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7458Y1 - 축 커플링 정렬 장치 - Google Patents

축 커플링 정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458Y1
KR200457458Y1 KR2020100005253U KR20100005253U KR200457458Y1 KR 200457458 Y1 KR200457458 Y1 KR 200457458Y1 KR 2020100005253 U KR2020100005253 U KR 2020100005253U KR 20100005253 U KR20100005253 U KR 20100005253U KR 200457458 Y1 KR200457458 Y1 KR 2004574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alignment
shaft
shaft coupl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52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0975U (ko
Inventor
윤계천
Original Assignee
윤계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계천 filed Critical 윤계천
Priority to KR20201000052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458Y1/ko
Publication of KR201100109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09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4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458Y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urbine Rotor Nozzle Sea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전소에 설치되는 증기터빈의 축을 정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축 커플링 정렬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제1커플링과 제2커플링에 설치되어 터빈 축을 정렬시키는 축 커플링 정렬축 커플링 정렬상기 제1커플링과 제2커플링의 적어도 2개의 상기 관통공에 각각 일단이 연결된 복수의 링크부재; 상기 링크 부재의 각 타단에 연결되고, 단부의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복수의 연결핀; 및 상기 연결핀의 나사부에 양측 단부가 나사 결합되고, 단부에 공구 결합을 위한 고정부가 형성된 정렬볼트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축 커플링 정렬 장치{SHAFT COUPLING CENTERING APPARATUS}
본 고안은 축 커플링 정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발전소에 설치되는 증기 터빈과 발전기 축의 정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축 커플링 정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용량의 발전소에는 대형 터빈이 설치되어 있다. 이런 대형 터빈은 대형 발전기의 회전자를 내부의 증기에 의해 회전시켜 터빈 회전축을 구동시키는데, 이러한 터빈 회전축은 보통 정비시간 동안에 수시로 정렬작업이 진행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터빈 회전축(이하, 터빈 축)이 정렬되지 않은 상태 즉, 오정렬된 상태에서는, 터빈을 회전시킬 때마다 진동과 소음이 발생하고, 기계의 수명이 단축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반듯이 터빈의 정비기간 동안에 터빈 축 정렬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발전소에 설치되는 증기터빈의 축을 정렬하기 위한 마땅한 수단이 없어, 작업자가 강철 지렛대를 이용하여 적정 정렬위치까지 회전시켜 터빈의 양축을 정렬하였다. 이에 따라 강철 지렛대에 의해 터빈 축이나 기어부에 손상이 가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의 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강철 지렛대를 이용해 터빈 축의 일측 커플링을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정지 마찰력으로 인해 최초에 큰 힘이 요구되고, 일단, 대중량의 터빈 축이 회전되면 그 가속력에 의해 적정위치를 벗어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 되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벗어난 위치에서 강철 지렛대를 이용해 다시 정렬 위치로 되돌려야 하는 작업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필요에 의해 창안된 것으로서, 발전소에 설치되는 터빈 축의 양측 커플링을 작업자가 용이하게 정렬할 수 있도록 한 축 커플링 정렬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제1커플링과 제2커플링에 설치되어 터빈 축을 정렬시키는 축 커플링 정렬 장치로서, 상기 제1커플링과 제2커플링의 적어도 2개의 상기 관통공에 각각 일단이 연결된 복수의 링크부재; 상기 링크 부재의 각 타단에 연결되고, 단부의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복수의 연결핀; 및 상기 연결핀의 나사부에 양측 단부가 나사 결합되고, 단부에 공구 결합을 위한 고정부가 형성된 정렬볼트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축 커플링 정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연결핀은, 상기 나사부가 내주면에 형성된 별도의 너트부, 및 상기 너트부에 일단이 결합된 핀 본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들 간의 간격조정은 상기 너트부가 상기 정렬볼트 부재에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의 연결부에는 유동을 원활하게 하는 부싱이 장착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작업자가 공구를 이용하여 정렬볼트 부재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커플링을 정렬시킬 수 있어 작업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작업자가 정렬볼트 부재의 회전을 중지하면, 그 상태로 커플링의 회전을 멈추게 함으로써 커플링이 가속도에 의해 정렬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 커플링 정렬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 커플링 정렬 장치의 이동블럭이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 커플링 정렬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 커플링 정렬 장치의 링크부재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 