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8024Y1 - 탄성보호대가 구비된 법단용 무속용구 - Google Patents

탄성보호대가 구비된 법단용 무속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8024Y1
KR200458024Y1 KR2020090016802U KR20090016802U KR200458024Y1 KR 200458024 Y1 KR200458024 Y1 KR 200458024Y1 KR 2020090016802 U KR2020090016802 U KR 2020090016802U KR 20090016802 U KR20090016802 U KR 20090016802U KR 200458024 Y1 KR200458024 Y1 KR 2004580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elastic
gripping
guard
sham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68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6616U (ko
Inventor
강영광
Original Assignee
강영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영광 filed Critical 강영광
Priority to KR20200900168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8024Y1/ko
Publication of KR201100066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6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80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80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A47G33/008Devices related to praying, e.g. counters, reminders, study aids, compasses, rugs, cushion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A47G33/002Communion cups, chalices or the like

Landscapes

  • Adornment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탄성보호대가 구비된 법단용 무속용구는, 상단에 제례용 날이 형성된 장방형의 무속작두본체와, 상기 무속작두본체의 중간부분에 무속작두본체를 파지가능하도록 파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홈과 무속작두본체의 하부면 사이의 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에 부착되는 탄성보호대와, 상기 파지홈의 양쪽으로 형성된 연결공과, 상기 연결공에 삽입되어 무속용구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봉을 포함하며, 제례나 굿을 할 때에 무속인이 작두와 같은 무속용구 위를 올라타는 것뿐만 아니라 무속용구에 탄성체의 탄성보호대가 형성되어 손에 들고 사용할 수 있으며 무속용구의 하단이 수평으로 형성되어 무속인이 작두와 같은 무속용구 위를 올라탈 때에 무속용구의 하부면 전체가 지면과 접하게 되어 안전하게 사용가능하며 탄성보호대에 의하여 무속용구를 들고서도 편안하게 무속용구를 사용할 수 있고 탄성보호대가 파지대 전체를 감싸면서도 신속하게 조립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제조가 간편하게 되므로 제조인력이 절감되며 노동생산성이 향상되어 제조가가 저렴하게 되고, 단단하게 조립 고정되어 오랜 기간 사용이 가능하며 장시간 무속용구를 파지하는데에 있어서도 손바닥과 손가락에 피로를 줄일 수 있는 탄성보호대가 구비된 법단용 무속용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탄성보호대가 구비된 법단용 무속용구 {elastic handle with shamanist custom goods}
본 고안은 탄성보호대가 구비된 법단용 무속용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무속인이 제례를 지내거나 굿을 할 때에 무속인이 사용하는 무속용구로, 예를 들면, 작두와 같은 무속용구의 위를 맨발로 걷거나 손에 들고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무속용구를 손에 들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무속용구에 파지부를 형성하고 파지부가 감싸지도록 분리되는 한 쌍의 탄성체의 탄성보호대를 접착제로 부착 고정되도록 형성하여 간편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제조가 편리하고, 무속인이 무속용구를 들고 춤을 추며 장시간 동안 제례나 굿을 할 때 손이 아프지 않고 손의 피로감을 줄이도록 