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984Y1 - 암수 커넥터 - Google Patents

암수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984Y1
KR200457984Y1 KR2020090015783U KR20090015783U KR200457984Y1 KR 200457984 Y1 KR200457984 Y1 KR 200457984Y1 KR 2020090015783 U KR2020090015783 U KR 2020090015783U KR 20090015783 U KR20090015783 U KR 20090015783U KR 200457984 Y1 KR200457984 Y1 KR 2004579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ale
connection
female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57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5812U (ko
Inventor
김진왕
Original Assignee
김진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584268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57984(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왕 filed Critical 김진왕
Priority to KR20200900157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984Y1/ko
Publication of KR201100058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81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9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98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6End pieces terminating in a screw clamp, screw or nu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30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crew or nut clamp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22Bases, e.g. strip, block, panel
    • H01R9/24Terminal block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동기 제어반에서 유닛을 인출 또는 인입 시 전기를 차단 및 공급하는 암/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암/수 커넥터는 상기 복수의 유닛 각각의 후면에 고정 설치되어 이동 가능하며 접속단자를 구비하는 복수의 암 커넥터와 상기 복수의 암 커넥터 각각의 후방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접속단자와 결합 또는 분리되는 전원단자를 구비하는 복수의 수 커넥터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암수 커넥터는 암 커넥터의 접속단자의 두께를 크게 함으로써 수 커넥터의 전원단자와 결합 시 휘거나 뒤틀림을 방지하고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어 유닛에 전원공급을 원할히 할 수 있다.
Figure R2020090015783
전동기 제어반, 커넥터, 유닛, 단자

Description

암수 커넥터{FEMALE AND MALE CONNECTOR}
본 고안은 전동기 제어반의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닛을 인출 또는 인입시 전기를 차단 및 공급하는 암/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요즘 전기로 작동되는 많은 전동기가 사용되는데 이러한 전동기를 관리 및 제어하기 위해 전동기 제어반(Motor Control Center; MCC)을 사용한다.
전동기 제어반은 회로부품을 수용하는 다수의 유닛과 다수의 유닛을 수용하는 다수의 수용실이 여러 단을 형성하는 캐비닛 형식으로 되어 있다. 다수의 수용실은 다수의 유닛을 서랍식으로 열고 닫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되어 있다.
점검 및 회로 부품을 장착하기 위해 유닛을 수용실로부터 인출할 때 유닛 후면에 설치되는 암 커넥터와 전동기 제어반 후면에 설치되어 전기를 공급하는 수 커넥터와의 결합이 분리된다. 이로서 전원이 유닛에 공급 되지 못하고 차단된다. 또한 인출된 유닛을 수용실에 인입할 때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가 결합함으로써 전원이 유닛에 공급된다. 이 때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가 결합될 때 전원이 원할히 공급되기 위해서는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가 접촉이 잘 이루어져야 한다.
보통 암 커넥터는 ㄷ자 형상의 접속단자를 가지며 수 커넥터는 일자형의 전 원단자를 가지고 있어 접속단자와 전원단자가 결합하거나 분리되어 전원이 공급 또는 차단된다.
그런데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가 결합시 접속단자의 접촉 면적이 넓지 못하고, 접속단자와 전원단자와의 결합시 접속단자의 접촉 강도가 크지 못하여 접속단자가 휘어지는 경향이 있다.
