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222Y1 - 헬스용 철봉 - Google Patents

헬스용 철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222Y1
KR200458222Y1 KR2020100004973U KR20100004973U KR200458222Y1 KR 200458222 Y1 KR200458222 Y1 KR 200458222Y1 KR 2020100004973 U KR2020100004973 U KR 2020100004973U KR 20100004973 U KR20100004973 U KR 20100004973U KR 200458222 Y1 KR200458222 Y1 KR 2004582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estal
column
coupled
spring
childr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49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0752U (ko
Inventor
김봉태
Original Assignee
김봉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태 filed Critical 김봉태
Priority to KR20201000049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222Y1/ko
Publication of KR201100107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7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2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2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00Horizontal ba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058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resistance
    • A63B21/00069Setting or adjusting the resistance level; Compensating for a preload prior to use, e.g. changing length of resistance or adjusting a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07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 A63B21/0428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the ends moving relatively by linear recipro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헬스용 철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어린이, 여성, 노약자 등 남녀노소의 신장과 몸무게에 상관없이 누구나 손쉽게 운동을 즐기며 팔힘과 근력을 향상시키고 운반 및 설치, 관리가 편리한 헬스용 철봉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헬스용 철봉에 있어서, 바닥 또는 지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세로 받침대(10,11) 및 가로 받침대(18)로 이루어지는 받침대(102)와; 상기 받침대(102)의 세로 받침대(10,11)에 각각 끼워져서 결합되고 상단 외주부에 나사부(30)가 형성되며 내측부에는 결합공(36)이 형성되는 한 쌍의 장력조절기둥(104)과; 상기 장력조절기둥(104)의 나사부(30)에 체결 설치되고 내측부에 나사공(34)이 형성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장력조절구(32)와; 상기 장력조절기둥(104)의 결합공(36)에 세로방향으로 끼워져서 결합되고 상단부에는 가로방향으로 가로 손잡이봉(56)이 고정되는 한쌍의 내측기둥(106)과; 상기 내측기둥(106)의 상부 외측면에 끼워져서 결합되고 상하방향으로 탄력 작용하는 스프링(108)과; 상기 내측기둥(106)에 결합된 스프링(108)의 외측부에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108)이 내삽되어 탄력적으로 가압하도록 결합공(48)이 형성되고 외측부에는 복수개의 받침판(50)을 구비한 한 쌍의 외측기둥(110)과; 상기 외측기둥(110)의 받침판(50)에 고정되고 어린이 및 남녀노소 모두 올라가서 설 수 있도록 상기 외측기둥(110)에 고정되는 발판(11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헬스용 철봉은 어린이와 남녀노소의 신장과 몸무게에 따라 각각 제조할 필요가 없고 다양한 연령층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호환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고, 운반 및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어린이들 체육에 이용하는 경우 어린이들의 체육에 즐거움을 주어 팔힘과 근력을 키우기 위해 어렵게 하던 철봉을 손쉽게 할 수 있으며 실외 뿐만 아니라 실내에서서 철봉운동을 즐길 수 있으므로 어린이 체육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헬스용 철봉{THE IRON ROD FOR HEALTH}
본 고안은 헬스용 철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어린이, 여성, 노약자 등 남녀노소의 신장과 몸무게에 상관없이 누구나 손쉽게 운동을 즐기며 팔힘과 근력을 향상시키고 운반 및 설치, 관리가 편리한 헬스용 철봉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기술이 발달하면서 현대인의 체력이 급격히 저하되고 특히, 학교의 아이들과 많은 남녀노소 직장인들의 체력도 저하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헬스장과 피트니스 센터를 찾아 운동을 하는 헬스 인구가 늘어나고 최근에는 어린이, 여성, 노약자들의 팔힘과 근력을 키우기 위해 많은 운동기구들이 등장하였다.
