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534Y1 - 집어기 - Google Patents

집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534Y1
KR200457534Y1 KR2020100004179U KR20100004179U KR200457534Y1 KR 200457534 Y1 KR200457534 Y1 KR 200457534Y1 KR 2020100004179 U KR2020100004179 U KR 2020100004179U KR 20100004179 U KR20100004179 U KR 20100004179U KR 200457534 Y1 KR200457534 Y1 KR 20045753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wing
pcb substrate
picker
electrically conn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41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5841U (ko
Inventor
이재명
Original Assignee
이재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명 filed Critical 이재명
Priority to KR20201000041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534Y1/ko
Publication of KR201000058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8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53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53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9/00Methods or means of catching fish in bulk not provided for in groups A01K69/00 - A01K77/00, e.g. fish pumps; Detection of fish; Whale fisher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10Outdoor ligh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집어기에 관한 것으로서, 몸체를 상/하부 케이스와 이들 상/하부 케이스의 중간에 위치되는 중간케이스로 구성하되, 상/하부케이스는 불투명재질로 형성하고 중간케이스는 투명재질로 형성한 후, 중간케이스의 내부에 빛이 발광되는 엘이디발광램프를 PCB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구성함으로써 엘이디발광램프의 발광 빛이 외부 측으로 발산되는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으며, 몸체의 내부에 PCB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건전지를 수용하여 유선방식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집어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건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를 물에 의한 연결매개체를 통해 스위치가 온(ON)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누름스위치를 누르지 않고 물속에 집어기를 투척하여도 쉽게 집어기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진동모터를 더 구성하여 집어기의 진동효과에 의해 물고기의 집어효과를 상승시키고, 진동자에 의해 발생되는 음파를 이용하여 물고기의 집어기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하부케이스의 내부에 구성되는 중량추를 교체 가능하도록 하여 낚시환경이나 낚시어종에 따라 집어기의 투척되는 깊이가 달라지는 것에 의해 중량추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몸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케이스 외면에 서로 대응되는 각각의 날개를 방사상으로 형성하여 집어기의 결합작업성이 크게 향상 될 수 있도록 한 집어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외면에 방사상의 제1날개(11)가 형성되고 불투명재질로 형성된 상부케이스(12)와, 상기 상부케이스(12)의 하부 측에 위치되어 상부케이스(12)의 하부와 상부가 나사 체결되고 외면에 상기 제1날개(11)와 대응되는 제2날개(13)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투명재질로 형성되는 중간케이스(14)와, 상기 중간케이스(14)의 하부 측에 위치되어 상기 중간케이스(14)의 하부와 상부가 나사 체결되고 외면에 상기 제2날개(13)와 대응되는 제3날개(15)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불투명재질로 형성되며 하면에 물흡입공(16)이 통공되는 하부케이스(17)로 구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중간케이스(14) 내부에 구성되고 상면에 엘이디발광램프(21)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PCB기판(20)과; 상기 상부케이스(12)의 일면에 구성되고 외면에 (+) 극과 (-)극이 노출되는 스위치(31)와, 상기 스위치(31)와 상기 PCB기판(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건전지(32)가 수용되는 건전지수용부(30)와; 상기 상부케이스(12)의 내부에 구성되되 상기 건전지수용부(30)의 상부측에 위치 고정되고 상기 PCB기판(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진동모터(40)와; 상기 중간케이스(14)의 내부에 구성되되 상기 PCB기판(20)의 하부 측에 위치되어 상기 PCB기판(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부케이스(17)의 물흡입공(16)을 통해 흡입되는 물과 하면이 접촉되는 진동자(50)와; 상기 하부케이스(17)의 내부에 구성되는 중량추(6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집어기{FISH ATTRACTOR}