상기의 경우 전원이 균일하게 공급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스파크, 열화, 융착이 일어나며 전기 화재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동기 제어반의 암 커넥터의 접속단자를 보강하여 수 커넥터의 전원단자와의 결합을 견고히 함으로써 균일한 전원 공급을 할 수 있는 암/수 커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암수 커넥터는 상기 복수의 유닛 각각의 후면에 고정 설치되어 이동 가능한 복수의 암 커넥터와 상기 복수의 암 커넥터 각각의 후방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각각의 암 커넥터와 서로 마주보며 결합 또는 분리되는 복수의 수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암 커넥터는 도체로 구성되며 유닛측 전선과 연결되는 복수의 접속단자와 상기 복수의 접속단자 각각이 수용 결합되며, 전기적 절연 물질로 형성된 복수 의 단자대와 상기 복수의 단자대 각각에 상기 접속단자를 고정시키기 위한 한 쌍의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단자대는 서로 이웃하는 상기 단자대의 높이가 상이하고, 상기 암 커넥터의 일측면에는 상기 유닛의 후면과 결합하기 위한 체결공을 구비한 결합구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암수 커넥터는, 접속단자의 두께를 크게 함으로써 전원단자와 결합시 휘거나 뒤틀림을 방지하고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암수 커넥터는, 상기의 구조에 의해 유닛에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암수 커넥터는, 접속단자의 연결부에 너트와 결합할 수 있는 너트 홈을 형성함으로써 전선 연결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 도1 내지 도 5를 참조로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암수 커넥터의 결합상태의 사사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암수 커넥터의 분리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암수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단자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암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 선에 따른 단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절연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암수 커넥터(300)는 복수의 유닛 각각의 후면에 고정 설치되어 이동 가능한 복수의 암 커넥터(100)와 복수의 암 커넥터(100) 각각의 후방에 고정 설치되어 각각의 암 커넥터(100)와 서로 마주보며 결합 또는 분리되는 복수의 수 커넥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암 커넥터(100)는 유닛의 후면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유닛의 이동과 함께 이동 가능하며, 수 커넥터(200)는 전원을 공급하며, 암 커넥터(100)의 후방의 전동기 제어반의 뒤판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암 커넥터(100)는 상기 유닛의 인출에 의해 상기 수 커넥터(200)와 분리되며, 상기 유닛의 인입에 의해 상기 수 커넥터(200)와 결합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암 커넥터(100)는 전도성을 가진 도체로 구성되며 유닛측 전선(3)과 연결되는 복수의 접속단자(10)와 복수의 접속단자(10) 각각이 수용 결합되며, 전기적 절연 물질로 형성된 복수의 단자대(20)와 복수의 단자대(20) 각각에 접속단자(10)를 고정시키기 위한 한 쌍의 볼트(30) 및 너트(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단자대(20)는 서로 이웃하는 상기 단자대(20)의 높이가 상 이하고, 상기 암 커넥터(100)의 일측면에는 유닛의 후면과 결합하기 위한 체결공(50a)을 구비한 결합구(5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암 커넥터(100)는 일측면에 형성된 결합구(50)의 체결공(50a)을 통해 회로 부품을 수용하는 유닛의 후면에 볼트, 나사와 같은 체결구에 의해 체결되며, 수 커넥터(200)는 암 커넥터(100)와 마주보며, 유닛을 수용하는 유닛 수용실의 후방에 위치한 전동기 제어반 뒤판에 설치될 수 있다. 암 커넥터(100)는 단자대(20)를 통해 유닛에서 인출된 유닛측 전선(3)과 연결되며 수 커넥터(200)는 후술되는 전원단자(210)에 의해 외부의 전원선(4)과 연결되어 암 커넥터(100)와 접촉시 전원을 유닛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즉 암 커넥터(100)와 수 커넥터(200)는 유닛 수용실로부터 유닛을 인출시 분리되어 전원이 차단되며, 인입시 접촉되어 암 커넥터(100)를 통해 유닛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암 커넥터(100)와 수 커넥터(200)는 유닛 수용실 1개당 한 쌍씩 유닛 수용실의 개수만큼 그 개수에 맞게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암 커넥터(100)와 수 커넥터(200)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 커넥터(100)는 암 커넥터(100)에 형성된 복수의 단자대(20)의 높이를 서로 상이하게 함으로서 단자대(20)에 수용 결합되는 접속단자(10) 간의 간섭 및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닛측 전선(3)을 접속단자(10)와 연결시 유닛측 전선(3) 간의 간섭을 방지하며 결선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암 커넥터(100)의 접속단자(10)는 수 커넥터(200)와 결합 및 분리되는 접속부(11)와 접속부(11)와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볼트(30)와 상기 유닛측 전선(3)이 결합되는 연결부(12)와 접속부(11)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 접속부(11)에 수용 결합되는 탄성체(13)로 구성될 수 있다.