하여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며 제례나 굿의 효과를 배가시키는 것이 가능한 탄성보호대가 구비된 법단용 무속용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속인이 사용하는 무속용구는 무속인의 신기를 발휘함과 아울러 신의 영적인 힘을 극대화하여 무속인의 능력을 믿고 확인시켜주는 도구로 주로 무속용구를 들고 춤을 추거나 작두와 같은 무속용구 날에 맨발로 올라가 무속용구 위를 걸어가는 데에 사용하여도 발을 베이거나 다치지 않게 되는 신기를 참석자들에게 증명하는 데에 사용되며 현재에도 무속인들에게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무속인이 신기를 발휘하는데에 사용되는 무속용구는 그 크기와 무게가 상당하고 종래의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무속용구를 들고 사용하는데에 있어서 제례나 굿을 오랜 시간을 하는데에 무리가 있어 무속용구 위를 올라타서 사용할 뿐 다른용도로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어 장시간 동안 이루어 져야하는 제례나 굿의 효과가 반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도 1a,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가 구비되어 있는 손으로 사용되는 손 무속용구(A')를 제안한 바가 있다. 상기 손 무속용구(A')의 경우, 손 무속용구를 파지하기 위해 형성된 파지대(13')에 관통공(131')을 형성하고 상기 파지대(13')를 감싸도록 일측에는 조립돌기(14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조림홈(142')이 형성된 합성고무재질의 고무덮개(14')가 형성되어 상기 파지대의 관통공(131')에 상기 고무덮개(14')의 일측에 형성된 조립돌기(141')가 삽입 관통되어 상기 고무덮개(14') 타측의 조립홈(142')에 조립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손 무속용구(A')의 조립돌기(141')와 조립홈(142')이 형성된 고무덮개(14')는 조립돌기(141')와 조립홈(142')의 결합이 대단히 어려워 조립작업에 의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어 한정된 시간 동안 작은 물량만을 제조할 수 밖에는 없어 생산성이 저하되고 제조비용이 높아지게 되어 판매가격이 높게 설정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손 무속용구(A')는 조립돌기(141')와 조립홈(142')의 결합에 의하여 조립되어 사용되므로 오랜 시간 동안 사용하게 되면 고무재질로 인해 조립홈(142')이 늘어나 커지게 되어 조립이 느슨해지고 헐거워지게 되어 더 이상의 고정이 불가능하게 되며 상기 고무덮개(14')는 파지대(13') 전체를 감싸지 아니하여 무속용구의 파지대(13')의 단단한 하부면(16')이 노출되어 장시간 파지하게 되면 파지대(13')의 하부면(16')에 의하여 손에 아프고 피로감을 느끼게 되어 제례나 굿을 하는데에 무리가 있어 그의 효과가 반감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례나 굿을 할 때에 무속인이 작두와 같은 무속용구 위를 올라타는 것 뿐만 아니라 손에 들고 사용할 수 있도록 무속용구에 탄성체의 탄성보호대가 형성된 파지대를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여 제조가 간편하게 되므로 제조인력이 절감되며 노동생산성이 향상되어 제조가가 저렴하게 되고, 파지대가 무속용구 본체의 하단에 돌출 형성되지 않고 파지홈이 형성되어 탄성보호대가 설치되면 무속용구의 하단이 수평으로 형성되어 무속인이 작두와 같은 무속용구 위를 올라탈 때에 무속용구의 하부면 전체가 지면과 접하게 되어 무속용구가 흔들리지 않고 안전하게 사용하면서, 탄성보호대에 의하여 용이하게 무속용구를 들고서도 편안하게 무속용구를 사용할 수 있어 제례나 굿의 효과가 배가되며 탄성보호대가 파지대 전체를 감싸면서도 신속하게 조립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은 물론이고 단단하게 조립 고정되어 오랜 기간 동안 사용이 가능하며 장시간 무속용구를 파지하는데에 있어서도 손바닥과 손가락에 피로를 줄일 수 있도록 형성된 탄성보호대가 구비된 법단용 무속용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이러한 목적은, 상단에 제례용 날이 형성된 장방형의 무속작두본체와, 상기 무속작두본체의 중간부분에 무속작두본체를 파지가능하도록 파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홈과 무속작두본체의 하부면 사이의 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에 부착되는 탄성보호대와, 상기 파지홈의 양쪽으로 형성된 연결공과, 상기 연결공에 삽입되어 무속용구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봉을 포함하는 본 고안에 따른 탄성보호대가 구비된 법단용 