하지만 팔힘과 근력을 키우기 위한 운동기구의 하나인 철봉은 그 특수성으로 인하여 어린이들과 남녀노소가 모두 사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철봉은 주로 6세 이상의 어린이로부터 남녀노소 모든 성인들의 체형에 맞춰서 제작되고 주로, 지면에 고정된 상태이며 자기 자신의 몸무게를 끌어 올려야 하므로 팔힘과 근력이 모자르는 경우 쉽게 포기하고 싫증을 내기 때문에 체력 증강을 위한 운동기구로서의 효과가 매우 저하되어 사라지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출원인은 이러한 현실상의 필요성에 의하여 어린이들과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사용하고 팔힘과 근력을 키울 수 있는 헬스용 철봉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지면에 설치하지 않고도 실내에 설치할 수 있으며 어린이, 남녀노소 누구나가 쉽게 운동을 하며 즐길 수 있는 이동과 관리가 간편한 헬스용 철봉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은 어린이 및 남녀노소 신장 및 몸무게에 따른 모든 연령에 구애받지 않고 철봉운동을 손쉽게 하며 팔힘과 근력을 키울 수 있도록 발판과 스프링을 설치하여 스프링의 탄력성을 이용하여 운동효과를 향상시키고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는 헬스용 철봉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헬스용 철봉에 있어서, 바닥 또는 지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세로 받침대(10,11) 및 가로 받침대(18)로 이루어지는 받침대(102)와; 상기 받침대(102)의 세로 받침대(10,11)에 각각 끼워져서 결합되고 상단 외주부에 나사부(30)가 형성되며 내측부에는 결합공(36)이 형성되는 한 쌍의 장력조절기둥(104)과; 상기 장력조절기둥(104)의 나사부(30)에 체결 설치되고 내측부에 나사공(34)이 형성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장력조절구(32)와; 상기 장력조절기둥(104)의 결합공(36)에 세로방향으로 끼워져서 결합되고 상단부에는 가로방향으로 가로 손잡이봉(56)이 고정되는 한쌍의 내측기둥(106)과; 상기 내측기둥(104)의 상부 외측면에 끼워져서 결합되고 상하방향으로 탄력 작용하는 스프링(108)과; 상기 내측기둥(104)에 결합된 스프링(108)의 외측부에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108)이 내삽되어 탄력적으로 가압하도록 결합공(48)이 형성되고 외측부에는 복수개의 받침판(50)을 구비한 한 쌍의 외측기둥(110)과; 상기 외측기둥(110)의 받침판(50)에 고정되고 어린이 및 남녀노소 모두 올라가서 설 수 있도록 상기 외측기둥(110)에 고정되는 발판(11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헬스용 철봉은 어린이와 남녀노소의 신장과 몸무게에 따라 각각 제조할 필요가 없고 다양한 연령층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호환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고, 운반 및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어린이들 체육에 이용하는 경우 어린이들의 체육에 즐거움을 주어 팔힘과 근력을 키우기 위해 어렵게 하던 철봉을 손쉽게 할 수 있으며 실외 뿐만 아니라 실내에서서 철봉운동을 즐길 수 있으므로 어린이 체육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헬스용 철봉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헬스용 철봉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헬스용 철봉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헬스용 철봉을 사용하는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헬스용 철봉을 사용하는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헬스용 철봉을 사용하는 일시시예를 보여주는 상태도
본 고안은 헬스용 철봉에 있어서, 바닥 또는 지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세로 받침대(10,11) 및 가로 받침대(18)로 이루어지는 받침대(102)와; 상기 받침대(102)의 세로 받침대(10,11)에 각각 끼워져서 결합되고 상단 외주부에 나사부(30)가 형성되며 내측부에는 결합공(36)이 형성되는 한 쌍의 장력조절기둥(104)과; 상기 장력조절기둥(104)의 나사부(30)에 체결 설치되고 내측부에 나사공(34)이 형성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장력조절구(32)와; 상기 장력조절기둥(104)의 결합공(36)에 세로방향으로 끼워져서 결합되고 상단부에는 가로방향으로 가로 손잡이봉(56)이 고정되는 한쌍의 내측기둥(106)과; 상기 내측기둥(104)의 상부 외측면에 끼워져서 결합되고 상하방향으로 탄력 작용하는 스프링(108)과; 상기 내측기둥(104)에 결합된 스프링(108)의 외측부에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108)이 내삽되어 탄력적으로 가압하도록 결합공(48)이 형성되고 외측부에는 복수개의 받침판(50)을 구비한 한 쌍의 외측기둥(110)과; 상기 외측기둥(110)의 받침판(50)에 고정되고 어린이 및 남녀노소 모두 올라가서 설 수 있도록 상기 외측기둥(110)에 고정되는 발판(11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받침대(102)의 세로 받침대(10,11)와 가로 받침대(18)를 고정하는 고정구(22)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내측기둥(106)은 내측기둥 상단몸체(38)와, 상기 내측기둥 상단몸체(38)에 연장 형성되는 내측기둥 하단몸체(40)로 이루어지고 상기내측기둥 