커플링 정렬 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 커플링 정렬 장치의 이동블럭이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 커플링 정렬 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 커플링 정렬 장치의 링크부재의 연결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 커플링 정렬 장치는, 링크부재(31,32, 및 41,42), 연결핀(61,62), 및 정렬볼트 부재(50)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링크부재(31,32, 및 41,42)는 복수의 터빈 축(21,22)을 연결하기 위한 커플링(11,12)과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커플링(11,12)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관통공(15)이 연속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커플링(11,12)의 관통공(15) 중 적어도 2개의 관통공(15)과 제1링크부재(31,32)의 연결단(36a,36b)은 서로 연결된다.
여기서 연결단(36a,36b; 도 2)과 커플링(11)의 관통공(15)은 결합핀(15a; 15b도 동일하게 적용됨)을 매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관통공(15)에는 베어링 부싱(81; 도 4)이 개재되어 제1링크부재(31,32)의 유연한 작동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한편, 제2링크부재(41,42)도 같은 방식으로 다른 커플링(12)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1링크부재(31,32)의 타측 연결단(34)은 연결핀(61)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제1링크부재(31,32)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커플링(11)의 관통공(15)에 각각 일단이 고정되고, 각 타단이 하나의 연결핀(61)에 연결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2링크부재(41,42)도 별도의 연결핀(62)에 의해 타측 연결단(44)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연결핀(61,62)의 말단에는 너트부(65,72; 도 3)가 결합될 수 있는데, 이 너트부(65,72)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블럭 형태로 제공되어 연결핀 본체에 결합 될 수 있다. 또한, 도 3과 같이, 이동블럭(70)이 별도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부(72)와, 이 너트부(72)를 수용하고, 연결핀(62)이 장착되는 장착부(74)가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너트부(65,72)는 정렬볼트 부재(50)의 일단에 체결되는 데, 이 정렬볼트 부재(50)의 양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영역(51; 왼나사, 52; 오른나사)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연결핀(61,62)의 양단에 형성된 볼트영역(51,52)에서 너트부(65,72)는 일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볼트영역(51,52)의 나사산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정렬볼트 부재(50)가 회전되었을 때, 너트부(65,72)가 서로를 향해 이송되도록 한다.
또한, 정렬볼트 부재(50)의 양측 말단에는 공구가 장착되기 위한 고정부(55; 도 1)가 형성되어, 이 고정부(55; 육각 머리)에 공구(t)를 장착하여 용이하게 정렬볼트 부재(5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축 커플링 정렬 장치의 사용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작업자가 터빈 축(21,22)을 정렬하기 위해서는, 제1링크부재(31,32)와 제2링크부재(41,42)를 정렬하고자 하는 각각 커플링(11,12)의 관통공(15)에 고정시킨다.
이 상태에서 제1링크부재(31,32) 및 제2링크부재(41,42)의 각 연결단(34,44)에 연결핀(61,62)의 일단을 장착하는 한편, 너트부(65)를 정렬볼트 부재(50)의 볼트영역(51)에 체결한 다음, 너트부(65)와 연결핀(61)의 타단을 연결한다. 여기서 일측에 이동블럭(70)이 적용되는 경우, 다른 연결핀(62)은 제2링크부재(41,42)와 이동블럭(70)의 너트부(72)와 연결한다.
즉, 도 2와 같이, 정렬볼트 부재(50)의 나머지 볼트영역(52)에도 이동블럭(70)의 너트부(72)가 장착된다. 이때, 이동블럭(70)과 제2링크부재(41,42) 사이에 연결핀(62)을 용이하게 고정하기 위해, 상기 이동블럭(70)은 볼트영역(52)에서 적정지점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링크부재(31,32 및 41,42)의 결합을 위한 위치 조정은 너트부(65,72)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핀(62)과 장착블럭(74)의 설치가 완료되면 작업자는 정렬볼트 부재(50)의 고정부(55)에 공구(t)를 장착하여 정렬볼트 부재(50)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정렬볼트 부재(50)의 양단에 나사결합된 너트부(65,72)가 나사산(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된 나사산)을 따라 서로를 향해 이송된다.
이와 같이 너트부(65,72)가 이송되면, 너트부(65,72)에 각각 연결된 제1링크(31,32)와 제2링크(41,42)가 커플링(11,12)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정렬볼트 부재(50)를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 커플링(11,12)의 관통공(15)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정렬볼트 부재(50)를 회전시키면 양측 커플링(11,12)은 회전되고, 정렬 포인트에 일치하면 작업자는 정렬볼트 부재(50)의 회전을 중지하여 터빈 축의 정렬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축 커플링 정렬 장치는 작업자가 공구를 이용하여 정렬볼트 부재(50)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커플링(11,12)을 정렬시킬 수 있어 작업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작업자가 정렬볼트 부재(50)의 회전을 중지하면, 그 상태로 커플링(11,12)의 회전을 멈추게 함으로써 커플링(11,12)이 가속도에 의해 정렬위치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1,12: 커플링 21,22: 터빈 축
31,32: 제1링크부재 41,42: 제2링크부재
50: 정렬볼트 부재 51,52: 볼트영역
55: 고정부 61,62: 연결핀

