록 된 난방 분배기.
  3. 삭제
  4. 삭제
KR2020080010588U 2008-08-08 2008-08-08 싱크대의 내공간 활용이 가능한 난방 분배기 KR2004585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588U KR200458572Y1 (ko) 2008-08-08 2008-08-08 싱크대의 내공간 활용이 가능한 난방 분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0588U KR200458572Y1 (ko) 2008-08-08 2008-08-08 싱크대의 내공간 활용이 가능한 난방 분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738U KR20100001738U (ko) 2010-02-18
KR200458572Y1 true KR200458572Y1 (ko) 2012-02-21

Family

ID=44449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0588U KR200458572Y1 (ko) 2008-08-08 2008-08-08 싱크대의 내공간 활용이 가능한 난방 분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57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2288U (ko) 2021-03-17 2022-09-26 조재훈 압착연결식 온수분배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683Y1 (ko) * 2006-08-22 2006-11-10 주식회사 동명 분배기함
KR200431528Y1 (ko) * 2006-08-22 2006-11-23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건축사사무소 교체가 용이한 온수분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683Y1 (ko) * 2006-08-22 2006-11-10 주식회사 동명 분배기함
KR200431528Y1 (ko) * 2006-08-22 2006-11-23 주식회사 동우 이앤씨 건축사사무소 교체가 용이한 온수분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738U (ko) 2010-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1584B1 (ko) 입상관용 내화충전 슬리브 어셈블리
KR200458572Y1 (ko) 싱크대의 내공간 활용이 가능한 난방 분배기
KR101465504B1 (ko) 건축물의 외벽 시스템
KR20090002936U (ko) 건축물용 바닥 시공재
KR101056354B1 (ko) 건축 장식용 몰딩 구조체
KR101656623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슬리브
KR100639102B1 (ko) 공동주택 전기설비용 결속행거
KR101030218B1 (ko) 온돌용 난방파이프 고정기구
KR200443777Y1 (ko) 온수분배기를 이용한 개수대 배관연결구
KR200443571Y1 (ko) 매립형 배관 고정장치
KR20090012208U (ko) 싱크대의 내공간 활용이 가능하도록 된 난방 분배기
KR101933502B1 (ko) 난방파이프 고정 철망용 콘크리트 타설 경계구 및 그 경계구 시공방법
KR100644507B1 (ko) 주택내부 바닥의 결속 레일을 이용한 보일러 배관의설치구조
KR101235669B1 (ko) 벽체매립형 이중관보호부재 및 이를 이용한 분배기 배관연결방법
KR20230001691A (ko) 배수접속관
KR200450406Y1 (ko) 매립형 휴지걸이 지지철물
KR20110037651A (ko) 행거 고정구
KR101196101B1 (ko) 온돌용 난방파이프 고정기구
KR200440492Y1 (ko) 배관고정용 이중관
CN215594411U (zh) 板槽式预埋件及采用板槽式预埋件的保温幕墙系统
JP3047096B2 (ja) 給湯器の取付構造
KR20130002676U (ko) 시설물지주 콘크리트 다단기초
KR100825913B1 (ko) 보일러 입출수관 연결함
KR100787605B1 (ko) 지지바 탄발장착형 전기배선박스
KR200387836Y1 (ko) 배관파이프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