하단몸체(40)가 상기 장력조절기둥(104)의 결합공(36)에 끼워져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헬스용 철봉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헬스용 철봉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헬스용 철봉의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헬스용 철봉을 사용하는 일실시예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여 보면, 본 고안의 헬스용 철봉(10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바닥면 또는 지면에 안정되게 고정되도록 받침대(10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받침대(102)의 상부에 세로방향으로 연장되어 결합 고정되는 장력조절기둥(104)이 끼워져서 결합 설치되어 있고, 상기 장력조절기둥(104)의 상부에서 세로방향으로 끼워져서 내측기둥(106)이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기둥(106)의 외측부에는 스프링(108)이 끼워져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내측기둥(106)의 상부에 끼워져서 설치되는 스프링(108)은 상하방향으로 탄력적으로 탄성력을 갖는 압축 스프링을 사용한다.
이어서, 상기 스프링(108)의 외측부에는 상기 내측기둥(106) 및 스프링(108)이 결합되도록 결합공(48)이 형성되며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끼워져서 외측기둥(110)이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스프링(108)이 끼워져서 내측기둥(106)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내측기둥(106)의 외측부-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내측기둥(106)의 외측부에 결합된 스프링(108)의 외주부에 위치하도록 외측기둥(110)이 결합 설치되어 있고, 상기 외측기둥(110)의 상단부가 상기 스프링(108)을 탄압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외측기둥(110)의 중간부분에는 어린이 및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올라가서 철봉을 잡고 운동할 수 있도록 발판(112)이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내측기둥(106)의 상부에는 철봉을 잡고 당길수 있도록 가로 손잡이봉(56)이 설치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된 바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보면, 우선, 지면 및 바닥면에 안정되게 설치되는 받침대(102)는 지면 및 바닥면에 길게 누워지도록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쌍의 세로 받침대(10,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세로 받침대(10,11)의 중간부분 직교하는 가로방향으로는 가로 받침대(18)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세로 및 가로 받침대(10,18)는 본 고안에서는 사각봉을 사용하나 사각봉, 다각봉, 사각판 등 다양한 형태를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들에게는 누구나 실시할 수 있는 것이라 할 것이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안에 존재한다 할 것이다.
상기 세로 받침대(10,11)의 중간부분에는 상방향으로 개구된 결합공(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좌측면부에는 고정공(14)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우측면부에는 고정공(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세로 받침대(10,11)를 중간부분에서 가로지르고 고정되는 가로 받침대(18)의 양단부의 전후면에는 고정공(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로 받침대(18)는 고정공(24)이 형성된 고정구(22)에 의해 결합 고정되어지는바, 상기 고정구(22)는 미도시된 볼트, 피스, 못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세로 받침대(10,11)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고정공(24)은 상기 고정공(16,20)과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세로 받침대(10,11)에 형성된 결합공(12)에는 상기 장력조절기둥(104)이 상기 결합공(12)에 각각 대응해서 평행하게 세로방향으로 끼워져서 고정되는 바, 상기 장력조절기둥(104)은 원통형상의 세로 기둥으로 형성되는 몸체(2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26)의 하단부에는 좌우로 관통하는 고정공(28)이 형성되어 있고, 몸체(26)의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된 나사부(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부에는 전술된 내측기둥(106)이 결합되도록 세로방향으로 결합공(3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공(28)은 상기 결합공(12)에 상기 장력조절기둥(104)이 끼워지는 경우, 상기 고정공(14)과 일치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미도시된 핀, 볼트, 피스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진다.