무속용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탄성보호대가 구비된 법단용 무속용구는, 상단에 제례용 날이 형성된 장방형의 무속작두본체와, 상기 무속작두본체의 중간부분에 무속작두본체를 파지가능하도록 파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홈과 무속작두본체의 하부면 사이의 파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에 부착되는 탄성보호대와, 상기 파지홈의 양쪽으로 형성된 연결공과, 상기 연결공에 삽입되어 무속용구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봉을 포함하며, 제례나 굿을 할 때에 무속인이 작두와 같은 무속용구 위를 올라타는 것 뿐만 아니라 무속용구에 탄성체의 탄성보호대가 형성되어 손에 들고 사용할 수 있으며 무속용구의 하단이 수평으로 형성되어 무속인이 작두와 같은 무속용구 위를 올라탈 때에 무속용구의 하부면 전체가 지면과 접하게 되어 안전하게 사용가능하며 탄성보호대에 의하여 무속용구를 들고서도 편안하게 무속용구를 사용할 수 있고 탄성보호대가 파지대 전체를 감싸면서도 신속하게 조립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제조가 간편하게 되므로 제조인력이 절감되며 노동생산성이 향상되어 제조가가 저렴하게 되고, 단단하게 조립 고정되어 오랜 기간 동안 사용이 가능하며 장시간 무속용구를 파지하는데에 있어서도 손바닥과 손가락에 피로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성보호대가 구비된 법단용 무속용구(A)는 조 절봉(17)에 의하여 이격거리가 조절되며 상부에 제례용 날(11)이 형성된 한 쌍의 무속작두본체가 사용되었으며, 본 고안에서 이러한 무속작두본체도 무속용구라고 호칭이 가능하여 무속용구라고 칭하였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작두'라는 용어는 풀이나 물건을 절단하는 용도에 사용되는 절단용구가 아니라, 무속인들이 신기를 발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날이 무디고 절단하는 것이 아닌 올라 타거나 가지고 노는 것을 지칭하므로 절단용구를 지칭하는 것은 아니라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성보호대가 구비된 법단용 무속용구(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제례용 날(11)이 형성되고 중간에 반달형 파지홈(12)이 형성된 한 쌍의 무속작두본체(10)와, 상기 무속작두본체(10)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조절봉(17)을 포함한다.
상기 무속작두본체(10)의 파지홈(12)과 하부면(16)의 사이에는 파지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무속작두본체(10)의 중간부분에는 손을 넣을 수 있도록 반달형상의 파지홈(12)이 형성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지부(13)는 상기 무속용구본체(10)의 하부면(16)과 상기 파지홈(12)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파지부(13)는 폭(W)이 2.0 ~ 4.0cm 로 형성되어야 파지하기가 적당하다 할 것이다. 상기 파지부(13)는 중간에 고정공(131)이 형성되어 있어 후술되는 탄성보호대(14)가 고정되는 구조이다.
상기 파지부(13)에 형성된 고정공(131)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에 장공의 고정공(131a)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131a)의 양 측에 원형의 고정 공(131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파지부(13)의 하부에는 상기 무속작두본체(10)의 하부면(16)에서 상방으로 삭설되는 삭설홈(130)을 형성하여 상기 무속작두본체(10)의 상기 파지홈(12) 방향으로 인입되어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삭설홈(130)을 형성하는 그 이유는 후술되는 탄성보호대(14)로 인해 상기 무속작두본체(10)의 하부면(16)에 굴곡이 생겨 상기 무속작두본체(10)가 지면과 수평을 이루지 못하게 되어 사용자의 신체를 상하게 하는 위험을 초래하기 때문에, 상기 무속작두본체(10)에 탄성보호대(14)가 부착고정이 되어도,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16)이 바닥면(G)과 수평을 이루도록 하여, 무속인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성보호대가 구비된 법단용 무속용구(A)의 위에서 무속용구(A)를 타고 놀아도 위험하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무속작두본체(10)의 파지홈(12)의 하부면(16)이 형성된 부분에 삭설홈(130)이 형성된 것은 본 고안의 중요한 요부라고 할 것이다.