접속단자(10)는 일정 두께의 판상의 형상을 가지며, 단단한 강도와 탄력을 가진 인청동으로 구성되며, 접속단자(10)의 표면에는 은(Ag) 도금층이 형성되어 전도성을 높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단자(10)의 접속부(11)는 가운데가 일부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홈(11a)과 일면에 상기 절개홈(11a)을 사이에 두고 탄성체(13)가 수용 결합되도록 형성된 탄성체 수용홈(11b)과 타면에 접속부(11)를 보강하기 위해 탄성체(13)의 형상이 돌출되어 형성된 보강 돌출구(11c)와 접속부(11)가 걸리도록 접속부(11)의 하단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턱(11d)을 포함할 수 있다.
접속단자(10)의 접속부(11)는 후술되는 전원단자(210)와 결합시 휘어짐을 방지하도록 판의 두께를 크게 함으로써 강한 강성(Rigidity)을 가질 수 있다.
탄성체(13)는 판상의 형상이며, 접속부(11)의 일면에 탄성체(13)의 형상을 오목하게 형성하여 만든 탄성체 수용홈(11b)에 수용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체(13)의 U자형의 개구된 쪽의 양 끝단에 일체로 형성된 결합돌기(13a)가 접속부(11)에 대응되어 형성된 돌기체결공(11e)에 끼움 결합되어 더욱 견고한 결합을 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체(13)는 탄성이 강한 강철로 구성되며 본 고안의 실시예 서는 U자형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탄성체(13)는 접속부(11)가 후술되는 전원단자(210)와 결합시 강한 탄성을 부여해 강한 결합을 할 수 있게 한다. 탄성체(13)는 스냅링 또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접속부(11)의 타면에 탄성체(13)의 형상을 돌출 형성시킨 보강 돌출구(11c)는 더욱 접속부(11)를 보강하여 뒤틀림이나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접속부(11)에 형성된 절개홈(11a)의 크기는 전원단자(210)의 두께에 대응되는 크기로 하되 헐겁지 않도록 한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단자(10)의 연결부(12)는 일측에 유닛측 전선(3)을 고정하기 위해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볼트공(12a)과 너트(40)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너트 돌출편(40a)을 수용하도록 볼트공(12a)에 형성된 돌출편 수용홈(12b)과 너트 돌출편(40a)을 안내하기 위해 하단에 형성된 돌출편 가이드 홈(12c)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너트(40)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너트(40) 제조시 너트(40)에 일체로 돌출 형성시킨 너트 돌출편(40a)을 연결부(12)의 볼트공(12a)의 상/하단에 너트 돌출편(40a)을 수용하는 돌출편 수용홈(12b)을 형성시켜 너트(40)를 연결부(12)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는 유닛측 전선(3)을 연결부(12)에 결합시 너트(40)가 연결부(12)에 고정됨으로써 볼트(30)를 너트(40)에 쉽게 고정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너트(40)와 볼트(30)를 맞추어 결합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어 결선 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4를 참조하면, 볼트공(12a)의 하단의 돌출편 수용홈(12b)에서 연 결부(12)의 끝단까지 형성된 돌출편 가이드 홈(12c)의 형성은 후술되는 너트 수용홈(24)에 너트(40)를 삽입할 시 접속단자(10)의 연결부(12)에 너트 돌출편(40a)이 걸려 삽입되지 않음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유닛측 전선(3)은 볼트(30)와 결합하여 연결부(12)에 형성된 볼트공(12a)을 통해 너트(40)와 결합됨으로써 연결부(12)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과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단자대(20) 각각은 접속단자(10)의 연결부(12)가 삽입되도록 전면에서 후면까지 몸체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가이드 개구부(21)와 가이드 개구부(21)의 중간 부위 양측에 접속부(11)의 걸림턱(11d)이 걸려지도록 형성된 돌출턱(22)과 가이드 개구부(21)의 하부에 너트(40)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너트 수용홈(24)과 너트 수용홈(24)의 하부에 볼트(30)의 나사봉(30a)을 수용하도록 너트 수용홈(24)의 하부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나사봉 수용홈(25)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단자대(20) 각각은 볼트(30)와 유닛측 전선(3)이 연결부(12)의 상부면에 결합되고 너트(40)가 후면을 통해 삽입 가능하도록 가이드 개구부(21)의 상부와 후면이 개방될 수 있다. 이는 단자대(20)의 가이드 개구부(21)에 접속단자(10)를 삽입시 외부에 연결부(12)를 노출시켜 유닛측 전선(3)과 고정 결합하기 위함이다.
