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148Y1 - 안전 베개 - Google Patents

안전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148Y1
KR200458148Y1 KR2020090009062U KR20090009062U KR200458148Y1 KR 200458148 Y1 KR200458148 Y1 KR 200458148Y1 KR 2020090009062 U KR2020090009062 U KR 2020090009062U KR 20090009062 U KR20090009062 U KR 20090009062U KR 200458148 Y1 KR200458148 Y1 KR 2004581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cushion
side wall
head
wa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090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0606U (ko
Inventor
김송정
Original Assignee
김송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송정 filed Critical 김송정
Priority to KR20200900090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148Y1/ko
Publication of KR201100006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060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1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1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45Pillows shaped a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articles, e.g. dolls, sound equipment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2009/005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illumin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2009/006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comprising sound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8Illumination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막 뒤집기를 할 수 있는 시기의 젖먹이 아이를 안전하게 돌볼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안전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젖먹이 아이를 돌볼 때 아이의 오감을 적절히 자극하여 아이의 성장발달에 도움을 주는 완구로 기능할 수도 있는 안전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쿠션을 구비한 머리 받침부; 및 쿠션을 구비하고, 사용자의 머리가 상기 머리 받침부 상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머리 받침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두 개의 측벽부를 포함하는 안전 베개을 제공한다.
안전 베개, 안전 완구, 젖먹이, 베이비시터

Description

안전 베개{Safety pillow}
본 고안은 안전 베개(Safety pillow)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젖먹이 아이가 취침 중 몸을 뒤집으면서 발생할 수 있는 질식에 의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동시에 젖먹이 아이를 편리하게 돌볼 수 있게 돕는 안전 베개에 관한 것이다.
신생아 때부터 아이를 키우면서 돌보는 과정에서 젖먹이 아이가 스스로 몸을 움직일 수 있게 되면 돌보는 사람(이하 베이비시터(baby-sitter)라고 함)이 더욱 많이 신경을 써야 하게 된다. 특히, 막 뒤집기 할 수 있게 되는 시기에는 엎드린 자세에서 질식할 수도 있어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베이비시터는 한시도 아이에게서 눈을 떼기 어렵다. 아이를 돌보는 과정에서의 안전사고의 효과적인 예방을 위해서는 베이비시터가 더욱 주의를 기울여 아이를 주시하는 방법 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다. 이에 이 시기의 아이를 안전하게 돌보는데 도움을 주는 수단을 강구할 필요성이 크게 대두되어 왔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포함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막 뒤집기를 할 수 있는 시기의 젖먹이 아이를 안전하게 돌볼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안전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젖먹이 아이를 돌볼 때 아이의 오감을 적절히 자극하여 아이의 성장발달에 도움을 주는 완구로 기능할 수도 있는 안전 베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쿠션을 구비한 머리 받침부; 및
쿠션을 구비하고, 사용자의 머리가 상기 머리 받침부 상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머리 받침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두 개의 측벽부를 포함하는 안전 베개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머리 받침부에 대해 상기 각각의 측벽부는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측벽부가 상기 머리 받침부에 대해 직립하는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유지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머리 받침부에 대해 상기 측벽부가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머리 받침부의 쿠션과 상기 측벽부의 쿠션은 서로 접하고,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머리 받침부의 쿠션과 상기 측벽부의 쿠션 간에 접하는 면에 배치된 벨크로 테이프일 수 있다.