상기 탄성보호대(14)는 탄성이 있는 합성고무재질이나 실리콘 재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목재나 합성수지재질의 사용이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보호대(14)는 상기 파지부(13)를 감싸도록 동일한 형태로 한 쌍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파지부(13)를 향하는 상기 탄성보호대(14)의 일측면에는 상기 파지부(13)에 형성된 고정공(131)에 대응되게 상기 파지부(13)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고정돌기(141)가 형성되어 상기 파지부(13)의 고정공(131)에 삽입되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보호대(14)의 일측면의 상하부에는 상기 파지부(13)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파지부(13)의 상면(1311)과 하면(1312)을 감싸도록 절곡보호돌조(1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곡보호돌조(142)는 레이저절단을 통해 상기 파지부(13)가 가공될 때 상기 파지부(13)의 표면(1313)과 상기 파지부(13)의 상면(1311)과 하면(1312)이 만나는 파지부모서리(1314)가 90도에 가깝게 절단되게 되고 날카롭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모서리(1314)를 감싸도록 상기 파지부(13)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으로, 사용자가 상기 파지부(13)를 직접적으로 잡을 때에 손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탄성보호대(14)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돌기(141)는 상기 파지부(13)의 고정공(131)의 깊이(d)의 1/2에 약간 못미치게 돌출형성된다. 또한, 상기 절곡보호돌조(142)도 상기 파지부(13)의 두께(d)의 1/2로 제조되어 한 쌍의 상기 탄성보호대(14)는 상기 파지부(13)에 고정되고 상기 파지부(13)의 모서리 전체를 감싸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탄성보호대(14)의 조립은 상기 탄성보호대(14)의 고정돌기(141)를 상기 파지부(13)의 고정공(131)에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공(131)에 본드와 같은 접착제가 도포되고, 상기 다른 탄성보호대(14)의 고정돌기(141)를 상기 고정공(131)에 삽입되어 고정결합된다.
상기 연결공(15)은 상기 무속용구본체(10)의 양쪽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무속작두본체(10)가 한 쌍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연결공(15)에는 조절봉(17)이 삽입되며 상기 조절봉(17)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어 와셔(17a)와 너트(17b)에 의해서 복수의 상기 무속용구본체(10)의 간격을 조절하여 결합되고 이러한 구조는 종래의 것과 동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청구범위는 아니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탄성보호대가 구비된 법단용 무속용구(B)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제례용 날(110)이 형성된 반달형의 무속작두본체(100)와, 상기 무속작두본체(100)의 중간부분에 무속작두본체(100)를 파지가능하도록 파지홈(200)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홈(200)과 무속작두본체(100)의 하부면(600)사이의 파지부(300)와, 상기 파지부(300)에 부착되는 탄성보호대(400)를 포함한다.
상기 무속작두본체(100)의 중간부분에는 손을 넣을 수 있도록 반달형상의 파지홈(200)이 형성되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파지부(300)는 상기 무속용구본체(100)의 하부면(600)과 상기 파지홈(200)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파지부(300)는 중간에 고정공(310)이 형성되어 있어 후술되는 탄성보호대(400)가 고정되게 된다.
상기 파지부(300)에 형성된 고정공(310)은 중간에 장공의 고정공(310a)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공(310a)의 양 측에 원형의 고정공(310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파지부(300)의 하부에는 상기 무속작두본체(100)의 하부면(600)에서 상방으로 삭설되는 삭설홈(330)을 형성하여 상기 무속작두본체(100)의 상기 파지홈(200) 방향으로 인입되어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보호대(400)는 탄성이 있는 합성고무재질이나 실리콘 재질이 사용되며, 필요에 따라서 목재나 합성수지재질의 사용도 가능하다.