본 고안은 집어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불투명재질의 상/하부케이스와 이 상/하부케이스의 중간에 투명케이스를 구성하고, 투명케이스의 내부측으로 엘이디발광램프를 구성하여 엘이디발광램프의 발광 빛이 외부로 발산되어 집어효과의 상승을 기대하고, 몸체의 내부에 진동모터와 진동자를 구성하되 상기 진동자가 물에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진동자에 의해 발생되는 음파의 진동효과를 향상시키며, 건전지를 몸체의 내부에 구성하여 유선 방식으로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함에 따라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집어기가 물속으로 잠수할 때 물이 닿으면 스위치가 자동으로 온(ON)되도록 하여 작동성의 향상을 기대하고 몸체의 외면에 방사상의 날개를 형성하여 물의 흐름에 따라 집어기의 원활한 유영이 가능하도록 하여 집어효과를 크게 증대시킬 수 있으며, 날개에 의해 조립 성이 향상되어 생산성 및 작업효율성의 증대되도록 한 집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어기는 낚시를 할 때 물고기를 유인하는 장치로서, 대개 소리 또는 빛 등으로 물고기를 유인하여 물고기가 많이 낚이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집어기는, 통상 몸체의 내부에 소리를 발생하는 음향장치 또는 빛을 발생하는 발광장치를 구성하고 있는 바, 이러한 음향장치 또는 발광장치를 통해 발생되는 음향이나 발광 빛에 의해 물고기가 모여드는 효과를 이용하여 낚시를 할 때 물고기를 모으는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또한, 종래 집어기는 상기 음향장치를 구성하는 스피커와 발광장치를 구성하는 전구가 유선으로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유선으로 연결되는 음향장치의 스피커와 발광장치의 전구가 작동되어 물속에서 전구에 의한 빛이 발광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유선 방식으로 음향장치의 스피커 및 발광장치의 전구 측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낚시를 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항상 유선을 이용하여 전원을 집어기 측으로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예컨대, 밧데리)을 구비하여야 함에 따라 사용하기가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었으며, 특히 릴낚시와 같이 투척거리가 긴 경우에는 집어기와 연결된 유선이 던져지는 낚시 줄과 같이 떨어짐으로써 낚시를 하는 데에 부적합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특허 제10-0759469호인 집어기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집어기에 있어서, 소정 파장의 광을 발생시키는 광발생부와, 소정 주파수의 음향을 발생시키는 음향발생부와, 상기 광발생부 및 상기 음향발생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광발생부, 상기 음향발생부 및 상기 전원공급부를 수용 지지하는 부품내장부와 내부에 소정 공간이 형성되되 적어도 하나의 관통홀이 형성된 캐비티부를 포함하는 방수 하우징과, 상기 캐비티부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레 및 상기 캐비티부의 관통홀을 통한 물의 유입으로 인한 상기 부레의 상승 가압에 의해 상기 전원공급부로부터 상기 광발생부 및 음향발생부 중 적어도 하나에 전달되는 전원을 단속하는 누름스위치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집어기의 내부에 광발생부와 음향발생부가 구성되되 이들 광발생부와 음향발생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가 집어기의 내부에 구성됨으로써 유선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함에 따라 야기되는 집어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나, 전원공급부를 작동시키는 스위치가 누름스위치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집어기를 투척하기 전에 먼저 누름스위치를 눌러 작동시킨 후에 집어기를 투척하여야 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사용자가 누름스위치를 누르지 않고 그대로 집어기를 투척할 경우에는 집어기가 전혀 작동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다시 투척된 집어기를 거둬들여 누름스위치를 누른 다음 재차 집어기를 투척해야 함으로써 사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집어기의 내부에 광발생부와 음향발생부만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발광과 음향만을 이용하여 물고기를 모으기 때문에 물고기의 집어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예로서, 등록특허 제10-0574285호인 낚시용 발광 