단자대(20)는 강화플라스틱 등의 절연재질로 형성되어 절연체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그리고 단자대(20)에 접속단자(10) 및 유닛측 전선(3)과의 결합을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접속단자(10)의 연결부(12)를 단자대(20)의 전면의 가이드 개구부(21)를 통해 삽입하면 단자대(20)의 돌출턱(22)과 접속부(11)의 걸림턱(11d)이 만나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고 고정된다. 그리고 개방된 후면을 통해 너트 수용홈(24)에 너트(40)를 삽입할 수 있다. 이때 너트(40)는 너트 수용홈(24)에 연결부(12)의 돌출편 가이드 홈(12c)을 따라 삽입되어 너트 돌출편(40a)이 연결부(12)의 돌출편 수용홈(12b)에 안착됨으로써 연결부(12)에 고정될 수 있다. 물론 너트(40)를 먼저 너트 수용홈(24)에 삽입한 후 접속단자(10)의 연결부(12)를 가이드 개구부(21)에 삽입하여도 무방하다. 그 후 가이드 개구부(21)의 상부로 노출된 연결부(12)의 볼트공(12a)에 유닛측 전선(3)과 결합된 볼트(30)를 관통시켜 너트(40)와 결합함으로써 단자대(20)에 접속단자(10)를 고정시킴과 동시에 접속단자(10)를 유닛측 전선(3)과 연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나머지 단자대(20)에 유닛측 전선(3)을 필요에 따라 연결할 수 있다.
도 3과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 커넥터(200)는 전도성 도체로 구성되며 전원선(4)과 연결되고 접속부(11)의 절개홈(11a)과 결합하는 복수의 전원단자(210)와 절연재질로 형성되며 복수의 전원단자(210)를 수용하기 위한 절연케이스(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절연케이스(230)는 배면판(235)과 배면판(235)에 수직하며 서로 이웃하는 측판들로 구성되며 내부에 서로 마주보는 상/하 측판(236) 사이에 수납공간(232)이 형성되도록 상하로 형성된 복수의 절연격판(231)과 상/하 측판과 이웃하는 좌/우 측판 중 어느 하나의 일측판(237)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복수의 돌출구(233)와 복수의 절연격판(231) 및 상/하 측판(236) 중 서로 이웃하는 판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일체로 형성된 고정편(234)과 배면판(235)에 전원단자(210) 및 절연케이스(230)를 고정하기 위해 배면판(235)을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의 볼트공(238a,238b)과 복수의 돌출구(233)와 복수의 고정편(234) 각각에는 전원단자(210)가 통과되도록 관통되어진 복수의 단자관통공(233a,234a)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돌출구(233)가 형성된 일측판(237)과 마주보는 타측판이 개방될 수 있다.