상기 탄성보호대(400)는 상기 파지부(300)를 감싸도록 한 쌍의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보호대(400)의 일측면에는 상기 파지부(300)에 형성된 고정공(310)에 대응되게 상기 파지부(300)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고정돌기(410)가 형성되어 상기 파지부(300)의 고정공(310)에 삽입되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보호대(400)의 일측면의 상하부에는 상기 파지부(300)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파지부(300)의 전체를 감싸도록 절곡보호돌조(4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곡보호돌조(420)는 레이저절단을 통해 상기 파지부(300)가 절단가공될 때 상기 파지부(300)의 모서리(314)가 날카롭게 형성되어 상기 모서리(314)를 감싸도록 상기 파지부(300)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것으로, 사용자가 상기 파지부(300)를 직접적으로 잡을 때에 손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탄성보호대(400)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돌기(410)는 상기 파지부(300)의 고정공(310)의 깊이(d)의 1/2에 약간 못미치게 돌출형성되며 상기 절곡보호돌조(420)도 상기 파지부(300)의 두께(d)의 1/2로 제조되어 한 쌍의 상기 탄성보호대(400)가 상기 파지부(300)에 고정되면서 상기 파지부(300)의 전체를 감싸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탄성보호대(400)의 조립은 상기 탄성보호대(400)의 고정돌기(410)를 상기 파지부(300)의 고정공(310)에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공(310)에 본드와 같은 접착제가 도포되고, 상기 다른 탄성보호대(400)의 고정돌기(410)를 상기 고정공(310) 에 삽입되어 고정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속용구(B)는 무속용구 위로 올라타기 위한 것이 아니고 무속용구를 파지하여 제례나 굿을 할 때 춤을 추는 등 자유롭게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소형으로 제조되어 무게가 가벼우며 파지가 가능하도록 파지부(300)가 형성되며 장시간 사용하여도 손에 무리가 가지 않고 피로감을 덜어주게 하기 위해 탄성보호대(400)가 구비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무속작두본체(100)은 반달형으로 형성되었으나 이에 제한된 것이 아니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a,1b는 종래의 탄성보호대가 구비된 법단용 무속용구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및 조립시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성보호대가 구비된 법단용 무속용구의 사시도
도 3a,3b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성보호대가 구비된 법단용 무속용구의 분해사시도 및 파지부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 4a,4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성보호대가 구비된 법단용 무속용구의 정면도 및 I-I선을 따라 취한 파지부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탄성보호대가 구비된 법단용 무속용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탄성보호대가 구비된 법단용 무속용구의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무속작두본체 12. 파지홈 13. 파지부
14. 탄성보호대 130. 삭설홈 131. 고정공
141. 고정돌기 142. 절곡보호돌조

Claims (2)

  1. 탄성보호대가 구비된 법단용 무속용구에 있어서,
    탄성보호대가 구비된 법단용 무속용구(A)는, 상단에 제례용 날(11)이 형성된 한 쌍의 장방형의 무속작두본체(10)와,
    상기 무속작두본체(10)의 중간부분에 무속작두본체(10)를 파지가능하도록 파지홈(12)이 형성되어, 상기 파지홈(12)과 상기 무속작두본체(10)의 하부면(16)사이에 파지부(13)가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13)에 부착되는 한 쌍의 탄성보호대(14)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13)는 하부에 상기 무속작두본체(10)의 하부면(16)에서 상방으로 삭설되는 삭설홈(130)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13)의 중간에는 복수의 고정공(131)이 형성되고,
    상기 각 탄성보호대(14)는 일측면에 상기 파지부(13)의 고정공(131)에 대응되도록 고정돌기(141)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보호대(14)의 상하부에는 상기 고정돌기(141)가 형성된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보호돌조(142)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보호대(14)에 형성되는 고정돌기(141)와 절곡보호돌조(142)의 상기 파지부(13)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이 상기 파지부(13)의 두께(d)보다 작게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무속작두본체(10)가 조절봉(17)에 의해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보호대가 구비된 법단용 무속용구
  2. 탄성보호대가 구비된 법단용 무속용구에 있어서,
    탄성보호대가 구비된 법단용 무속용구(B)는, 상단에 제례용 날(110)이 형성된 반달형의 무속작두본체(100)와,
    상기 무속작두본체(100)의 중간부분에 무속작두본체(100)를 파지가능하도록 파지홈(200)이 형성되어, 상기 파지홈(200)과 상기 무속작두본체(100)의 하부면(600)사이에 파지부(300)가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300)에 부착되는 한 쌍의 탄성보호대(400)를 포함하고,