집어기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화학반응에 의하여 발광하기 위한 발광부와, 낚싯줄이 삽입되기 위한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발광부의 일측면에 상기 낚싯줄이 삽입되고 안착되기 위한 제1 걸림부재와, 상기 발광부의 상기 일측면에 대향되는 타측면에 낚싯줄이 삽입되고 지지되기 위한 제2 걸림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에는 발광부만을 이용하여 물고기를 모으기 때문에 물고기를 집어하는 능력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종래 집어기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몸체를 상/하부 케이스와 이들 상/하부 케이스의 중간에 위치되는 중간케이스로 구성하되, 상/하부케이스는 불투명재질로 형성하고 중간케이스는 투명재질로 형성한 후, 중간케이스의 내부에 빛이 발광되는 엘이디발광램프를 PCB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구성함으로써 엘이디발광램프의 발광 빛이 외부 측으로 발산되는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으며, 몸체의 내부에 PCB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건전지를 수용하여 유선방식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집어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건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를 물에 의한 연결매개체를 통해 스위치가 온(ON)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누름스위치를 누르지 않고 물속에 집어기를 투척하여도 쉽게 집어기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진동모터를 더 구성하여 집어기의 진동효과에 의해 물고기의 집어효과를 상승시키고, 진동자에 의해 발생되는 음파를 이용하여 물고기의 집어기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하부케이스의 내부에 구성되는 중량추를 교체 가능하도록 하여 낚시환경이나 낚시어종에 따라 집어기의 투척되는 깊이가 달라지는 것에 의해 중량추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몸체를 구성하는 각각의 케이스 외면에 서로 대응되는 각각의 날개를 방사상으로 형성하여 집어기의 결합작업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집어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집어기는, 외면에 방사상의 제1날개가 형성되고 불투명재질로 형성된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하부측에 위치되어 상부케이스의 하부와 상부가 나사 체결되고 외면에 상기 제1날개와 대응되는 제2날개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투명재질로 형성되는 중간케이스와, 상기 중간케이스의 하부 측에 위치되어 상기 중간케이스의 하부와 상부가 나사 체결되고 외면에 상기 제2날개와 대응되는 제3날개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불투명재질로 형성되며 하면에 물흡입공이 통공되는 하부케이스로 구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중간케이스 내부에 구성되고 상면에 엘이디발광램프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PCB기판과; 상기 상부케이스의 일면에 구성되고 외면에 (+) 극과 (-)극이 노출되는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와 상기 PCB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건전지가 수용되는 건전지 수용부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부에 구성되되 상기 건전지수용부의 상부측에 위치 고정되고 상기 PCB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진동모터와; 상기 중간케이스의 내부에 구성되되 상기 PCB기판의 하부 측에 위치되어 상기 PCB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부 측으로 흡입되는 물과 하면이 접촉되는 진동자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부에 구성되는 중량추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인 집어기는, 몸체가 상부케이스와 중간케이스 및 하부케이스로 각각 구성되되, 상기 중간케이스는 투명재질로 형성되고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는 물투명재질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중간케이스의 내부에 구성되는 엘이디발광램프의 발광 빛이 중간케이스의 외측으로만 발산될 수 있어 빛에 의한 집어능력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전구가 아닌 엘이디발광램프를 이용함으로써 전기소모량을 크게 줄일 수 있고 물속에서의 고장발생률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진동모터가 PCB기판에 의해 제어되어 일정주기로 진동됨에 따라 진동에 의한 물고기의 집어능력이 향상된다.
또한, 진동자가 PCB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 진동자가 하부케이스의 내부로 유입되는 물과 접촉되기 때문에 진동자의 음파가 물속으로 퍼지는 효과가 향상되어 집어능력이 크게 증대된다.
