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100Y1 - 선반용앵글 - Google Patents

선반용앵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100Y1
KR200458100Y1 KR2020090014213U KR20090014213U KR200458100Y1 KR 200458100 Y1 KR200458100 Y1 KR 200458100Y1 KR 2020090014213 U KR2020090014213 U KR 2020090014213U KR 20090014213 U KR20090014213 U KR 20090014213U KR 200458100 Y1 KR200458100 Y1 KR 2004581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inner body
angle
holes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42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2176U (ko
Inventor
이철호
Original Assignee
이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호 filed Critical 이철호
Priority to KR20200900142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100Y1/ko
Publication of KR200900121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21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1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1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A47B57/32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grooved or notched ledges, uprights or side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3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 A47B57/4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hooks coacting with openings
    • A47B57/42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detachable shelf supports consisting of hooks coacting with openings the shelf supports being cantilever 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47B96/1408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regularly perforated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반을 지지하는 선반결합구와, 이 선반결합구가 끼워지도록 다수의 구멍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내부체와 상기 내부체의 외면을 덮는 외부체로 구성하되, 내부체와 외부체를 스폿용접에 의해 일체로 용착하여 내부체와 외부체로 이루어지는 선반용 앵글의 내구성 및 지지성을 향상시키고, 선반결합구에 의해 선반의 조립작업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체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이 외부체에 의해 감추어짐에 따라 외부에서 볼 때 내부체의 구멍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선반용 앵글을 이용하여 조립된 조립식 선반 전체의 외관을 미려하고 심플하게 연출할 수 있도록 한 선반용 앵글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전면(11)에 길이방향으로 체결구멍(12)이 균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11) 양측에 밀착면(13)(13)이 형성된 내부체(10)와; 상기 내부체(10)의 양측에 형성된 밀착면(13)(13)이 양측 내면(21)(21)에 밀착되어 스폿용접에 의해 용접부(22)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체(10)의 전면 외측에 위치되는 외부체(20)와; 상기 내부체(10)의 체결구멍(12)에 체결되는 체결돌기(31)(32)가 일측면 상/하단에 형성되고 타측 상단에 선반(1)이 거치되는 거치돌기(33)가 형성된 선반결합구(3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내부체(10)의 양측에 형성된 밀착면(13)(13)은 상기 체결구멍(12)이 형성된 전면(11)에 대하여 각각 외측방향으로 45°벌어진 제1벌림각(a)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체(20)의 양측 내면(21)(21)은 상기 내부체(10)의 밀착면(13)(13) 제1벌 림각(a)과 동일하게 외측방향으로 45°벌어진 제2벌림각(b)이 형성된다.
선반, 앵글, 선반프레임