그리고 상기 장력조절기둥(104)의 나사부(30)에는 장력조절구(32)가 체결되어 상하로 이동된다.
상기 장력조절구(32)는 중앙 내측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나사공(3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나사공(34)이 상기 장력조절기둥(104)의 나사부(30)에 체결되어 있다.
상기 장력조절구(32)의 상면에는 상기 스프링(108)이 얹혀져서 상하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상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스프링(108)의 하부면을 지지 고정한다. 즉, 상기 장력조절기둥(104)의 나사부(30)에는 장력조절구(32)가 체결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바, 상기 장력 조절구(32)를 체결한 후, 상하로 올리거나 내림으로서 상기 스프링(108)이 상기 외측기둥(110)에 압축되어 스프링(108)의 탄력이 강해지고 밀어 올리는 장력이 강해진다.
상기 장력조절구(32)는 본 고안에는 암나사로 형성된 나사부(30)가 구비되고 너트형상으로 형성되었지만 이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이고 더 나아가서는 나사부(30)를 갖는 사각기둥, 원통형, 다각형, 유선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어린이, 여성 및 노약자의 신체와 힘에 비례하여 상기 장력조절구(32)를 올리고 내림으로서 상기 스프링(108)의 탄력성을 높이거나 줄여서 장력을 조절함으로서 운동을 쉽게하고 효과를 배가 시킬 수 있다.
상기 장력조절기둥(104)의 결합공(36)에는 상기 내측기둥(106)이 각각 대응되어 결합되어 설치되는바, 상기 내측기둥(106)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내측기둥 상단몸체(38)와, 상기 내측기둥 상단몸체(38)의 하단부에는 상기 내측기둥 상단몸체(38)의 원둘레에 비하여 직경이 작은 둘레의 내측기둥 하단몸체(40)가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측기둥 상단몸체(38)의 상단부에는 가로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는 결합공(4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내측기둥 상단몸체(38)의 상단 상면부에는 고정공(4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공(42)에는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전술된 가로 손잡이봉(56)이 끼워져서 결합되고 상기 고정공(44)에 미도시된 고정수단을 결합하여 상기 가로 손잡이봉(56)을 고정한다.
한편, 상기 가로 손잡이봉(56)이 고정시키기 전에 상기 내측기둥(106)에는 상기 스프링(108)을 끼워서 결합시키고 상기 스프링(108)이 결합된 외주부에는 상기 외측기둥(110)을 끼워서 결합시킨다.
이때, 결합되는 상기 외측기둥(110)은 중공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상의 외측기둥 몸체(46)로 이루어져 있고, 그 내측부에는 상기 스프링(108)을 탄압할 수있도록 결합공(48)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외측기둥(110)의 외측 하단부에는 서로 마주보면서 평행하게 복수개의 받침판(50)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받침판(50)에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고정공(5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받침판(50)에는 상기 발판(112)이 얹혀져서 고정되어 진다.
상기 발판(112)은 사각패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좌우측부에는 상하로 관통형성되는 고정공(5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공(54)은 상기 받침판(50)에 형성된 고정공(52)과 중심이 일치하도록 형성하고 미도시된 고정수단으로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헬스용 철봉(100)은 도 4 내지 도 6에 도 시된 바와같이 사용되어 진다.