또는 여기서, 상기 고정 수단은,
서로 착탈 가능한 두 개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부재는 상기 머리 받침부 또는 상기 측벽부 중의 하나에 각각 배치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벽부에는 관통 창이 형성되어 머리 받침부에 머리를 대고 누운 사용자가 상기 관통 창을 통해 측방향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벽부의 상측에는 머리 받침부를 비출 수 있는 조명 수단이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머리 받침부는 머리 받침판과 머리 받침판의 일면에 고정된 머리 쿠션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는 측벽판과 측벽판의 일면에 고정된 측벽 쿠션을 포함하며,
상기 머리 받침판에 대해 상기 측벽판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머리 받침부에는 사용자의 머리가 머리 받침부의 쿠션 상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센서는 광센서 또는 압력 센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측벽부에는 머리 받침부에 머리를 대고 누운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모빌이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안전 베개에 의하면, 막 뒤집기를 하는 시기의 젖먹이 아이가 임의로 자세를 뒤집다가 질식할 수 있는 사고의 위험을 미리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안전 베개의 여러 기능을 활용하여 아이의 감각을 적절히 자극함으로써, 아이의 성장 발달에 도움을 줄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따른 안전 베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안전 베개의 측벽부가 눕혀진 상태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 1의 III-III 선을 따라 취한 측벽부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안전 베개(100)는, 쿠션(11b)을 구비한 머리 받침부(11)와, 쿠션(21b)을 구비하고 사용자의 머리가 상기 머리 받침부(11) 상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머리 받침부(1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두 개의 측벽부(21)를 포함한다. 두 개의 측벽부에 대해서는 양측의 측벽부가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성될 수도 있고, 서로 동일한 구성이 아니라고 하여도 서로 위치가 바뀔 수 있는 관계에 있기 때문에 설명을 간편하게 하기 위해 구별이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동일한 부재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상기 측벽부(21)가 배치됨으로써, 머리 받침부(11)에 머리를 대고 누운 사용자가 머리 받침부(11)를 벗어나지 않고 누운 자세를 크게 벗어나지 않게 하는데 도움을 준다. 특히, 막 뒤집기를 하는 정도의 젖먹이 아이(영아[??兒])를 베개에 눕혀 놓은 경우에는 아이가 스스로 자세를 바꾸다가 엎드린 상태에서 호흡이 곤란해 지는 등의 사고가 날 우려가 있다. 이런 경우에 본 고안의 안전 베개에 영아를 눕히는 경우에는 영아의 움직임을 측벽부(21)가 적절히 막아주어 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젖먹이 아이가 아닌 경우에도 잠버릇이 좋지 않아서 많이 굴러다니면서 잠을 자는 사람이 사용하는 경우, 잠버릇을 고치는 데에도 본 고안의 측벽부를 구비하는 안전 베개가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안전한 자세를 유지할 것이 요구되는 응급환자가 사용할 때도 바로 누운 자세를 유지할 수 있어서 도움이 될 수 있다.
상기 머리 받침부(11)는 머리 받침판(11a)(11a)과 머리 받침판(11a)(11a)의 일면에 고정된 머리 쿠션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측벽부(21)는 측벽판(21a)과 측벽판(21a)의 일면에 고정된 측벽 쿠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머리 받침부와 상기 측벽부 간의 상대 회전을 위해 상기 머리 받침판(11a)과 상기 측벽판(21a)은 상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경첩(15)으로 연결될 수 있다. 경첩의 구성은 도면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공지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각각의 측벽부(21)는 상기 머리 받침부(11)의 양측에서 상기 머리 받침부(1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각각의 측벽부(21)는 상기 머리 받침부(11)와 동일한 평면상에서 평면에 나란하게 놓일 수도 있고, 상기 머리 받침부(11)가 놓인 평면에 대해 직립하는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유지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안전 베개에는 상기 측벽부(21)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는 고정 수단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머리 받침부(11)에 대해 상기 측벽부(21)가 세워진 상태에서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머리 받침부(11)의 쿠션과 상기 측벽부(21)의 쿠션이 서로 접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머리 받침부(11)의 쿠션과 측벽부(21)의 쿠션이 접하는 부분에 벨크로(Velcro, 상표명임) 테이프(12, 22)를 부착하여 상기 측벽부(21)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벨크로 테이프는 속칭 "찍찍이"라고도 불리는 널리 사용되는 부재로써, 한쪽 테이프에는 갈고리 모양의 작은 돌기물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테이프에는 고리가 달려서 서로가 물리는 형태로 밀착된다.
또 다른 예로, 상기 고정 수단은 서로 착탈 가능한 두 개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이 두 개의 부재는 상기 머리 받침부(11) 또는 상기 측벽부(21) 중의 하나에 각각 고정되어서, 상기 측벽부(21)가 세워진 상태에서 두 개의 부재가 서로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측벽부(21)의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돌기(26)와 돌기(26)에 걸리는 걸쇠(16)가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측벽부(21)에는 관통 창(25)이 형성되어 머리 받침부(11)에 머리를 대고 누운 사용자가 상기 관통 창(25)을 통해 측방향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젖먹이 아이가 사용자인인 경우, 시야에서 보호자가 잘 보이지 않으면 불안을 느낄 수 있는 만큼, 관통 창(25)을 통해 시야를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사용자가 일정 연령 이상의 사람인 경우에도 물론 시야가 잘 트인 것을 사용자가 원할 수 있는 만큼 관통 창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의 측벽부의 단면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관통 창(25)에 끼워지는 작은 쿠션(25b)을 구비하여 관통 창(25)을 막을 수도 있고, 이를 빼내서 관통 창(25)으로 시야가 확보되도록 할 수도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아이의 경우 관통 창(25)을 통해 머리를 집어넣는 등으로 인해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을 경우에는 관통 창(25)에 투명판(25a)을 설치하여 시야만 확보되고 머리를 집어넣을 수는 없도록 할 수도 있다. 도 3에서 작은 쿠션(25b)은 착탈 가능한 것으로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도 3에 점선으로 도시하였다.