절연케이스(230)는 단자대(20)와 같이 강화플라스틱 등의 절연재질로 형성되어 절연체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절연케이스(230)는 배면판(235)을 관통하여 형성된 볼트공(238b)을 통해 전동기 제어반의 뒷판에 고정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돌출구(233)는 전원단자(210)와 전원선(4)과의 결합시 전원선(4) 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서로 이웃하는 상기 돌출구(233)의 높이가 상이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전원단자(210) 각각은 일단이 접속단자(10)의 접속부(11)를 향해 절곡되어 결합부(210a)를 형성하며, 타단이 절연케이스(230)의 개방된 일측판을 통해 각각의 수납공간(232) 상의 고정편(234)들과 돌출구(233)들에 형성된 각각의 복수의 단자관통공(234a,233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전원단자(210)의 몸체에는 상기 절연케이스(230) 및 전원선(4)과 결합되도록 관통된 복수의 볼트공(210b,210c)이 형성되고, 전원단자(210)들은 결합부(210a)와 접속부(11)의 절개홈(11a)이 결합하도록 접속단자(10)의 배열 위치에 맞게 대응될 수 있다.
전원단자(210)는 일정 두께의 판상의 형상을 가지며 수납공간(232)에 수납되 며 수납공간(23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개방된 일측면을 통해 수납공간(232)을 향해 고정편(234)에 형성된 단자관통공(234a)으로 삽입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전원단자(210)에 형성된 볼트공(210b)들과 절연케이스(230)의 볼트공(238a)들을 통해 볼트(30)들로 고정됨으로써 더욱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물론 고정편(234) 또는 볼트공(238a) 중 어느 하나가 생략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전원단자(210)는 일단이 ㄱ자 형상을 가지며, 타단은 돌출구(233)의 단자관통공(233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여러 각도로 절곡될 수 있고, 타단에 형성된 관통된 볼트공(210c)을 통해 전원선(4)을 볼트(31)와 너트(41)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너트(41)는 단자대(20)의 너트 돌출편(40a)과 같은 너트 돌출편(41a)이 형성되어 볼트공(210c)에 고정할 수 있어 접속단자(10)의 경우와 같이 결선 작업시 편리할 수 있다.
도 3과 도 8을 참조하면, 절연케이스(230)의 돌출구(233)들 중 상측에 있는 돌출구(233)들을 관통하는 전원단자(210)들은 고정편(234)에 걸려 돌출구(233)의 단자관통공(233a)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없으므로 전원단자(210)의 일부를 자르고, 자른 전원단자(210)를 절곡시켜 단자관통공(233a)으로 통과시키고 기존의 전원단자(210)와 볼트(30)로 결합함으로써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전원단자(210)는 구리와 같은 통전성 재질로 구성되며 부스바일 수 있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돌출구(233)들의 상부면에 외부전원 공급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외부전원이 3상 4선이면 순서대로 R, S, T, N으로 표시할 수 있어 전원 연결시 혼동없이 작업할 수 있다. 또한 외부전원이 3상 4선식 이면 4개의 전원단자(210)와 연결되며 3상 3선식이면 3개의 전원단자, 2상이면 2개의 전원단자(210)와 연결되고, 전원단자(210)와 연결되는 접속단자(10)들은 상기의 전원단자(210) 개수와 동일하게 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 단자(210) 각각의 타단에는 주름 형상의 절연고무(222)가 결합될 수 있다.