Description

선반용 앵글{SUPPORTING FRAME FOR SHELF}
본 고안은 선반을 지지하는 선반용 앵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반이 결합되는 내부체와 상기 내부체의 외면에 구성되는 외부체로 이루어져 내부체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공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선반 전체가 갖는 미적인 미감을 미려하게 연출할 수 있으며 외부체에 의해 내부체의 지지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어 선반에 올려진 물품의 하중에 대한 대응력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하고 내부체에 끼워지는 선반결합구에 의해 선반이 쉽게 조립될 수 있어 수납장이나 진열장의 조립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한 선반용 앵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식장 또는 수납장, 진열장등의 제조를 위해 기존 목재 등의 재료에 의한 생산보다는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교적 저렴한 견고한 철제를 이용하여 수직앵글체와 선반체로 되는 각각의 부속품을 결합수단 등으로 상호 조립하여 벽면체등에 입설 조립함으로써 조립의 간편화와 이동시 분해가 가능함과 사용상 편의성등에 의해 공장내의 부품 진열장이나 대형마트등의 상품진열장등에 주로 조립/설치되어 사용되고 있음은 주지된 바와 같다.
이러한 조립식 선반은 적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의 지점으로부터 각각 입설 되는 수직앵글체와 상기 각각의 수직앵글체를 횡간, 구획하여 상품이나 물품 등을 적재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선반체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앵글체와 선반체간에 각각 천공된 통공 사이로 볼트와 너트 등의 결합수단을 이용하여 체결 조립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상기 수직앵글체는 통상 평면으로 보았을 때 'ㄱ'자 또는 'ㄴ'자 형상을 갖도록 하고 있으며 그 모서리부가 외측방향으로 향하도록 하고, 상기한 바와 같이 그 측면에 다수개의 통공이 적정간격 이격되는 상태로 복수조 통공되어지고, 상기 선반체는 비교적 얇은 철제로 되는 플레이트를 절곡 성형하여 그 측단 내부로 'ㄷ'자형의 홈이 형성되도록 절곡성형하고, 그 측면부에 다수의 통공을 천공하여 상기 수직앵글체의 통공과 연통되는 지점에서 볼트 및 너트등에 의해 상호 조립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조립식 앵글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선반체의 내측에서 너트를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잡은 상태에서 볼트를 상기 수직앵글체와 선반체의 통공으로 관통하여 상기 너트의 구멍에 볼트를 삽입하여 가결합한 다음, 에어용 체결구(일명 에어 복스)로 가결합된 상태의 볼트와 너트를 상호 조립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손가락으로 일일히 너트를 선반체의 내측 'ㄷ'자 형 홈에 끼운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볼트결합작업을 수행하여야 하는바, 그 작업이 대단히 번잡하고 상기 홈 자체가 상당히 좁게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상기 너트를 수직 위치시키기가 대단히 어렵고, 볼트와 너트의 상호 조준상태가 양호하지 못하여 정확하게 너트로 삽입되 지 못함에 따라 상기 볼트와 너트간의 가결합과정이 지체되고, 조립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한편, 각각의 조립식 앵글선반을 상호 당접되는 상태로 설치할 경우 각각의 수직앵글체 측면부에 돌출되는 볼트머리에 의해 상호 당접되는 수직앵글체와 타수직앵글체간에 간격이 발생되어 미려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사용되는 조립식 앵글의 수직앵글체의 표면에 볼트와 너트를 체결하기 위한 구멍이 균등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조립 완료된 조립식 앵글 선반의 외적인 미감이 수직앵글체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에 의해 미려하게 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수직앵글체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에 의해 구멍이 형성된 수직앵글체의 부분이 선반에 올려지는 물품의 하중에 대한 대응력이 떨어짐에 따라, 수직앵글체가 휘거나 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고 수직앵글체가 휘어짐으로써 선반의 수평지지가 불가능하여 선반에 올려진 물품이 떨어지거나 한 쪽으로 쏠리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 보면, 공개특허 제10-2009-003952호인 선반 지지용 프레임 구조물이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선반을 얹기 위한 받침대를 걸어 설치하기 위한 선반 지지용 프레임 구조물로서, 선반의 가로 길이에 대응한 간격을 두고 벽에 수직으로 부착시공하기 위한 폭이 일정하고 긴 모양의 주프레임과, 이 주프레임에 그 전면 방향에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받침대를 걸기 위한 설치구멍이 일정간격마다 뚫어져 있는 좌우 측면부를 가지는 보조프레임이 구비되어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보조프레임에 의해 주프레임에 형성된 구멍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보조프레임과 주프레임이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선반을 조립할 때 사용되는 결합수단으로 보조프레임과 주프레임을 결합시켜야 하기 때문에 조립성의 저하 및 조립시간의 지연을 가지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서로 분리되어 구성되는 보조프레임과 주프레임에 의해 주프레임이 갖는 선반에 올려진 물품의 하중을 지탱하는 대응력이 향상되지 못함에 따라 주프레임이 물품의 하중에 의해 휘는 현상을 방지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 기술의 경우 선반을 주프레임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주프레임에 끼워지는 선반 받침대가 추가적으로 구성되어 있어야 함으로써 선반 받침대의 추가 구성에 의해 생산성 증대 및 설치비용의 가중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 선반용 앵글이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선반을 지지하는 선반결합구와, 이 선반결합구가 끼워지도록 다수의 구멍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내부체와 상기 내부체의 외면을 덮는 외부체로 구성하되, 내부체와 외부체를 스폿용접에 의해 일체로 용착하여 내부체와 외부체로 이루어지는 선반용 앵글의 내구성 및 지지성을 향상시키고, 선반결합구에 의해 선반의 조립작업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체에 형성된 다수의 구멍이 외부체에 의해 감추어짐에 따라 외부에서 볼 때 내부체의 구멍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선반 용 앵글을 이용하여 조립된 조립식 선반 전체의 외관을 미려하고 심플하게 연출할 수 있도록 한 선반용 앵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선반용 앵글은, 전면에 균등간격의 길이방향으로 체결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전면 양측에 밀착면이 형성된 내부체와; 상기 내부체의 양측에 형성된 밀착면이 양측 내면에 밀착되어 스폿용접에 의해 용접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체의 전면 외측에 위치되는 외부체와; 상기 내부체의 체결구멍이 체결되는 체결돌기가 일측면 상/하단에 형성되고 타측 상단에 선반이 거치되는 거치돌기가 형성된 선반결합구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내부체의 밀착면은 상기 체결구멍이 형성된 전면에 대하여 각각 외측방향으로 45°벌어진 벌림각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체의 양측 내면은 상기 내부체의 밀착면의 벌림각과 동일하게 외측방향으로 45°벌림각으로 벌어지게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본 고안인 선반용 앵글은, 선반이 선반결합구에 의해 결합되는 내부체의 외측에 외부체가 스폿용접에 의해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내부체가 받는 물품의 하중이 외부체에 전달될 수 있어 선반에 올려지는 물품의 하중에 대한 대응력이 크게 향상되어 견고한 지지가 가능하다.