또한, 상부케이스와 중간케이스 및 하부케이스의 외면에 방사상의 날개들이 더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부케이스와 중간케이스 및 하부케이스를 결합할 때 파지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어 생산성 및 조립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고 물속에서의 잠영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중간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나사 결합되어 있음에 따라 하부케이스의 내부에 구성되는 중량추를 교체할 수 있어 낚시환경 또는 낚시어종에 따라 각각 다른 무게를 갖는 중량추를 하부케이스 내부에 수용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건전지의 전원을 PCB기판측으로 인가하는 스위치가 누름스위치가 아닌 표면에 (+)극과 (-)극이 같이 노출되어 집어기의 잠영 시에 접촉되는 물에 의해 온(ON)될 수 있음에 따라 별도의 누름스위치를 누르거나 하는 동작 없이 바로 집어기를 투척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성 및 편의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집어기를 나타낸 평면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인 집어기를 나타낸 저면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인 집어기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구성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집어기는 낚시를 할 때 물고기를 모으는 집어용 떡밥 대신에 사용되는 집어기로서, 몸체(10)와, PCB기판(20), 건전지수용부(30), 진동모터(40), 진동자(50) 및 중량추(60)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면에 방사상의 제1날개(11)가 형성되고 불투명재질로 형성된 상부케이스(12)와, 상기 상부케이스(12)의 하부 측에 위치되어 상부케이스(12)의 하부와 상부가 나사 체결되고 외면에 상기 제1날개(11)와 대응되는 제2날개(13)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투명재질로 형성되는 중간케이스(14)와, 상기 중간케이스(14)의 하부 측에 위치되어 상기 중간케이스(14)의 하부와 상부가 나사 체결되고 외면에 상기 제2날개(13)와 대응되는 제3날개(15)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불투명재질로 형성되며 하면에 물흡입공(16)이 통공되는 하부케이스(17)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케이스(17)의 하면에 형성된 물흡입공(16)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케이스(17)의 하면 둘레부를 따라 다수개 통공되는 것으로, 물속에 본 고안인 집어기가 투척될 때 상기 물흡입공(16)을 통해 물이 흡입됨으로써 본 고안인 집어기의 잠수가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케이스(12)의 제1날개(11)와 중간케이스(14)의 제2날개(13) 및 하부케이스(17)의 제3날개(15)는, 각각 케이스들의 외면에 일체로 압출 성형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이들의 날개(11)(13)(15)들에 의해 상기 상부케이스(12)와 중간케이스(14) 및 하부케이스(17)의 결합 작업시에 작업자의 파지력이 향상될 수 있어 쉽게 이들 케이스(12)(14)(17)들을 서로 나사 체결조립할 수 있다.
상기 PCB기판(20)은, 상기 몸체(10)의 중간케이스(14) 내부에 구성되고 상면에 엘이디발광램프(21)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PCB기판(20)의 상면에 구성되는 엘이디발광램프(21)가 상기 투명재질로 형성되는 중간케이스(14)의 내부에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엘이디발광램프(21)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상기 중간케이스(14)의 외측으로만 발산되어 발광 빛에 의해 물고기를 집어하는 능력이 향상될 수 있으며, 전구가 아닌 엘이디발광램프(21)로 구성함으로써 소모되는 전기사용량을 줄일 수 있고, 물속에서의 고장발생률이 떨어져 장시간 물속에 잠수되어 사용함이 용이하다.
상기 건전지수용부(30)는, 상기 상부케이스(12)의 내부에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케이스(12)의 일면에 구성되고 외면에 (+) 극과 (-)극이 노출되는 스위치(31)와, 상기 스위치(31)와 상기 PCB기판(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건전지수용부(30)가 상부케이스(12)의 내부에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건전지수용부(30)에 수용되는 건전지(32)의 교체작업이 용이하여 사용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31)는 일반적으로 집어기에 구성되는 누름스위치가 아니라, (+)극과 (-)극이 표면에 모두 노출되는 스위치로 구성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몸체(10)가 투척되어 물속에 잠김에 따라 스위치(31)의 표면이 물과 접촉되면, 상기 스위치(31)의 표면에 노출된 (+)극과 (-)극이 서로 연결되어 스위치(31)가 온(ON)될 수 있어 PCB기판(20)에 건전지(32)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성이 크게 향상된다.