주름 형상의 절연고무(222)는 감전 방지를 위해 전원 단자(220) 각각의 타단에 삽입되어 돌출구(233)의 단자관통공(233a)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절연고무(222)의 재질은 신축성이 있으며 절연성 재질인 합성고무, PVC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속단자(10)와 전원단자(210)는 서로 정확한 위치에서 결합되며 결합시 접속부(11)의 절개홈(11a)에 정확히 전원단자(210)의 결합부(210a)가 결합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접속단자(10)의 뒤틀림이나 스파크, 열화 등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상으로 본 고안에 관하여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는 얼마든지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암수 커넥터의 결합상태의 사사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암수 커넥터의 분리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암수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접속단자의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암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A 선에 따른 단면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절연케이스의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접속단자 11:접속부
12:연결부 13:탄성체
20:단자대 30:볼트
40:너트 50:결합구
100:암 커넥터 200: 수 커넥터
210:전원단자 230:절연케이스
300:암수 커넥터

Claims (11)

  1. 전동기 제어를 위한 회로 부품을 수용하는 복수의 유닛과, 상기 복수의 유닛을 서랍 방식으로 수용하는 복수의 유닛 수용실이 구비된 전동기 제어반의 암수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유닛 각각의 후면에 고정 설치되어 이동 가능한 복수의 암 커넥터;
    상기 복수의 암 커넥터 각각의 후방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각각의 암 커넥터와 서로 마주보며 결합 또는 분리되는 복수의 수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암 커넥터는,
    도체로 구성되며 유닛측 전선과 연결되는 복수의 접속단자;
    상기 복수의 접속단자 각각이 수용 결합되며, 전기적 절연 물질로 형성된 복수의 단자대; 및
    상기 복수의 단자대 각각에 상기 접속단자를 고정시키기 위한 한 쌍의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단자대는 서로 이웃하는 상기 단자대의 높이가 상이하고, 상기 암 커넥터의 일측면에는 상기 유닛의 후면과 결합하기 위한 체결공을 구비한 결합구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수 커넥터와 결합 및 분리되는 접속부;
    상기 접속부와 일체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볼트와 상기 유닛측 전선이 결합되는 연결부; 및
    상기 접속부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 상기 접속부에 수용 결합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부는,
    가운데가 일부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홈;
    일면에 상기 절개홈을 사이에 두고 상기 탄성체가 수용 결합되도록 형성된 탄성체 수용홈;
    타면에 상기 접속부를 보강하기 위해 상기 탄성체의 형상이 돌출되어 형성된 보강 돌출구; 및
    상기 접속부가 걸리도록 상기 접속부의 하단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일측에 상기 유닛측 전선을 고정하기 위해 몸체를 관통하여 형성된 볼트공;
    상기 너트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너트 돌출편을 수용하도록 볼트공에 형성된 돌출편 수용홈; 및
    상기 너트의 돌출편을 안내하기 위해 하단에 형성된 돌출편 가이드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수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자대 각각은,
    상기 접속단자의 연결부가 삽입되도록 전면에서 후면까지 몸체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가이드 개구부;
    상기 가이드 개구부의 중간 부위 양측에 상기 접속부의 걸림턱이 걸려지도록 형성된 돌출턱;
    상기 가이드 개구부의 하부에 상기 너트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너트 수용홈; 및
    상기 너트 수용홈의 하부에 상기 볼트의 나사봉을 수용하도록 상기 너트 수용홈의 하부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나사봉 수용홈;을 포함하며,
    상기 볼트와 상기 유닛측 전선이 상기 연결부의 상부면에 결합되고 상기 너트가 상기 후면을 통해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개구부의 상부와 상기 후면이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수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 커넥터는,
    도체로 구성되며 전원선과 연결되고 상기 접속부의 절개홈과 결합하는 복수의 전원단자; 및
    절연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전원단자를 수용하기 위한 절연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수 커넥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케이스는,
    배면판과 상기 배면판에 수직하며 서로 이웃하는 측판들로 구성되며,
    내부에 서로 마주보는 상/하 측판 사이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도록 상하로 형성된 복수의 절연격판;
    상기 상/하 측판과 이웃하는 좌/우 측판 중 어느 하나의 일측판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복수의 돌출구;
    상기 복수의 절연격판 및 상기 상/하 측판 중 서로 이웃하는 판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일체로 형성된 고정편;
    상기 배면판에 상기 전원단자 및 상기 절연케이스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배면판을 관통하여 형성된 복수의 볼트공; 및
    상기 복수의 돌출구와 상기 복수의 고정편 각각에는 상기 전원단자가 통과되도록 관통되어진 복수의 단자관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돌출구가 형성된 상기 일측판과 마주보는 타측판이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수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돌출구는,
    서로 이웃하는 상기 돌출구의 높이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수 커넥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전원단자 각각은,
    일단이 상기 암 커넥터의 접속부를 향해 절곡되어 결합부를 형성하며,
    타단이 상기 절연케이스의 개방된 일측판을 통해 각각의 상기 수납공간 상의 상기 고정편들과 돌출구들에 형성된 상기 복수의 단자관통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전원단자의 몸체에는 상기 절연케이스 및 상기 전원선과 결합되도록 관통된 복수의 볼트공이 형성되고,
    상기 전원단자들은 상기 결합부와 상기 접속부의 절개홈이 결합하도록 상기 접속단자의 배열 위치에 맞게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수 커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단자 각각의 타단에는 주름 형상의 절연고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수 커넥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는 인청동으로 구성되며, 상기 접속단자의 표면에는 은 도금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수 커넥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스냅 링 또는 압축 스프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수 커넥터.