Claims (3)

  1.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관통공이 각각 형성된 제1커플링과 제2커플링에 연결되어 터빈 축을 정렬시키는 축 커플링 정렬 장치로서,
    상기 제1커플링과 상기 제2커플링의 상기 관통공에 각각 일단이 연결된 복수의 링크 부재;
    상기 링크 부재의 타단과 연결되고, 단부의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연결핀; 및
    상기 연결핀의 상기 나사부에 양측 단부가 나사 결합되고, 단부에 공구 결합을 위한 고정부가 형성된 정렬볼트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 커플링 정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핀은,
    상기 나사부가 내주면에 형성된 너트부, 및
    상기 너트부에 일단이 결합된 핀 본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 커플링 정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들 간의 간격조정은 상기 너트부가 상기 정렬볼트 부재에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 커플링 정렬 장치.
KR2020100005253U 2010-05-19 2010-05-19 축 커플링 정렬 장치 KR2004574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253U KR200457458Y1 (ko) 2010-05-19 2010-05-19 축 커플링 정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5253U KR200457458Y1 (ko) 2010-05-19 2010-05-19 축 커플링 정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975U KR20110010975U (ko) 2011-11-25
KR200457458Y1 true KR200457458Y1 (ko) 2011-12-20

Family

ID=45569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5253U KR200457458Y1 (ko) 2010-05-19 2010-05-19 축 커플링 정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45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87515A (zh) * 2019-09-19 2019-12-20 金法银 用于管道紧固件安装的自动对中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670B1 (ko) 2005-07-06 2007-01-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파이프 정렬 지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3670B1 (ko) 2005-07-06 2007-01-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파이프 정렬 지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87515A (zh) * 2019-09-19 2019-12-20 金法银 用于管道紧固件安装的自动对中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0975U (ko) 2011-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7541B2 (en) Spindle head for machine tool
CN108789481B (zh) 臂固定装置以及减速器更换方法
JP5284381B2 (ja) ボルト締め付け方法及びボルト並びに前記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ボルト締め付け装置
CN108625767B (zh) 旋转单元和调节轴承间隙的方法
KR20120063778A (ko) 클램핑 장치
KR101192014B1 (ko) 터빈로터 터닝장치
KR200457458Y1 (ko) 축 커플링 정렬 장치
CN103511194A (zh) 用于风力涡轮机的紧固系统及相应的安装方法
KR20110105277A (ko) 유격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철재절단장치
KR101175403B1 (ko) 커플링 정비용 작업대
US20100126003A1 (en) Device for quickly replacing a work roll
KR101499915B1 (ko) Pcd 자동검사장치
KR101209995B1 (ko) 크랭크샤프트 디버링용 로봇핸드
CN209557513U (zh) 浮动式同心连接装置
TW202100282A (zh) 傾斜旋轉工作臺裝置
KR100741760B1 (ko) 스핀들장치
KR101640128B1 (ko) 회전축의 분해가 용이한 베어링
KR101382123B1 (ko) 로터의 밸런싱 검사를 위한 지지장치
CN102632478B (zh) 通轴装配装置
US11897093B2 (en) Nut temporary tightening device
KR20180002087U (ko) 하이드로릭 텐셔너 지지장치
KR200410117Y1 (ko) 다축 고정용 클램프 구조체
CN107755967A (zh) 一种能够快速将联轴节安装到位的方法
CN203900106U (zh) 一种用于轧辊对中装置的托辊
JP6715178B2 (ja) バルブ操作機の脱着方法およびバル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6