상기 진동모터(40)는, 상기 상부케이스(12)의 내부에 구성되되 상기 건전지 수용부(30)의 상부 측에 위치 고정되고 상기 PCB기판(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PCB기판(20)에 설정된 진동주기에 맞추어 일률적으로 상기 진동모터(40)가 작동되기 때문에, 물속에 잠수된 몸체(10)의 진동이 주기적으로 발생되어 물고기의 집어능력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진동자(50)는, 상기 중간케이스(14)의 내부에 구성되되 상기 PCB기판(20)의 하부 측에 위치되어 상기 PCB기판(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부케이스(17)의 물흡입공(16)을 통해 흡입되는 물과 하면이 접촉된다.
따라서, PCB기판(20)의 제어값에 의해 진동자(50)가 작동되면 이 진동자(50)와 접촉된 물속으로 음파가 전달되어 음파에 의한 물고기의 집어능력이 나타남으로써 집어능력이 더욱 향상된다.
상기 몸체(10)의 상부케이스(12)와 중간케이스(14)가 나사 체결되는 부분에는 상부케이스(12)와 중간케이스(14)의 밀폐성 및 기밀성을 견고하게 하기 위한 제1방수오링(10a)이 더 구성된다.
또한, 상기 중간케이스(14)의 내부에 구성되는 진동자(50)와 중간케이스(14)의 하부측에도 상기 하부케이스(17)측으로 흡입되는 물이 중간케이스(14)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방수오링(10b)이 더 구성된다.
따라서, 몸체(10)가 물속으로 잠수하였을 때 물이 하부케이스(17)의 물흡입공(16)측으로만 흡입되고 다른 곳으로는 물흡입이 차단되기 때문에, 몸체(10)의 내부에 구성되는 구성요소들을 보호할 수 있다.
상기 중량추(60)는, 상기 하부케이스(17)의 내부에 구성되는 것으로, 중량추(60)의 무게에 의해 상기 몸체(10)가 물속으로의 잠수가 가능하며, 중량추(60)의 무게를 낚시환경이나 낚시어종에 따라 달리하여 교체함으로써 상기 몸체(10)의 잠수높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중량추(60)가 구성되는 하부케이스(17)가 상기 중간케이스(14)와 나사 체결되어 있기 때문에, 하부케이스(17)와 중간케이스(14)를 서로 분리한 다음, 무게가 다른 중량추(60) 중 낚시여건에 맞는 중량추를 상기 하부케이스(17)의 내부에 장착한 다음, 분리된 하부케이스(17)와 중간케이스(14)를 재결합하여 사용하면 된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12)의 외측 상면과 하부케이스(17)의 외측 하면에는 각각 제1,2연결구(70)(71)가 더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상부케이스(12)의 상면에 구성되는 제1연결구(70)에는 낚시 줄과 같은 연결 줄을 연결하고, 상기 하부케이스(17)의 하면에 구성되는 제2연결구(71)에는 또 다른 중량추를 상기 몸체(10)의 하부측에 연결할 때 중량추를 연결하는 연결 줄을 연결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 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고안의 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고안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0 : 몸체 11 : 제1날개
12 : 상부케이스 13 : 제2날개
14 : 중간케이스 15 : 제3날개
16 : 물흡입공 17 : 하부케이스
20 : PCB기판 21 : 엘이디발광램프
30 : 건전지수용부 31 : 스위치
32 : 건전지 40 : 진동모터
50 : 진동자 60 : 중량추
70 : 제1연결구 71 : 제2연결구

Claims (2)

  1. 외면에 방사상의 제1날개(11)가 형성되고 불투명재질로 형성된 상부케이스(12)와, 상기 상부케이스(12)의 하부 측에 위치되어 상부케이스(12)의 하부와 상부가 나사 체결되고 외면에 상기 제1날개(11)와 대응되는 제2날개(13)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투명재질로 형성되는 중간케이스(14)와, 상기 중간케이스(14)의 하부측에 위치되어 상기 중간케이스(14)의 하부와 상부가 나사 체결되고 외면에 상기 제2날개(13)와 대응되는 제3날개(15)가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불투명재질로 형성되며 하면에 물흡입공(16)이 통공되는 하부케이스(17)로 구성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중간케이스(14) 내부에 구성되고 상면에 엘이디발광램프(21)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PCB기판(20)과;
    상기 상부케이스(12)의 일면에 구성되고 외면에 (+) 극과 (-)극이 노출되는 스위치(31)와, 상기 스위치(31)와 상기 PCB기판(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건전지(32)가 수용되는 건전지수용부(30)와;