먼저, 운동자가 상기 발판(112)의 상부에 올라서서 팔을 뻗어서 가로 손잡이봉(56)을 잡는다.
이때, 상기 발판(112)은 상기 받침판(50)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받침판(50)은 상기 외측기둥(11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운동자의 몸무게에 의해 하향으로 내려오고 운동자는 팔을 뻗어서 내측기둥(106)의 가로 손잡이봉(56)을 잡는다.
상기와 같이 운동자가 발판(112)에 올라서면 상기 외측기둥(110)은 상기 외측기둥(110)의 내측부에 삽입 결합된 스프링(108)을 탄압하여 아래방향으로 이동된다.
도 5에서와 보여주는 바와 같이, 운동자가 팔을 당겨서 올라가면 상기 발판(112)과 연결된 외측기둥(110)이 상기 스프링(108)의 탄발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상승하여 운동자를 밀어 올려서 적은 팔힘을 이용하여 쉽게 당길 수 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자가 팔을 완전히 당겨서 가로 손잡이봉(56)을 가슴에 이르도록 당기고 상기 발판(112)으로 부터 발을 떼면 어린이, 여성 및 노약자들도 철봉 운동을 하여 손쉽게 할 수 있으므로 팔힘과 근력을 키우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을 반복하여 운동을 하면 어린이, 여성 뿐만 아니라 팔힘이 많이 떨어지는 노인들도 손쉽게 철봉운동을 즐길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의 헬스용 철봉(100)의 작용을 설명하여 보면, 우선, 상기 발판(112)에 팔힘과 근력을 키우고자 하는 어린이, 여성 등의 남녀노소가 올라간다.
상기 발판(112)에 올라가면 그 몸무게에 따라 상기 외측기둥(110)이 하향이동되고 상기 외측기둥(110)의 내측부에 결합된 스프링(108)이 압축되면서 탄력적으로 눌려지고 상기 외측기둥(110)의 가로 손잡이봉(56)을 손으로 잡고 당기는 경우 상기 발판(112)에서 발이 떼어지면서 압축되었던 상기 스프링(108)이 상방향으로 탄발하여면서 상승시켜서 상기 외측기둥(110)을 밀어올리게 된다.
상기와 같은 스프링(108)의 작용으로 인하여 어린이 및 남녀노소 누구나 손쉽게 철봉운동을 즐길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신장의 크기에 따라 철봉을 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상기 장력조절구(32)를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올리고 내려줌으로서 상기 스프링(108)의 탄력정도를 조절함으로서 장력을 강하게하거나 약하게 조절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10,11 : 세로 받침대 12 : 결합공
14,16,20 : 고정공 18 : 가로 받침대
22 : 고정구 24 : 고정공
26 : 몸체 28 : 고정공
30 : 나사부 32 : 장력 조절구
34 : 나사공 36 : 결합공
38 :내측기둥 상단몸체 40 : 내측기둥 하단몸체
42 : 결합공 44 : 고정공
46 : 외측기둥 몸체 48 : 결합공
50 : 받침판 52,54 : 고정공
56 : 가로 손잡이봉
100 : 헬스용 철봉 102 : 받침대
104 : 장력조절기둥 106 : 내측기둥
108 : 스프링 110 : 외측기둥
112 : 발판

Claims (3)

  1. 헬스용 철봉에 있어서,
    바닥 또는 지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세로 받침대(10,11) 및 가로 받침대(18)로 이루어지는 받침대(102)와;
    상기 받침대(102)의 세로 받침대(10,11)에 각각 끼워져서 결합되고 상단 외주부에 나사부(30)가 형성되며 내측부에는 결합공(36)이 형성되는 한 쌍의 장력조절기둥(104)과;
    상기 장력조절기둥(104)의 나사부(30)에 체결 설치되고 내측부에 나사공(34)이 형성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장력조절구(32)와;
    상기 장력조절기둥(104)의 결합공(36)에 세로방향으로 끼워져서 결합되고 상단부에는 가로방향으로 가로 손잡이봉(56)이 고정되는 한쌍의 내측기둥(106)과;
    상기 내측기둥(106)의 상부 외측면에 끼워져서 결합되고 상하방향으로 탄력 작용하는 스프링(108)과;
    상기 내측기둥(106)에 결합된 스프링(108)의 외측부에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108)이 내삽되어 탄력적으로 가압하도록 결합공(48)이 형성되고 외측부에는 복수개의 받침판(50)을 구비한 한 쌍의 외측기둥(110)과;
    상기 외측기둥(110)의 받침판(50)에 고정되고 어린이 및 남녀노소 모두 올라가서 설 수 있도록 상기 외측기둥(110)에 고정되는 발판(11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용 철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02)의 세로 받침대(10,11)와 가로 받침대(18)를 고정하는 고정구(22)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용 철봉.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기둥(106)은 내측기둥 상단몸체(38)와, 상기 내측기둥 상단몸체(38)에 연장 형성되는 내측기둥 하단몸체(40)로 이루어지고 상기내측기둥 하단몸체(40)가 상기 장력조절기둥(104)의 결합공(36)에 끼워져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스용 철봉.