또한, 내부체에 균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체결구멍이 상기 외부체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음에 따라 선반용 앵글을 이용하여 설치되는 조립식 선반 전 체의 외관을 미려하고 심플하게 연출할 수 있어 매장의 인테리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선반이 내부체의 체결구멍에 끼워지는 선반결합구에 의해 간단하게 조립될 수 있음으로써 조립식 선반의 조립시간의 크게 단축되어 조립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조립된 선반을 쉽게 분리할 수 있음에 따라 선반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하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선반용 앵글을 나타낸 정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선반용 앵글을 나타낸 배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인 선반용 앵글에 의해 조립된 선반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인 선반용 앵글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인 선반용 앵글을 이용하여 선반을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일부생략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선반용 앵글은, 내부체(10)와, 외부체(20) 및 선반결합구(30)로 구성된다.
상기 내부체(10)는, 전면(11)에 길이방향으로 체결구멍(12)이 균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11) 양측에 밀착면(13)(1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부체(10)의 양측에 형성된 밀착면(13)(13)은 상기 체결구멍(12)이 형성된 전면(11)에 대하여 각각 외측방향으로 45°벌어진 제1벌림각(a)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체(10)의 길이는 설치되는 조립식 선반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내부체(10)의 길이는 연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상기 외부체(20)는, 상기 내부체(10)의 양측에 형성된 밀착면(13)(13)이 양측 내면(21)(21)에 밀착되어 스폿용접에 의해 용접부(22)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체(10)의 전면 외측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외부체(20)의 양측 내면(21)(21)은 상기 내부체(10)의 밀착면(13)(13) 제1벌림각(a)과 동일하게 외측방향으로 45°벌어진 제2벌림각(b)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내부체(10)의 양측에 형성된 밀착면(13)(13)이 상기 체결구멍(12)이 형성된 전면(11)에 대하여 각각 외측방향으로 45°벌어진 제1벌림각(a)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외부체(20)의 양측 내면(21)(21)이 상기 내부체(10)의 밀착면(13)(13) 제1벌림각(a)과 동일하게 외측방향으로 45°벌어진 제2벌림각(b)이 형성되어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조립식 선반을 90°각도로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어 매장의 진열용선반이나 수납선반을 설치함에 전혀 불편함이 없다.
상기 내부체(10)와 외부체(20)는, 상기 내부체(10)의 밀착면(13)과 상기 외부체(20)의 내면(21)이 스폿용접에 의해 형성된 용접부(22)에 의해 하나의 몸체로 구성된다.
상기 선반결합구(30)는, 외부체(20)와, 상기 내부체(10)의 체결구멍(12)에 체결되는 체결돌기(31)(32)가 일측면 상/하단에 형성되고 타측 상단에 선반(1)이 거치되는 거치돌기(33)가 형성된다.
상기 선반결합구(30)는 상기 내부체(10)의 전면(11)에 균등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체결구멍(12)들 중 2개의 체결구멍(12)(12)에 상기 선반결합구(30)의 상단체결돌기(31)와 하단체결돌기(32)가 각각 인입되어 끼워져 결합되며 선반결합구(30)의 타측 상단에 형성된 거치돌기(33)에는 선반(1)의 거치공(2)이 인입되어 거치된다.
이에 따라, 선반(1)이 상기 선반결합구(30)에 의해 거치되어 지지되는 것으로, 상기 선반(1)에 올려지는 물품의 하중이 상기 스폿용접에 의해 형성된 용접부(22)에 의해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는 내부체(10)와 외부체(20)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된다.
즉, 종래의 선반용 앵글의 경우에는 한 개의 앵글의 구멍에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선반이 결합되어 구성됨에 따라 선반에 올려지는 물품의 하중을 제대로 지지하지 못하였으나, 본 고안인 선반용 앵글은 내부체(10)와 외부체(20)가 스폿용접에 의해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어 내부체(10)와 외부체(20)측으로 선반(1)에 올려지는 물품의 하중이 분산될 수 있기 때문에, 무거운 물품의 하중에 대한 대응력이 크게 향상될 수 있어 지지성이 증대된다.
또한, 상기 내부체(10)에 균등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는 체결구멍(12)이 외 부체(20)에 의해 가려지기 때문에, 설치된 조립식 선반의 외부로 상기 체결구멍(12)이 노출되지 않아 조립식 선반 전체의 미감이 심플하고 미려하게 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매장의 상품 진열용 선반으로 활용할 때 종래의 선반용 앵글과는 달리 체결구멍(12)이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진열된 상품의 부가가치를 상승시킬 수 있으며,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충동시킬 수 있고 깔끔하게 매장을 정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 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고안의 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고안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인 선반용 앵글을 나타낸 정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선반용 앵글을 나타낸 배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선반용 앵글에 의해 조립된 선반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선반용 앵글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선반용 앵글을 이용하여 선반을 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일부생략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내부체 11 : 전면
12 : 체결구멍 13 : 밀착면
20 : 외부체 21 : 내면
22 : 용접부 30 : 선반결합구
31, 32 : 상/하단 체결돌기
33 : 거치돌기
a : 제1벌림각 b : 제2벌림각