    상기 상부케이스(12)의 내부에 구성되되 상기 건전지수용부(30)의 상부 측에 위치 고정되고 상기 PCB기판(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진동모터(40)와;
    상기 중간케이스(14)의 내부에 구성되되 상기 PCB기판(20)의 하부 측에 위치되어 상기 PCB기판(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부케이스(17)의 물흡입공(16)을 통해 흡입되는 물과 하면이 접촉되는 진동자(50)와;
    상기 하부케이스(17)의 내부에 구성되는 중량추(60)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어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케이스(12)의 외측 상면과 하부케이스(17)의 외측 하면에는 각각 제1,2연결구(70)(71)가 더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어기.
KR2020100004179U 2010-04-19 2010-04-19 집어기 KR20045753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179U KR200457534Y1 (ko) 2010-04-19 2010-04-19 집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4179U KR200457534Y1 (ko) 2010-04-19 2010-04-19 집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841U KR20100005841U (ko) 2010-06-08
KR200457534Y1 true KR200457534Y1 (ko) 2011-12-22

Family

ID=44451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4179U KR200457534Y1 (ko) 2010-04-19 2010-04-19 집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53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5581B1 (ko) * 2021-08-02 2024-01-17 안정현 조과의 효율성이 향상된 집어등이 달린 낚시채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0140A (ja) 1999-10-29 2001-05-08 Ishii Seisakusho:Kk 集魚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0140A (ja) 1999-10-29 2001-05-08 Ishii Seisakusho:Kk 集魚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841U (ko) 2010-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9469B1 (ko) 집어기
RU2012110226A (ru)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чашечная присоска, пригодная для такого электро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JP2011150923A (ja) 潜水用懐中電灯
KR101427899B1 (ko) 조명기구가 장착된 낚시릴
KR200457534Y1 (ko) 집어기
KR200484959Y1 (ko) 발광형 인조미끼
KR200398086Y1 (ko) 낚시인조미끼를 부설한 집어등
KR101555309B1 (ko) 낚시용 전자찌
CN203523588U (zh) 一种声光水下集鱼器
KR102396318B1 (ko) 두족류 낚시용 인조 미끼
KR102160228B1 (ko) 기포발생기 일체형 집어등
KR100593260B1 (ko) 움직이는 루어
US117789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attracting crustaceans and other aquatic life
KR101801180B1 (ko) 낚시용 전자찌
CN111034641A (zh) 一种多功能逗猫机器人
KR20090008782A (ko) 발광 찌
KR200427617Y1 (ko) 루어낚시용 발광 모조미끼
CN209546677U (zh) 一种变色浮漂配件
KR200480125Y1 (ko) 야간 위치표시 기능을 갖는 조명등
KR20140090731A (ko) 발광스틱 및 이를 채용하는 장치
CN210867261U (zh) 一种智能太阳能多功能灯具
KR102559782B1 (ko) 수납 통공 몸체를 갖는 인조미끼 낚시
JP3050421U (ja) 防水式発光ルアーの改良構造
KR20170083867A (ko) 낚시용 발광체
CN219460124U (zh) 电子发光阿波浮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