KR2020090015783U 2009-12-04 2009-12-04 암수 커넥터 KR2004579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783U KR200457984Y1 (ko) 2009-12-04 2009-12-04 암수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783U KR200457984Y1 (ko) 2009-12-04 2009-12-04 암수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812U KR20110005812U (ko) 2011-06-10
KR200457984Y1 true KR200457984Y1 (ko) 2012-01-16

Family

ID=45842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5783U KR200457984Y1 (ko) 2009-12-04 2009-12-04 암수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98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390Y1 (ko) * 2013-03-20 2014-11-03 김진웅 전동기 제어반용 플러그
KR200479262Y1 (ko) * 2014-05-27 2016-01-08 김진왕 제어반 암수 커넥터
KR101582610B1 (ko) * 2014-10-29 2016-01-05 주식회사 엘스콤 배전반 버킷의 2차측 커넥터용 메일 커넥터
KR101695235B1 (ko) * 2014-12-22 2017-01-11 (주)에너토크 터미널 장치
CN110492264A (zh) * 2019-09-02 2019-11-22 广州番禺电缆集团有限公司 一种电缆连接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5634B1 (ko) * 2003-05-21 2006-03-03 (주)팀넷 전동기 제어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5634B1 (ko) * 2003-05-21 2006-03-03 (주)팀넷 전동기 제어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812U (ko) 201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37496B2 (en) Electrical terminal block
US7156686B1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ion splice connector
KR200457984Y1 (ko) 암수 커넥터
US7740484B1 (en) Rotatable receptacle
CA2863676C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push-in type contact
JP2010267548A (ja) 電気コネクタ
KR20070107312A (ko) 전기 배선용 커넥터
CN104810645A (zh) 电连接器
JP5341532B2 (ja) 1対の誤嵌合防止キー及び該キーを用いた電気コネクタ
AU2013202574A1 (en) Coupling for a power track
AU2007349106C1 (en) Electric connector with a dust cover
EP1882369A1 (en) Frame assembly
KR200474390Y1 (ko) 전동기 제어반용 플러그
US20130178101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grounging plate
CN106100569B (zh) 端子箱及太阳能电池模组
MXPA01010756A (es) Ensamblaje de combinacion de interruptor y conector de bajo perfil.
KR20150113852A (ko) 전기 커넥터, 접속 대상물 유닛, 접속 대상물 유닛 집합체
US9343831B2 (en) Electrical connector
EP2678903B1 (en) A modular electrical connection unit
KR200479262Y1 (ko) 제어반 암수 커넥터
CN113555731A (zh) 母排结构及导电装置
JP2021140891A (ja) 電気コネクタ
CN112072344A (zh) 导线连接夹,分类件和导线连接夹块
JP2011113678A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方法
JP5911896B2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の接続構造及び端子付きジョイントコネク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113

Effective date: 2012080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911

Effective date: 201212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