상기 측벽부(21)의 상측에는 머리 받침부(11)를 비출 수 있는 조명 수단(30)이 배치될 수 있다. 젖먹이 아이의 경우에는 아이를 돌볼 때 실내의 전력 소모가 큰 다른 전등을 켜는 대신에 이 조명 수단(30)을 활용할 수 있고, 일정 연령 이상의 사람의 경우에도 잠들기 전에 독서하거나 취침 등으로 이 조명 수단(30)을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머리 받침부(11)에는 사용자의 머리가 머리 받침부(11)의 쿠션 상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고 또는 머리 받침부(11) 상에서 좌우 어느 방향에 가깝게 머리가 위치하고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광센서 또는 압력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센서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젖먹이용으로 사용될 때의 아이의 완구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 수단(30)이 복수의 발광 소자를 구비하도록 하고 일측으로 아이가 치우쳐서 누운 경우에는 그 방향의 조명 수단(30)에 배치된 발광 소자들이 켜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는 반대로 멀어지는 방향에 위치한 조명 수단(30)이 켜지도록 구성하여 아이의 반대 방향 움직임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일측의 측벽부(21)에 가까이 갈수록 켜지는 발광 소자의 개수를 증가시키는 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조명 수단(30)을 복수의 색색의 LED 소자를 구비하는 조명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측벽부(21)에는 머리 받침부(11)에 머리를 대고 누운 아이가 볼 수 있도록 모빌이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본 고안의 안전 베개를 아이를 돌보기 위한 안전하고도 효과적인 완구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벽부마다 모빌을 설치하고, 앞서 설명한 센서와 연동하여 아이의 머리가 한쪽으로 치우친 경우에는 반대편 모빌이 흔들리도록 하여 아이가 반대편으로 스스로 시선을 주거나 움직이도록 유도할 수 있다. 아이가 모빌의 움직임을 쫓아 움직이지 않는 경우에도 젖먹이 아이의 놀잇감으로 매우 훌륭하게 기능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언급한 센서, 조명 수단, 모빌은 선택적으로 소리 발생 유닛(예를 들어 MP3 플레이어 등)과 연동되어 아이의 시각뿐 아니라 청각적으로도 자극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진동 모터 등의 진동 수단이 쿠션 내부에 배치되고, 이 진동 수단이 센서, 조명 수단, 모빌, 소리 발생 유닛 등과 선택적으로 연동되는 경우에는 아이의 시각 및 촉각뿐 아니라 촉각도 자극하여 감각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4에는 도 1에 도시된 안전 베개를 간이 탁자로 활용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안전 베개(100)의 머리 받침부(11)가 머리 받침판(11a)을 구비하고, 측벽부(21)가 측벽판(21a)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안전 베개의 측벽부(21)가 세워진 상태에서 안전 베개(100)를 뒤집으면 간이 탁자로 활용이 가능하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주로 젖먹이 아이가 사용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고, 그 외의 연령대의 사람이 사용하는 경우도 부연하여 설명하였는데, 사용자의 연령과 신체 사이즈에 맞추어 본 고안의 안전 베개의 크기는 달라질 수 있지만, 크기가 달라지는 경우에도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지금까지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안전 베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전 베개의 측벽부가 눕혀진 상태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III-III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안전 베개를 간이 탁자로 활용하는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머리 받침부 11a: 머리 받침판
11b: 머리 받침부 쿠션 12, 22: 벨크로 테이프
15: 경첩 16: 걸쇠
21: 측벽부 21a: 측벽판
21b: 측벽부 쿠션 25: 관통 창
25a: 투명창 25b: 작은 쿠션
26: 돌기 30: 조명 수단
100: 안전 베개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쿠션을 구비한 머리 받침부; 및
    쿠션을 구비하고, 사용자의 머리가 상기 머리 받침부 상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머리 받침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두 개의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머리 받침부에 대해 상기 각각의 측벽부는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측벽부가 상기 머리 받침부에 대해 직립하는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유지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머리 받침부에 대해 상기 측벽부가 세워진 상태에서,
    상기 머리 받침부의 쿠션과 상기 측벽부의 쿠션은 서로 접하고,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머리 받침부의 쿠션과 상기 측벽부의 쿠션 간에 접하는 면에 배치된 벨크로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베개.