KR2020100004973U 2010-05-12 2010-05-12 헬스용 철봉 KR2004582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973U KR200458222Y1 (ko) 2010-05-12 2010-05-12 헬스용 철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973U KR200458222Y1 (ko) 2010-05-12 2010-05-12 헬스용 철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752U KR20110010752U (ko) 2011-11-18
KR200458222Y1 true KR200458222Y1 (ko) 2012-01-31

Family

ID=45842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4973U KR200458222Y1 (ko) 2010-05-12 2010-05-12 헬스용 철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222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9158A (en) 1997-12-18 1999-11-23 Fredette; Bernard Exercise bar assembly
JP2001137382A (ja) 1999-11-10 2001-05-22 Hiroshi Otoshi 懸垂運動補助装置及び鉄棒
KR20060043077A (ko) * 2004-06-26 2006-05-15 주득욱 점프놀이 겸용 철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9158A (en) 1997-12-18 1999-11-23 Fredette; Bernard Exercise bar assembly
JP2001137382A (ja) 1999-11-10 2001-05-22 Hiroshi Otoshi 懸垂運動補助装置及び鉄棒
KR20060043077A (ko) * 2004-06-26 2006-05-15 주득욱 점프놀이 겸용 철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752U (ko) 201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3803020U (zh) 一种多功能康复运动训练器
CN204522162U (zh) 一种计数健身弹跳鞋
CN210813735U (zh) 一种体育教学用健美操训练者劈腿训练装置
KR200458222Y1 (ko) 헬스용 철봉
CN205145516U (zh) 一种足球训练用脚力提高装置
CN206837317U (zh) 组合式深蹲训练器
KR20130000508U (ko) 삼단식 윗몸 일으키기 등판
CN204522169U (zh) 一种计数健身跳跳龙
CN210992821U (zh) 一种体育用多功能辅助训练装置
CN203750094U (zh) 单双杠倒立组合健身器
KR20140033835A (ko) 실내용 평행봉 거치 기구
GB2447846A (en) Aerobic exercise apparatus
CN202199032U (zh) 带有仰卧起坐功能的跑步机
CN202315064U (zh) 一种可调节高度的多功能单杠
CN202070139U (zh) 幼儿用益智健体兴趣器
CN205699181U (zh) 上肢力量训练器
CN204619295U (zh) 一种健身弹跳器
CN204745539U (zh) 一种音乐健身弹跳器
CN204734919U (zh) 一种音乐弹跳健身器
CN204745537U (zh) 一种蜂鸣式健身弹跳器
CN204637463U (zh) 一种电子计数弹跳健身器
CN201978388U (zh) 一种训练器
CN209865188U (zh) 一种斜身引体健身装置
CN212369469U (zh) 一种公共健身天梯
CN202715204U (zh) 新型篮球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