    상기 파지부(300)는 하부에 상기 무속작두본체(100)의 하부면(600)에서 상방으로 삭설되는 삭설홈(330)이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300)의 중간에는 복수의 고정공(310)이 형성되고,
    상기 각 탄성보호대(400)는 일측면에 상기 파지부(300)의 고정공(310)에 대응되도록 고정돌기(410)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보호대(400)의 상하부에는 상기 고정돌기(410)이 형성된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보호돌조(420)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보호대(400)에 형성되는 고정돌기(410)와 절곡보호돌조(420)의 상기 파지부(300)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이 상기 파지부(300)의 두께(d)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보호대가 구비된 법단용 무속용구
KR2020090016802U 2009-12-24 2009-12-24 탄성보호대가 구비된 법단용 무속용구 KR2004580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802U KR200458024Y1 (ko) 2009-12-24 2009-12-24 탄성보호대가 구비된 법단용 무속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6802U KR200458024Y1 (ko) 2009-12-24 2009-12-24 탄성보호대가 구비된 법단용 무속용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616U KR20110006616U (ko) 2011-06-30
KR200458024Y1 true KR200458024Y1 (ko) 2012-01-16

Family

ID=45842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6802U KR200458024Y1 (ko) 2009-12-24 2009-12-24 탄성보호대가 구비된 법단용 무속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80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115U (ko) 2021-07-06 2023-01-13 강영광 신속한 설치가 가능한 법단용 작두 지지체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8399A (ja) * 1986-02-14 1987-08-17 日本電気株式会社 セラミツク配線基板
JPS62188399U (ko) * 1986-05-21 1987-11-30
JPS6395578A (ja) * 1986-10-13 1988-04-26 Canon Inc 画像情報処理装置
JPS6395578U (ko) * 1986-12-07 1988-06-20
JPS63160751A (ja) * 1986-12-24 1988-07-04 Nippon Steel Corp 金属の連続鋳造用鋳型
JPS63160751U (ko) * 1987-04-10 1988-10-20
KR910016303U (ko) * 1990-03-08 1991-10-26 연선웅 탁자다리 체결금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8399A (ja) * 1986-02-14 1987-08-17 日本電気株式会社 セラミツク配線基板
JPS62188399U (ko) * 1986-05-21 1987-11-30
JPS6395578A (ja) * 1986-10-13 1988-04-26 Canon Inc 画像情報処理装置
JPS6395578U (ko) * 1986-12-07 1988-06-20
JPS63160751A (ja) * 1986-12-24 1988-07-04 Nippon Steel Corp 金属の連続鋳造用鋳型
JPS63160751U (ko) * 1987-04-10 1988-10-20
KR910016303U (ko) * 1990-03-08 1991-10-26 연선웅 탁자다리 체결금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115U (ko) 2021-07-06 2023-01-13 강영광 신속한 설치가 가능한 법단용 작두 지지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616U (ko) 201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9573B2 (en) Knife with grip
US7523525B2 (en) Pry bar ergonomic handle
US20200009755A1 (en) Knife with extended handle grip portion
US10321627B1 (en) Adjustable machine handle assembly
CA2899484C (en) Gaff for tree and pole climber
KR200458024Y1 (ko) 탄성보호대가 구비된 법단용 무속용구
USD510512S1 (en) String trimmer
ES2448831T3 (es) Dispositivo portátil con mango antivibratorio para su uso en agricultura y jardinería
JP4505487B2 (ja) 刃物のグリップ
USD796610S1 (en) Golf club grip
USD893962S1 (en) Root cutting tool
USD518339S1 (en) Garden weeder
US9592616B2 (en) Knife that relieves pressure on metacarpophalangeal joint of index finger
KR200482675Y1 (ko) 눈썰매
US1850438A (en) Brush, bramble, grass, vine, and corn cutter and shearer
KR200478842Y1 (ko) 재배용 보조기구
CN210550554U (zh) 钳子
KR200263275Y1 (ko) 톱자루
CN212138485U (zh) 一种园林绿化用绿化带修剪装置
US20230019035A1 (en) Chainsaw Limb Gripping Attachment System
KR200285540Y1 (ko) 손 교정용 골프채 손잡이
JP3215786U (ja) 草刈鎌
KR20140133368A (ko) 작업용 가위
JP3189480U (ja) 靴篦
US20140194043A1 (en) Fish filet gripper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