Claims (2)

  1. 전면(11)에 길이방향으로 체결구멍(12)이 균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11) 양측에 밀착면(13)(13)이 형성된 내부체(10)와;
    상기 내부체(10)의 양측에 형성된 밀착면(13)(13)이 양측 내면(21)(21)에 밀착되어 스폿용접에 의해 용접부(22)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체(10)의 전면 외측에 위치되는 외부체(20)와;
    상기 내부체(10)의 체결구멍(12)에 체결되는 체결돌기(31)(32)가 일측면 상/하단에 형성되고 타측 상단에 선반(1)이 거치되는 거치돌기(33)가 형성된 선반결합구(3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용 앵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체(10)의 양측에 형성된 밀착면(13)(13)은 상기 체결구멍(12)이 형성된 전면(11)에 대하여 각각 외측방향으로 45°벌어진 제1벌림각(a)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체(20)의 양측 내면(21)(21)은 상기 내부체(10)의 밀착면(13)(13) 제1벌림각(a)과 동일하게 외측방향으로 45°벌어진 제2벌림각(b)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용 앵글.
KR2020090014213U 2009-10-29 2009-10-29 선반용앵글 KR2004581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213U KR200458100Y1 (ko) 2009-10-29 2009-10-29 선반용앵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4213U KR200458100Y1 (ko) 2009-10-29 2009-10-29 선반용앵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176U KR20090012176U (ko) 2009-12-01
KR200458100Y1 true KR200458100Y1 (ko) 2012-01-18

Family

ID=45842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4213U KR200458100Y1 (ko) 2009-10-29 2009-10-29 선반용앵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10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2967B1 (ko) * 2021-08-05 2021-12-01 주식회사 삼아탑퍼스 선반 거치력이 강화된 간편 조립식 수납장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4471A (ko) * 1998-06-30 2000-01-25 윤종용 광 도파로의 코아 형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평면 광 도파로 제작 방법
JP2001522284A (ja) 1997-04-25 2001-11-13 シル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支持構造体
KR20110041314A (ko) * 2009-10-15 2011-04-21 주식회사 옥동 선반 지지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22284A (ja) 1997-04-25 2001-11-13 シル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ッド 支持構造体
KR20000004471A (ko) * 1998-06-30 2000-01-25 윤종용 광 도파로의 코아 형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평면 광 도파로 제작 방법
KR20110041314A (ko) * 2009-10-15 2011-04-21 주식회사 옥동 선반 지지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2176U (ko) 2009-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60592A1 (en) Combination cabinet
US5335605A (en) Decorative panel construction for office furniture
KR200476249Y1 (ko) 진열대 조립용 연결구
KR100994046B1 (ko) 모서리 연결구
KR200458090Y1 (ko) 조립식 선반
KR20170000760U (ko) 무볼트 조립식 진열대
KR200458100Y1 (ko) 선반용앵글
CA2915184C (en) Spa cabinet attachment
US7419126B2 (en) Bracket
JP4680054B2 (ja) テーブルのフレーム構造
KR200228609Y1 (ko) 조립식 앵글선반 결합구조
KR100951363B1 (ko) 파티션의 하부서포트
KR102290321B1 (ko) 장식 커버를 갖는 조립식 선반
JP2005087625A (ja)
CN204177073U (zh) 冷柜的门体组件及冷柜
US20050258120A1 (en) Connector for cabinet or shelf structure
KR20090010039U (ko) 판넬과 판넬을 수직, 수평하게 연결하여 조립하는 조립식가구
CN218497755U (zh) 一种门头结构
JP4167953B2 (ja) 接続ユニット内蔵建具と接続ユニット及び接続金具
CN202750995U (zh) 一种橱柜柜体
KR100677911B1 (ko) 조립식 장식장의 프레임 구조
KR200251895Y1 (ko) 장롱
KR200332577Y1 (ko) 내구재 결합용 브라켓
JP4478080B2 (ja) 壁面用支持装置
JP4986297B2 (ja) 物品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