  4. 쿠션을 구비한 머리 받침부; 및
    쿠션을 구비하고, 사용자의 머리가 상기 머리 받침부 상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머리 받침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두 개의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머리 받침부에 대해 상기 각각의 측벽부는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측벽부가 상기 머리 받침부에 대해 직립하는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로 유지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 수단은,
    서로 착탈 가능한 두 개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부재는 상기 머리 받침부 또는 상기 측벽부 중의 하나에 각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베개.
  5. 쿠션을 구비한 머리 받침부; 및
    쿠션을 구비하고, 사용자의 머리가 상기 머리 받침부 상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머리 받침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두 개의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에는 관통 창이 형성되어 머리 받침부에 머리를 대고 누운 사용자가 상기 관통 창을 통해 측방향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베개.
  6. 쿠션을 구비한 머리 받침부; 및
    쿠션을 구비하고, 사용자의 머리가 상기 머리 받침부 상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도록 상기 머리 받침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두 개의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의 상측에는 머리 받침부를 비출 수 있는 조명 수단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베개.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받침부는 머리 받침판과 머리 받침판의 일면에 고정된 머리 쿠션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는 측벽판과 측벽판의 일면에 고정된 측벽 쿠션을 포함하며,
    상기 머리 받침판에 대해 상기 측벽판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베개.
  8.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받침부에는 사용자의 머리가 머리 받침부의 쿠션 상에 위치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베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광센서 또는 압력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베개.
  10.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에는 머리 받침부에 머리를 대고 누운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모빌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베개.
KR2020090009062U 2009-07-13 2009-07-13 안전 베개 KR2004581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062U KR200458148Y1 (ko) 2009-07-13 2009-07-13 안전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09062U KR200458148Y1 (ko) 2009-07-13 2009-07-13 안전 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606U KR20110000606U (ko) 2011-01-20
KR200458148Y1 true KR200458148Y1 (ko) 2012-01-20

Family

ID=44205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9062U KR200458148Y1 (ko) 2009-07-13 2009-07-13 안전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14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3038A (ko) * 2016-09-23 2018-04-02 최용희 U자형 베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7989A (ja) * 2000-01-19 2001-07-24 Makiko Kamiyama
KR20030028338A (ko) * 2001-09-29 2003-04-08 김성우 수면 자세 감지 센스에 의한 인체 수면 자세에 따라변형되는 베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97989A (ja) * 2000-01-19 2001-07-24 Makiko Kamiyama
KR20030028338A (ko) * 2001-09-29 2003-04-08 김성우 수면 자세 감지 센스에 의한 인체 수면 자세에 따라변형되는 베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0606U (ko) 201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73026T3 (es) Dispositivo de calma/ayuda para dormir de bebé, de prevención del SIDS y procedimiento de utilización
AU2020205257B2 (en) Infant calming/sleep-aid device
US10463168B2 (en) Infant calming/sleep-aid and SIDS prevention device with drive system
CA2977390C (en) Infant calming/sleep-aid and sids prevention device with drive system
US7178186B2 (en) Inflatable support apparatus
US20170245555A1 (en) Sleep sack for infant calming/sleep aid
US20140189956A1 (en) The baby wedge
US20140059762A1 (en) Baby Safe Enclosure
US20150112121A1 (en) Pacifier system adapted to imitate the closeness of a subject at rest
US9549621B2 (en) Crib mountable noise suppressor
KR200458148Y1 (ko) 안전 베개
KR20120058963A (ko) 유아용 범퍼 침대
WO2010070156A1 (es) Torso materno artificial. aplicable como base de descanso para bebés recién nacidos
JP3134656U (ja) 揺りかごハンモック
JP4884565B1 (ja) 乳幼児の移動警報装置
CN207574902U (zh) 父母儿童共用床垫
KR102607891B1 (ko) 휴대 가능한 유아용 안전 침대
JP2007000569A (ja) 赤ちゃんぐっすり光ガード
US20020068501A1 (en) White noise playing doll used for colicky babies&#39; diversion
KR20190050906A (ko) 차량부착 유아용 수면유도 산소 캡슐
KR200353737Y1 (ko) 유아용 매트리스
KR200260171Y1 (ko) 영아용 잠자리 보조기구
TWM264985U (en) Special pillow for lying prone rest
KR20130114448A (ko) 육아용 침구
KR20130026267A (ko) 영유아용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